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경미,백사인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의식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일환으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함으로써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식에서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비교 결과,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 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Holland 진 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진로결정성의 증가는 자신이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데 도움 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진로독립성의 증가는 학생들이 의존적인 진로결정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사고의 성숙을 도와주며 진로성향의 증가는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 비를 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 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는 합리적 유형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이 진로 의사결정능력 수준이 부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합리적 유형의 증가는 학생들 이 자신과 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해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감이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향상시켜 자신의 진로선택에 보다 성숙하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현명하게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소수 대학생들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결과를 같은 또래의 다른 대학교 학생들에게 모두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들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활동들이 많은 프로그램으로 편안하고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적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가자의 요구와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 러므로 참가자들을 전공과 기타 개인적 특성별로 차별화하고 요구와 수준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s of a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College freshmen.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College freshmen's ability to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with maturity and to carry out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as part of an effort to promote efficient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for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s of decisiveness, independence, and propensity of the career choice. It indicate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 after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reasonable pattern of decision-making, but not in the intuitive, and dependent patterns. It demonstrate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reasonable career decision-making.

      •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 집단상담 사례 연구

        김영신,오미영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The paper reports cas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to enhance victims’ positive self-esteem and prevent recurrence of bullying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The Subjects are four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n occupational high school who have been victims of group bullying since elementary school. For improv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we used structured art-therapy programs in the first and final stages, and peer-support group counseling in the middle stage.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counseling room of the school, once a week for 14 weeks, and 50 minutes per s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we administered pre- and post self-esteem measures,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We find tha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the average self-esteem level increased from 23.5 before the program to 28 after the program. The qualitative analyses also reveal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helps improve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find that using art-therapy along with group counseling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여고생을 위한 집단 상담 사례연구로 긍정적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재발을 방지하고 나아가 대인관계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해온 전문계고 여고생 4명으로 개인 상담 후 집단상담에 참여시켰다. 효과적인 집단 상담의 구성을 위해 초기와 후기에는 구조화 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기에는 또래지지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학교 내 상담실에서 주 1회, 50분씩, 총 14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와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상담의 효과성에 있어서 보면, 집단원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3.500에서 참여 후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28.000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향상된 정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t값은 5.196이고 유의도는 .014( ≤ .05 )로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상담에서 미술치료 활동을 병행하여 실제 상담 프로그램 진행시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졌다고 본다. 이러한 결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본 연구의 대상자가 18세 여고생 4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와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국내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동일,임정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overall and specific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by using meta-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total of 34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studies in Korea until February 2021.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meet all the conditions of research including only college students, intervention in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e- and post-experimental design research between groups, and academic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 effect siz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ogram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intervention content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analyzed paper was 0.819 with a high effect size via random effect model. Specifically, the study subject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when conducting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of the same major, and studies using the social self efficacy scale and static group comparis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n the research method. In intervention content and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group counseling programs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s aimed at complex subordinate variables, small groups of less than five people and groups within a month were most effectively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undergraduates and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practice.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관련 개별변인에 따른 효과 크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중에서 분석기준에 부합하는 논문 총 34편을 선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준은 대학생만 포함된 연구,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입 연구, 집단 간 사전-사후 실험설계 연구, 학술지 발간 연구이며, 해당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선별되었다. 전체 효과 크기는 무선효과 모형을 통하여 산출되었으며, 분석틀에 따라 프로그램 연구대상, 연구방법, 개입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분석대상 논문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819으로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에서는 같은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가장 높은 효과크기가 도출되었고, 연구설계에 있어서는 사회효능감 척도 사용, 무처치 집단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개입특성에서 교류분석을 활용한 대인관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복합적인 종속변인을 목표로 실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5명 이하 소규모 집단 및 1개월 이내 집단이 가장 효과적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종합하고, 추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김다윤(Da yun, Kim),김미례(Mi Rye,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보호관찰 중인 여자 위기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11명에게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을 2018년 8월 30일부터 2019년 2월 8일 동안 주 1회 90분씩 8회기를 총 3회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상태가 기능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of Youth at a Crisis in Probation To that end target 22 youth at a women crisis in probation in G Metropolitan City probation. into 11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 groups. to 11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xchange analysis was conducted three times, 90 minutes per week, from August 30, 2018 to February 8, 201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ego state became more functionally activ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higher degree of anger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e exchang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f probation crisis youth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Miyoung Kim),조민아(Mi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2020년부터 시작된 COVID-19라는 감염병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총 7회기로 이루어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H 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부생을 실험 집단(32명)과 통제집단(10명)에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은 2개의 대면 집단과 2개의 비대면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 되었다. 측정 도구로는 공감 능력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따라 조사하였다. 분석에는 사전, 사후, 추후 3번의 조사에 모두 응답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능력은 사전 보다 사후의 결과가 더 높았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학생들이 작성한 매 회기 경험 보고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자기 이해, 대인관계 역량, 상담 역량에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 모두에서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 시켰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And also this study verif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non-contact and contact program implementing methods. Methods For this purpose, 3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program group and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conducted contact and non-contact for 7 weeks. The empathic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test. For the analysis, data from 14 people in the program participation group and 8 people in the control group who responded to all three surveys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program experienced significant increases in each of the scal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ccording the contact and non-contact participation method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report data, ‘self-understan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unseling competency’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was verified.

      • KCI등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노인화,유형근,정연홍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2

        This research collected and conducted meta-analysis on Masters and Ph. D. level research within the past 15 years from 2000 to March of 2015, where the test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test configured group counsel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chool adjust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171 effect sizes form 166 studies wer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total average effect size was a large value of 1.218.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the group trea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were show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 and the group size. Third, in the theoretical method approach it was shown that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e test was conducted maladjusted students group, realit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shown to have the biggest effect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Fourth, for teacher adjustment, peer adjustment and schoolwork adjustment, the effect size of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the greatest, and for school rule adjustment, solution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the largest effect. This research analyz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disposal and approach characteristic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this research study can be useful to develop programs for school adjust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usefully for applying and conducting programs in actual schoo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5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중 집단상담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한 실험연구 166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평균효과크기는 1.218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자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 부적응학생 대상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1.433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크기와 참여자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방법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매체활용 접근방법에서는 미술활용 집단상담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적응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현실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적응 하위영역 중 교사적응, 교우적응, 학업적응 영역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학교규칙적응 영역에서는 해결중심 집단상담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처치특성 및 접근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것으로 이는 학교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실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연구: 중학교 여학생의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승희,조민아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on the stress response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middle school freshman girl students. Participants(30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rom public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each mindfulness group, contrast, and control group(10 students for each group) Stress response, affect regulation scores were all measured. Participants completed the scales two times, right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mindfulness group program completio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program was consisted 8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ANCOVA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ost-test scor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trast group,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stress response. Especially the mindfulness group decreased behavioral stress response and emotional stress response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stress response. The mindfulness mediation group program did not affect the overall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but it wa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to cope with problem centered support pursuit. Based on the results, the actual counseling practice to reduce the stress and to improve emotional adjustment ability of middle school gir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명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공립 중학교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연구 참여에 동의한 30명의 학생을 집단상담 실시 집단, 대조집단, 통제집단에 10명씩 배정하고 집단상담 실시 집단에 총 8회기의 마음챙김 명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반응, 정서조절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사전 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 검사 점수에 있어 집단상담 실시 집단, 대조집단,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스트레스 반응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행동적, 정서적 스트레스 반응이 감소하였으나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정서조절 능력 전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문제중심 지지추구 대처 정서조절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학교 여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정서조절 능력 함양을 위한 상담 실제에서의 방안을 제안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G도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희,이광재,김영근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7 No.2

        본 연구는 G도 지역에서 실시된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지역사회 실시사례를 살펴보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된 상담프로그램이 단순히 프로그램 개발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에 확대 실시되는 과정과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2016년에 I 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와 G도 청소년지원재단에서는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 “내 마음아, 부탁해” 를 개발하여 G도 18개 시․군의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12세~15세 초기 청소년들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보급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개발된 이후 2022년 9월까지 7년간 초기 청소년 2,568명에게 실시되었다. 2022년에는 총 19개 집단 중 14개 집단이 실험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은 초등 고학년 14집단 101명이며 통제집단은 초등 고학년 15집단 106명으로 총 29집단 2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1일에 2회기씩 운영하여 총 8회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분산 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청소년과 지도자의 회기별 평가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정서조절능력과,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 보급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용되며 상담연구와 실무현장 사이에 증거기반 연구결과로 상담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강수정,이은영,천성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U시 소재 O중학교 1학년 중 2019학년도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에서 자살위기 문항(AMPQ-III Q53, Q57) 점수의 합이 2 이상인 대상자 1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8명씩 무선배정하였고 동질성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우울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 2회 50분씩총 12회기의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은 우울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이 감소하고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가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고, 자살 경향성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oard game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ith suicidal tenden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O Middle School in U City who scored a sum of 2 or more on the suicide crisis questions (AMPQ-III Q53, Q57) in the 2019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est, and 8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homogeneity test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same group.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given a pretest on self-efficacy,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50 minutes twice a week. Afterwards, the two groups were given a post-test, and normality and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Results First,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Second, suicid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de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less depression and improved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oard games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and reducing depression in suicidal adolescent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suicidal adolescents that reflect their needs and characteristics.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