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수도권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박완성,김미숙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attitude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and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levation of self-efficiency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to make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8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 middle school near Seoul. In measurement tool, Parenting Attitudes scale developed by Oh, sung - sim and Lee, jong-seung, and Self-efficacy scale adapted by Hong, hye-young, Career Maturity scale developed by Han, Jong-Chul and Lee, Ki-Hak were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two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ccording to gender, the female students perceived it to be more affective and self-regulating than the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self-efficacy, the femal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social self-efficacy than the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career maturity, the femal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in the career preparedness and the career purpose than the male students.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was.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self-efficacy shows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reas. Fourth, The correla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career maturity was high when they perceive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to be affective and achieving. Fifth,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e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self-efficacy was, the higher th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was. Sixth, The predictors that affect the career maturity were the general self-efficacy, the achieving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the social self-efficacy, the aff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e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탐색한 것으로써,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이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2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 438명이다. 측정도구는 오성심과 이종승이 제작하고 임선화가 재편성한 ‘부모 자녀 양육태도’척도와 홍혜영이 번안한 ‘자기효능감’척도, 그리고 이기학과 한종철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아버지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했으며,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성, 진로목적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성숙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 성취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에 따른 진로성숙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성숙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아버지의 성취적인 양육태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태도, 아버지의 통제적인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녀의 긍정적인 발달과 진로성숙을 위한 부모 교육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즉 자녀 양육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변화로 부모-자녀관계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 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

        박인숙,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간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이 진 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분 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문제 분석을 위하여 K도 J시에 소재하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및 진로 성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2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우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리고 사회적 지지, 긍정심리자본 및 진로성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 본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간호대학생의 자신의 긍정적인 마음가짐, 삶에 대한 태도 및 사고방식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고, 마찬가지 로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정서적 또는 도구적인 지지가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에게 관심과 격려의 사회적 지지를 해준다면 진로성숙도를 향상시켜 어려운 취업환경에서 주도적인 진로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areer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in their career. To achieve a goal of this paper, It concretely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areer maturity of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distinction. For this analysi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nursing students of colleges in J City, K 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related to social support, positive and career maturity was analyzed targeting final 294 students. For the analysis method of data, basic statistics analysis was used such as frequency to recognize the general distinctions of recipients. By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ir difference of means in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 In result, in relation to career maturity for planing and preparing nursing students' career, we can confirm that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fragmentary influence. So to speak, nursing students' positive mind and attitude of life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lso in relation to significant others, it can be confirmed that emotional or instrumental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career maturity will be improved and self-directed career choice and decision can be made, despite the employment market with high competition.

      • KCI등재

        급우의 진로성숙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영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급우의 진로성숙 간 관계를 급우효과(peer effect)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Ⅱ 자료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본인을 제외한 급우의 진로성숙도 평균 및 학급 내 진로성숙도 최저점의 영향을 학교 고정효과(school fixed effect)를 투입한 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먼저, 급우의 진로성숙도 평균이 높을 때 동일 학급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아 정적 급우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학급 내 진로성숙도 최저점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같은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평균 기준 상․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도 진로성숙도의 정적 급우효과는 유의하였다. 끝으로, 진로성숙도 급우효과는 다양한 학교 진로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에게 더 크게 작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진로교육활동 참여를 장려하고 진로지도 시 급우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성숙도가 높은 급우가 롤모델이 될 기회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학급 내 진로성숙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교사의 추가적인 관심과 정책 지원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at of their classmates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room peer effect. Drawing upon data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the study uses School Fixed Effect model as well as Ordinary Least Square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 of the classmates’ career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of an individual student are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The positive peer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using the minimum of a class, and when dividing into top and bottom subgroups. The positive peer effect on career maturity increases as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career technical education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chools should encourage peer interaction related to career design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career technical education policy. Also, more research is needed on spillover effect of other career-related choice or attitude in adolescenc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이현림,김순미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were gender and region related to the career maturity levels? Second, what were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 levels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Third, what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4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ndomly selecte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Career Maturity Inventory(Crites, 1978) and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hearer, 1995).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chnique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omehow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the region. Third,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nd partial supports to the hypothesis that career maturity was negatively associatied with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s. 연구목적은 진로발달 과정의 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잠재해 있는 다양한 능력들을 파악하여 진로의식성숙을 발달시키고 효율적인 진로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4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현림(1994)이 번안한 Crites(1978)의 진로의식성숙검사(CMI)를 사용하였다. 다중지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Shearer(1995)에 의해서 개발된 초등학생용 MI 발달 평가 척도와 자연주의 지능 문항이 포함된 K-MIDAS(김현진, 1998)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지역별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수준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 수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은 음악, 공간, 언어, 대인관계, 개인이해 지능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고, 남학생은 신체, 논리, 자연주의 지능에서 평균이 높았다. 반면에 지역에 따른 분석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 보다 평균은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이나 다중지능은 지능, 능력, 흥미 등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진로지도는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개인의 다양한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겠다.

      • KCI등재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발달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김미림(金美林),유예림(兪睿琳),황은희(黃銀喜),김선용(金善龍)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대학생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7, 9차년도 진로성숙도 문항에 모두 응답한 일반대학의 대학생 678명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1학년 시기와 4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유형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중수준’, ‘고수준’의 3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으나, 4학년 시기의 경우 ‘소극적’, ‘저수준’, ‘고수준’, ‘적극적’의 4개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유형의 전이 양상은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진로성숙도 프로파일의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이 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극적, 고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1학년 시기의 자아개념이, 중수준 집단의 경우 대학교 4학년 시기의 교내 취업지원 프로그램 경험이 진로성숙도 발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추후 학생들의 진로 발달 지원 관련 정책 수립이나 대학 차원의 진로지원 체계 구축 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8 undergraduates who responded to both the 7th and 9th year career maturity item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irst year in college (‘Passive’, ‘Middle Level’, and ‘High Level’) were different from the latent profiles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fourth year in college (‘Passive’, ‘Low Level’, ‘High Level’, and ‘Active’). Second, the transition patterns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atent status of career maturity in the first year in colleg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of career matur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attern. The self-concept of the first year in college, for ‘Passive’ and ‘High Level’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on-camp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years in college, for ‘Middle Level’ group,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background on career maturity change in college years. Also,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career support system at university level.

      • KCI등재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소용준,박준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선택에서 대학생활의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학생활 적응 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둘째, 대학생들이 겪는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수준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 따라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에 따라서 상(上), 중(中), 하(下)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완전 매개하였다. 학교만족도에 따라서 분류했을 때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은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전공만족도 상(上) 집단과 학교만족도 상(上) 집단에서만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한 학생들에게서 취업스트레스, 취업불안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서 취업 및 진로 지도를 해야 하며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편견, 특정 전공계열로의 편중 등의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effects of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on the career maturity.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1)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2)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accordance with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o attain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d self-report survey about study variables. Total 180 student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95 male and 85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ver. 23.0.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gend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ccording to the study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insecurity in career maturity was part paramete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Fourth, in high major satisfaction group, we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Finally, the result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eeking anxiety due to school satisfaction was partial mediated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atisfaction group. But It did not verify the effects mediated in the mid satisfaction group and the lower satisfac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discussed important of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relations of job-seeking stress, job-seeking anxiety and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 KCI등재

        청각장애인 진로성숙도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달엽,박혜전,이승욱,정광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2

        청각장애인은 장애의 비가시성과 의사소통의 제약으로 인해 진로성숙에 있어 부정적 요소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발달기에 경험하는 대인관계 장벽이나 상호작용상의 어려움은 심리적, 교육적 과정에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청각장애인은 직업배치에서 직장에의 부족한 사회기술이나 부적절한 대인관계 기술로 인해 종종 취업에 실패하거나 고용유지에 실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임상활동과 경험적 연구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필요한 기초를 생성하기 위해 진로성숙 척도개발에 필요한 항목과 영역들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청각장애인용 진로성숙 척도개발을 위한 평가항목들을 일차적으로 다루게 되며, 나아가 자아존중감, 적성 및 흥미, 사회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직장환경, 직업적응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진로성숙 정도를 나타내는 요인들의 항목을 구분한다. 또한 심리측정 척도개발에 선행하여 개인의 진로성숙 정도를 파악하는데 따르는 이론적 접근방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된다. 진로성숙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구성체(construct)와 개별요인들과 심리발달상의 의미를 청각장애인이 지니는 특성의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진로발달이론은 신체, 인지, 사회성과 같이 일에 대한 태도, 지식, 기능 등이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성숙하여 진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일에 대한 가치관, 직업선택, 의사결정양식, 역할수행, 직업적 정체감, 교육기회, 직업에의 적응, 그리고 그와 관련된 현상과 그에 영향을 주거나 상관이 있는 변인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청각장애인 직업적응의 목적 중 하나는 청각장애인이 직업상황에서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취약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청각장애와 잠재능력의 제한 속에서 최대의 기능화를 돕는 것이며 변화하는 현재상황과 다가올 미래에서 성숙된 직업태도와 직업인식을 가지고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생활하는 데에 적으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 career maturity scale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Vocational evaluati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as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areas and items of career maturity in general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se to the special population of hearing impairment. The world of work and the labor market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this information society, making persons with disability to face with a variety of hardships in the areas of work adjustment, vocational stabiliz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Research findings have been indicated tha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end to have limited literacy abilitie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 lack of a compensation mechanism and opportunities of quality education, although the self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in terms of the world of work. Therefore, special attentions are required when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that can be us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 In this study, four major themes of career maturity are identified;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decisiveness, career awareness, and reality orientation. Career maturity inventories should help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 their vocational potentials as well as the world of work in a reality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also provide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with accumulated data about the v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청소년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원정은(Won, Jungeun),정혜원(Ch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진로성 숙도에 대한 창의적 체험활동(문화체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시간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의 초등패널 데이터 중 4차년도(중1)~8차년도(고2)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시기의 진로성숙도 변화양상에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탐색하고, 시간의존변수인 창의적 체험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잠재성장모형의 검증을 통해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자료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중학교 시기에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감소하는 반면, 고등학교 시기에는 진로성숙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문화체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화체험활동의 참여는 중1, 중3,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동시효과와 중2, 고1, 고2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동아리활동의 참여는 중1 시점에 동아리활동에 다양하게 참여할수록 중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중3 시점 동아리활동 참여가고 1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동시효과를 보였으며, 봉사활동은 중3 시점의 참여가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중2 시점과 중3 시점의 진로활동 참여는 중3, 고1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ing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ing, and career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Data was harves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from 7th to 11th grade) and was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fitted well to the dataset.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ppeared to decrease during middle school years, however, their career maturity appeared to increase during high school years. Second, the contemporaneous effects of cultural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7th, 9th, and 10th grades. In addition, the significant lagged effects of cultural activities in the 7th, 9th, and 10th grades on career maturity in the 8th, 10th, and 11th grades were found. The contemporaneous effect of club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7th grade. The significant lagged effect of club activities in the 9th grade on career maturity in the 10th grade was found. Moreover, the significant contemporaneous effects of volunteering and career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were found during the time of analysis. The lagged effects of volunteering in the 9th grade on career maturity in the 10th grade were significant The lagged effects of career activities in both the 8th and 9th grades on career maturity in 9th and 10th grades were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문숙,조규판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 고등학교와 경상남도 소재 B 고등학교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으로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셋째,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 자녀관계는 진로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후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 기효능감이 핵심요인임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의 적극적인 개입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54 students from high school A in Busan and high school B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areer maturity. Third,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fter affecting self-efficacy. Teacher support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key factors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active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류상희(Ryu, Sang-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정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진로성숙과 하위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소재의 초등학교 5~6학년 300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증, Pearson 상관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수준은 보통 정도였다. 하위요인에서는 자신의 진로 선택을 주체적으로 하는 태도인 독립성 요인에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진로 선택에서 현실적인 요소보다 내재적인 요인을 더 선호하는 것과 관련된 목적성 요인에 가장 낮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인 목적정과 확신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목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나 확신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목적성과 확신성에서도 5학년의 평균 점수가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을 받은 경험의 유무도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하위요인에서는 목적성과 독립성에서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성숙은 하위요인들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정성은 진로성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신성, 독립성, 준비성, 목적성은 보통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affecting career matu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s to provide basic data for organiz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fth to sixth grade in Chungbuk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derate. In the sub-factors, the highest average was shown for the independence factor.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ub-factors, objectivity and certainty, differed by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male students in the objectivity.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certainty. Third, the career maturity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s. The average score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 in the objectivity and certainty. Fourth, career education experience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in the objectivity and independence. Fifth, career matu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