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이현림,김순미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were gender and region related to the career maturity levels? Second, what were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 levels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Third, what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4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ndomly selecte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Career Maturity Inventory(Crites, 1978) and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hearer, 1995).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chnique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omehow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the region. Third,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nd partial supports to the hypothesis that career maturity was negatively associatied with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s. 연구목적은 진로발달 과정의 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잠재해 있는 다양한 능력들을 파악하여 진로의식성숙을 발달시키고 효율적인 진로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4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현림(1994)이 번안한 Crites(1978)의 진로의식성숙검사(CMI)를 사용하였다. 다중지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Shearer(1995)에 의해서 개발된 초등학생용 MI 발달 평가 척도와 자연주의 지능 문항이 포함된 K-MIDAS(김현진, 1998)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지역별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수준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 수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은 음악, 공간, 언어, 대인관계, 개인이해 지능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고, 남학생은 신체, 논리, 자연주의 지능에서 평균이 높았다. 반면에 지역에 따른 분석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 보다 평균은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이나 다중지능은 지능, 능력, 흥미 등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진로지도는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개인의 다양한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겠다.

      • KCI등재후보

        진로탐색훈련 프로그램이 여중학생의 대인관계 능력과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이선희?천미숙?최숙경

        이현림,이선희,천미숙,최숙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07 진로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trai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gir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areer maturity. The hypotheses wer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were attended to the career exploration training program would improv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an control group stud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increase on the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Analysis of data was applicate to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f the pre and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0 8th grade girl students who attended H middle school in Daegu, Korea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study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middle school girl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cor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The career exploration training program brought out an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level in the girl students. Second, the middle school girl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a higher score on the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It was significant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he groups such as gender, school grade, and socio-economic status scale. The career exploration training program should be planned for more adva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areer maturity, and th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assisting students to know oneself and jobs. 해당문항 번호진로결정성개인이 진로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나 뚜렷한 결정을 하고 있는가를 표시1, 3, 16, 18, 3133, 46, 48, 61, 63진로관여성개인이 진로선택 과정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관여 하는가를 나타낸다.4, 6, 19, 21, 34,36, 49, 51, 64, 66진로독립성개인이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독립적인가 또는 의존적인가를 나타낸다.7, 9, 22, 24, 3739, 52, 54, 67, 69진로성향성개인이 일이나 직업에 부여하는 가치 또는 태도를 나타낸다.10, 12, 25, 27, 4042, 55, 57, 70, 72진로타협성개인이 욕구와 현실을 얼마나 잘 타협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13, 15, 28, 3043, 58, 73하위 요인

      • KCI등재후보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이 시설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이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of a reality therapy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were first, the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of reality therapy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Second, the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of reality therapy on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0 middle school students in A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career group counseling of reality therapy for 90 minutes a week for 12 weeks. Two measurement tools were used in this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Test(Jong Jin, Jung, 1996), and Career Maturity Test, which was translated by Hyun Rim Lee(1994) from the same test as originally designed by Crites(197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career group counseling of reality therapy was effectiv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바램을 탐색하고 선택과 책임을 가르치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시설 청소년들의 성취동기와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청소년의 집에서 거주하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표집 하여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정종진(1996)의 성취동기 검사를 사용하였고, 진로의식 성숙을 측정하기 위해 이현림(1994)이 번안한 Crites(1978)의 진로의식성숙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을 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은 시설 청소년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적인 처치 수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은 시설 청소년들의 진로의식 성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바램을 탐색하고, 또한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평가하여 진로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함으로써 성취동기와 진로의식 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손종하,김성자,김순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은 통제집단보다 향상 될 것이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D중학교 2학년 남⋅여 학생들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측정 도구는 Harren(1979)이 개발한 진로의사결정척도(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 ACDM)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검사를 이현림(200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Taylor와 Betz(1983)에 의하여 개발된 CDMSES의 단축형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별로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유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의사결정 유형에서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은 의미있게 감소하였고, 합리적 유형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자기 평가, 직업정보 수집, 목표 선정, 계획 수립, 문제 해결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into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ere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enhanc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junior students in D middle school in Daegu, Korea. Those students were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by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career decision-making type was reduced the intuitive type while having been increased the rational typ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up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stud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total scores fo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 five subareas (self-evaluation, information job-collection, goal selection, plan establishment, and problem solu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일반계 남고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현림,김영숙,송명자,허선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2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lucidate the effects of perceived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high school boys. From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nd the discussion on them, the conclusions were deduced a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perceiv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one. The primary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in educational barriers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career fields and pupils’ incompetence to search for the target information’.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are on the edge of getting into the real world of competition for more prestigious colleges and feel much pressure from the lack of information, inability of referring to the effective information and insecure state of mind.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verifie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recogniz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 the goal’ was the main factor that mostly influence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tudents' self-confidence to map out their own future, along with the long-term plan for their lives to come is the essential element in improv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남고생의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4개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학장벽과 진로결정수준 사이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학장벽의 하위 척도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이 27.3%로 나타났고, ‘불안한 심리수준’의 2.6%를 포함하여 전체 변량의 29.8%를 설명해 주었다. 둘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목표선택’으로 24.9 %를 나타냈고 ‘미래계획’은 4.8%로 전체변량의 29.7%를 보여 주었다.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진학장벽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졌다. 본격적인 입시경쟁이 시작되기 전인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각하는 진학장벽은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과 불안한 심리상태이었다. 이에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적절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진로탐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지도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년별로 지각하는 진학장벽의 내용이 다르므로 학년에 따른 맞춤형 진학지도가 필요하며,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로결정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진로목표 선택과 더불어 자신에 대한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진로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고생들의 바람직한 진로결정을 위해 적절한 진학정보와 함께 진로결정효능감을 증대시키는 전문화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문상담 교사의 역할

        이현림 한국카운슬러협회 2005 相談과 指導 Vol.40 No.-

        학교에서는 교과 중심의 지식 교육 외에 다양한 삶의 세계로 현명하게 이끌기 위한 진로교육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문상담 교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 먼저 진로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진로교육의 도입과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