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배지혜,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Background and Purpose) In a world that has experienced design industrialization, we now follow a stream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nature of the design works, based on sustainable designs, should be considered a fundamental element for sustainable life in the future, in the pursuit of pleasant living spaces in a polluted and exhausted ecosystem. The space should be self-generated, and actively cope with changing circumstances. A functional modular system is utilized in diverse ways in conventions and exhibitions, not only to save on costs and time, but also to pursue efficiency. However, as the forms and standards of mass-produced modular systems are limited, materializing its design is complicated. Therefore, one-time designs have been produced, and are primarily made of wood, which requires substantial investment costs. Further, large companies have considered that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inevitable to a certain extent in creating something necessary to human beings. These singular design pieces are typically utilized only for a short period until the exhibition is over, and are then disposed. Although we have experienced economic growth that is typically based on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ture trends will be based on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economy. Therefore, deeper research is required regarding these matters. (Method)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It not only mentions the simple recycling or green design methods, but also addresses collective strategi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and examines sustainable exhibitions that can easily adjust to paradigm changes. Further, the study does not attempt to view modern space as a natural being that highly depends on given factors, nor does it consider it a symbol for existentialism. This study instead defines the space in a cultural context. (Results) The study investigates the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in convention exhibitions and draws conclusions based on a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rends. The results were also analyzed, consolidat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in different exhibition spaces. The methods used to promote a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exhibition space are ① tight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②diverse functions, ③ material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④ the space’s mobility. These methods delineate the exhibition’s available and sustainable spaces, and the convention’s exhibition design will provide the key to the problems we face by converging diverse methods and an external extension. (Conclusions) We can avoid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by experimenting with sustainable display methods that reflect paradigm changes in the exhibition space. We expect a positive outlook for future sustainable trends with diverse display methods. This change in trends, which perceive the space as a non-physical space based on eco-friendly values, will initiate the development of future sustainable exhibition designs.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 산업화 시대에 우리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문화와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의미 없는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시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디자인의 성질은, 인류 환경의 오염과 자연고갈의 위협 속에서 삶의 공간을 추구해야하며 스스로 자생하고, 주위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근본적인 개념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합리성, 비용 및 시간절약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능성 모듈시스템을 컨벤션 전시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량생산된 모듈시스템은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이 많아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다. 그래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목재중심의 일회성 디자인을 연출하며 기업에서는 인간에게 유용한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환경을 파괴시키고 훼손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일회성 디자인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다가 전시가 끝난 후 매립, 소각으로 폐기처분된다. 기존의 대량의 생산 및 소비위주의 경제성장을 했다면, 미래에는 환경 친화적으로 전환해 가는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에 대한 고민으로 단순한 재활용이나 그린디자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 환경, 경제적 가치를 통합한 여러 가지 전략으로 연구하여, 컨벤션 전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향을 연구한다. 또한 현대의 공간을 자연적으로 주어진 요인들에 의존하는 자연적 존재로 보거나, 공간을 실체론적 표상으로 보는 사고를, 보다 문화적 맥락적 차원과 관련된 공간의 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과 개선방안의 도출로 정치, 경제, 사회ㆍ문화, 과학ㆍ기술 등의 트렌드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컨벤션 전시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구분하였다. 지속적인 컨벤션 전시공간의 사용가능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①환경규제의 강화, ②기능의 다양성, ③소재의 친환경성, ④공간의 이동성이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트렌드에 대한 전시유형 방법으로 컨벤션 의 전시디자인은 현재 직면한 과제에 대한 외연 확장과 다양한 방법의 융합으로 지속가능성의 발전과 문제해결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결론) 전시공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시방법을 통해 일회성 전시디자인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의 위협에서 벗어나, 전시공간의 향후 직면할 환경, 기술, 사회, 문화적 트렌드의 변화로 다양한 전시방법의 촉진과 함께 미래의 지속가능한 트렌드의 비전을 기대한다. 또한 거시적 트렌드로 친환경에 기초한 비 물리적 가치 공간으로의 변화는 전시공간의 패러다임은 지속가능한 미래 전시디자인 발전의 중요한 트렌드로 나타날 것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The sharp change in production metho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volves large-scal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and it i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sponse, various fields are paying attention to ‘Sustainability’.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is satisfying the current demand while not threatening the things necessary for future generation and seeking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harmony of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and balance between current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 Although products applied with sustainability are produced in surface product design field, various products satisfying the customer needs are necessary. Thus, this study conduct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property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reflecting sustainability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lso, this study aimed on suggesting the utilization method as the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surface product design. For research method, this study carried out analysis on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material for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ncept of sustainability, examples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and design property.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basic statistics analysis and Likert Scale for an online survey and the result was derived by utilizing Excel.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182 questionnaires surveyed for a total of 7 days from November 29, 2018 to December 5, 2018. In order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the surface design of interior space that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human activity area, we divided the three attributes of sustainability into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hre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aesthetic, functional, and symbolic attributes in product design attributes. The survey result was as follows. When selecting th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subjects prioritized ‘environmental feature’ followed up by economic feasibility and sociality among the elements of sustainability. In design property, the subjects prioritized ‘function’ followed up by ‘esthetic feature’ and ‘symbolism’. In addition, among the 182 survey subjects, 104 subjects showed high interest in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while 124 subjects considered about changing to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within 3 years. For elements considered in selecting the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the subjects prioritized design followed up by quality, rise in space value, and sustain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hopes the survey result to contribute in developing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emphasizing environmental feature and functionality. In addition, as the customers show high interest in sustainability, the development and branding of indoor space surface product design applied with sustainability will be the chance for strengthening the company’s design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 new market in related industry.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생산방식의 변화는 대량으로생산, 소비, 폐기하는 구조로서 지구의 자원의 고갈과환경의 오염을 야기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가능성이란 미래 세대의 필요한 것들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현재의 필요를 채우는 것이며 인간과 자연의공생, 개발과 보전의 조화, 현 세대와 미래 세대 간의형평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 되며, 서피스제품디자인 분야도 많은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제품이 생산되고 있지만, 소비자 니즈에 맞는 다양한 제품이 필요한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속성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지속가능성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 방향을제시함으로서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 시 참고 자료로활용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에 두었다. 연구방법은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사례, 디자인 속성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엑셀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18년 11월 29일부터 12월 5일까지 총7일간 조사되어진 18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연구하였다. 인간의 활동영역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실내공간의 서피스제품디자인에 대한 속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속가능성의 3가지 속성인 환경성, 경제성, 사회성으로 나누어 각 속성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제품디자인의 속성에서도 심미성, 기능성, 상징성 세가지 속성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을 선택할 시 지속가능성의 요인 중 ‘환경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경제성과 사회성을 그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디자인 속성중 ‘기능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뒤이어 ‘심미성’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다음으로 ‘상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조사대상자182명 중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조사대상자는 104명, 향후 3년이내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으로 변화를 고려하는 조사대상자는 124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디자인, 품질, 공간의 가치상승, 지속가능성의 여부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여 향후 지속가능성이 적용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이 환경성을 강조하며 기능성이 갖춰진 서피스제품디자인 개발이 활성화된다면 기업 디자인 경쟁력 강화와 관련 산업의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불어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매우 높으므로 지속가능성이 반영된 실내공간 서피스제품디자인을 새롭게 개발하고 제품을 브랜드 화 한다면 기업매출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패션마케팅 활동에 나타난 지속가능디자인 - 국내 패션마켓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백경원,유태순,조은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의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해 정의하고 분류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전개, 실천사례 등을 고찰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추구 가치와 내용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전개방법을 분류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 척도를 구성하고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전개방법을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서적, 논문, 뉴스 및 기사, 인터넷 자료, 조사연구 기관 및 기업의 연구보고서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실천사례 등을 통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분류한 결과, 친환경성, 공공성, 경제성 차원에 따른 6가지의 하위차원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척도를 바탕으로 패션마켓에서의 지속가능디자인 및 지속가능마케팅 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철학이나 브랜드의 컨셉, 사업규모 및 유통망에 따라 각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실행방향과 실행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the connection of sustainable design that is variously and widely discussed in a paradigm of sustainability, so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promot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the value of sustainable design and content discussed. And then, based on connectivity to classify sustainable design practice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criterion for the practice assess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Research is mainly progressed by studying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news reports and articles, internet data, research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identifying the connectivity and classify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ncept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desig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according to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es for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fashion market based on the rating scale assess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sign,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xecut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s philosophy, brand concept, or business scale and distribution network.

      • KCI등재

        지속가능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접근방법에 대한 고찰

        김미자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2

        디자인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우리 사회의 커다란 이슈 가운데 하나로서 등장하였다. 특히 패키지디자인 분야에서는 환경성 및 경제성 측면이 강조된다. 포장원료 선정에서부터 생산, 판매, 사용 후 재활용이나 폐기 과정에 걸쳐서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임으로서 지구의 미래 환경을 지키기 위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의 의미와 개념을 명확히 고찰하고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적용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전문서적, 선행연구 논문 등의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이론적 자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고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을 의미를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고찰하였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절감과 물질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셋째, 21세기 지속가능성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역할, 접근방법을 도출하였다. 결론으로서 첫째, 생체모방디자인 측면과 둘째, 자연자본주의적 측면 셋째, 안티패키징 측면을 중심으로 패키지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One of the most powerful issues lately is an environ-mental issue. For the packaging industry eco-friendly trends are positive, encouraging innovation and expansion of packaging materials to replace from Styrofoam and polyvinyl chloride to decomposable bio-degradable plastic. At the social backgroun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the eco-friendly packaging to develope environmental strategie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bout the fundamental notions of the eco-friendly packaging, application categories, the present state of the trend of eco-packaging and materials. It also shows policies and regulations, principles, checklist, and analysis the guidelines for eco-packaging. The first principle is to design an environmentally sound packaging cycle that consider all material inputs and energy sources during its whole life-cycle. Second, consider all the multiple elements including cost, quality, marketability, and design. Third, collaborate with suppliers,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designers. In conclusion, as methods of approach for a paradigm shift of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is study suggests three ways which are Bio-mimicry, Natural Capitalism, and Anti-packaging. With the efforts to follow the eco-friendly programs, it will ensur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contribute to cut down expenses for the future. I expect various studies on this approach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의미와 접근 방법 연구

        김찬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meanings and roles of package design through researches on the design approaches and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packaging. To do this, we defined the meaning of 'Sustainable package design' and studied various design methods of sustain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In this study, we defined that sustainability is the ability to sustain by balanc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future. Also,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is to design with sustainable methods of planning a clear goal and predicting results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For case studies, research objects were 15 package designs of 'IDEA', 'Red-dot Design Award' and 'iF Design Award' from 2011 to 2016. The 15 cases were analyzed by design approaches and methods and by materials, components of each packaging. In this paper, main methods of sustainable packaging are 'reduce', 'reuse', 'recycle', 'upcycle' and 'biodegradation'. For sustainability of packaging, our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dict various results and effects from a package desig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Second, a package design directly affects consumer behavior. Therefore, sustainable package designs are meaningful to change the behavior of social members and to induce the effor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social equity. Finally, it is significant to consider the entire design process and methods of a packaging system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지속 가능성의 개념과 접근 방법의 고찰을 통해 오늘날 패키지 디자인의 새로운 의미와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과 사례 연구의 방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을 정의하고 지속 가능성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의 접근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속 가능성이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제반 환경과 균형을 갖추어 미래를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다.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은 경제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측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균형을 위하여 디자인 목표를 명확히 세우고 그 결과를 예측하여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접근 방법으로 패키지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사례 연구는 국제 디자인 어워드 중에서 국제적 인지도와 패키지 분야 유무의 기준에 따라 ‘IDEA’, ‘Red-dot Design Award’, ‘iF Design Award’를 선정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패키지 분야의 15개 사례에 대한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 및 구성 요소, 접근 방법, 목표 대상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주요 디자인 접근 방법은 감량화, 재사용, 재활용 및 업사이클, 생분해 등으로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목표 대상과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패키지 디자인은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결과와 영향을 예측하여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의 소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패키지 디자인은 지속 가능성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노력과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디자인은 경제적 이윤을 목표로 패키지의 전체 공정 과정을 최적화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져다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디자인을 통한 디자인경영 사례연구

        윤인정(Yoon, Injung),김면(Kim, Myo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1

        오늘날 지속가능성은 친환경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가치 생산과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까지 아우르는 확장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속가능디자인은 경제, 환경, 사회를 통합한 통합적 디자인 활동으로 재정의 되어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지속가능디자인은 과거 제품 개발 중심의 활동 영역을 넘어 전사적인 시스템 아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친환경 소재 선택과 더불어 혁신적인 제품, 서비스 개발로 환경적 이익 창출과 삶의 질 개선, 지역사회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기업 이미지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그린, 재활용 디자인의 개념을 넘어선 진보된 지속가능한 디자인경영의 정의와 새로운 역할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세계적인 기업인 지멘스, 슈나이더 일렉트릭, GE, 나이키, 도요타 자동차의 사회 및 환경적 가치를 바탕으로 경제적 가치를 통합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성공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기업 차원의 지속가능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 디자인경영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Recently, the sustainability can has been widely summarized from creating social and cultural values based on the eco-friendly environment to creating economic one of companies. According to current trend, the sustainable design might be an integrated design activities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The sustainable design meant product development in the past, but it is extended to create the environmental benefits from the selection of the eco-friendly materials in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ncrease the brand equity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under the corporate system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these new changes, this study discussed the new concept and rule of the sustainable design covering the eco-friendly, green and recycling design. In this regard, five global companies - Simense, Schneider Electric, General Electric, Nike, and Toyota Motors - have been analyzed to examine successful fundamentals of the sustainable design activities contained to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values together, suggesting the strategies of design management via sustainable design at the corporate level.

      • KCI등재

        지속가능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패션제품디자인 개발

        우승걸(Woo, Seung Keol),정재윤(Chung, Jae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친환경 디자인 패러다임은 우리 사회에서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되고 있으며, 환경을 고려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사회적, 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또한 더욱더 확산되어가고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수많은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패션 산업의 구조 속에서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써 미래 환경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필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에 따른 친환경 디자인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근 시대적 흐름에 맞춰 등장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패션디자인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제품 개발에 적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전문서적과 선행 논문연구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인터넷 디자인사이트를 통해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를 정립하였고, 요소별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제품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자료를 바탕으로 친환경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를 6가지로 정립하였다. 둘째, 연구자가 재정립한 지속가능디자인의 6가지 요소(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 감성적 연결성을 가진 디자인,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한 디자인, 대안적 소재가 적용된 디자인)를 기준으로 요소별 사례조사를 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가 재 정립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 중 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쓰레기의 최소화, 새로운 소재의 사용을 통한 대안 제시 항목을 포함한 패션제품을 개발하였다. 버려진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제직된 원단을 사용하여 토트백을 만드는 과정은 버려진 소재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주는 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에 가장 잘 부합하며 비닐봉지를 가공하여 새로운 실의 형태를 제시하는 것으로 대인적 소재가 적용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공예기법인 직조를 사용하여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지속가능디자인은 점차 악화되어지고 있는 자연환경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인간사회의 여러 분야에 있어서도 꼭 필요한 시대적 패러다임이 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단순히 이론적인 고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실용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패션제품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 has been constantly evolving in keeping with the needs of our society. In collaboration, diversified researches on the subject of sustainable design are expanding their parameters relating to our environment in addition to aspects in social and economic affairs. This practice of conserving the precious resources and heightening energy efficiency is especially indispensable in the structures of fashion industry, where masses of fast-coming new products are being manufactured in excess in keeping with the fast changing trend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pply the key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ducts by thoroughly studying the transform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s and exploring how they’ve been applied to the domain of fashion. The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ing were established by studying literature including prominent foreign and domestic publications in the field and previous researches, and well-founded online design websites. Sustainable fashion design products were developed based on case studies by element. As for the progression of the study, the researcher: 1) Studi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and change in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s basing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data, and instituted 6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ing, 2) Conducted case studies on each of the 6 elements (design through upcycling, design with emotional connectivity, design of extensive applications,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design with minimized waste, and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and 3) Developed a fashion product exploiting 4 of the 6 elements, i.e. design through upcycling,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design with minimized waste, and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The process of making a tote bag using fabric made from plastic bag waste incorporates the design through upcycling which adds a new value to waste material, and the use of plastic bag features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Also utilizing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of weaving encompasses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Sustainable design is not just a considerate movement for the gradually degenerating natural environment, but has become an imperative paradigm in many areas of human society. This research does not merely stop at the pondering, but promotes consumer interest on sustainable design and puts forward a comprehensive guidance in regard to the social role of design by applying the concept on actual designing and developing practical fashion product design with high added value.

      • KCI등재

        패션마케팅 활동에 나타난 지속가능디자인 - 국내 패션마켓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Baek Kyung Won ),유태순 ( Yoo Tai Soon ),조은영 ( Jo Eun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의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해 정의하고 분류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전개, 실천사례 등을 고찰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추구 가치와 내용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전개방법을 분류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 척도를 구성하고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전개방법을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서적, 논문, 뉴스 및 기사, 인터넷 자료, 조사연구 기관 및 기업의 연구보고서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실천사례 등을 통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분류한 결과, 친환경성, 공공성, 경제성 차원에 따른 6가지의 하위차원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척도를 바탕으로 패션마켓에서의 지속가능디자인 및 지속가능마케팅 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철학이나 브랜드의 컨셉, 사업규모 및 유통망에 따라 각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실행방향과 실행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the connection of sustainable design that is variously and widely discussed in a paradigm of sustainability, so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promot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the value of sustainable design and content discussed. And then, based on connectivity to classify sustainable design practice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criterion for the practice assess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Research is mainly progressed by studying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news reports and articles, internet data, research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identifying the connectivity and classify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ncept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desig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according to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es for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fashion market based on the rating scale assess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sign,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xecut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s philosophy, brand concept, or business scale and distribution network.

      • KCI등재

        지속가능한 재료를 활용한 가구디자인 사례연구

        언우,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든 산업은 환경에 대한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혁신적인 방법을찾도록 장려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가구디자인분야에서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과거에는 가구디자인이 프로젝트를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완료하기위해 환경과 지속가능성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 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 디자인은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한 재료를 활용한가구 제품의 디자인 원칙과 응용에 대한 심층 연구를통해 장식 창작 과정에서 환경 보호, 자원 절약, 및 생태 친화적인 개념을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이너가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더욱 끌 수 있도록 유도하여가구디자인 산업을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범위는 지속가능한 환경성, 사회성, 경제성을 중심으로 고찰 분석 하였다. 지속가능한 재료의 분류를 정리하고, 재활용 재료, 천연 지속가능 재료, 과학기술 재료의 3가지 범주를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재료를 활용한 가구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서적, 논문, 웹페이지 등을 통해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정의, 개념, 지속가능한 재료에대한 이론적 고찰을 연구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재료의 지속가능한 특성을 연구하였다. 지속가능한 특성에 의한 가구디자인 재료에 대한활용사례 및 방안제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환경성측면은 재활용 재료가 자원 소모를최소화할 수 있고, 천연 재료는 생태계를 보호하며, 과학기술 재료는 제조 공정에 혁신과 재료 제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재료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문제점을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둘째, 사회성측면은재활용 재료가 사회 경제 발전과 기술 수준 향상에기여하며, 천연 지속가능 재료는 모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과학기술 재료는 공공 공간 가구를 제조하고 새로운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평등과 공정을 보장한다. 셋째, 경제성측면은 재활용 재료가 저렴하고 경제적 가치가 높으며, 천연 지속가능재료는 상표 인지도 형성에 도움을 주어 고객을 유치하는 데 기여한다. 과학기술 재료는 제품이 지속가능한 장기 투자 수익을 가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가구디자인에 대한 참고자료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소재의 설계 원칙과 방법을 깊이 이해함으로써 디자이너가 프로젝트에 생태 설계 개념을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여 사회, 환경 및 경제에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는 디자인 분야에서 미래 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광범위한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attracting growing attention across the world. All industries are encouraged to find innovative ways to minimize adverse impacts on the environment. These trends are also rapidly manifesting in the furniture design sector. In the past, furniture designers tended to ignore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for the sake of completing projects faster at lower costs. However, the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has resulted in trends toward more eco-friendly and sustainable interior designs.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sign principles of furniture products using sustainable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thereby exploring methods that combine environmental protection, resource-saving, and eco-friendly concepts in the design process. The case analysis provided by this study is aimed at directing designers’ attention to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contributing to ensuring more eco-friend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urniture design industry. The analysis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designs. It examines the classification of sustainable materials and defines three categories (recycled materials, natural materials, and technological materials) and looks into cases of furniture designs using the sustainable material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views books, journal articles, and websit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or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s as well as sustainable materials and analyzes the relevant cases to identify the sustainabl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Thus, this study provides case analysis and proposals regarding the use of sustainable materials in furniture designs, and it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nvironmental aspect, recycled materials allow for minimizing resource consumption while natural materials protect the ecosystem and technological materials contribute to realizing the potential of the materials and addressing the relevant issues by innov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controlling the use of materials. Second, in the social aspect, recycled materials contribute to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natural materials have the potential of satisfying the needs of all parties involved. Technological materials can be used in furniture used in public spaces, and ensure equality and fairness through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the wider society. Third, in the economic aspect, recycled materials offer high economic values despite their low prices, and natural materials help companies attract customers by increasing their brand awareness. In addition, technological materials help companies develop products that offer sustainable long-term yields on investment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and guidelines for furniture designs in the future and provide case studies aimed at deeply understanding the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for sustainable materials, thereby helping designers integrate the concept of ecological designs in their projects in a more effective manner,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s that offer greater benefits to the society, environment, and economy. This reflects the wider trends in the design sector toward sustainable solutions to satisfy the needs of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동향 및 전략 연구

        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3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has increased as governments have strengthened domestic and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consumer awareness of responsibl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is age for research into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in creating a sustainable life and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 for creating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for a more sustainable life.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stainable product package trends were identified. Secondly, for the case studies, desig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multiple angle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fiv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for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proposed with detailed design methods. As a result, th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are: designs that use resources and energy efficiently, designs that recycle waste, design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emissions during package disposal, designs that change consumer behavior towards a more sustainable lifestyle, and designs that promote the interest of a sustainable life. In addition, as the role of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s, establishment of package design processes based on analyzing environmental impact information, scenario-based design that fuses consumers’ sustainable activities and multi-dimensional and creative design ideas to overcome limitations of material and processing technology need to be developed. 최근 전 지구적으로 플라스틱, 비닐 등의 패키지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패키지 개발과 생산에 대한 정부의 환경 규제 법규가 강화되고 소비자의 지속가능 패키지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환경적 트렌드를 토대로 기업에 소속된 디자이너들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 활용 가능한 디자인 전략과 세부적인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자료들을 통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정부의 패키지 관련 환경 규제 정책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선진브랜드의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다섯 가지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전략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속가능 디자인을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지속가능 패키지 전략으로는 첫째, 자원 및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된 디자인 전략으로 패키지 공간비율, 재료 및 표면처리 최소화의 디자인 방법이 있으며, 둘째, 유해물 발생을 최소화한 디자인 전략으로 생분해성 소재, 친환경 잉크 사용 및 표면처리 디자인이 포함된다. 세 번째로는 재사용 및 재활용 디자인 전략으로 재활용 가능 패키지의 분해, 유지보수, 세척이 용이한 디자인을 포함한다. 네 번째, 소비자의 행동을 지속가능 라이프 스타일로 변화시키는 디자인 전략과 다섯 번째로 소비자의 지속가능 라이프의 관심을 촉진시키는 캠페인 디자인 전략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 패키지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로써 디자인 개발, 생산,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환경영향 정보 수집 및 분석에 근거한 패키지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립이 필요하며, 지속가능 패키지 사용자의 지속적인 활동 유도를 위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융합된 디자인, 현재의 소재 및 가공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을 통한 디자이너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제안된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전략 및 방법을 통하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