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과잉자격이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및 우호적 선망의 조절효과

        오상석(Sangsuk Oh),박오원(Owwon Park),한수진(Su Jin Han)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10

        지각된 과잉자격은 자신의 경험, 지식, 기술 및 능력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에서 요구되는 것을 초과한다고 지각할 때 발생한다. 과잉자격으로 인지하는 직원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지각된 과잉자격이 직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지각된 과잉자격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은 대체적으로 지각된 과잉자격이 직무관련 태도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과잉자격으로 인지하는 개인들은 직무수행 능력보다는 동기부여가 결여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행동이나 성과에 대해서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긍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혁신행동을 통해 적응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즉,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지각된 과잉자격과 적응성과간의 관계에서 혁신행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타인에 대한 우호적 선망이 개인을 동기부여시킬 수 있음을 고려하여 우호적 선망을 과잉자격이 혁신행동을 높이는 상황적 요인으로 제시한 후 우호적 선망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205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은 혁신행동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혁신행동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적응성과간의 정(+)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호적 선망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간의 긍정적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호적 선망이 높을수록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간의 긍정적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각된 과잉자격과 혁신행동간의 긍정적 관계는 우호적 선망이 높을 때만 유의하고 낮을 때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특히, 실무적 시사점에서는 조직 내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에 대한 긍정적 측면이 강조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서 조직 및 관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ccurs when one perceives that one’s experience,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exceed those required for the job being performed. As the number of employees who are perceived as overqualified gradually increases,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is significantly important. Previous research o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generally identifi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job-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However, considering that individuals perceived as overqualification often lack motivation rather than ability, it can be expect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s or job performance that can demonstrate their job abilities.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study analyz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can enhance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innovative behavior.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whether innovative be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benign envy toward others can motivate individuals, benign envy was proposed as a contextual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n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benign envy. The figure below presents the research model of our study. 〈그림은 본문 참조〉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205 public official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ve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behavior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Also, benign envy played a moderating role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as strengthened when benign envy was high rather than low. In particula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when benign envy was high and not significant when it was low.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particular, in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organizations paid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emphasized that organizations and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and make efforts to promote the positive effect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 KCI등재

        지각된 과잉자격이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QU HAIXIA,이희옥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1 산업혁신연구 Vol.37 No.3

        최근, 경기의 불황과 고용시장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취업 준비자들의 치열한 경쟁은 직무 요건에 비해 과잉자격 현상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특히 COVID-19 팬더믹이 전세계를 강타한 이후 세계적으로 실업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보면, 대학 졸업생 및 경력을 쌓은 직장인들이 고용시장에서 한정된 일자리를 서로 간 경쟁하여 자신의 스펙과 맞지 않는 직업을 종사하여 지각된 과잉자격이 나타난다. 지각된 과잉자격은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대다수이나 이들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선진국의 연구가 아 닌 떠오르는 국가(emerging country)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종업원 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과잉자격이 조직의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종업원의 이직의도 관계를 선 정하여 그들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종업원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변수를 조절 변수로 투입하여 지각된 과잉자격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이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이직의도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절변수인 조직몰입이 지각된 과잉자격이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변 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조직몰입이 강할 경우, 종업원의 지각된 과잉자격이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더 강화시켜 조직몰입이 중요한 이들의 관계에서 중요한 조 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Overqualification seems to have resulted from fierce competition among job seekers driven by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and the instability of the employment market. Major preceding research have conclud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negative impacts on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specific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work behavior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ation 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rom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mong employees in China.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employee commit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overqualificati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Emperical results show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both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Meanwhile, as a moderating variabl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In summary, w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strong,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f employee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becomes more intensified. In addition, we confirm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n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에서 지각된과잉자격의 매개효과와 권한위임의 조절효과

        서유라,유태용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지역과 세계 Vol.47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overqual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dele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dele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entitlement, perceived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employees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and whose perceived overqualification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 behavior, andwhere deleg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voice behavior.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voice behavior is weak when delegation is high. Futhermore, deleg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voice behavior. Based on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과잉자격이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권한위임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국내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높을수록 과잉자격을 더 느끼고, 과잉자격을 느낄수록 발언 행동을 덜 하였다. 이러한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리고 권한위임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발언 행동 간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과잉자격과 발언 행동 간 부적 관계는 권한위임이 높은 경우에 완화되었다. 또한 권한위임은 지각된 과잉자격을 통한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권한위임이 높을수록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가 약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자격과잉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과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심리자본의 조절효과

        형정호,정수진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3

        This study is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The influence of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on job engagement is also verified.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also verified when organization members who experience perceived over-qualification influence job engagement. For the verification mentioned abov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working for Chinese companies. 3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inally. With the data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V. 22.0 and Amos V. 22.0. The analysis results first show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does not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crafting. Secondly,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Thirdly,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have been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Fourthl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job engagement. Fifth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job eng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y expanding existing prior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잡 크래프팅과 조직기반 자긍심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지각된 과잉자격을 느끼는 조직구성원이 직무열 의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잡 크래프팅과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기업에서 근 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설문지가 최종 357 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2.0과 Amos V.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 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지각된 과 잉자격이 잡 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 된 과잉자격이 조직기반 자긍심과 직무열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과 조직기반 자긍심이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기반 자긍심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열의 사이에 매 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심리자본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 무열의 사이에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 를 확장하여 지각된 과잉자격이 잡 크래프팅,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 긍정적 심리자본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하,권혁기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10

        본 연구는 주로 지각된 과잉자격의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 기존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금융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2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은 종업원의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과잉자격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감정소진과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는 것은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효과에 대한 연구를 어느 정도 풍부하게 하였으며, 창의적 행동, 감정소진, 잡 크래프팅, 조직지원인식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제공하였다. 과잉자격 인식에 대한 논의는 주로 종업원 개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향후연구는 팀 수준 또는 조직 수준으로확대해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creative behavior, moving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focus on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 survey of 282 employees in the financial industry in China was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creative behavior, the fact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has enriched research on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th some extent. In addi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 emotional exhaustion, job craft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t was measured in the terms of subjective over-qualification, Discussions on over-qualified recognition remain at the individual level of employees, and future studies need to study the collective phenomenon of over-qualified recognition at the team level or organization level.

      • KCI등재

        지각된 과잉자격과 상대적 박탈감이 지식은폐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영일,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4

        본 연구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지식은폐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 를 확인하고,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서 근무하는 408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 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이 지식은폐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매 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일의 의미는 지각된 과잉자격과 지식은폐 동기 간 관계에서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지 각된 과잉자격이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지식은폐 동기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과잉자격이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지식은폐 동기를 높이는 과정을 일의 의미가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의 의미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과잉자격이 상대적 박탈감 을 통해 지식은폐 동기를 높이는 영향을 강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 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ve deprivation in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knowledge hiding motivation, and confirm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To verify the hypothe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08 office workers working at various domestic compan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ponses,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ve deprivation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knowledge hiding motivation. The work meaningful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lative depr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knowledge.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increases knowledge hiding motivation through relative deprivation. We also found that work meaningfulness moderates the process by which perceived overqualification increases knowledge hiding motivation through relative deprivation. Specifically,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work meaningfulness reinforced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knowledge hiding motivation through relative depriv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이직을 유발하는 MZ세대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그들이 처한 근로환경의 중요성

        김선왕,권지민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지난 몇 년간 청년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MZ세대 직장인들의 이직률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이 그들의 차년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계약과 직무 매치 이론 등을 바탕으로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이 그들의 이직이나 이직의도를 유발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 상황적 요인으로써 몰입형 근로환경 도입의 중요성을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추가로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해 과거(3년 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전반적 흐름의 변화와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로써 가장 적절한 한국고용정보원의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데이터는 2019년 - 2020년에 조사되었고, 원표본과 추가표본 중2020년에도 취업 중에 있는 6,067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19년 - 2020년과 비교하기 위해 2016년 - 2017년에 조사된 원표본과 추가표본 중, 2017년 기준취업 중에 있는 5,484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19년 - 2020년데이터와 2016년 - 2017년 데이터 모두 당시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은 그들의 차년도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에 대한 정서적 만족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19년 - 2020년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몰입형 근로환경의 조절효과는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2016년 - 2017년 데이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MZ세대 직장인들이 지각하는 과잉자격으로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직을 포함한 부정적 결과들을 예방하고, MZ세대 직장인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몰입형 근로환경의 조성을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정서적 몰입의 관계 : 지각된 과잉자격의 역할과 조절된 매개효과

        김수진(Soojin Kim),박귀현(Kwihyun Park),권기욱(Kiwook Kw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과잉자격(POQ)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내 다양한 산업 군에 속한 기업체 근무자들 3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MX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LMX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과잉자격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LMX 간 관계뿐 아니라, 매개경로(임파워링 리더십→LMX→정서적 몰입)도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LMX의 매개 역할 및 POQ의 조절 역할을 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문헌을 확장하였다. 특히, 자신과 유사한 동료와의 비교로 발생하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동일한 리더십을 각기 다르게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조직몰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들은 부하들의 직무 동기 및 조직몰입 향상에 어려움을 겪는 관리자들에게, 임파워링 리더십이 그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함과 동시에, 이를 리더십만으로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지각된 과잉자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POQ) regarding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of members. The result of research conducted on 372 corporate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al groups in Korea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direc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in addition to indirect effect through LMX. In other word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MX was confirmed. Also, POQ meaningfully moder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LMX but also mediation process. In other words,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is study expanded existing literature by synthetically considering the mediating role of LMX and the moderating role of POQ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Particularly, POQ occurred from the comparison with similar co-worker ca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llowing the same leadership accept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one of the solutions to the managers who have difficulties in improving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t the same it also shows that there can be limits to solving this with leadership alone. Therefore, managers should exercise appropriate level of empowering leadership considering the POQ of the members.

      • 임파워링 리더십,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정서적 몰입의 관계 : 지각된 과잉자격의 역할과 조절된 매개효과

        김수진(Soojin Kim),박귀현(Kwihyun Park),권기욱(Kiwook Kw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본 연구는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과잉자격(POQ)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내 다양한 산업 군에 속한 기업체 근무자들 3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MX를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LMX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과잉자격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LMX 간 관계뿐 아니라, 매개경로(임파워링 리더십→LMX→정서적 몰입)도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즉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LMX의 매개 역할 및 POQ의 조절역할을 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문헌을 확장하였다. 특히, 자신과 유사한 동료와의 비교로 발생하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동일한 리더십을 각기 다르게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조직몰입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들은 부하들의 직무 동기 및 조직몰입 향상에 어려움을 겪는 관리자들에게, 임파워링 리더십이 그에 대한 해결책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함과 동시에, 이를 리더십만으로 해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지각된 과잉자격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POQ) regarding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of members. The result of research conducted on 372 corporate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al groups in Korea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direc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in addition to indirect effect through LMX. In other word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MX was confirmed. Also, POQ meaningfully moder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LMX but also mediation process. In other words,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This study expanded existing literature by synthetically considering the mediating role of LMX and the moderating role of POQ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Particularly, POQ occurred from the comparison with similar co-worker ca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llowing the same leadership accept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one of the solutions to the managers who have difficulties in improving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t the same it also shows that there can be limits to solving this with leadership alone. Therefore, managers should exercise appropriate level of empowering leadership considering the POQ of the members.

      • KCI등재

        여성 관리자의 지각된 과잉자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강소라(Sora Kang),김지연(Ji Yeon Kim),한수진(Su Jin Han)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9

        2019년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관리자의 비율은 10년 전인 2009년의 14.14%에서 7%p나 증가하였다. 최근의 여성 근로자 및 관리자들의 증가 추이는 경영 현장 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으나, 여성근로자와 관리자들대상의 경력관리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 근로자의 경력개발 과정에서 인지하는 지각된 과잉자격의 영향과 이에 대한 경계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의 주관적 과잉자격을 의미하는 ‘지각된 과잉자격(perceived overqualification)’이란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요구보다 더 높은 자격을 가졌다고 지각하거나 혹은 활용할 기회가 한정적이라고 인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POQ는 상대적 결핍과 조직 내 불공정성 인지로 부정적 태도인 이직의도를 발생시킬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이들의 부정적 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자원을 파악하고자 한다. 사회적 자원은 상대적 결핍의 상황을 사회적 자원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사회적 자원으로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상사지원인식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인력패널조사(2018)」의 원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관리자의 POQ와 이직의도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POQ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과 일관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는 여성 관리자의 POQ와 이직의도간의 정의 관계를 약화시켰다. 사회적 네트워크를 높게 보유한 집단은 POQ와 이직의도간 관계가 크게 변화하지 않지만,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게 보유한 집단은 POQ와 이직의도간의 관계가 보다 강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상사지원인식은 가설과는 달리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출하였다. In 2019, the percentage of female workers and manager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ontinued to increase every year, with the percentage of female managers increasing by 7%p from 14.14% in 2009 a decade ago. The recent increase in female workers and managers is showing great interest in academia as well as in the management field, but career management research for female workers and managers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ived effects of overqualified women in the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 boundary factors for them. Perceived overqualification (POQ), which means subjective overqualification of an individual,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n individual is perceived to have higher qualifications than the requirements of his or her duties, or recognizes limited opportunities to utilize. POQ is expected to generate negative attitudes towards turnover due to relative deficiencies and perceived unfairness within the organization. We also want to identify social resources as factors that can mitigate their negative relationships. Social resources will be able to supplement the situation of relative deprivation with social resources, and social networks and boss support awareness were presented as social resources. Hypothesis 1: The higher the perceived overqualified female managers are,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will be. Hypothesis 2: Social networks will und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Hypothesis 3: Recognition of Boss Support will und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f female managers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Women Manpower Panel Survey (2018)” of the orea’s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OQ of female managers and the intention of turnover has been shown to be a significant definitive relationship. This is a consistent result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POQs and turnover intentions. Second, social networks have weakened the definition relationship between POQ and turnover intentions of female managers. Thirdly, the perception of supervisor support has not been validated with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trary to hypotheses. Based o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presented. 〈그림은 본문 참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