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암환자의 죽음인식에 따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활동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사회복지 실천서비스로서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활동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죽음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웰다잉과 영적안녕을 종속변수로, 호스피스활동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암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64부를 제외한 286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수용력이 높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웰다잉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영적안녕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호스피스활동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에 긍정적인 것을 나타났으며,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 중에서 상담, 사정, 사별관리, 퇴원계획, 지역사회 자원관리 등의 직접개입관련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 웰다잉의 사이 및 죽음인식과 영적안녕 사이에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웰다잉 및 영적안녕 각각은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의 사이에서 암환자가 인지하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로 분석되어, 조절변수(호스피스활동)는 독립변수인 죽음인식과 종속변수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변수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플러스(+)로 나왔으므로 호스피스활동이 왕성할수록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웰다잉 및 영적 안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to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hospice c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cancer patients as one of practic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ected moderator variable was hospice care,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elected cancer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hospice c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28, 2016, and the answer sheets from 28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64 data that included unfaithful answ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 more adaptive awareness of well-dying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whose financial status were more stable and were les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there was a more compliant attitude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in the initial stage of cancer, who were in more stable financial condition, who were under less pressure about medical expenses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death awareness and hospice care. A more immersion in death ideation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male,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se cancer was in worse condition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And the way of looking at hospice car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offered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ath awareness on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better preparations for well-dying and better awareness of it among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were more receptive to it, who were usually more concerned about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And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felt less anxiety over it, who we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were better ready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and looked at spiritual wellbeing more favorably.

      • KCI등재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P area.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scariest thing when thinking about death', and 'the contents of emotions related to deat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tention to apply for rejec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 a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called 'Naver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the Good Death Perception scor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3.1. When thinking about death, 35.2% of the students said they were most afraid of the "remaining family." Next, 32.8% of 'Pain Before Death', 20.8% of 'End Fear', and 8% of 'Unfulfilled Dreams'. Well-dying reduces the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ath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 addi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enhances the meaning and active attitude of current lif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n operation model for related programs support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와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두려운 것과 죽음 관련 감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과 사전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는 비대면 조사 방법으로 네이버 폼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좋은 죽음인식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 집단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점으로 나타났다. 죽음 관련하여 가장 두려운 것은 ‘남아있는 가족’이라는 응답이 전체 35.2%로 가장 많았고, ‘죽기 전의 고통’이 32.8%, ‘생이 끝났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20.8%, ‘못 이룬 꿈’이 8%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과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여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은 자신뿐 만 아니라 남은 가족에게도 죽음과 관련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며,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준비 교육은 대학생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의미와 능동적 태도를 높이기 때문에 인격 함양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 교육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죽음인식교육의 방향성 연구-중학생 대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백미화,우버들,최진,김규미,신창호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empirical data that can be a cornerstone for future development of death awareness education program, program content, and death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program. To this end, a death awareness education program for 9th grade student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formal instruction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four distinguishable level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nd valuational. The data gathered from the classroom activity shee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ur dimensions. As a result, death awareness education for adolescents should be developed for reducing death anxiety, helping cope with grief caused by death or loss. Educators must be qualified, both academically and emotionally for this challenging topic.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guideline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죽음인식교육의 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향후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교육내용의 방향을 제시하고, 죽음교육 교수자 역량교육에 초석이 될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죽음교육전문가에 의해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서울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 정규수업과정에서 시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가치적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책임 있고 주체적인 가치관과 인생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생명존중사상을 함양하여 도덕적 내면화 형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상실 경험과 이별의 아픔을 직접 대면하고 성찰하여 성장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본 수업 중에 사용한 죽음인식, 상실인식, 인공임신중절, 자살 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가치관에 대한 활동지의 답변을 분석한 내용이며, 해당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과 교수자들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보고한 것이다. 그 결과 청소년 죽음인식교육은 올바른 죽음관을 형성하여 죽음불안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고, 죽음이나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어야 하며, 생명존중사상에 입각한 죽음의 윤리적 가치관을 확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죽음교육 교수자의 역량과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제언도 논의되었다.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 인식, 죽음 태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

        이윤정,김윤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생명의료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간호대학 재학생 253 명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사망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서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비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이 더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죽음에 대한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 회피, 죽음 공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신생아 생명권, 장기이식 영역에서 생명윤리교육 이수군의 생명윤리 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 종교, DNR 교육 여부, 죽음 경험, 가족에게 DNR을 시행여부, 본인에게 DNR을 시행 여부에 따라 생명의료 윤리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의 형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 교육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유의미한 종교, 죽음에 대한 태도, DNR 찬성 여부가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measuring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to death, awar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us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In the perception of death, the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on bioethics were more positive about death (p=.014). In the attitude towards death, the non -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for death (p=.022). In the right to life of fetus (p=.040), artificial arbortion (p<.001), right to life of newborn (p=.021), organ transplantation (p=.049), the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iomedical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depending on grade, religion, DNR education, death experience, whether DNR will be administered to the family, and will DNR would be administered to them.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take bioethics education to form positiv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Suggest that the bioeht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include religion, attitude toward death, and opinion about DNR on terminal patients.

      • KCI등재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과 교육과의 관계 고찰

        박미란 ( Mi Ran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9 교육인류학연구 Vol.12 No.1

        죽음은 삶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살아감과 죽어감은 동전의 양면과 같기에 삶을 고양하는 교육은 동시에 죽음을 살필 필요를 가진다. 이런 의도에서 죽음과 비교적 가까이 있다고 여겨지는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과 이에 대한 교육적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관찰과 면담, 문화적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고 자료수집 후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문화주제와 유형 찾기를 시도하였다.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시간, 공간, 관계, 신체의 틀을 통해 보는 “늙으면 죽어야지!” “살아도 사는 게 아냐!” “이게 다 팔자지!”의 문화주제로 나타난다. “늙으면 죽어야지!”는 다시 그 주제를 인정하는 경우, 부정하는 경우, 표현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동시에 시간, 공간, 관계, 신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죽음에 대한 인식을 만들어 감을 볼 수 있었다. “살아도 사는 게 아냐!”는 ‘죽음을 살아가기’로 이해되며 살아가는 죽음은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체제적, 문화적 죽음을 살아간 후 신체적 죽음으로 종결된다. “이게 다 팔자지!”는 살아옴을 요약하는 주제면서 동시에 죽음을 설명하는 기능을 하는데 다시 체념과 관성과 희망으로 분류되고 있다. 한편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영성과 죽음수용성을 축으로 하여 불가지형, 허무형, 적극형, 소극형의 네 영역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교육의 지점과 교차하는데 영성, 희망과 감사가 죽음을 인식하게 하면서 동시에 교육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동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Death does not divided from life, because living and dying both sides of a coi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with death. For this purpose I tried to interpret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cognition of death among female senior citizens in a home for the aged. After observation, interviews, collection of cultural themes, I have don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find cultural themes and patterns. Cultural themes about Death recognition through the frames of time, space, human relations, and activities of these women in a home for the aged include “we should die as we get older!”, “I`m not living even though I live!” and “All that I`ve lived is fate!” “we should die as we get older!” is categorized in three parts: agreeing to that cultural theme, denying that cultural theme, and silence due to fear of death. The frames of time, space, human relation, and activities of these senior women are working together at the same time, enabling recognition of death. “I`m not living even though I live!” can translate “living dying” is about mental death, social death, systematical death, psychical death, cultural death, and physical death as the last dying step. “All that I`ve lived is fate!” is explains a life resigned to the unknowable, emptiness, positive and passive according to the axis of spirituality and death receptivity. The recognition of death among these senior women living in a home for the aged is cross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Spirituality, hope, and gratefulness are derived from recognizing that death is inevitable for aged women in a home.

      • KCI등재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서현 ( Hyun Seo ),김영보 ( Young Bo Kim ),박미자 ( Mi Ja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죽음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시, J도, K도, N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2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죽음교육에 대해 대부분 들어본 적이 없었으나 유아죽음교육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죽음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대체적으로 높았고, 죽음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내용, 죽음교육 활동 계획 시 유아가 죽음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만 5세를 중심으로 년 1~2회, 이야기나누기나 동화, 역할놀이를 통한 죽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교사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교육의 평가 시 교사들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유아의 이해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유아죽음 교육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는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to secure basic materials of children`s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o provide direction of teachers` education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23 kindergartens and 300 children`s home teachers in G city, J Province, K Province and N city.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4 question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From the study, researchers found that most of teachers have not heard of children`s death education. However,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i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death concept was high, and they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and positive thought of children on death when they planned purpose of death education,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death education activities. Additionally, they proposed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story sharing, fairy tales, and role playing focusing on 5 year old children. The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s` training dealing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s. Finally, teachers thought the development stage and children`s understanding level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esearchers would need to develop children`s teaching program proposing various strategies to utilize children`s death education educationally and emphasize that teachers should have paradigm shift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조원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7 미래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죽음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현,김영보,박미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소규모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시, J도, K도, N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22명이며, 연구도구는 3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유아 죽음교육 관련하여 교사들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하는 학급의 연령이 높은 교사가 유아죽음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및 유아죽음교육에서 유아교사의 역할 태도, 유아죽음교육관련 교사 일반 효능감, 수업 효능감, 유아죽음교육 환경에 대한 태도, 유아죽음교육의 교사교육 태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유아죽음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유아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소규모 현장적용 연구를 실시한 결과, 교사의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죽음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Tae-young Kil),조원휘(Won-hui Cho)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 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DPE) on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were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30, control group:30) attending at university in D city and DPE was consisted of 8 sessions (twice a week, 120 minutes each). Data were collected before, after program and 10 weeks follow up.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COVA,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DPE was effective on raising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f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raise awareness of well-dying,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 KCI등재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최봄이,박하영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2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죽음 준비 유형에따라 웰다잉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실태를 유형화하고 하위유형에 따라웰다잉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연소노인(65-74세) 5,977명, 고령노인(75-84세) 3,33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610명의 세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죽음 준비는 수의/영정사진, 장지마련과 같은의례적 차원의 4문항, 교육 수강, 유서 작성 등 심리⋅사회적 차원의 2문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장기 기증 서약 등 의료적 차원의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웰다잉 인식은 스스로, 고통 없이, 가족⋅지인과 함께,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죽음을 맞는 것의 중요도의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분류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잠재계층 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소노인은상대적으로 적극적 준비도를 보이는 ‘적극 준비’ 집단과 전 항목에서 죽음 준비를 하지 않는 ‘준비 없음’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과 의례적 차원에서만 죽음 준비를 하는 ‘소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 세대에서 ‘적극준비’ 집단의 비중이 3~6%로 매우 낮았다.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연소, 고령노인이 ‘적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된 경우‘준비 없음’ 집단이나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각 항목의 중요성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이 가족⋅지인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서만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그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소노인부터초고령노인까지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수준이 여전히 낮고 의례적 차원에 국한되어 있으며, 웰다잉 인식이 죽음 준비 유형에 따라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 준비 교육 등 웰다잉 정책에서 노인 내 이질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Although soci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has increased, empirical evidence for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is ver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whether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vary by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nd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well-dying according to subgroups. For this, older Korean adults aged 6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5,977 young-old adults (65-74 years old), 3,333 old-old adults (75-84 years old), and 610 oldest-old adults (85 years old and above). End-of-life preparation was measured by four questions in the ritual aspect (e.g., preparing shrouds or funeral portraits), two questions in the psycho-social aspect (e.g.,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writing a will), and two questions in the medical aspect (e.g.,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ledging to donate organs). Perceptions about well-dying were measured using four item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dying autonomously, without pain, in the company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without burdening those around them.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stage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hich accounted for classification err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oung-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which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reparation, and the ‘no preparation’ group, which lacked preparation for end-of-life in all dimen sion s. The old-old and oldest-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which was limited to end-of-life preparation only in the ritual aspec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in all generations was very low, ranging from 3 to 6%.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perceptions of well-dying showed that among the young-old an d old-old adults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the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 preparation’ or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s. Among the oldest-old adults,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regarded end-of-life compan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as less important than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from young-old to oldest-old, remains low and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itual aspect. Furthermore, perceptions about well-dying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in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end-of-life preparation education, that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older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