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 요인

        최봄이,박하영,송시영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verify the factors relevant to these trajectories. Method: To achieve this, a three-step approach to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4,616 married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to 16th (2018-2021)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Result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igh-level increasing’ (68.9%), ‘moderate-level decreasing’ (26.5%), and ‘low-level decreasing’ (4.6%). The ‘high-level increasing’ group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hich began at a relatively high level, increased further since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in the case of ‘moderate-level decreasing’ and ‘low-level de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continued to decline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age, household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Thus, wh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onditions were low,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trajectories of maladaptive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ve experienced external family stress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lso, this study confirms how socioeconomic resources and health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y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in patterns of couples’ adaptation and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for practical effor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amilies in the post-COVID-19 era.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3-16차(2018-2021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45세 이상 유배우자 4,61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모형 3단계 접근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은 ‘고수준 상승형(68.9%)’, ‘중수준 감소형(26.5%)’, ‘저수준 감소형(4.6%)’으로 도출되었다. ‘고수준 상승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시작된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수준 감소형’과 ‘저수준 감소형’의 경우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지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연령, 가구소득, 가구원 수,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생활만족도, 우울이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수준이 낮을 때 부적응적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외부적 가족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한 중·노년기 기혼자의 부부관계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집단 내 이질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 특성이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부가 적응하는 양상의 이질성과 변화유형의 특성을 세분화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족의 이해를 증진하는 실천적 노력의 초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최봄이,박하영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2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경험적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또한 죽음 준비 유형에따라 웰다잉 인식이 달라지는지 검증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실태를 유형화하고 하위유형에 따라웰다잉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연소노인(65-74세) 5,977명, 고령노인(75-84세) 3,333명, 초고령노인(85세 이상) 610명의 세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죽음 준비는 수의/영정사진, 장지마련과 같은의례적 차원의 4문항, 교육 수강, 유서 작성 등 심리⋅사회적 차원의 2문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장기 기증 서약 등 의료적 차원의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웰다잉 인식은 스스로, 고통 없이, 가족⋅지인과 함께, 주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죽음을 맞는 것의 중요도의4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분류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잠재계층 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소노인은상대적으로 적극적 준비도를 보이는 ‘적극 준비’ 집단과 전 항목에서 죽음 준비를 하지 않는 ‘준비 없음’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과 의례적 차원에서만 죽음 준비를 하는 ‘소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 세대에서 ‘적극준비’ 집단의 비중이 3~6%로 매우 낮았다. 웰다잉 인식에 대한 차이검정 결과, 연소, 고령노인이 ‘적극 준비’ 집단으로 분류된 경우‘준비 없음’ 집단이나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각 항목의 중요성 인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초고령노인은 ‘적극 준비’ 집단이 가족⋅지인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 대해서만 ‘소극 준비’ 집단에 비해 그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소노인부터초고령노인까지 한국 노인의 죽음 준비 수준이 여전히 낮고 의례적 차원에 국한되어 있으며, 웰다잉 인식이 죽음 준비 유형에 따라달라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죽음 준비 교육 등 웰다잉 정책에서 노인 내 이질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Although socia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has increased, empirical evidence for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is very scarce. Additionally,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whether perceptions about dying well vary by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Korean adults and ver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about well-dying according to subgroups. For this, older Korean adults aged 6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5,977 young-old adults (65-74 years old), 3,333 old-old adults (75-84 years old), and 610 oldest-old adults (85 years old and above). End-of-life preparation was measured by four questions in the ritual aspect (e.g., preparing shrouds or funeral portraits), two questions in the psycho-social aspect (e.g.,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nd writing a will), and two questions in the medical aspect (e.g., writing advance directives and pledging to donate organs). Perceptions about well-dying were measured using four items, assessing the importance of dying autonomously, without pain, in the company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without burdening those around them.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stage latent class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which accounted for classification err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young-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which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reparation, and the ‘no preparation’ group, which lacked preparation for end-of-life in all dimen sion s. The old-old and oldest-old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and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which was limited to end-of-life preparation only in the ritual aspect.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in all generations was very low, ranging from 3 to 6%.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n perceptions of well-dying showed that among the young-old an d old-old adults classified into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the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each item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 preparation’ or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s. Among the oldest-old adults, the ‘active preparation’ group regarded end-of-life compan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as less important than the ‘passive prepar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end-of-life prepara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from young-old to oldest-old, remains low and i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ritual aspect. Furthermore, perceptions about well-dying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nd-of-life prepa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in well-dying policies and programs, such as end-of-life preparation education, that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older population.

      • KCI등재

        공동 의사결정을 매개로 한 맞벌이 부부의 상대소득과 결혼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최봄이,전혜정,송시영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income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income couples mediated by joint decision making. Using the three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KLoWF),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nonlinear relationship was applied.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997 female partners of dual income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three consecutive waves of the panel (year 2014, 2016, 2018). Joint decision making was measured by the degree of the area in which the husbands and wives reported to make joint decisions among eight family life issues including economic participation, child education, and asset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income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joint decision mak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mediating variables showed non-linear pattern. This implies that dual-income couples with balanced income ratio between wives and husbands would enjoy higher levels of joint decision making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has its meanings in highlighting the mechanisms of the influence of relative income on marital quality through couple’s joint decision making. 본 연구는 상대적 자원 관점을 적용하여 맞벌이 부부의 상대소득이 부부 공동 의사결정을 통해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4차(2014년), 5차(2016년), 6차(2018년) 자료를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4, 5, 6차 조사에서 모두 맞벌이 부부라고 보고한 여성 배우자 997명이다. 부부 공동 의사결정은 자신과 배우자의 경제활동, 자녀 교육, 자산 관리 등 8개 가족생활 영역에 대한 의사결정을 부부가 함께 한다고 응답한 영역의 비중이다. 독립변수인 상대적 소득은 각 배우자의 소득 간 균형을 의미하며, 부부 공동 의사결정 및 결혼 만족과 비선형적 관계를 보일 것으로 가정하여 제곱항을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의 상대소득이 공동 의사결정을 통해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비선형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간 소득이 균형을 이룰수록 공동 의사결정 수준이 높아지고, 높아진 공동 의사결정 수준이 결혼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배우자 간 소득균형이 부부관계의 질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조명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풍속과 초기 토양수분에 따른 평면형 바이오필터 내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식물 생육반응 평가

        최봄,천만영,이창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5

        The final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iofiltration system integrated with plant vegetation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effectively depending on indoor spac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o approach this final goal, several requirements such as constant pressure drops (PDs) and soil moisture contents (SMCs), which influence the capacity design for a proper ventilation rate of biofiltration system, should be satisfied. Thus, this fundament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djust a proper wind speed and to ensure a stabilization of initial SMCs within biofilter for uniform distribution of SMCs and PDs, and for normal plant growth, especially avoiding root stress by wind. Therefore, we designed horizontal biofliter models and manufactured them, and then calculated the ventilation rate, air residence time, and air-liquid ration based on the biofilter depending on three levels of wind speed (1, 2, and 3 ㎝·s -1 ). The relative humidity (RH) and PD of the humidified air coming out through the soil within the biofilter, and SMC of the soil and plant growth parameters of lettuce and duffy fern grown within biofilter were measured depending on the three levels of wind speed. As a result of wind speed test, 3 ·sec -1 was suitable to keep up a proper RH, SMC, and plant growth. Thus, the next experiment was set up to be two levels of initial SMCs (low and high initial SMC, 18.5 and 28.7%) within each biofilter operated and a non-biofiltered control (initial SMC, 29.7%) on the same wind speed (3 ㎝·sec -1 ), and measured on the RH and PD of the air coming out through the soil within the biofilter, and SMC of the soil and plant growth parameters of Humata tyermani grown within biofilter. This result was similar to the first results on RHs, SMCs, and PDs keeping up with constant levels, and three SM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plant growth parameters. However, two biofiltered SMCs enhanced dry weights of the plants slightly than non-biofiltered SMC. Thus, the stability of this biofiler system keeping up major physical factors (SMC and PD) deserved to be adopted for designing an advanced integrated biofilter model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실내의 공간과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실내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 녹화와 바이오필터를통합한 시스템의 개발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적절한 공기정화량에 대한 용량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일정한 압력손실량과 토양수분 함량과 같은 여러 가지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기초 연구는 바이오필터의 토양 내 균일한 분포를 갖는 토양수분 함량과 압력손실량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식물 생장 특히 바람에 의한 근권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풍속을 적절히 조절하고, 바이오필터 내 초기 토양수분 함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평면형 바이오필터 모델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세 가지 풍속(1, 2, 3㎝·sec-1)에 따른 바이오필터의 공기정화량, 공기체류시간, 기액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세가지 풍속에 따라 바이오필터 내 토양층을 통과하여 배출된 가습공기의 상대습도, 압력손실량, 토양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이 바이오필터 내에서 자란 상추와 더피고사리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풍속 실험의 결과, 풍속 3㎝·sec-1가 상대습도, 토양수분 함량, 식물생육을 유지하기에가장 적절하였다. 따라서 다음 실험에서는 풍속을 3 ㎝·sec-1로고정하고 두 가지 수준의 초기 토양수분 함량(저수준 18.5%, 고수준 28.7%) 조건에서 바이오필터를 가동한 처리구와 바이오필터를 가동하지 않은 대조구(초기 토양수분 함량 29.7%)를 설정하고, 바이오필터 내 토양층을 통과하여 배출된 가습공기의 상대습도, 압력손실량, 토양수분 함량과 바이오필터 내에서 자란상록넉줄고사리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이 실험 결과는 첫 번째실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상대습도, 토양수분 함량, 압력손실량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세 가지 초기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상록넉줄고사리의 생육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두 가지의 바이오필터 처리구는 대조구에비해 건물중이 다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요 물리적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과 압력손실량을 유지할 수 있는 본바이오필터 시스템의 안정성은 가까운 미래에 보다 발전된 일체형 바이오필터 모델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