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가구는 왜 주택개조를 원하지 않는가?: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인숙,김준형 한국주택학회 2023 주택연구 Vol.31 No.3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고령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돌봄이 필요한 이 고령인구를 모두 복지시설에 입주시키는 것은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도 없으며, 에이징인플레이스에 대한 선호를 감안하면 고령자로부터 환영받지도 못할 것이다. 결국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고령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지내게끔 바꾸는 주택개조가 필수적이다. 이 주택개조는 거주하고 있는 고령자의 동의를 전제로 진행될 수밖에 없지만, 많은 고령자는 주택개조에 대한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모순적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ㆍ서울시가 공동으로 수행한 2021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분석, 주택개조에 대한 고령자의 필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택을 개조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 주택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이라는 점이 발견된다. 그러나 주택이 양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개조 필요를 느끼지 못할 가능성도 분명히 관찰된다. 그 이유는 주택개조를 필요할 만큼 신체적 노화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래 거주함으로써 불편한 주택에 이미 잘 적응하였기 때문에, 현재 동거하고 있는 자녀가 불편하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지원을 하기 때문에, 그리고 주택개조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곧 고령자를 위한 주택개조를 그들의 필요나 의사에만 기초해 추진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고령자가 설령 필요하지 않다고 할지라도 객관적으로 고령자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안전성ㆍ편의성을 평가하여 필수적 개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즉각적으로 개조를 추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고령자에게 임차될 수 있는 주택이라면 필수적 항목들의 개조 의무를 임대인에게 지워야 할 것이다. 주택개조 관련 산업의 성장을 지원해 양질의 개조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도 확보하여야 하지만, 시장에서 개조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도 부담할 수 없는 저소득ㆍ저자산 가구를 위한 지원은 정부가 계속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업 주체별 노화대응 주택개조 실행과정 분석

        이용민,권오정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cess on each of home modification projects including the elderly persons who are 65 years and older to identify the proje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procedures, stakeholders, and roles of home modification process in response to aging, and to find ways to implement more advanced home modifi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home modification by a total of four project entities, including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basic local government, special purpose project of specific institution, and private sector. An in-depth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stakeholders for each projec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home modifi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nsult for the elderly. Before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final plan to the elderly. To this end, Coordinator must play the role of general manager in all of these processes and require knowledge of construction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ata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ome modification implementation processes by various project,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linkage throughout the future process on home modification for the elderly. 초고령사회를 앞둔 시점에서 노인 거주자가 안전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화에 대응하여 주택을 개조하는 것은 노인이 지역 사회 내에서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과제이다. 노화대응 주택개조는 노인당사자가 주택개조의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노인과 노인가족을 대상으로 상담과 정보제공이 이뤄져야 하며, 노인의 노화특성과 물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춰 주택개조 계획이 수립되고, 계획대로 현장에서 시공이 되어야 하며, 개조 후 평가까지 연결되어 노화대응 주택개조의 전체 실행과정에서 노인 당사자와 중간개입자, 시공업자 등의 모든 이해관계들이 연계와 협업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65세 이상 노인을 포함시켜 주택개조(집수리, 주거환경개선 등) 사업을 사업 주체별로 주택개조 실행과정을 분석하여 노화대응 주택개조 실행과정의 절차와 이해관계자와 역할들을 살펴보고 향후 좀 더 진전된 노화대응 주택개조의 실행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특수목적, 민간 총 4개의 사업 주체별 주택개조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각 사업 주체별 중간개입자와 시공업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주택개조 지원사업의 특징과 주택개조 실행 전체 과정의 절차와 이 과정에서 개입자가 누구인지와 개입자가 관여한 내용, 주택개조 실행과정에서 어려운 점, 주택개조 시공과 개조후 평가에 대한 내용 등이었다. 사업 주체별 실행과정 분석 결과, 민간이 주도하는 사업을 제외하고 취약계층(저소득층) 중심의 주택개조 사업으로 ‘주택개조 정보제공 및 교육, 상담’ 과정이 생략되며, 수혜자(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민간을 제외하고 심의위원회(자문위원회) 등의 전문가참여를 통해 대상 가구를 선정하고 대상 가구에게 필요한 주택개조요소가 무엇인지 결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1차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도면과 개조항목에 대한 내용이 시공업체에 전달되고 시공을 거쳐 시공만족도, 업체만족도 등의 개조후 평가가 이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사업 주체별 주택개조 실행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자료로, 향후 노화대응 주택개조 전 과정에 걸친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하지기능장애 고령모자가구 맞춤형 주택개조방안 도출 과정

        이연숙,안창헌,조승연,박민아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0 No.5

        Korea is expected to see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disabled people in line with the rapid aging of its population, thereby required deliberate social preparedness. Meanwhile, the number of old decaying houses over 30 years and their environmental press continues to increase. In order for the elderly to age in place in their community and homes, need to be urgently sought by making appropriate cost effective aging friendly home modif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process from identifying the need through finding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lans to actual implementation for existing housing to enhance housing suitability with lower extremity dysfunction. As a result, th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rocess was described and accordingly final appropriate action was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and health condition of residents, the situation of the houses, and financial lim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e aging 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al tool to both promote aging in place and implement community integrated care policy in a low cost and high effective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stepping stone to spread awareness of appropriate home modification as a strategy to cope with aging risk efficiently and effectivel 한국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고령장애인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고령장애인의 증가에 대한 사회적인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장수명으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가구 특성으로 고령모자가구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이 노화나 장애를 겪고 있어 배우자 노노케어가 아니라 모자 노노케어의 유형을 만들어 내고 있다. 한편 준공 후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자가 전용시설이나 주택으로 이주하지 않고 자신의 지역과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주택개조를 함으로써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지기능장애 고령 모자가구의 주거적합성 증진을 위해 기존 주택의 맞춤형 주택개조안을 찾아가는 과정과 그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성북구의 하지기능장애 고령 모자가구 2사례를 선정하여 현장참여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기초조사, 개조안 도출, 실제 시공 이후 최종 개조안까지 모든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실태조사, 복지사 조사를 통한 1차 개조항목 도출, 연구원 조사를 통한 2차 개조항목 도출, 개조전문가 조사를 통한 3차 개조항목 도출, 시공 및 최종 개조안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고령친화 맞춤형 주택개조를 위해서는 거주자의 신체적 상황과 대상 주택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주택 개조 방안을 도출해야하며, 정부의 일괄적인 주택개조 지원 대신 지자체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지원방식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거주자 맞춤형 주택개조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올바른 개조 방향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모색하는데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지속 거주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 실태와 개선 요구 - 2020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황지혜,이현정,전은정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4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as basic data for seeking spatial alternatives for sustainable home-based elderly housing in the community and establishing policies by identifying the reality of housing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needs of older adults households. The analysis data used the micro-data of Korea housing survey 2020, and the older adults household owners aged 65 or older who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in housing modification were targeted. As a result, older adults households of 'female and 'over 85 years of age' were found to be the most in need of support as both the awareness and use rate of home modification installation and housing support programs were lower than others. As the age increases, the proportion of home modification experience grow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was a disability, older adults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had a higher rate of home modification experience, but among them, 'non-registered disabled' households. Most of the home modification items were repaired in the kitchen and toilet- related facilities, 'lever-type faucet (faucet)', and 'a kitchen workbench of appropriate height' was the highest in order. On the other hand, 'emergency bells in the house' and 'auxiliary chair on the porch' showed the lowest rate. The necessary home modification was 'safe flooring for anti- slip', 'a toilet or bathroom support handles', 'emergency bells in the house', and 'removal of steps such as thresholds and stairs in the house' were higher than others. 'Male' older adults households were more aware of the housing support program than 'female' older adults. Even though home modification was the preferred program, it showed a low utilization rate.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주거수정 및 개선요구 실태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한 주거기반 노인주거의 공간적 대안을 모색하고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주거실태조사 2020의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주택개조 경험이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여성', '85세 이상'의 노인가구는 주택개조 요구가 높았으나 실제 주택개조 설치 및 주거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이용률이 모두 낮았다. 장애가 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노인가구의 주택 개조 경험률이 높았졌으며 그중 '비등록 장애인' 노인가구가 가장 많았다. 주택개조 항목은 대부분 주방 및 화장실 설비와 관련된 것으로 '레버형 수전(수도꼭지)', '적절한 높이의 부엌 작업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주택 내 응급 비상벨'과 '현관에 보조의자 설치'는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필요하다고 느끼는 주택개조 항목은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안전한 바닥재', '화장실이나 욕실 지지대 손잡이', '주택 내 응급 비상벨', '문턱, 주택 내 계단 등 단차 제거' 등이 높게 나타났다. 주거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남성' 노인 가구가 '여성' 노인 가구보다 인지도가 높았고, 주택개량·개보수 지원은 노인가구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이었으나 이용률은 낮았다.

      • 옵션 선택형 공동주택 입주 전 개조동기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장홍석,이제방,강혜선,유봉호,소승영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1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6 No.2

        This study evaluated that general special quality of resident gives certain influence in reconstruction motive and reconstruction action before occupancy. Investigated reconstruction conduct by scale, reconstruction actual conditions to new apartment house resident. Investigation target is option selection style apartment resident who move into resident less than 1 year. Asked a question about reconstruction motive to select option resident who execute reconstruction more than one. High reconstruction ratio that is about 93% according to result that respond to questionnaire examined. Almost option selection type apartment house do reconstruction action. Also, difference was seen in reconstruction type according to general special quality of resident. 본 연구는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사회인구학적·주거·가족)이 입주 전 개조동기 및 개조행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여 거주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하고 입주 전 개조행위를 줄일 수 있는 거주자의 참여방법, 공동주택 규모별 개조행위 및 개조실태를 조사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신규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위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J시의 입주 1년 미만인 옵션 선택형 신규 공동주택 2개 단지로, 옵션을 선택한 가구 중 한 가지 이상 개조를 실시한 가구를 대상으로 개조동기에 대하여 질문하였으며 총 방문세대 180세대 중 설문지에 응한 125세대를 기준으로 개조현황을 파악한 결과 약 93%라는 높은 개조비율을 보였다. 이는 옵션 선택형 공동주택이라 해도 거의 모든 가구에서 개조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며,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개조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국내 고령자주택개조 논문의 이론적 기반 분석 연구

        이연숙,이다영,이지연,한유경,전은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환경디자인 연구. 특히 사람의 행태적 특성을 중시해야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론적 기반이 잘 구축될 필요가 있다. 대개의 경우 이론적인 탐색과 이를 수반한 실증연구이기 보다는 아주 짧게 다루어지는 게 관행이었다. 특히, 한국은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그로 인한 위기도 심각하게 예측되고 있는 바, 고령인구를 위한 환경조성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령친화 환경조성에 관한 국내연구들의 현황을 진단하는 것은 시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주택개조에 관한 국내학술논문의 이론적 기반 특성을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는 우선 주택개조(home modification)를 공통으로 하고, 그를 위한 목적인 재택거주(aging in place), 지역사회거주(aging in community), 활기찬 노후(active aging)를 각각 키워드로하여 지난 20년간의 논문을 선별한 총 31건의 국내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주된 분석기준은 연구의 방법유형과 이론적용수준, 이론활용 특성 그리고 활용된 이론유형이었다. 이 기준에 따른 자료의 신뢰성구축을 위해 5명의 평정자가 두단계로 검토하였다. 두명이 그 틀과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세명의 평정자에게 독립적으로 점검하게한 후 평정자간 일치도를 일차 점검하고 이견이 있는 경우 분석기준을 구체적으로 재정의하였으며 최종기준에 따라 각각 점검하여 100 프로 합의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론적 반영 수준은 비이론적 실증연구에서 압도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이론적인 실증연구에서도 상당하게 나타났는데, 학술성의 강화에 필요한 실증적 이론연구와 및 이론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론 활용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토론과 해석, 이론적 수정 등에 사용되는 비율이 단순 언급, 배경 설명, 가설과 방법 설정에 사용되는 비율보다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주택개조논문의 이론적 기반이 취약하다는 진단과 더불어 향후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결론 및 의의) 학술생태계에서는 이론과 연구방법들이 소통언어로서 아주 중요하고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 노인주택 개조 분야 연구들의 이론적 반영도와 활용정도로 살펴본 이론적 기반은 미약하다고 진단할 수 있다. 초고령의 상징으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이 제일 먼저 심각한 위기를 맞으리라 국제적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는 학술연구와 실천적 응용에 잘 대처할 경우 한국이 리더쉽을 발휘할 수도 있는 기회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적 연구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 국내 연구현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어떠한 점을 발전시켜야하는지를 들여다보게하는데 의의가 있다.

      • 노후 공동주택의 개조실태 및 개조요구에 따른 주호평면계획에 관한 연구

        최준영,권현호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2 啓明硏究論叢 Vol.20 No.1

        본 논문은 노후 아파트 거주자의 개조실태 및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여 주생활변화에 따른 다양한 주요구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내부평면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조행위는 주부의 연령이나 가구의 월 소득수준. 가족생활주기. 거주년수에 따라 개조내용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2) 내부공간적 측면에서의 개조요구는 가사작업공간>사적공간>공적공간>위생공간>서비스 공간순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작업에 따른 불편, 가족생활주기, 생활변화에 따른 공간조절 가족취향에 맞는 분위기, 수납공간 부족과 같은 이유로 3가지 개조요구 및 4가지의 평면유형으로 분류되었다. 3) 구조적 측면에서는 공간의 변화와 확장을 위해 기존의 내력벽 구조에 독립기둥, 조적조, 가변형 벽체의 절충식 구조방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nvestigate and analyze to actual condition and dwellers needs of repair about deteriorated multi-family hosing, planning of interior which correspond with various a dwelling needs according to change of housing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ⅰ) The repair behaviors showed differences in according to the wives age, monthly income, family life cycle and dwelling years ⅱ) In the aspect of interior space, the needs of repair appearance in the order of household space>private space>public space>sanitary space>service space.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patterns of repair were each classified into three and four. ⅲ) In the aspect of structure, it should be consider eclectic structure with independent pillar, masonry structure to be variable wall for change and expand of space.

      • KCI등재

        고령자주택의 활성화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김도윤 ( Kim Do-yu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일감부동산법학 Vol.13 No.-

        우리나라에서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고령자를 위한 주거정책 및 제도를 통해 주거문제를 준비하여 왔지만, 노인인구의 주거복지증진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고령자 주택개발 및 지원방안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은 신체적 기능의 노화와 장애발생, 정신적·심리적 위축, 사회적인 소외와 활동성 저하, 경제적으로 약화되면서 주로 행동반경이 좁아들어 주택을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주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고령자의 주거문제는 노인의 자립성을 향상시켜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어 주어 자신의 힘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정부가 주도적으로 고령자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제도와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고령자 주택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감안한 주택구조의 건설과 기존주택의 개조, 제반 사회적 지원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교류하면서 안전하고 안락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노인이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인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고령자 주택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고령자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주택 건설을 규정하고 있는 노인복지법과 주택법의 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고령자주거에 적합하도록 안전하고 안락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한 주택개조 지원에 현실적인 방안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시설은 일반주택과 요양시설로 한정된 상황으로 독립적인 주거가 가능하면서 요양·의료복지가 융합된 고령자 전용 주택공급확대가 이루어져야 법과 제도상으로 확립된 고령자를 위한 진정한 주거복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prepared for the residential problem through residential policy and system for the elderly in response to the ageing society. But in spite of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the residential welfare of the elderly population, real housing development and support plan for the elderly are very insufficient in reality. The elderly tend to live a life around their home due to their narrowed area of activity as they have the aging physical function and the occurrence of handicaps, mental and psychological shrinkage, social alienation, activity deterioration and weakening economic prowess.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dwelling is on the increase among the elderly. Housing for the elderly improves their independence and provides them with the safe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system and support plan for supplying the elderly population with housing for the elderly as the minimum space to maintain their life for themselves. Housing for the elderly can be said to be the social effort to enable them to maintain their healthy and self-reliant life by providing them with the space for maintaining a safe and comfortable daily life while exchanging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housing structure, the renovation of existing houses and all kinds of social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aging-induced physical, psychological, so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housing for the elderly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s to revitalize the supply of housing for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of the Elderly Welfare Act and the Housing Act that provide the construction of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alistic support for housing renovation to secure the space to enable the elderly to maintain their safe and comfortable daily life to fit housing for them.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Korea are confined to general houses and nursing facilities. When it is made possible to expand the supply of housing for the elderly alone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live an independent life and to be provided with both nursing and medical welfare, it can be said to be true residential welfare for the elderly established in legal and institutional terms.

      • KCI등재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유형별 사업 수행 특성 연구 -중간개입자를 중심으로-

        권오정,김서연,이용민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projects currently underway in Korea according to the project contents, and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manpower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by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the projec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ordinators who had participated in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projects, and some coordinators were selected to hear in-depth opinions and additional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projects were divided into 3 types such as ‘Improvement of housing performance’, ‘Home modification for aging’, and ‘Home modification for discharged patien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n in this study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1)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the purpose of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projects and to develop a specialized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project to fit the purpose. 2)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coordinators and secure manpower. 3)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mal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data/information on age-friendly home modification.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을 사업내용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통해 사업 수행 실태를 분석하여 사업 특성을 반영한 실행과정 및 인력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간개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적인 의견을 듣기 위해 일부 중간개입자를 선정하여 추가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을 '주택성능개선', '노화대응', '퇴원환자 대응'이라는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고령친화 주택개조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고, 목적에 맞게 특화된 고령친화 주택개조 사업이 필요하다. 2) 중간개입자의 역할을 분명히 하며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3) 고령친화 주택개조에 대한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및 자료/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만성질환 후기 고령가구의 맞춤형 주택개조 거주 후 평가 연구

        이연숙,전은정,조승연,박민아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1

        고령자의 기대수명이 길어지고 노년기가 늘어나면서 노년기의 삶의 질과 건강한 노화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길어진 기대수명에 비해 건강 수명은 오히려 짧아졌으며, 고령자의 대부분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는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 저하로 주택 내 거주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익숙한 공간이라도 신체적 노쇠현상이 진행되고, 만성질환과 같이 건강이 악화되었을 때 주거환경으로부터 활동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생활능력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고령자는 본인이 살던 곳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에서 노인의 건강상황과 욕구에 맞추어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인식과 정책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주택개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질환은 가진 후기 고령자 부부 두 사례를 대상으로 제한된 비용 내에서 고령자 맞춤형 주택개조 시행 완료 3개월 후 변화된 주택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거주 후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주택개조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거주자의 생활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장관찰조사, 설문지를 동반한 심층 면담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사례별 맞춤형으로 개발된 만족도 측정도구를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는데, 주택개조의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도 개조 전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전보다 현 주택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실시될 고령친화 맞춤형 주택개조 제도의 기초자료를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need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and becomes more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 of age-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rough the response of elderly residents. The target households were two very old elderly couples with chronic diseases. Three types of information were collected such a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ified features and the residents respectively, second the fit between them for each modified feature, and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entire modification through measures of life quality including perceived self-reliance and expectation of continuous residence and dwelling happiness. Interview and observation techniques along with a graphic scale to measure the residents’ responses were used. As results, highly positive responses to diverse dimensions of user benefits were identified for each changed feature of the houses, along with considerable improvement of the three aspects of life quality. It is significant in showing the rationality and importance of the customized modification to reach the ultimate aim of Aging In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