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동 강도가 Lipopolysaccharide에 의하여 유도된 저강도 전신염증 흰쥐 모델에서 Tumor Necrosis Factor-α와 Interleukin-6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대영(Dae-Young Kim),김기정(Ki-Jeong Kim),성윤희(Yun-Hee Sung),서진희(Jin-Hee Seo),김성은(Sung-Eun Kim),김보균(Bo-Kyun Kim),이택현(Taeck-Hyun Lee),김창주(Chang-Ju Kim),김동희(Dong-Hee Kim),최현희(Hyun-Hee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하여 유도된 저강도 전신염증 흰쥐 모델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혈청 및 뇌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와 인터루킨-6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Sprague-Dawley 수컷 흰쥐 45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은 open-field test 결과를 바탕으로 총 5개 군(각 군별 n=9)으로 배정하였다. 군의 구분은 대조군, LPS 투여군, LPS 투여 후 저강도 운동군, LPS 투여 후 중강도 운동군, LPS 투여 후 고강도 운동군으로 구성하였다. LPS 투여 후 트레드밀 운동은 경사도 0%에서 60분간 각 강도별로 일회실시하였다. 저강도 운동군은 8 m/min, 중강도 운동군은 14 m/min, 고강도 운동군은 22 m/min의 속도로 트레이드밀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혈청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IL-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운동피질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실주위 신경핵에서의 종양 괴사 인자-알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모든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인터루킨-6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PS 투여군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LPS 투여는 혈청 및 뇌 운동피질과 뇌실주위 신경핵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와 인터루킨-6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LPS 투여 후 고강도 운동은 혈청 및 뇌 운동피질과 뇌실주위 신경핵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를 억제하고 인터루킨-6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본 실험의 결과 고강도 운동은 만성 질환의 원인인 저강도 전신염증의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강도 전신염증 개선을 위한 운동강도 설정에는 고강도 운동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the expressions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6 (IL-6) in the rats with lipopolysaccharide-induced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Forty-five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present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9 in each group): control group, LPS-treated group, LPS-treated and low-intensity exercise group, LPS-treated and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and LPS-treated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 Each training session consisted of one bout of treadmill running for 60 min at 0 degree of inclination. The exercise load of low-intensity was at a speed of 8 m/min, moderate-intensity was at a speed of 14 m/min, and high-intensity was at a speed of 22 m/min. In the present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TNF-α and IL-6 in the serum were increased by LPS injection. The expressions of TNF-α and IL-6 in the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were also increased by LPS injection. Treadmill exercise at all intensities suppressed LPS-induced TNF-α levels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Treadmill exercise at high-intensity enhanced IL-6 levels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Our present study showed that high-intensity treadmill exercise decreased TNF-α level and increased IL-6 level in the serum, motor cortex, and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of rats with LPS-induced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dmill exercise at high-intensity may be valuable strategy for overcoming the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Korean J Str Res 2010;18:201∼208)

      • KCI등재
      • KCI등재

        종양괴사인자-α가 배양된 인간 황체화과립막세포의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인슐린유사성장인자-II,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2, 3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채희동(Hee Dong Chae),강은희(Eun Hee Kang),박은주(Eun Ju Park),김성훈(Sung Hoon Kim),홍석호(Seok Ho Hong),김정훈(Chung Hoon Kim),강병문(Byung Moon Kang),장윤석(Yoon Seok Chang),김정구(Jung Gu Kim),이진용(Jing Yo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4

        N/A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NF-α on the secretion of estradiol (E2), progesterone (P4),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1, 2, and 3 in cultured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follicular fluid by transvaginal oocyte aspiration from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cells were grouped into the control, 1.0, 10.0, and 100.0 ng/ml of TNF-α group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TNF-α. The cells were cultured for 72 hours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NF-α as descibed above. The cells not treated with TNF-α served as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E2, P4, IGF-I, IGFBP-1, 2, and 3 were determined in conditioned culture media by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or radioimmunoassay (RIA). Results : The cell number in 100.0 ng/ml of TNF-α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although the cell viabilities were similar in all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E2 in all groups.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P4 were seemed to b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TNF-α were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P4 in 100.0 ng/ml of TNF-α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other TNF-α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IGF-II, IGFBP-1, 2, and 3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control and each TNF-α group. The secretion of E2 and P4 was not affected by IGF type I receptor antibody pretreatment. Conclusion : TNF-α might play a role as a regulator of ovarian physiology by modulating luteinized granulosa cellular proliferation and P4 secretion, and this mechanism might not be related to IGF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자전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염증관련인자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종혁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자전거 운동을 통한 염증관련인자와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자전거 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고 효율적인 운동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5명의 비만 중년 여성들 은 자전거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구분하여 8주간 주당 3회 60분간 자전거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 정변인으로는 염증관련인자와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염증관련인자는에서 TNF-α 및 IL-6는 운동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 며 통제군에서 증가하였다. 성장호르몬은 운동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통제군에서 감소하였 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자전거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심혈관계 및 만성질환을 예방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icycling exercise by analyzing the changes of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nd growth hormone with obese middle-aged women for 8 w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bicycle exercise. In this study, 15 middle aged obese women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Changes in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nd growth hormone were analyzed as a measurement variable were analyzed by employ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is study finds that TNF-α and IL-6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and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Growth hormone was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icycling exercise is an exercise program to prevent cardiovascular and chronic diseases of obese middle-aged women.

      • KCI등재후보

        척추관절병증의 치료에 대한 최신지견

        김태환 ( Tae Hwan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3

        2000년대 들면서 류마티스질환은 조기 진단 및 조기치료를 목표로 한다. MRI와 종양괴사인자-α 길항제 소개로 척추 관절염의 조기 진단 및 조기치료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비스테로이성 항염제가 가장 중요한 치료약제이고 장기간 사용 시 강직 예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종양괴사인자-α길항제는 탁월한 효과를 보이나 결핵, 감염 등 부작용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척추관절염의 경과는 양호한 경우가 많으므로 꾸준한 운동 및 재활 등 자기 관리가 중요하고 적절한 약물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The goals of treatment in Spondyloarthropathy are to reduce pain and stiffness, and to maintain good quality of life. Regular exercise with stretching of axial skeleton is most important. No drugs have been prevented ankylosis, but non 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the first line drugs and these are very effective in most of patients who have inflammatory back pain. In recent years, reports that long-term use of NSAIDs may reduce the ankylosis are coming out and expect NSAIDs as anti ankylosis drugs. If NSAIDs is not effective, anti TNF agents can be used in severe inflammatory back pain. In peripheral arthritis, sulfasalazine or steoids can be used, and If these are failed, anti TNF agents can be used. (Korean J Med 2013;85:256-259)

      • KCI우수등재

        저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의 빈도에 따른 근감소증 비만 여성노인의 염증인자에 대한 변화

        천성욱(Sung-wookChun),신상근(Sang-keunShi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근감소증 비만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저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의 빈도에 따른 염증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진구에 거주하며 65세이상 여성노인으로 주 3회 유산소운동군(A3-G) 14명, 주 5회 유산소운동군(A5-G) 12명, 주 3회 저항운동군(R3-G) 17명, 주 5회 저항운동군(R5-G) 13명 그리고 대조군(CG) 18명으로 총 74명이 16주 동안 운동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각 변인에 대해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5개의 집단에 대해 신체적 특성과 측정 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배치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검증을 실시였으며,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염증인자 변화에서 CRP(p<.001), IL-6 (p<.001), TNF-α (p<.05), RBP4 (p<.05) 그리고 Adiponectin (p<.01)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CRP의 주효과 변화에서는 A3-G (p<.01), A5-G (p<.001), R5-G (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A3-G가 R3-G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L-6의 주효과 변화에서는 A3-G에서 유의한 (p<.05) 증가가 나타났으며, R5-G에서 유의한 (p<.001)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CG가 A3-G, A5-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NF-α의 주효과 변화에서는 A5-G (p<.01), R5-G (p<.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R3-G가, A3-G보다 높으며, A3-G가 C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iponectin의 주효과 변화에서는 A3-G (p<.001), A5-G (p<.05), R3-G (p<.01), R5-G (p<.01)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주 3회 실시한 저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도 염증인자에서 긍정적인 부분이 많으나 대체적으로 주 5회 저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이 염증인자 항목에서 보다 나은 긍정적인 효과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인 주 5회 이상 저강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실시하여 친염증성 물질인 CRP, IL-6, 그리고 TNF-α를 감소시키며, 항염증성 물질인 Adiponectine을 증진시킴으로서 인슐린저항성,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frequency of low intensity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inflammation factors in obese sarcopenic elderly women. A total of 74 elderly female participants who live in Jin-gu,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5 groups;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3 times per week group (A3-G, n=14, 74.7±4.1 yrs),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5 times per week group (A5-G, n=12, 72.7±4.6 yrs), low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3 times per week group (R3-G, n=17, 74.2±4.4 yrs), low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5 times per week group(R5-G, n=13, 73.8±5.2 yrs) and a control group (CG, n=18, 72.4±4.3 year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Way ANOVA, t-test, and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alculated using SPSS Version 22.0. One-way ANOVA was applied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5 groups’ demographics and 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5 groups,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If there was an interaction, the changes within 5 groups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con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for CRP (p<.001), IL-6 (p<.001), TNF-α (p<.05), RBP4 (p<.05) and Adiponectin (p<.01). Among the inflammatory factors CR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3-G (p<.01), A5-G (p<.001), R5-G (p<.001). Similarly, IL-6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3-G (p<.05) and R5-G (p<.001). For TNF-α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5-G (p<.01), R5-G (p<.05). For Adiponecti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3-G (p<.001), A5-G (p<.05), R3-G (p<.01), R5-G (p<.01).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times a week with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were more positive on inflammatory factors. But generally, five times a week with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were more positive on inflammatory. We recommend that to reduce the incidence and pain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s such as insulin resistanc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exercising 5 times per week is effective in reducing inflammatory factors CRP, IL-6, and TNF-α increasing adiponectin.

      • KCI등재

        FTO 유전자 다형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비만남자대학생들의 혈중지질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김용규,이경희,이채산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1

        본 연구는 체질량지수 27 이상의 비만남자대학생의 유전자 다형성 유형, AA+AT 유전자 집단(n=10), TT 유전자 집단(n=12)을 독립표집 하였다. 12주간의 50~70 %여유심박수의 유산소성 운동과 60~70 % 최대근력의 저항성 운동인 복합운동 수행이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및 아디포넥틴, 인터루킨-6, 종양괴사인자-알파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는 처치 12주에 TT 유전자 집단이 AA+AT 유전자 집단보다 운동처치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반면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아디포넥틴 농도는 TT 유전자 집단이 AA+AT 유전자 집단보다 운동처치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인터루킨-6 농도는 AA+AT 유전자 집단이 TT 유전자집단보다 운동처치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5). 종양괴사인자-알파 농도는 TT유전자집단이 AA+AT유전자 집단보다 운동처치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1). 결론적으로, 비만에 대한 운동처치 시 FTO유전자 다형에 따른 변이를 고려해야 되고, 운동강도 조건 등 더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lood lipids and cytokine according to fat mass and obesity associated gene(FTO gene) polymorphism in the obese male college students for 12 weeks(4 days/week, 60 min/day). The subjects when it is performed submaximal exercise with 50~70 % heart rate reserve(50~70 % HRR) as Karvonen and Kuramoto & Payne method. Male college students of body mass index>27(BMI>27) at W university located in I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a AA+AT gene allele(10 students) and a TT gene allele(12 students). The variables in blood lipids and cytokine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PSS win ver. 11.5). The change of the triglyceride(TG) and the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LDL-C) were lower significantly in TT gene group than AA+AT gene group as the exercise treatment period(p<.05), but th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was higher in TT gene group than AA+AT gene group as the exercise treatment period(p<.05). The change of the adiponectin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T gene group than AA+AT gene group as exercise treatment period(p<.05), but the interleukin-6(IL-6) was higher in AA+AT gene group than TT gene group as exercise treatment period(p<.05). The change of the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hormone was lower significantly in TT gene group than AA+AT gene group as the exercise treatment period(p<.01).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nti-TNF-α 치료받은 강직성 척추염에서 체중 및 골밀도 변화

        김태환 ( Tae Hwan Kim ),윤혜진 ( Hyae Jin Yu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5

        Ankylosing spondylitis (A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primarily involving the sacroiliac joints and spine. It usually affects young people, and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ar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AS. Non-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the first line therapy and are very effective in most of patients who have inflammatory back pain. If NSAIDs are not effective, anti-TNF-α agents are strongly recommended in severe inflammatory back pain. Anti-TNF-α is very effective in most of AS patients. A study by Lee et al. showed that AS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anti-TNF-α have weight gain and improvement of osteoporosis. In this editorial,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weight and osteoporosis with anti-TNF-α agents are reviewed. (Korean J Med 2013;85:485-4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