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단백질 섭취 및 트레드밀 운동이 난소절제 흰쥐의 신체구성, 혈중 대사변인,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기진 ( K. J.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본 연구는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 대사의 부정적인 영향의 방지 및 처치를 위한 효율적인 대체요법으로서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난소 절제하여 폐경과 동일한 상태를 유도한 흰쥐를 대상으로 8주 동안 트레드밀을 이용한 지구성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의 복합적인 처치가 신체구성 및 골밀도,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 인슐린 및 CRP 농도 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난소절제그룹은 체중 및 체지방률이 증가하고,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및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혈중 중성지방농도는 증가하였다. 8주간의 운동 및 콩 단백질 섭취에 의한 처치 후 에스트라디올농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혈중 변인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골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난소절제 흰쥐의 8주간 운동 및 콩 단백질 추출물 처치가 에스트로겐 및 지방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확인 되었으나, 운동강도 및 시간, 콩 단백질의 섭취량을 포함한 처치기간 등에 대한 계속적인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applicapability of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for the replacement theraphy on negative effects to estrogen metabolism in menopau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 triglycerides, C-reactive protein (CRP) and estradiol,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in ovariectomized rats.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increasing responses of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lood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but these groups showed the decreasing responses of blood estradiol leve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liver.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positive responses of blood concentrations of lipid markers, insulin, 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except bone mineral contents after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I could find the positiv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estrogen an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but this study could not confirmed the detailed replacement program of exercise intensity, duration, and soy protein volume for estrogen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KCI등재

        2주간 간헐적인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이 남녀 지구성선수의 체성분, 유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영향

        남상석 ( S. S. Nam ),이만균 ( M. G. Lee ),선우섭 ( Oo S. Su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남상석, 이만균, 선우섭. 2주간 간헐적인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이 남녀 지구성선수의 체성분, 유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283-296. 2011. 본 연구에서는 2주간 간헐적(주당 3회)인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이 지구성 운동선수의 체성분, 유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남자축구선수(n=8명)와 여자 필드하키선수(n=9명)를 대상으로 2,000 m 상당의 저압·저산소 환경에서 2주간, 격일로 총 6회의 트레이닝(자전거타기 30분과 트레드밀 달리기 30분, 총 60분)을 실시하였다. 트레이닝 전후에 해수면 수준과 5,000 m 상당고도에서 각각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성분의 변화에는 체중을 제외하고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해수면 수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변화에는 유의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5,000 m 상당고도에서는 남자선수의 경우 추정된 VO2max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여자선수의 경우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5,000 m 상당고도에서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변화에는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으며, 이는 남녀 간의 근육량의 차이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혈중 산소포화도의 변화에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구성 종목의 남녀 선수를 대상으로 2주간 간헐적인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한 경우 5,000 m 상당의 높은 고지대 환경에서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개선이 여자에 비해 남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on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SpO2, shown by two weeks of intermittent hypobaric hypoxia training on in endurance athletes. Male soccer players (n=8) and female hockey players (n=9) underwent the exercise training (cycling 30 min & running 30 min, total 60 min) in 2,000 m-simulated hypobaric hypoxia environment every other day (six times) for 2 weeks.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in sea level and 5,000 m-simulated hypobaric hypoxia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the data were compared by gender and test.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shown in changes of body composition, except body weight. 2.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shown in changes of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sea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aerobic capacity in 5,000 m condition in male athlete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the variables in female athletes, indicating that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s of aerobic capacity in 5,000 m condition. 3.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shown in changes of %SpO2. It was concluded that the improvement of aerobic exercise capacity in 5,000 m condition shown by short-term intermittent hypobaric hypoxia training was greater in male athletes than in female athletes.

      • KCI등재

        중량부하물 착용 운동이 허약노인의 인체기능, 활동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양정수 ( Jung Su Yang ),황부근 ( Boo Geun Hwang ),고대규 ( Dae Gyu K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의 활동이 저하된 허약노인에게 중량부하물 착용 운동이 인체기능, 활동체력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65~84세의 허약 여성노인 총 32명(운동군: 16명, 대조군: 16명)이었으며, 운동군은 12주 동안 주3회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허약노인을 벗어난 인체기능 변화율은 빈도분석과 χ2 검증을, 활동체력 및 삶의 질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평균, 표준편차)과 이에 대한 평균차 검증은 대응 T-검증 및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인체기능 향상 노인은 62.5%였고, 악력은 우세쪽이 31.9%, 비우세쪽이 31.8%, 눈뜨고 한발들고 서있기는 111.7%, 의자에서 일어나 빠른 걸음으로 돌아오기는 21.9%로 각각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은 비록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21.5%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허약노인의 경우도 운동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신체적 기능상태의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with added weight on human function, active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Thirty-two frail female elderly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exercise group: sixteen, control group: sixteen). The exercise program was carried out three per week for 12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χ2-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xercise program for the frail elde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human function(62.5%), grip strength(dominant: 31.9%, non-dominant: 31.8%), single leg stand(111.7%), timed up & go(21.9%). Quality of life(21.5%)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exercise training,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above, exercise program for the frail elderly people was very effective on improv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ADR-β3와 PPAR-γ 유전자 변이에 따른 비만여성의 혈장 LDH,CPK 변화에 미치는 영향

        안재만 ( J. M. An ),안상현 ( S. H. A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2

        본 연구는 40세에서 42세사이의 중년 여성, BMI 29~30의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 대상자들을 세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유전자의 변이 영향이 없는 비만군 (A그룹, 6명). 두 번째,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변이군 (B그룹, 7명). 세 번째, β3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PPAR-γ를 포함한 두 가지 유전자 변이군 (C그룹, 6명)이다. 각 그룹별로 Treadmill에서 40~50% HRmax, 50~60% HRmax, 60~70% HRmax로 80분정도 실시하였다. 비만 유전자의 변이 형태에 효과적인 적정 운동 강도를 알아봄으로써, LDH와 CPK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Latin Square 방식을 채택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DH와 CPK의 운동시기에서 유의한 차이 (p<.001)를 보이고 있었으며, 운동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 (p<.001)를 나타내고 있었다. 비만 유전자의 변이 유무에 관계없이, 운동 강도의 다양성, 유산소운동으로 대표되는 걷기 등이 비만을 해결하고 예방해 줄 것이다.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obese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42, BMI 29 to 3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obese groups who had no influence of gene mutation (A group n=6). Second, β3-adrenergic receptor gene mutation groups (B group n=7). Third, groups who had two kinds of gene mutations, ß3-adrenergic receptor (ADR-ß3) and PPAR-γ (C group n=6).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readmill and each group at 40~50% HRmax, 50~60% HRmax and 60~70% HRmax about 80 minutes respectively. It was used a Latin Square Desig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DH and CPK. Intending to establish the optimal exercise intensity by cause according to gene type of obes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LDH and CPK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period (p<.001), and also in interaction between exercise period and group (p<.001). The regardless of types and existence of genes and variation of intensity of exercise, the walking which was representative of aerobic exercise could solve and protect the obesity.

      • KCI등재

        유산소 운동수행이 흰쥐 골격근의 면역관련 TLR4 단백질의 신호전달 활성에 미치는 영향

        여효성 ( H. S. Yeo ),김효정 ( H. J. Kim ),김창근 ( C. K.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활동은 세포 내의 다양한 신호경로를 자극하고 유전자 전사의 변화를 유도할 뿐 만 아니라 면역기능과 염증 민감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좌식 생활자는 만성적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반면 적절한 신체 활동은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며 일회성 고강도 운동수행은 다양한 면역 세포들의 염증반응을 증가시킨다. 운동으로 인한 염증반응의 증가는 근손상을 초래하며, 혈액에서의 염증성 cytokine 증가는 근 단백질 합성 저하 및 제지방량 감소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운동에 의한 면역 및 염증반응과 관련된 지표로 Toll-like receptors (TLRs)가 제시되고 있다. TLRs는 미생물 병원체(microbial pathogen)의 특정 패턴을 인식하여 TNF-α와 같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면역 활동을 조절한다. TLRs은 인체의 지방, 간, 근육 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되며 이중 TLR4는 세포막에 존재하며 Lipopolysaccharide (LPS)에 반응하여 전신의 염증반응을 조절한다. TLR4 signaling은 MyD88 의존형과 MyD88 비의존형으로 나뉘며 최종적으로 NFκB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이 연구는 12주령 실험용 쥐(SD-Rat) 35마리를 대상으로 실험동물용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약75~85% 수준(28 m/min)으로 지구성 운동을 수행시킨 후, 운동직후, 운동 후 30분, 운동 후 1시간, 운동 후 6시간에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를 적출하여 TLR4 관련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SDS-PAGE 와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TLR4단백질은 운동 후 점차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운동 후 회복기 6시간 시점(42%)에 최대 감소율을 보였다. MyD88 단백질은 운동후 회복기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전사인자인 NFκB는 운동 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운동 후 1시간(5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회복기 6시간 후에 기저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TLR4와 NFκB 발현에서의 연관성과 함께 지구성 운동 후 회복기에 골격근에서 나타나는 TLR4의 감소가 염증반응에 대한 방어 효과를 나타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innate immune response is the first line of defence against infectious disease. A group of proteins that comprise Toll or Toll-like family of receptors (TLRs)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markers associated with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TLR4 among the TLRs produces a response by lipopolysaccharide (LPS) and controls inflammatory respon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change of TLR4 signaling-mediated protein expressions in skeletal muscle during the recovery of an intensive endurance exercise. Sprague-Dawley rats (12 week, n=35)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n=7 each) to time period of the exercise (pre, post 0 h, 30min, 1 hr and 6 hrs). The rats ran on the rodent treadmill for 1 hour at the level of 75~80% VO2max (28 m/min). The change of TLR4, MyD88 protein expression and NFκBp65 DNA binding activity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in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muscle. TLR4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41%(p=.036) at 6hrs of recovery with the intensive endurance exercise whereas MyD88 was not changed. NFκ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51%(p=.014) at 1h of recovery but returned to the resting level at 6 hrs of recovery. These results suggest a possibility of an interaction between TLR4 and NFκB expression and the exercise-induced changes in these molecules during recovery period may a key role to defence inflammatory response in rat skeletal muscle.

      • KCI등재

        12주간의 β-alanine 보충과 운동 훈련이 근육 내 Carnosine 농도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손희정 ( H. J. Son ),하영일 ( Y. I. Ha ),박노환 ( N. H. Park ),육현철 ( H. C. Youk ),김효정 ( H. J. Kim ),김창근 ( C. K.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Carnosine(beta-alanyl-L-histidine)은 베타알라닌과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다이펩다이드로서 근육 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Carnosine은 체액의 산성화가 일어날 때 수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작용을 하며 식이를 통해 근육 내 carnosine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엘리트 수영선수(22-25세, n=10)를 대상으로 12주간 β-alanine 보충과 수영 훈련이 근육 내 carnosine 농도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집단은 β-alanine 보충 집단(n=5)과 위약 집단(n=5)으로 무선배정하였다. 12주간 β-alanine보충집단은 β-alanine을 3.2g/d씩 섭취하였으며 수영 훈련은 주당 6회, 1일 7km의 복합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근육 내 carnosine 농도는 대퇴 외측광근의 근생검 샘플을 HPLC로 분석하였다. 12주간의 β-alanine 섭취와 수영훈련에 의해 보충 집단의 근육 내 carnosine 농도는 11% 증가한 반면(p<.05), 위약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β-alanine 보충집단의 반복적인 수영 시행(100m×7회 자유형, 매 시행직후, 안정시, 회복기 3, 6, 9분)에서 운동수행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위약집단과 비교할 때 β-alanine 보충집단의 수영 기록이 유의한 향상(p<.05)을 나타내었으며 심박수 변화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p<.05)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운동 훈련 시 β-alanine 보충은 세포내 carnosine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근육 내 carnorsine 농도 증가는 고강도 운동 시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운동선수를 위한 영양보조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arnosine(Carn) is a dipeptide of β-alanine and histidine and occurs in high concentrations in skeletal muscle. Carn is highly effective on buffering H+ over the physiological pH range and probably the only such active compound of which concentration can be changed by die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 wk β-alanine supplementation on muscle carnosine and lactate concentration, heart rate, and speed during the repeated high intensive swimming trials. Ten young elite swimmers(22-25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β-alanine group (n=5, 3.2g/d of β-alanine) and placebo group(n=5) and performed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Subjects performed 7 repetitions of 100m freestyle swimming with blood samplings before, after, and during the recovery. Percutaneous muscle biopsi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supplementation. Carnosine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Carnosine content(11%, p<.05), heart rate(p<.05), and the speed of 7 repetitions 100m freestyle swimming(p<.05) were positively changed with the supplem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carnosine concentration with β-alanine supplementation is likely contribute to exercise performance and a possibility that β-alanine may be used as an useful ergogenic aid for athletes.

      • KCI등재

        노인들의 운동습관이 감각조절 및 운동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옥정석 ( Jung Sok Oak ),박우영 ( Woo Young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운동습관이 감각조절 및 운동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주 3회 이상 1년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운동군(73.85±3.67세, n=20)과 규칙적으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군(76.28±4.39세, n=25)으로 분류하였다. 감각조절기능 검사(평형성, 평형전략) 및 운동조절기능 검사(잠복기, 적응도)는 각각 동적자세검사(체성감각을 선택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발판의 고정 여부와 시각계의 선택적 자극을 위해 개안, 폐안, 혼동시각을 조합하여 여섯가지 조건으로 구성되고, 발판은 수평으로 전후 이동 및 발판의 앞부분이 위로 아래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혼동체성감각으로 자극할 수 있는)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평형성은 조건4(눈을 뜨고 발판 움직이는 상태)에서 통제군에 비해 운동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1), 평형전략은 조건1(눈을 뜨고 발판 고정상태)과 조건4(발판의 움직임)에서 통제군에 비해 운동군이 높게 나타났다(p<.05, p<.01). 잠복기는 전후방 작은, 중간, 큰 크기의 6가지 조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운동조절 검사에 있어서 발판이 위아래로 들리고 내리는 적응도3 및 적응도5에서 통제군에 비해 운동군에서 낮게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노인들의 평형성 및 평형전략 그리고 적응도의 유의한 개선을 위한 운동습관의 중요성을 제시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habit on the sensory organization function and motor control functions in old ad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xercise group (EXE, 73.85±3.67, n=20) regularly participated exercise program for 3 times or more/week, for 12 months, and the control group (CON, 76.28±4.39, n=25) no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Sensory Organization Test (SOT equilibrium and balance strategy) and Motor Control Test (MOT-latency period and adaptation) were executed using dynamic posturogrphy(EquiTest). Equilibriu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E than in the CON at condition 4 (p<.01). Balance strateg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E than in the CON at condition 1 and 4 (respectively, p<.05, p<.01). Although latency period on Motor Control Tes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forward, backward 6conditions, adaptation on Motor Control Test(MO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E than in the CON at adaptation 3 and 5 (p<.05). These results thought that regularly participated exercise habit in old adults seem to improve an equilibrium, balance strategy, adaptation.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의 24시간 활동성 혈압에 미치는 효과

        윤은선 ( Eun Sun Yoon ),정수진 ( Su Jeen Jung ),정솔지 ( Sol Ji Jung ),노동인 ( Dong In Roh ),제세영 ( Sae Young Ja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약물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이 24시간 활동성 혈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고혈압 전단계와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2±6세였다. 모집된 총 17명을 대상으로 운동군(n=11)과 통제군(n=6)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1RM의 40~60% 강도로 총 9종목의 저항성 운동을 12회 반복횟수로 2세트,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통제군은 동일기간 저항성 운동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평소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운동 프로그램 참가 전, 후에 신체계측, 최대근력검사, 운동부하검사,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 임상혈압 및 24시간 활동성 혈압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최대근력 검사 중 chest press가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0). 그러나 신체계측 지표,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 최대산소섭취량에서 시기와 집단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완동맥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24시간 활동성 혈압은 일일평균혈압, 주간혈압, 수면시 혈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에서는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환자의 임상혈압과 24시간 활동성 혈압을 유의하게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Twenty-three subjects(62±6yrs) with pre and hypertensi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6). Exercise group was performed the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with low to moderate intensity(40~60% of 1 RM), 12 repetitions, 2sets, 3 times per week, for 12weeks. Body composition, lipid profiles, insulin resistance, cardiorespiratory fitness, 1 RM test, clinical blood pressure and 24 hour ambulatory pressur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intervention. Chest press of 1 RM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20).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lipid profiles,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Clinical blood pressure tended to decrease in exercise group, but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was not changed. In conclusion, resistance exercise did not improve clinical and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 KCI등재

        원문 : 8주간의 사다리 등반 운동이 젊은 쥐와 중년 쥐의 골격근 내 PGC-1α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정수련 ( Su Ryun Jung ),안나영 ( Na Young Ahn ),김상현 ( Sang Hyun Kim ),김기진 ( Ki Ji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쥐와 중년 쥐를 대상으로 사다리 등반 운동이 골격근 내 PGC-1α의 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50주령과 10주령의 수컷 Wistar 흰쥐 40마리를 대상으로 1주간의 환경 적응기간을 거친 후 좌업집단과 운동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사다리 등반 운동은 주당 3회 총 8주간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사다리 등반운동은 골격근 내 AMPK를 활성화시켜 PGC-1α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생합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의 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AMPK의 활성도와 PGC-1α의 발현정도의 변화 없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다리 등반 운동은 젊은 쥐와 중년 쥐 모두의 골격근 내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일한 운동을 실시하여도 운동효과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adder climbing exercise training on PGC-1α express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of skeletal muscle in young and middle-aged rats. 50 weeks and 10 weeks of male Wistar rats were randomly assigned for exercise and sedentary groups after one week of adaptation period. The ladder climbing exercise training was carried out using ladder climbing with weight attached to the tail (3 days/week, 8 weeks). Ladder climbing exercise training for 8 weeks significantly increased AMPK activity and PGC-1α protein, mitochondrial enzyme activity in plantaris muscle. However mitochondrial biogenesis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50 weeks old rats without the change of PGC-1 level and AMPK activity. Therefore ladder climbing exercise training was effective tool to increase mitochondrial biogenesis in skeletal muscle, but training responses were found in the middle-aged rats.

      • KCI등재

        운동이 중년여성 말초단핵구세포의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pathway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진경 ( Jin Kyung Cho ),김영민 ( Young Min Kim ),진영윤 ( Young Yoon Jin ),하창덕 ( Chang Duk Ha ),최규환 ( Kyu Hwan Choi ),홍혜련 ( Hye Ryun Hong ),이신호 ( Shin Ho Lee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중년 여성(n=B)을 대상으로 급성운동과 지속적 인 운동 트레이닝을 통하여 운동이 혈중 지질 개선과 RCT pathway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급성운동은 모든 피험자가 운동처치와 통제기간을 모두 수행하도록 single-group cross-over design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65% 강도에서 l회 400 kcal, 총 3일간 1,200 kcal 운동 에너지 소모하도록 한 후 3일간의 통제기간을 가졌다. 급성운동과 4주 운동 트레이닝의 모든 측정은 공복상태에서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측정(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 허리둘레), 혈액채취(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A-1. RCT pathway 관련 mRNA 정량화(ABCAl mRNA. ABCGl mRNA. SR-Bl mRNA) 등을 실시하였다. 반복이 있는 일원변량분석과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급성 운동은 혈중 중성지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유도했지만 다른 혈액 변인이나 RCT pathway 유전자 발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주 운동트레이닝은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과 apoA-l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RCT pathway 유전자 중에서 ABCGl mRNA 유전자 발현이 운동 트레이닝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ABGAl mRNA 유전자 발현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 급성운동과는 달리 지속적인 운동 트레이닝은 RCT pathway 유전자 발현과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및 apoA-l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llrJXl5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th acut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and mRNAs expression of RCT pathway in middle-aged women (n=8). In a single-group cross-over design, subjects performed a 3-day consecutive exercise at an intensity of 65% V02max targeting at energy expenditure of 1.200 kcal (400 kcal/day) and a 3-day control period. And they were further asked to participate in a 4-week exercise training at the same intensity of 65% VQ2max with a frequency of 3 days per week. The measured outcomes of the study inducted body composition (i.e.,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blood lipoprotein lipids (i.e.,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polipoprotein A-1) and RCT pathway mRNAs (i.e., ABCAI mRNA. ABCGl mRNA, SR-Bl mRNA)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ne-way RM ANOVA followed by LSD post-hoc and paired Hest were utilized to test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outcomes of the acut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1) acute exercise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triglycerides, with no other significant changes in any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2) unlike acute exercise, exercise training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A-l as well 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BMC ABCGl mRNA. In summary,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erobic exercise training can contribute to improved RCT pathway functioning in middle-aged women as shown in increases in HDLC, apoA-l, and ABCGl mR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