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도절제술 후 발생한 미각왜곡 및 환상미각 증상

        전은주,이승균,박용수,김홍래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9 No.10

        Dysgeusia after tonsillectomy is a rare complication and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The most possible cause ofthis complication is thought to be direct or indirect injury to the glossopharyngeal nerve or its lingual branch. Other suggested causesare lack of dietary zinc and habitual drug intake. We report a 51-year-old man, who presented severe parageusia and phantogeusiafollowing tonsillectomy that was performed for chronic tonsillitis. The surgery was performed by electrocautery dissection withoutidentifiable injury to the glossopharyngeal nerve. Dysgeusia developed 3 weeks after the operation and he complained loss ofappetite and significant weight loss. He did not take any drug habitually that could affect his sense of taste. His serum zinc level(48 μg/dl, normal range:61-121 μg/dl) was decreased. We prescribed a mineral supplement containing vitamin B complex andtherapeutic dose of zinc. Eight months after the operation, his taste function was not recovered and he still retained problems relatedto diet. This case indicates that a patient should be informed of the risk of postoperative taste disturbance after tonsillectomyas being one of the rare complications. (Korean J Otolaryngol 2006;49:1035-8)

      • KCI등재

        맞춤전정운동

        전은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8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1 No.10

        Vestibular rehabilitation is an excellent treatment option that can improve dizziness and balancethrough specific exercises in patients with dizziness who cannot be expected to improvewith medication or surgical treatment. Vestibular rehabilitation treatment, especially customizedexercise requires a long and complicated process of various evaluation processes, customizedprescription of exercise,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 vestibular rehabilitation requiresspecialists with knowledge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patient’s commitment to recoveryand understanding for the vestibular rehabilitation, and a medical system that can support thetime, human resources, and place needed for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2017, customizedvestibular exercise is finally approved as a new medical technology, and active treatment fordizziness has become possible for patients who need vestibular rehabilitation. Customized vestibularexercise is an individualized exercises in accordance with the symptoms and disabilitiesof the patient to improve dizziness and balance problem. Customized exercise consists ofan evaluation process to find out the patient’s problem, and exercise prescription and training.

      • KCI등재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전은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3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aims of the middle school vocabulary education. In addition, it pointed out the problem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iddle school vocabulary education within the Korean curriculum.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either the elementary or middle school has not been an independent subordinate field but has been center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Korean knowledge related to the vocabulary under the grammar field. The vocabulary education material for middle school level is much smaller in quantity, compared with that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ince the curricula are more center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field. Besides, the current Korean curricula for middle school does not provid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e vocabulary education. Instead, they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concern about the pronunciation, meaning, and spelling of a new word in the education material across various fields of Korean education. Thus, the present study suggests six ways of improving the vocabular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어휘 발달과 어휘력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어교육 내 어휘 교육의 위상과 중학교 어휘 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어휘 교육 내용과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국어과에서 어휘 교육은 어휘가 별도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채 문법 영역에서 어휘와 관련된 국어학적 지식 이해와 적용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큰 차이가 없다. 단지 중학교에서는 문법 이외 영역에서 해당 영역 고유의 학습에 치중하다 보니, 간접적으로라도 어휘와 관련이 되는 교육 내용이 초등학교에 비하여 현저히 적다는 차이가 있다. 또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중학교 어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으며, 전 영역에 걸쳐 국어 자료에 제시된 새 단어의 발음, 뜻, 표기 등을 유의해 지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어휘 교육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여섯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작문 교재의 동향과 개선 방향

        전은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05 새국어교육 Vol.0 No.71

        이 글은 2001년 이후 출간된 네 대학(고려대, 부산대, 숙명여대, 영남대)의 작문 교재의 내용과 구성 방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작문 교육의 최근 경향을 이해하고 대학생의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 작문 교재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네 대학의 작문 교재에는 네 대학의 작문 교재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실용문에 대한 글쓰기를 학습 내용으로 다루고 있고, 쓰기 활동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 작문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에 차가 크고, 대학마다 가르치는 실용문의 종류가 다르고 교재에서 실용문을 제시하는 방식도 달랐다. 또, 대학의 계열별 특성을 고려하여 작문 교육 내용을 달리 다루는 경우도 있었다. 대학 작문 교육이 대학생활, 사회생활, 직업생활 등을 위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교재의 내용이, 기초 글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대학생 수준에 맞는 다양한 주제의 글 자료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수준과 차별화하여야 한다. 또, 전체 계열의 학습자에게 공통으로 필요한 글쓰기 유형을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실제 글쓰기 능력 신장을 이룰 수 있도록 활동 중심의 작문 교재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 때 대학 수준에 맞는 읽기와 말하기, 쓰기 활동이 통합된 형태의 학습 활동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osition textbooks of four major universities-Korea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Sook Myung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issued after the year 2001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of the university composition education. It also aims to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composition textbooks. The four textbooks commonly deals with writing practical writing and put an emphasis on writing activity. However, they differ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specific type of practical writing and how they provide the practical writing in the textbook. Besides, some textbooks deal with the contents for composition education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the field of study for the students. In order that the university composition education might be helpful for the university life, social life, and occupational life, the textbook must comprise the material that can improve basic writing and must differentiate itself from a high school textbook by providing a variety of material for many topics. And, it must preferentially deal with the writing patterns needed for the whole fields of university major. Besides, it must be activity-centered, so that it might practically enhance writing capability. It is desirable that the textbook must include an integrated learning activity encompass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the university level.

      • KCI등재

        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 환경기준 개선방안 연구 -항만 어항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주,주현희,탁대호,Jun, Eun Ju,Ju, Hyun Hee,Tac, Dae Ho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5

        해양의 퇴적물은 해저면을 구성하여 생물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으로부터의 오염물 유입, 자가 오염 등의 내외부적 요인에 의한 오염은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퇴적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매립과 준설이 포함된 개발 사업에서의 퇴적물 영향에 대한 검토와 평가는 주변 생태계에 대한 사전적 보호와 관리의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수면개발 행위에 대한 해역이용협의서 중의 해양 퇴적물 평가의 지표가 되는 퇴적물 관리 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해양퇴적물 평가 및 관리기준을 비교검토 하였다. 국내의 경우, 해양환경관리법에 적시된 관련 기준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시에 비교적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보유한 캐나다와 NOAA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평가기준 적용 및 운영 사례 분석을 위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해저 퇴적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최근 5년간(2016-2020)의 항만 및 어항개발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반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의 평가 단계에서의 기준과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고찰과 분석을 통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현재의 퇴적물 환경기준에 생태 위해성과 잠재적 인체 위해성에 대한 평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sediment makes up the sea floor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habitats for living things in the sea. However, pollution of coastal sediment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inflow of contaminants from land and self-pollution becoming more serious, the needs for management of sediment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ecology,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ediment in marine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reclamation and dredging,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proa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surrounding ecosystems.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marine sediment management standards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water. For the purpose,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standards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ne sedim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The sediment environment guidelines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of Korea were reviewed. Accordingly, the cases of Canada and NOAA, which have various evaluation standards consist of comprehensive factors, were analyzed. For analysis of operational cases, the port and fishing port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last five years (2016-2020) that are consider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sediments among the sea area use consultations were also reviewe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ssessment factors for ecological hazards and potential human risk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diment environmental standards i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전정재활치료의 최신 지견

        전은주 대한평형의학회 2016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5 No.2

        Vestibular rehabilitation (VR) is valuable tool to manage balance problem in various kinds of diseases. Over the last decades, numerous studies on the effect of VR have been reported. Recently, systematic analysis integrating the individual studies have been tried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VR is safe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acute/chronic and unilateral/b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 and also for the elderly people. VR relieves dizziness and improves gaze stability, postural stability, parameters of gai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urrently rele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VR on peripheral vestibular dysfunction”support and assist the use of VR in clinical field.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uniform evaluation tool to measure the symptomatic and func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and individualized efficient rehabilitation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device for VR incorporating new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will be developed in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