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日帝下 朝鮮農民共生組合의 組織과 活動

        趙成雲 한국동학학회 2003 동학연구 Vol.13 No.-

        조선농민공생조합은 기독교의 농촌운동과 함께 일제하 개량주의적 농민운동을 대표하는 단체로서 1925년에 조직된 조선농민사의 경제운동기관으로 1931년 4월에 조직되었다. 주로 농민층의 경제적 이익획득운동과 공작계 활동을 통해 천도교가 추구하는 이상사회를 이루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조합원은 반드시 조선농민사원으로 한정하였고 조합의 운영도 조선농민사의 감독하에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운영과정에서 이러한 기본방침이 지켜지지 않았고 이 때문에 조선농민공생조합에 대한 조선농민사의 통제는 더욱 강화되었다. 결국 조선농민공생조합은 농민층의 당면이익을 옹호하고 획득하고자 하였으나 1931년 만주침략 이후 일제의 협동조합운동에 대한 탄압으로 그 운명을 다하였다. The group of Chosunnongmingongsaengchohap(朝鮮農民共生組合) which was built in April, in 1931 represented reformationary peasants's movement under the Japanese Rules. It was economic movement organization of chosunnongminsa in 1925. Its main prepose was searching the idealistic society of Cheondogyo(天道敎) through economical benefit movements and Gongjakkye(共作契) activities.

      • KCI등재

        자유주제 : 한국 근대 농민들의 문학의식과 농민시의 형성

        홍성식 ( Sung Sik H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2

        이 글은 1925년 12월에 조선농민사가 발간한『조선농민』에 수록된 농민시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사회의 대표적인 서발턴이라 할 농민들의 문학에 대한 인식과 농민시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농민사의『조선농민』이 천도교 청년당의 기관지였다는 사실에 기대 그들의 이념과 문학을 상층의 지배적인 엘리트의 그것과 동일시하여, 그 가치를 협소하게 이해하는 시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려는 의도였다. 『조선농민』에 수록된 농민시를 통해서도 확인하는 바이지만, 농민들의 문예의식과 농민시는 상층의 움직임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목소리를 가졌다. 이는 호를 거듭할수록 자신의 계급에 기반한 문예의식과 시를 창작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흐름은 조선농민사 운영을 둘러싼 법적관계망으로 조직개편이 있은 『농민』에 오면 보다 체계적으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그러나『조선농민』에서도 이미 농민문학에 전반에 대한 이론적 완성과 농민시의 모더니티를 확보하고 있다고 했는데, 이는 <농민문예운동호>와 허문일 등의 농민작가를 통해서였다. 『조선농민』의 농민문학과 농민시가 중요한 것은 농민들이 문학의 주체로 등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사회에서 민중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의 문학에 대한 의식과 지향은 한국 근대문학과 근대시 형성의 또 다른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 하겠다. This essay studied Chosunnongmin contained in focused on peasant poetry and literature awareness of peasants and the formation of peasant poetry. Chosunnongminsa`s 『Chosunnongmin』 was the bronchus of Chondoist young. That`s why the peasant`s ideas and literature of the upper was equated with that of the dominant elite. This essay is to review critically the view. As the reality of the ideology and literature Chosunnongminsa existed on the voices of peasants should be reconstructed in the center. Peasant poetry and literary consciousness of the peasants grew their own. Initially, short story and poems about undifferentiated awareness and traditional literary form was the song from the abstract to the target. However their ranks were based on the creative arts consciousness and poetry increasingly. Peasant literature and peasant poetry of 『Chosunnongmin』 important reason is that peasants are emerging as the subject of the literature. The formation of Korea`s modern literature and modern poetry has also shown a different path.

      • KCI등재후보

        在滿朝鮮人小說中農家女人命運的形象化硏究

        임몽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3 한국문화기술 Vol.15 No.-

        그동안 만주 및 재만 조선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재만 조선인 농촌 가장 여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재만 조선인 작가의 작품을 살펴보면, 만주(간도)를 배경으로 하는 이런 소설에서 흔히 가난한 이주민(농민) 가정의 여성(아내 또는 딸)이 빚을 강요하는 지주한테 끌려가서 팔아버리는 현상을 찾을 수 있다. 이런 현상은 곧 재만 조선 이주민(농민)의 비참한 삶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의 실질을 파악하고 작자의 심층적인 창작의식을 파악하는 데 있어, 재만 조선인 작가가 작품에서 그려준 농촌 여성의 형상을 파악하지 아니 할 수 없다. 본고는 재만 조선인 작가 최서해의 『紅焰』, 안수길의 『黎明』, 김창걸의 『無貧곡傳說』과 『暗夜』등 작품을 중심으로, 재만 조선인 소설에서 이주민(농민) 가정 여성 운명을 형상화한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문학사회학 방법론을 차용하여 작가가 작품에서 보여준 여성의 생활상과 운명을 분석함으로써 당대의 사회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록 재만 조선인 소설에서 고달픈 삶에 허덕이는 농촌 여성의 형상을 그려주는 경우가 흔하지만, 상기 세 작가의 소설은 농촌 여성의 운명과 현실대응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紅焰』과 『無貧곡傳說』중의 용녀와 박씨녀는 모두 빚을 갚을 수 없어 청춘과 목숨을 잃게 된다. 『黎明』중의 복동녀는 서로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으나, 결코 지주의 핍박에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목을 베어서 저세상으로 가게 된다. 『暗夜』중의 고분도 하마터면 지주한테 팔릴 번 했으나, 서로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도망가게 되었다. 이런 차이를 보여준 이유는 작가 개인의 창작 경향과 작가 의식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이고, 내부 사상세계의 변화와 외부 사회 환경 변화가 작가의 창작 경향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재만 조선인 소설에 그려준 논총 여성 운명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는 당대의 암흑한 사회 현실과 재만 조선인의 생활상을 게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새로운 시선으로 재만 조선인 작가의 창작경향과 작가의식 및 사상세계의 흐름을 들여 볼 수 있다. 圍繞滿洲和在滿朝鮮人的先行硏究已흔活躍,但是在豊富的硏究成果中각鮮有以在滿朝鮮農民家庭的女人爲主題進行的硏究。而番閱在滿朝鮮人作家們的作品각可以發現這些以滿洲(間島)爲背景的小說作品中普遍存在병且反復出現了壹個共同現象:貧苦的移住農民家庭的女人(妻子或者女兒)被地主當做抵債品强行掠走或者賣掉的現象。可以說,這壹現象正是當時在滿朝鮮移住農民悲慘生活的典型體現。如果想更淸楚地了解作品本身的異議以及作者通過這壹現象想要表達的深層含義,關註在滿朝鮮人作家作品中出現的農家女人形象是非常有必要的。因此,本文將以在滿朝鮮人作家崔署海的「紅焰」、安壽吉的「黎明」,金昌桀的「無貧谷傳說」和「暗夜」這4部作品爲中心,進行在滿朝鮮人小說中移住農民家庭女人命運的形象化硏究,병且結合文學社會學的方法論,通過各作家作品中的農家女人的生活狀態和命運來了解當時社會眞實的現實狀況。此外,雖然在滿朝鮮人小說中都共同出現了苦難的農家女人形象,但是上述三位作家小說中的在滿朝鮮農家女人的命運和現實對應是有所不同的:「紅焰」和「無貧谷傳說」中的龍女和樸姓女都因爲還不起債而犧牲了靑春、生命;「黎明」中的福同女雖有相愛的人但是最終被地主逼得割頸自殺;「暗夜」中的高粉也是差點就被賣給地主,但所幸最終和相愛的人壹起逃走。出現這些不同的原因在於各作家的創作傾向和作家意識是不同的,而且隨著內部思想世界和外部社會環境的變化,作家的創作傾向也會發生變化。因此,通過對在滿朝鮮人小說中農家女人命運的形象化硏究,기기能揭示當時社會的黑暗現實和在滿朝鮮人的眞實生活狀態,又能從新的角度探究在滿朝鮮人作家的創作傾向和作家意識以及他們思想世界的變化軌跡.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의 『토지』연구 -좌우익 갈등기, 문학적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박필현 ( Pil Hyeon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주지하다시피 해방 이후 1946년을 지나며 남한 내 정치적 상황은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시기 즉, 소위 “좌익 전횡기”를 지나 좌우익 간의 갈등기로 접어들며 직면하게 된 여러 문제에 대해 조선문학가동맹은 어떻게 대응했는가. 본고는 『토지』를 통해 그 대응 양상의 실제적 한 예를 확인하고자 한다. 『토지』는 조선문학가동맹특수위원회 농민문학위원회가 1947년 7월에 펴낸 소설집이다. 조선문학가동맹은 1947년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다양한 간행 사업을 진행한 바 있는데, 『토지』는 연속 간행물로 기획된 1946년판 『조선소설집』(1947. 6. 20.), 『조선시집』(1947. 3)과 더불어 이 시기 조선문학가동맹의 활발한 출판 활동을 보여주는 주요 사례이기도 하다. 『토지』에서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그 편집자이다. 『토지』의 편집자는 조선문학가동맹 특수위원회 농민문학위원회로 명시되어 있는데, 흥미로운 것은 이 위원회가 조선문학가동맹 결성 당시 조직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농민문학위원회는 『문학』3호(1947.4)에 수록된 「농민문학운동에대한결정서」및 「조선문학가동맹농민문학위원회내규」를 통해 비로소 그 결성이 공식적으로 확인된다. 즉, 농민문학위원회는 1946년을 지나며 급격하게 나빠진 남한 내 정치적 상황의 변화, 당면한 쟁점이자 과제인 토지개혁 문제, 악화된 상황 타개를 위한 활동 방안으로서 제기된 대중화론 등 여러 사정과 필요에 따라 뒤늦게 일 특수위원회(一特殊委員會)로 긴급히 구성되었던 것이다. 『토지』의 편집진이 밝힌 편집의 기준은 ①작가의 특성 ②작품의 영원성 ③오늘날의 시급한 요청 등 세 가지이다. 작가의 특성이 일련의 조건에 의거한 작가의 안배를, 작품의 영원성이 그 완성도를 말한다면, 오늘날의 시급한 요청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토지』의 간행사에는 “책”과 “땅”이 반복적으로 강조된다. 이때 책이 문화적 향유 및 생산의 주체로서의 대중을 가리킨다면 땅은 농경지, 보다 직접적으로는 토지개혁 문제를 가리킨다 하겠다. 이는 “토지 개혁이 남조선엔 아직 실시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는 구절을 통해 더욱 선명해진다. 즉, 『토지』는 일련의 조건에 의거해 안배된 작가들의, 토지개혁 문제와 관련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을 모은 것이라 하겠다. 『조선소설집』과 『조선시집』이 연간 연속 간행물로 기획되었다면, 『토지』는 당대의 뜨거운 감자였던 토지개혁 문제를 전면에 부각시키며 이를 통해 문제적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문학적 실천을 이끌어 내고자 한 특별한 의도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토지』는 우선 편집 단위에서 작품의 배치를 통해 남한 사회 현실의 모순 인식 및 대중의 인간적 계급적 자각을 꾀한다. 북한 토지개혁의 성공적 측면을 첫머리에 제시함으로써 이를 이루어야 할 전범으로 설정한 후, 이와 괴리된 남한 현실의 모순을 직시하게 만듦으로써, 『토지』를 순서대로 읽다 보면 ‘가 닿아야 할 미래의 상-부정적인 현실-변화의 당위성’을 거쳐 ‘변화를 위한 실천과 각오’에 대한 요구를 맞닥뜨리게 된다. 또한 『토지』속 인물들은 대개 소박하고 평범하며 그 갈등 양상 역시 이들 농민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지주 대 소작인 사이의 계급적 대립과 격렬한 충돌 및 투쟁 대신 문제적 현실에 대한 공분과 이를 공유하는 소소한 인민대중들의 유대감이 보다 강조되는데 이는 근로대중과의 괴리에 대한 당대 대중화론의 고민과 맞닿은 지점이기도 하다. 요컨대 『토지』를 통해 조직의 재정비(농민위원회의 신설 및 그 상위 단위로서의 특수위원회 구성), 당대 최고의 정치적 이슈이자 대중적 관심사이던 토지개혁에 대한 문학적 수용, 해방기 대중화론의 창작적 적용(인물과 갈등의 특성 및 작품의 배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바로 이런 점에서 『토지』는 조선문학가동맹이 급변하는 정세에 맞서 어떤 문학적 대응을 모색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어 중요한 하나의 참고점이 된다. The Korean writers alliance was a leftist writers organization which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literary world right after the emancipation. However, in case of South Korea, the suppression on left-wingers by the U.S.A. military administration became regularized since 1947 through 1946, and the possibility to choose a system became smaller and smaller. This change in political condition also affected culture and literature, and at the second half year of 1946, the popularization theory was suggested a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e problematic situation. 『Toji(The Land)』was the novel collection published by the committee of peasant literature of the special board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in these circumstances in July, 1947.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aspect of the acceptance and realization of the popularization theory through 『Toji(The Land)』, which became serious once again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of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editor of 『Toji(The Land)』was the committee of peasant literature of the special board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The organization of this committee had not been confirmed officially until the inclusion of 「A written decision of the peasant literature movement」and 「the private rules of the peasant literature committee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in the third volume of 『Munhak(Literature)』(1947.4). In other words, 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various circumstances and necessities, such as the change in the political condition of South Korea which rapidly got worse through 1946, the problem of land reform as an issue and task at hand, and the popularization theory proposed as the activity measure to overcome the aggravating situation. What was emphasized repeatedly in the publication remarks of 『Toji(The Land)』were also ````books```` and ````land````. 『Toji(The Land)』tried to accomplish what the popularization theory had raised, that is, to fulfill the public``s needs, to awaken their wills, and to induce literary practice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problematic reality, through the matter of land reform, the hot potato of those times. The standards of edition stated by the editorial staff of 『Toji(The Land)』were ①a writer`s characteristics, ②the eternal nature of a work, and ③today`s urgent demands. 『Toji(The Land)』, the compilation of the works with a high level of completion following the standards above, written by the authors arranged by a series of conditions, and related to the matter of land reform, first intended to help the masses to aware the contradictions of South Korean social reality and to have humane and class self-consciousness through the placement of works at the unit of edition. As they described the successful aspects of the land reform of North Korea at the opening and set it as the model to accomplish, and then encouraged readers to face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of South Korea squarely, which were different from that of North Korea, while readers read 『Toji(The Land)』in order, they came to face the demand for “practice and resolution for a change” passing through “the future image to pursue-the negative reality-the appropriateness of a change”. In addition, the characters of 『Toji(The Land)』are usually simple and common, and the aspects of conflicts also center around the realistic problems these farmers faced, which expresses the concerns of the popularization theory regarding the gap from working masses as well. It also calls for attention that what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at process was not class opposition and intense conflicts and fight between a landowner and tenant farmers, but the public indignation at the problematic reality and the tie among the general public who share this. Its limitation at some point cannot be denied, yet as an early-stage outcome produced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popularization theo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oji(The Land)』can be said to have had its own accomplishment in this respect.

      • KCI등재

        천도교와 아나키즘의 결합 -조선농민사 기관지 <조선농민>과 <농민>을 중심으로

        김택호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1 No.-

        Joseonnongmin and Nongmin, the official organ of the Joseonnongminsa was published December 1925 to December 1933. This two magazines is a specific material. By this magazines we can look at the farmers'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ism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is two magazines is a specific material of peasant literary movement in early modern time in Korea.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find relation of the religion of chondokyo and anarchism. especially, this research give attention to Heo, Munil, the peasant literary man. The things which but Heo, Munil was emphasizing is barren point in the spot of a farm village reality which must have peasants. This was the meaning to recognize the independence for oneself peasant. But this is the behavior and part which is that time the national-reformism which have been known generally to be distinguished. The trust in human nature, community spirit, emphasizing of subjecthood, syndicalisme are common thing between religion of chondokyo and anarchism. 1925년 12월부터 1933년 12월까지 약 8년간 발간되었던 조선농민사의 기관지 『조선농민』과 『농민』은 격동하는 일제강점기 반제․반봉건운동의 주축세력이었던 농민의 의식과 지향을 살펴볼 수 있는 역사․사상적인 자료일 뿐만 아니라, 농민운동을 배경으로 시도된 최초의 근대농민문학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이다. 본 연구는 매우 중요한 근대 매체였던 『조선농민』과 『농민』에 천도교와 아나키즘의 결합양상이 드러난다는 점을 규명하려는 목적 아래 진행되었으며, 허문일이라는 농민작가의 문학작품 속에서 그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1920-30년대 당시 천도교와 아나키즘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뢰, 공동체주의, 주체적 자기 인식 강조,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한 조합주의라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공통분모는 천도교와 아나키즘을 소통시키는 기반이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염두에 두는 한국 근대사회에 대한 접근이 한국 근대사와 근대문화를 명확하게 바라보고, 풍요롭게 하는 데에 기여하리라고 판단한다.

      • KCI등재

        1920~30년대 농민잡지의 발행 주체별 근대인식과 농민문학론 ― 『농민생활』과 『조선농민』을 중심으로

        전영주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1920~30년대에 ‘농민’이 근대화의 중심으로 주목되고, ‘농민 계몽’ 이 일어난 실제적 모습이 ‘농민잡지’를 통해 드러나며, 농민잡지에는 시, 소 설, 희곡, 수필과 같은 문학 텍스트들이 수록되어 ‘농민문학’을 형성한 의의를 추적해보고자 했다. 특히 농민잡지의 발행 주체별 인식 차와 농민문학론 의 입장 차를 중심으로 기독교계 『농민생활』과 천도교 『조선농민』을 비교 고 찰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문학 텍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다음으로 미루고, 두 농민잡지의 창간사와 논설, 비평 등을 검토하여 종교별, 지역별 창간 의도와 농민문학론을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로 기독교계 『농민생 활』은 기독교적 선교와 전도가 반영된 기계적, 개량주의적 근대인식과 계몽 시론이 반영되고 있으며, 천도교 『조선농민』은 자주적, 민족주의적 근대인식과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론이 개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Farmers were the center of modernization in the 1920s and 30s,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Farmers Enlightenment” was revealed through “Farmers Magazines”, which contained literary texts such as poems, novels, plays, and essays. In particular, Christianity Farmers’ Life and Cheondogyo, a religion which began during the last year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Farmers were compared and considered,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each publisher and the theory of peasnat literature. In this study, the detailed analysis of literary texts was postponed until the next time, and the two farmers’ magazines were reviewed for their founding, editorial, and criticism to reveal the theory of peasant literature. In response, Farmers’ Life reflected the mechanical and improvement modern perception and enlightenment theory that reflect Christian missionary work and evangelism, while Joseon Farmers showed independent and nationalistic modern perception and proletarian literature.

      • KCI등재

        1930년대 초반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당재건운동

        최용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8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함경북도 온성군, 경성군, 회령군 일대에서 활동했던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등장 배경과 운동 과정을 살펴보고,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1929년 만주의 공산주의 운동가들은 코민테른의 「12월 테제」에 따라 농민과 노동자를 핵심으로 삼는 당재건운동을 시도하였다. ML파 공산주의 운동가 한빈은 함경남도, 서울, 부산에서 당재건운동을 시도하다가 일제에 검거되면서 실패하였다. 기존 연구는 한빈이 최령과 전우일에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결성을 지시했다는 사실을 제대로 주목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은 한빈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를 ML파의 당재건운동으로 해석하려고 한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함경북도 일대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주목하였다. 함경북도 일대의 주민들은 경제적으로 빈궁한 상태였고, 식민지 당국에 불만이 높았다. 그래서 1920년대 함경북도의 사회경제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단체가 각지에서 등장하였다. 사회운동가들은 공산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민족해방운동을 이끌었고 이들 중 전우일은 함경북도 경성군의 사회운동가들과 교류하면서 그 일대로 당재건운동을 확장하는 데 열중하였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함북 일대의 산업 시설에 농민과 노동자를 대상으로 야체이카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혁명적 농민조합을 조직하여 지역 청년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을 교육하고, 등사판을 이용한 공산주의 선전물을 제작해 배포하는 방식으로 일제에 저항했다. 하지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조직 운영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로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12월 테제」에 따라 일반 농민과 노동자를 조직의 핵심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일찍이 공산주의 사상을 수용했던 당재건조직의 지식인들이 간부직을 도맡았다. 둘째로 지도부는 당재건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곗돈을 강탈하였다. 만주지역 무장투쟁의 영향을 받아 당재건운동의 핵심으로 내세우던 농민과 노동자를 강탈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은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가장 뚜렷한 한계였다. 한편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 참여자는 개인적 친분, 교우관계, 사회단체를 통해 교류하면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이들은 함경북도 온성읍과 접경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비슷한 연령대라는 유사점을 보여주었다. 같은 지역에서 활동하던 신간회 온성지회와 온성청년동맹의 일부 사회운동가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들 중 하나였던 전우일은 이를 통해 1920년대 함경북도 사회운동의 경험을 쌓아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에서 활동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국경 도시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만주지역 공산주의 세력과의 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제 측 자료에는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중국공산당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었다는 근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만주의 공산주의 세력과 협력하여 무기를 구하려고 시도했다는 점, 최령과 전우일을 지도했던 한빈이 중국공산당과 연계되어 있었다는 점이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만주지역 공산주의 세력과 연계 ... This thesis examines the background and trajectory of the early 1930s reorganization campaig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in Onseong-gun, Gyeongseong-gun, and Hoeryeong-gun Counties and analyze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1929, communists in Manchuria attempted to reorganize their movement around farmers and laborers according to the Comintern’s “December These.” The arrest of Marxist-Leninist Han Bi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nded his efforts to reorganize the communist movement in Hamkyeongnam-do Province, Seoul, and Busan. The preexisting literature, however, overlooks that Han ordered Choi Ryeong and Jeon Uil to organize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This thesis corrects this oversight by emphasizing Han’s role while analyzing the Marxist-Leninists’ reorganization campaign of said branch.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focused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region. The residents of the area were impoverished and deeply resented the colonial authorities; thus social organizations were formed to overcome the region's economic hardships. These movement activists, followers of communist ideology, led the movement to liberate Korea, with Jeon Uil in particular interacting with the activists of Gyeongseong-gun County and expanding the reorganization campaign there. The Preparatory Committee established yacheikas (cells) targeted towards farmers and laborers in industrial facilities around the Hamkyeong region. They organized revolutionary farmers' associations, educated youths on communist ideology, and mimeographed communist propaganda to resist the Japanese. However, the Preparatory Committee's operations demonstrated a few limitations. The first was despite professing to follow the “December These,” all leadership positions were held by the reorganization movement's communist intellectuals from the start. Second, the same leadership also procured money for the Preparatory Committee by stealing the local residents' community funds. Exploiting the same farmers and laborers they claimed to reorganize was probably the most glaring flaw in the movement influenced by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Meanwhile the Preparatory Committee's members created networks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with friends, colleague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se networks shared similarities in that they consisted of individuals in the same age range and based around Onseong-eup Village and surrounding areas. Some members of the Onseong branch of the New Korea Society(新幹會) and Onseong Youth League, active in the same area, adopted communist ideology as a solution to the region's social problems. The experiences of Jeon Uil, one such member of the 1920s social movements in Hamgyeongbuk-do province, are noteworthy here regarding hi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As the Preparatory Committee operated in a border cit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sts in Manchuria demands review. Japanese sources demonstrate there was no direct pipeline from the party branch to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Manchuria. However, the fact the two organizations did collaborate and attempt to procure weapons, and Han Bin who directed Choi Ryeong and Jeon Uil, does lend weight to the possibility of ties between the party branch and communists in Manchuria. In addition, the secret society in Onseong founded after the Preparatory Committee's dissolution reached out to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arly 1930s campaig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features a liberation movement undergoing transition. This movement was influenced by both the Manchurian armed resistance organizations and social movements in Hamgyeongbuk-do Province, but contradicted its own prioritizin...

      • KCI등재

        카프(KAPF)의 『농민소설집』과 조선문학가동맹의 『토지(土地)』 비교 연구

        박필현(Park, Pil-H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1

        『농민소설집』과 『토지』는 각각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 당대의 대표적인 좌익 문학 단체에서 펴낸 농민소설집이다. 실질적으로 각 해당 단체에서 간행한 유일한 농민소설집이기도 한 이 두 소설집 사이에는 14년이라는 시간적 간극이 자리한다. 본고는 1933년 간행된 카프의 『농민소설집』과 1947년 간행된 조선문학가동맹의 『토지』가 가진 문제성을 확인하고, 두 소설집을 함께 살핌으로써 잇닿은 것과 변모된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특성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 프로 문학의 (불)연속성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또 하나의 접근 방법이기도 하다. 시간적 간극이 큰 만큼 『농민소설집』과 『토지』는 조직의 성격이나 목표, 작가군의 구성이나 작품의 형상화 과정 등에서 차이점을 보여준다. 『농민소설집』이 사회주의 운동의 지하화와 카프의 볼셰비키화 과정에서 생산되었다면, 『토지』는 새로운 민족 국가 건설을 둘러싸고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졌던 해방기에 민주주의 민족문학을 기치로 내건 문예운동의 산물이었다. 카프의 강경 소장파를 중심으로 구성된 『농민소설집』에 비해, 민주주의 민족문학을 내걸었던 만큼 『토지』는 동일한 작품 편수이지만 작가군의 수와 성향 모두에서 보다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차이에 더해 두 소설집은 공통적으로 농민소설을 선별·수록하고 있으되 각각 그 구체적 문제의식을 달리한다. 『농민소설집』에 수록된 일군의 작품들은 모두 농민조합 설립으로 귀결되며 『토지』는 토지개혁의 촉진이라는 간행 취지를 강조하였다. 이때 내용적 측면 보다 더 주목해 볼 것은 작품 및 소설집의 구현을 통해 드러나는 바, 그것을 다루는 방식이다. 『농민소설집』이 다소 직접적이고 경직된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과 달리 『토지』는 관련 범위의 폭을 넓게 잡아 문제에 유연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선집은 근본적으로 혁명 단계와 당면 과제에 대한 인식에서, 그리고 운동의 기술, 문학적 실천 방식에서 연속성을 갖는다. 『농민소설집』과 『토지』는 조선의 혁명 단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둘 모두 위기적 상황에서 단행본 출간을 통해 대중과의 소통 및 활로를 모색한 매체 운동의 일환이기도 하다. 『농민소설집』과『토지』가 보여준 차이의 기저에는 보다 본질적인 연속성이 자리하고 있다. 볼셰비키화의 좌경화와 조선문학가동맹의 포괄적인 조직 구성은 일견 상반된 현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인식적, 실천적 연속성에 의거해 보면 해방기의 조선문학가동맹은 식민지 시기 카프의 성실한 후계자라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 소설집이 보여준 구성 및 형상화 과정에서의 차이는, 정세와 관련한 조직의 구성과 변화는 물론 혁명 단계 및 과제 측면에서의 연속성을 고려할 때 비로소 제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농민소설집』과 『토지』의 차이는 코민테른의 테제 문제라기보다는 오히려 각 시기 해당 조직의 성격 및 지향 문제에 가깝다. 또한 이는 기저에 자리한 연속성에 기반한, 발전 과정이기도 하다. 이처럼 『농민소설집』와 『토지』의 (불)연속성은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로 이어지는 프로 문학의 계보를 다시금 확인케 한다.

      • KCI우수등재

        조선조 경제체제에 있어서 문제점과 그 요인

        김혜승(Heaseung Kim)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이 논문은 조선조 경제체제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이고 또 그러한 문제가 생기게 된 요인은 무엇인가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한국 정치사 연구에서 대내적 문제는 일반적으로 조선조 ‘세도정치’하에서 ‘삼정 문란’ 때문에 ‘민란’이 지속된 것으로 지적되었다. 그리고 이후 일제 식민지로 이어지는 역사와 관련해 반성하고 자책하는 관점이 지배적이었다. 이 같은 관점으로 조선조 역사를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관조적으로 현상만을 지적하는 경우, 그 문제점이 생기게 된 요인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지는 것은 아닌가? 이 같은 문제를 의식하면서, 이 논문에서는 조선조 경제체제의 존재양식, 생산양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농본주의 경제체제인 조선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국가가 농민과 토지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서 농민의 재생산 기반을 확대시키면서, 이를 국가적 부로 조직화하는가의 문제라고 할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기 위해서 조선조 경제체제를 ’원형’과 그 ‘변화된 형태로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 이해해 보겠다. This is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economic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causes behind them. Until recently, the general consensus in Korean Politics research indicated peasant rebellions were caused by a power struggle within Chosun or that the upheaval of three policies were the nexus of inter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sensus, reflection or self-reproach on the history under Japanese Occupation has been the dominant view. Within this view, it may be easy to oversimplify Chosun history by examining only the facts and neglecting to look for the underlying causes.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existence system and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Chosun economic structure. The main question for Chosun, under physiocracy, was how the state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asants and the land to increase the foundation for farmer reproduction and to organize this into national wealth.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problem, we will examine the Chosun economic structure in its original form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its reform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농민시’를 통해 본 계몽의 수사학 :『조선농민』과 『농민생활』을 중심으로

        전영주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6 No.-

        This article first examined peasant discourse in preparation for Joseon Farmers published as part of the early modern national movement and Farmers' Life, which was actively interested in modern education centered on Western missionaries, and attempted to reveal the rhetoric of peasant literature. The two peasant magazines, Joseon Farmer and Farmers' Life,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era, produced major discourses such as peasant awakening, rural revival, and peasant hygiene issues in the birth and modernization of emerging farmers (modern farmers), and tried to actively engage in realistic enlightenment through farmers' poetry. Accordingly, the peasant poem published in the literary section of the peasant magazine also resembled the tendency of the magazine and embodied it as a literary work, indicating that it is actively engaged in rural reality, peasant development, an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s. In the case of Joseon Farmer, peasant literature was expressed, in which the practical ideology and Hongik human spirit of the independent and nationalist Cheondogyo Youth Party were concentrated, and in the case of Farmers' Life, Christian evangelism and ideas were reflected in peasant discourse, but enlightenment was expressed through peasant poetry.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자주적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간행된 『조선농민』과 서구적 근대교육 및 농촌계몽운동을 표방한 『농민생활』을 중심으로 하여 두 농민잡지에 발표된 논설, 비평문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농민담론을 먼저 살펴보고, 농민잡지 문예란에 발표된 ‘농민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 시기 ‘농민시’가 구가한 계몽의 수사학을 논구해 보고자 했다. 요컨대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조선농민』과 『농민생활』은 근대농민(신흥농민)의 탄생과 농촌근대화에 있어서 농민각성, 농촌부흥, 위생문제 등 주요한 담론을 생산해냈으며, 현실적인 농촌계몽에 적극 관여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문예란에 발표된 농민시는 두 농민잡지의 성향(천도교, 기독교)을 반영하면서 농촌현실과 농민개도 및 농촌계몽운동을 ‘농민시’를 통해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조선농민』의 경우는 자주적, 민족주의적인 천도교청년당의 실천적 이념과 홍익인간 정신이 집약된 농민시가 발현되었으며, 『농민생활』의 경우는 기독교계 전도와 사상이 농민담론에 반영되고, 농민시에는 종교적인 성향을 배면에 내포하면서도 조선의 농촌을 선도하려는 계몽성이 농민시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