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 의미

        구자진(Koo Ja Jin)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에서 확인된 집자리는 조개더미 유적 수에 비 하면 극히 일부에서만 확인되었다. 대부분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은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분포만이 확인되었을 뿐 발굴조사를 통해 유적의 성격이 밝혀진 예가 많 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유적이라도 실제 집자리가 존재 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발굴조사 방법의 한계상 집자리 유적을 판 별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조개더미층 내에 존재하였던 집자리라도 유적 의 특성상 후대의 재퇴적 및 교란에 의해 유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우리나라 서·남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에서 집자리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집자리가 확인된 조개더미 유적을 중심으로 집자리의 구조와 특 을 살펴보고, 이들 조개더미 유적과 집자리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신석기시대 조개 더미 유적을 재검토해보았다. 결국 서·남해안지역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는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 역할을 하였 던 것으로 생각된다. 서해안지역은 대부분 생토층에 집자리가 조성되어 있는 점과 주 변지역의 지형과 조개더미 유적의 입지양상을 통해 조개더미 유적을 형성했던 마을 (집자리)은 조개더미 주변지역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개더미 유적의 퇴 적양상과 출토 유물을 통해보면, 남해안지역의 조개더미 유적보다 상대적으로 지속기 간이 길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개더미 유적을 한정행위장소나 가공유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남해안지역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는 대부분 조개더미층 내에 조성되어 있으며, 조개더미 퇴적층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서해안지역보다 깊고 오랜 기간 퇴적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조개더미가 형성된 유적의 해발고도가 서해안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데, 이는 당시 신석기인들의 생계양식과 관련하여 남해안지역의 신석기인들은 해안가 와 인접한 지역에서 조개류의 채취 및 처리가 이루어졌으며,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인 들은 해안가보다는 거주지(마을)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 후 처리 및 폐기하여 나타나 는 현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남해안지역에서 구릉지역이나 충적대 지에서 신석기시대 마을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동삼동 유적과 같은 조개 더미 유적이 당시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거점지역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나타 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number of dwelling sites found in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is remarkably fewer than the number of shell middens known. For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the distribution of historic sites was found only through surface surveys. There were a few cases whe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historic sites were found through excavations. Even those historic sites excavated didn t contain actual dwelling sites and the limitations of excavation might prevent such dwelling sites from being found. In addition, shell mound dwelling sites might disappear due to post-depositional processes and disturbance. Nonetheless, dwelling sites in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have been found across the south-west coastal areas of Korea. Therefore, focusing on those shell middens found with dwelling sit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dwelling si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mounds and dwelling sites were examined in the review of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It seems that excavated shell midden dwelling sites on the south-west coast played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each area. For the west coast, dwelling sites were formed on soil horizons and villages were more likely to be created around shell mounds when the topography of neighboring areas and the location of shell middens i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and shell midden deposit patterns, historic sites across the west coast disappeared more quickly than those across the south coast. However, shell middens found in the west coast are not regarded as merely limited activity stations or processing sites. Shell midden dwelling sites on the south coast were formed in shell mounds, and deposits are relatively deeper and older than those of the west coast. In addition, the altitude of historic sites formed with shell mounds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west coast. This is because people living on the south coast during the Neolithic age gathered and processed shellsin areas close to the coast while people living on the west coast processed and disposed of shells after moving them to their residences instead of on the coasts. Villages of Neolithic age haven t been found so far in hills or alluvial plains across the south coast because shell middens, such as the historic sites of Dongsam-dong played the role of stronghold encompassing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고분출토 야광조개국자의 제작기법 및 복원

        김종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2 No.-

        본 조사 연구에서는 황남대총 북분, 천마총, 지산동 44호분에서 출토된 야광조개 국자를 비교 조사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 일본에서 출토된 야광조개국자와 비교하 였다. 야광조개국자를 만든 재료로 사용되는 조개는 야광조개(ヤコウガイ)로 조각 품 및 나전칠기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였다. 분포지역으로 일본에서는 오키나와제 도, 서태평양과 인도양 열대해역의 산호초 지역에서 서식하는 대형 고둥이다. 따라서 수입품으로서의 당시 일본과의 교역관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출토품이다. 야광 조개국자는 일본의 경우 손잡이 부분을 조각하여 장식성을 준 반면 한국은 주로 금 속테두리 장식을 사용하였다. 금속 테두리를 장식으로 사용한 야광조개국자는 같 은 시기 일본에서는 아직 출토된 예가 없다. 야광조개국자의 금속 테두리의 결합방 법은 리벳을 사용한 방법, 금속끼리 서로 겹쳐 결합한 방법, 금속 테두리를 사용하 지 않은 방법 등이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출토품은 모두 파손편으로 그 형태가 불 완전하여, 원형을 유추하고 복원․제작하여 당시 유물의 모습을 확인해 보고자 하 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adles made of great green turban shell(yagwangpae, 夜光貝) that were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Cheonmachong Tomb, Geumgwanchong Tomb, and Jisan-dong Tomb No. 44. It compared them with examples excavated from Japanese archaeological sites. The ladles from the ancient Korean tombs above were made from shells of giant sea snails known in Japanese as yakogai(ヤコウガイ), which were widely used for decorating sculptures and mother-of-pearl lacquerware. Since giant sea snails live around the Okinawa Islands in Japan and in coral reef areas in tropical seas of the western Pacific and Indian Oceans, the ladles must have been made using imported materials and therefore offer a glimpse into the exchanges with Japan at the time. Japanese ladles generally have carved decorations on the handles, while most Korean versions have gilt-bronze rims that have no parallel among the extant contemporaneous examples excavated in Japan. The metal rims were fixed to the shells using rivets or by overlapping with each other. A ladle from Jisan-dong Tomb No. 44 had no rim at all. As all the ladles were excavated in a damaged state, their forms are incomplete. This study reproduced a complete ladle in a projected shape to identify major features of the excavated ladles in their original shapes.

      • KCI등재

        조개류 생물어의 어휘 분화 양상 연구 - 남해안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

        홍기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ating the shellfish names being used in fishing villages along the southern coast. Shellfish namesbeing used in Songji-myeon, Haenam-gun of Jeollanam-do, Samdong-myeon, Namhaegun of Gyeongsangnam-do and Yokji-do Tongyeong-si of Gyeongsangnam-do are summarized. The vocabulary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m is explored by comparing them with standard language. The shellfish related vocabulary corresponding to standard word form is variety of dialects. The sub-category vocabulary is also well developed by variety of naming mechanism such as color, shape, size, taste/quality, habitat, habit, touch and function. Among the vocabulary, there were some word forms which are not registered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and <Dialect Search for Korean Language Informatization>. The remains of some word forms could be found in the 『Jasan-eobo』(1814), which is a series of book on marine life authored by Jeong Yak-jeon in 19th century. Systemization of vocabulary list of shellfish related vocabulary among the marine life words being used in fishing villages would be a foundation work that would make the vocabulary field of Korean language richer. 본 연구는 남해안 어촌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개류 관련 생물 명칭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남 해남군 송지면, 경남 남해군 삼동면, 경남 통영시 욕지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개류 명칭을 정리하고 이를 표준어와의 비교․대조 작업을 통해 조개류 관련 생물 어휘의 어휘 분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표준어형에 대응되는 조개류 관련 어휘는 어촌 지역에서는 다양한 방언형으로 나타나며, 또한 관련 하위 범주 어휘도 색깔, 모양, 크기, 맛과 질, 서식지, 습성, 촉감, 용도 등의 다양한 명명 기반을 통해 발달해 있다. 조사된 어휘 중에는『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 수록되지 않은 어형도 있었으며 19세기 어류 총서인 정약전의 『자산어보』(1814년)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어형도 있었다. 이처럼 어촌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다 생물어 중 조개 관련 어휘의 어휘 목록체계화 작업은 우리말의 어휘장을 풍부하게 해주는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조개와 건축: 르코르뷔지에의 심미적 근대

        신승철 미술사학연구회 2023 美術史學報 Vol.- No.60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features of Le Corbusier’s architecture through the nautilus represented on the commemorative medal of Unité d’habitation. Since Le Corbusier first encountered an X-ray photograph of a nautilus in 1925, he had been studying it mathematically and artistically for a long time. He was fascinated by the sensuous form and geometric perfection of the nautilus shell, and used it as a new ‘medium of perception’ to induce changes in modern architecture that were criticized as inhuman. Le Corbusier devised a proportional system by applying the golden ratio found in the nautilus to the human body, and used it in the design of a huge collective housing for 1,600 people. Modulor, a law of nature and a sensuous proportion, was derived from natural things, allowed architecture to take its place in nature, and realized Le Corbusier’s artistic ideal by enabling an aesthetic spatial experience in a rational order. The nautilus, as a new medium of perception, connects architecture with nature and the human spirit with the aesthetic structure of the world. It participates as one of the important agent in Le Corbusier’s architecture, which tried to change the cold modernity through aesthetic pleasure. 이 논문은 <위니테 다비타시옹> 기념주화에 등장하는 앵무조개를 통해, 르코르뷔지에 건축의 심미적 의미를 고찰한다. 르코르뷔지에는 1925년 앵무조개의 엑스레이 사진과 처음 마주한 이래, 그것을 진지한 탐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앵무조개의 감각적인 조형성과 기하학적 완전성에 매료되었고, 그것을 ‘새로운 인식의 매개체’로 삼아 비인간적이고 비미학적이라고 비판받던 근대 건축의 변화를 유도했다. 르코르뷔지에는 앵무조개에서 발견된 황금비를 인체에 적용해 비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1,600명이 거주하는 거대한 집합 주거 디자인에 활용했다. 그에게 모뒬로르는 자연의 법칙이자 감각적인 비례였다. 그것은 자연 사물에서 파생되어 건축을 자연 속에 자리 잡게 하고, 합리적인 질서 속에서 심미적인 공간 경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르코르뷔지에의 고유한 예술 세계를 완성시켰다. 이렇듯 ‘새로운 인식의 매개체’로서 앵무조개는 건축을 자연과, 인간의 정신을 세계의 미적 구조와 연결하면서, 기하학적 즐거움을 통해 차가운 근대를 극복하려 했던 르코르뷔지에 건축의 주요한 행위자가 된다.

      • KCI등재

        Bio waste 소재로부터의 마이크로 필러 추출

        남기법 ( Gibeop Nam ),송정일 ( Jung-il Song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8 Composites research Vol.31 No.5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이고 공급이 안정적인 소재를 찾기 위하여, Bio waste인 쌀겨와 조개 껍질에서 활용하여 마이크로 사이즈의 미세 입자를 추출하고, 추출한 입자의 크기와 형상을 분석한 후 CFRP에 첨가하여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쌀겨와 탄화 쌀겨의 주요구성성분은 탄소, 산소, 규소로 이루어졌으며 탄화과정을 거치면서 탄소와 규소의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조개 껍질 분말에서는 탄소 산소와 칼슘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조개 껍질의 주요구성물질인 탄산칼슘의 영향으로 보인다. 쌀겨 분말의 면적평균은 6.19 μm 체적평균은 14.77 μm으로 FE-SEM을 통하여 막대형상의 입자가 관찰되며 이는 쌀겨가 가지고 있던 껍질부분의 주름이나 표면의 털이 남아있는 형상으로 보인다. 탄화쌀겨의 분말은 면적평균은 1.55 μm 체적평균은 8.20 μm 조개 껍질 분말은 면적평균은 2.53 μm 체적평균은 5.79 μm로 분석되었으며 쌀겨분말의 경우 막대(Rod)형상의 입자들이 관찰되었고, 조개껍질 분말의 경우 판상(Plate)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CFRP에 첨가하였을 경우 첨가량에 비례하여 물성의 하락이 관찰되었는데 그 폭이 쌀겨분말의 경우가 가장 컸으며, 조개 껍질 분말의 경우 물성하락을 거의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plain about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low cost and stable supply material i.e., rice husk and shell were used as micro incorporating bio waste filler. Those were processed by ball mill and analyzed through micro observation by FE-SEM, ED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obtained filler was mixed with epoxy resin for the manufacturing of CFRP composite and study tensile properties. In EDS analysis main contents of rice husk and rice husk ash are C, O and Si. When rice husk was burned C and Si ration were increased. Shell powder has C, O and Ca. It caused CaCO<sub>3</sub> from shell. Surface weighted mean of rice husk powder is 6.19 μm and volume weighted mean is 14.77 μm. And it has rod type particles which caused hair and husk structure parts. Surface weighted mean of rice husk ash powder is 1.55 μm and volume weighted means is 8.20 μm. Surface weighted mean of shell powder is 2.53 μm and volume weighted mean is 5.79 μm. The tensil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micro filler in CFRP composites. In case of rice husk, the significant decrement of tensile strength was observed. and in case of shell powder, there is no effect of changes take place in tensile strength.

      • 중ㆍ소형 선박의 기관실 냉각해수 계통 해저 조개류 제거 장치에 관한 연구

        권기생(K.S. Kw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많은 종류의 선박은 운항상 일정 시간동안 정박을 하거나 항해를 하고 있으며 정박 중에는 해수관 계통의 스트레이너와 냉각수 관에서 홍합 등의 조개류의 번식 등으로 주기관 냉각수 계통 또는 발전기의 냉각수 계통을 막아 냉각수량이 충분하지 않아 기관의 정지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선주는 홍합 등의 조개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러한 인근의 조선소로 가서 상가를 하여 조개류를 제거한다. 이때 선주는 상가비용, 연료비 등의 부수적인 경비가 소요된다. 이러한 경우 선주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개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선원 또는 전문 자이버가 선박파공봉쇄장치를 씨 체스트에 부착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기고나실 안에서 안전하게 조개류 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The many kinds of ship has been for long time in port or sailing on the sea, in this time at port, the mussel go into cooling sea pipe line or strainer, and cultured for some time at cooling sea water system. The strainer or inside of pipe line to be stoped by the mussel, in this case, the amount quantity of cooling water to be insufficient for main engine or diesel generator engine. In this case, the ship to be dry dock for the removal of mussel, in this case, the ship’s owner to be payed for docking cost, fuel oil cost for sailing and etcs. For the safety and effective removal of mussel, the ship to be installed the stopping device to sea chest by ship’s crew, the crews can remove of the mussel at engine room safely works.

      • 조개류를 이용한 리그닌의 전처리 및 열분해 반응

        류수민,송민영,오대준,박세용,김기훈,류혜원,정재훈,황유진,박영권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리그닌은 구조적으로 thermal resistance를 가지고 있고 열분해 과정에서 char의 melting, agglomeration과 char foaming 등으로 인하여 원활한 열분해 반응 및 bubble fluidized bed reactor와 같은 연속적 반응 공정에 적용이 어려움이 있다. 한편, 조개 껍질류는 calcium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로 공기 분위기, 높은 온도에서 소성을 통해서 calcium oxide 전환된다. 따라서 리그닌의 연속식 열분해 공정에서 조개 껍질류를 활용하면 char foaming을 방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꼬막, 폐홍합의 조개류 껍질을 다른 온도에서 소성하여 X-ray diffraction(XRD) 분석 후 리그닌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500 oC에서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생성물인 가스와 바이오오일은 GC/FID/TCD, GC/MS로 각각 분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sup>**</sup> 본 연구는 2015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153030101580)

      • KCI등재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개량제로 이용한 소화슬러지의 탈수 증진 비교

        이재광,유대현,이면주,강호,Lee, Jae-Kwang,Yoo, Dae-Hyun,Lee, Myeon-Ju,Kang, H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4 資源 리싸이클링 Vol.13 No.3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의 폐 수산자원을 개량제로 이용한 도시하수 슬러지의 탈수능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불가사리와 조개껍질을 105∼$700^{\circ}C$로 열처리하여 사용하였으며, 탈수방법으로는 원심분리와 벨트프레스를 사용하였다. 총 고형물 기준으로 개량제를 1∼8g/100mL 주입하여 탈수 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을 15∼22% 저감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개량제 주입 후 슬러지의 탈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ST(Capillary Suction Time)를 측정하였다. 불가사리 첨가 후 C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조개껍질 첨가 후 CST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개껍질이 불가사리보다 탈수 효율이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열처리 온도에 대한 효과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게 나타났다.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dewaterability of sewage sludge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sea waste materials as a dewatering aid. It was made from a starfish and a shell by heating at $105∼700 ^{\circ}C$ and centrifuge and belt press were used as a mechanical dewatering process. The moisture content of sludge cake was reduced by 15∼22% (w/w) after addition of the dewatering aid at the dose of 1∼8 g/100mL of digested sludge. CST (capillary suction tim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ewatering aid on sludge dewatering properties. CST was reduced after addition of a shell while increased after addition of a starfish. Enhancement of dewaterability after addition of a shell was better than that of a starfish. The heating temperature effect of the dewatering aid on dewaterability was not clear.

      • KCI등재

        문어 통발용 대체 미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안영일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6 No.3

        In order to replace sardine baits for octopus pot, an efficacy experiment to lure with alternative bait (fermented skate or chicken skin in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pots and sardine pot were conducted in a circular water tank. The soaking time of the sardine bai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ix days or less and seven days or more. The behavioral response of octopus to the artificial bait pots and sardine pot were investigated. In the comparison of the luring effects between pots with fermented skate inside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and sardine pot, the pot with artificial crab + fermented skate had better results than the other pots in the section distribution (31.6%) and the number of times the pot was entered into (20.0%) (p > 0.05). In the comparison of the luring effects between pots with chicken skin inside artificial crab or northern clam and sardine pot, the pot with northern clam + chicken skin had better results than the other pots in the section distribution (22.6%) and number of times the pot was entered into (55.6%) (p < 0.05). The results were also better compared to those of pot with artificial crab + fermented skate.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in the luring effect aspect, sardine bait can be replaced with artificial bait consisting of chicken skin inside northern clam. 문어 통발용 정어리 미끼를 대체하기 위하여, 대체미끼(인공 게, 북방조개 안에 삭힌 홍어 또는 닭 껍질을 넣은 것) 통발과 정어리 통발의 유인 효과실험을 원형 수조에서 행하였다. 정어리 미끼의 침지시간을 6일 이하와 7일 이상으로 구분하고 인공미끼 통발과 정어리 통발에 대한 문어의 행동반응을 조사하였다. 인공 게 또는 북방조개 안에 삭힌 홍어를 넣은 통발과 정어리 통발과의 유인 효과 비교에서는 인공 게+삭힌 홍어 통발이 구간분포율(31.6%)과 입롱횟수(20.0%) 측면에서 다른 통발보다 좋았다. 인공 게 또는 북방 조개 안에 닭 껍질을 넣은 통발과 정어리 통발과의 유인 효과 비교에서는 북방 조개+닭 껍질 통발이 구간분포율(22.6%)과 입롱횟수(55.6%) 측면에서 다른 통발보다 좋았고 또한 인공 게+삭힌 홍어 통발보다도 좋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북방조개 안에 닭 껍질을 넣은 인공미끼는 유인 효과 면에서 정어리 미끼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 조개류를 이용한 리그닌의 열분해 반응

        ( Hoda Shafaghat ),황유진,류수민,정재훈,박영권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0

        리그닌 열분해 과정에서 리그닌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char의 melting 및 agglomeration에 의해 원활한 열분해 반응이 힘들어 연속적 반응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리그닌 열분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그닌에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하여 열분해 공정에 쓰는 등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조개 껍질류는 calcium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폐기물로 높은 온도에서 소성을 통해 calcium oxide로 전환 된다. 따라서 리그닌의 연속식 열분해 공정에서 조개 껍질류를 활용하면 char agglomeration 방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꼬막, 폐홍합의 껍질을 소성하여 리그닌과 함께 열분해 반응을 수행 하고 반응 후 생성물인 가스와 바이오 오일을 GC/TCD, FID 및 GC/MS로 분석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sup>**</sup> 이 성과는 2017년도 정부(과학기술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7M1A2A208767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