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축분뇨와 Energy Crop의 혐기성통합소화 시 회분식 최종생분해도 평가

        강호,정지현,정광화,안희권,현재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추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3 No.-

        고유가 및 국제적 환경규제 강화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2013년 온실가스 감축 의무대상국으로의 편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분야의 신재생에너지 사업기반 마련을 위해 가축분뇨를 비롯한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소화 방식을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및 에너지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농업부문의 급속한 시장개방으로 외국산 축산물의 수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축산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금지에 대비한 육상처리시설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 가축분뇨 및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소화 기술 적용은 장래 해양배출 금지에 따른 처리시설 기반확보와 동시에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환경적 기능, 메탄가스와 같은 재생에너지 생산 그리고 소화슬러지는 퇴·액비화 후 양질의 유기질 비료로 활용하는 등 자원순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축분뇨 및 농축산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회분식 혐기성소화 실험을 통해 각 연구대상 통합시료의 분해속도 및 생분해 특성을 평가하고, 가축분뇨 및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통합소화 플랜트 설계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혐기성 통합 소화 대상 농축산바이오매스는 동계사료작물 청보리, 하계사료작물 사료용 옥수수, 가축분뇨는 우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축분뇨와 Energy Crop의 혼합비는 VS기준으로 60 : 40이었으며, 식종균은 D시의 하수처리장의 중온혐기성소화균을 채취하여 순응적응시켜 이용하였다. 최종생분해도평가는 Graphical Statistic Analysis Method와 BMP Test를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120일동안 우분의 최종생분해도는 72~73%이었으며 가축분뇨와 사료작물의 혼합비 60:40 조건에서 우분+옥수수 통합시료는 83~85%, 우분+청보리 통합시료는 80%의 최종생분해도를 나타내었다. 우분의 전체 생분해성 유기물 중 빠르게 분해되는 분율(S1)은 78%으로 k1(0.087day-1)의 속도로 25일 안에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느리게 분해되는 S2 분율은 22%로써 k2(0.004day-1)의 속도로 95일의 긴 시간동안 분해하였다. 우분+사료용 옥수수 통합시료(혼합비 60:40)의 S1은 25일 동안 BVS 중 80%가 0.090day-1(k1)의 속도로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S2는 95일 동안 k2, 0.004day-1의 속도로 BVS의 20%가 분해되었다. 우분+청보리 통합시료(혼합비 60:40)의 S1은 30일 동안 BVS 중 76%가 0.069day-1(k1)의 속도로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S2는 90일 동안 k2, 0.009day-1의 속도로 BVS의 24%가 분해되었다.

      • 일본의 수출통제제도

        강호 한국안보통상학회 2007 안보통상연구 Vol.1 No.2

        일본의 비확산 수출통제 법체계는 법률, 정령, 성령, 통달 등으로 되어 있고 물품과 기술 의 법령으로 양분되어 있어 있으며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가운데 국제평화와 안전을 유지하 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통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은 외국과는 달리 오직 경제산업성이 모든 품목의 수출통제를 관장하고 있다. 특히 무기는 ‘무기수출 3원칙’에 따라 ① 북한, 중 국, 쿠바 등 공산주의 국가, ② UN 안보리 결의에 의거, 무기 등의 수출이 금지되고 있는 국 가, ③ 국제분쟁의 당사국 또는 분쟁의 우려가 있는 국가로의 수출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통제품목은 국제체제 통제품목과 비통제품목 모두 통제하며 특히 최종용도와 최종사용 자가 의심스러울 경우 비통제품목을 통제하는 캐치올 제도와 무형수단에 의한 기술이전 통 제가 선진화되어 있다. 또한 UN안보리 결의 이행 조치로서 중개 및 환적을 통제하고 WMD 와 미사일을 확산하는 국가에 대해 경제제재를 가하고 있다. 또한 법규 위반에 대한 벌칙과 단속 등 집행이 엄격하며, 무지에 인한 법규위반을 인정하지 않는다. 위반기업은 형사벌과 수출입금지 등 행정제재 등의 처벌뿐만 아니라 위반사실이 공개됨으로써 기업의 신용과 명 성에 타격을 입게 된다. 경제산업성은 수출통제 수출허가 심사 및 단속 강화와 함께 기업의 자율적 수출관리 촉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CP모델을 기업들에게 보급하여 이행 토록 하고 우수기업에게는 포괄수출허가의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와 CISTEC은 CP를 지원, 촉진하기 위한 교육훈련과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요컨대, 일본의 수출통제제도는 수출통제의 거의 모든 요소를 반영한 완벽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행과 집행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캐치올, 중개, 환 적, 기술의 무형이전(ITT) 통제 등은 향후 우리가 보완하고 도입해야 할 분야로서 이를 충 분히 참고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통제 법제도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legal system of export control in Japan is composed of laws, cabinet orders, ministry orders, etc., with laws and regulations on goods and technology separated respectively. In Japan, export controls are limited to the minimum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Unlike other countrie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Industry(METI) is the sole government agency which is responsible for export controls, covering all arms, dual-use goods, software and technologies. As far as export control on arms is concerned, Japan sticks to "Three Principles on Arms Exports," which do not permit the export of arms to (1) communist countries, (2) states subject to an arms export embargo under a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and (3) countries involved in or likely involved in international conflicts. The items subject to export control are those listed by multilateral export control regimes, and additionally non-listed ones where their end-use or end-user may be involved in the proliferation of WMD and missiles. The Catch-all and intangible transfer of technology(ITT) control systems are well developed and contain a lot to be benchmarked. In addition to strict license processing and enforcement, METI focuses on the promotion of corporate export control system through industry outreach activities as well as by distributing model compliance program(CP) among exporters. In conclusion, Japan is seen as having a near-to-perfect export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all elements of export controls, notably ITT, catch-all, brokering, transshipment, which I suggest are to be complemented or introduced by South Korea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export control system.

      • KCI등재

        배출원별 음식물 쓰레기 발생 특성 및 아파트 단지에서의 퇴비화 방안 (대전 및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강호,이옥임,김종원,허형우,한승호,Kang, H.,Lee, O.L.,Kim, J.W.,Hur, H.W.,Han, S.H. 유기성자원학회 1998 유기물자원화 Vol.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ypical composition of food waste from municipal solid wastes (MSW) and unit food waste generation rates from different sources in the model cities and to study the food waste management system from unit household to composting facilities. The annual average food waste composition of MSW was determined as 49% in Taejon and 52% in Chungnam Province, respectively. No big difference in food waste composition was found among the different sources. Since the paper waste generally occupied the half of food waste, over 75% of MSW was found to be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Per capita food waste generation rate, 200~250g/capita day was determined by the direct measurement from 32 households, while 380g/capita day for Chungnam Province and 400 g/capita day for Taejon were estimated by the load count analysis In the sanitary landfills. This difference means people contribute generating food waste at outside house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at at inside house. Per capita food waste generation rates from several sources were determined as follows; 166~215g/capita day at municipalities, 400g/visitor day at a first class hotel, 170g/student day at a university restaurant. Food waste generation from restaurant was strongly dependant upon it's level or quality; 670g/capita day at the high level restaurant, 190g/capita day at the middle class and 60 g/capita day at the lower class restaurant. The food waste reduction rate in a In situ fermentor showed 30~40g/kg day.

      • 가축분뇨와 Energy Crop의 혐기성통합소화 시 회분식 최종생분해도 평가

        강호,정지현,정광화,안희권,현재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2

        고유가 및 국제적 환경규제 강화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2013년 온실가스 감축 의무대상국으로의 편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분야의 신재생에너지 사업기반 마련을 위해 가축분뇨를 비롯한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소화 방식을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및 에너지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농업부문의 급속한 시장개방으로 외국산 축산물의 수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축산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금지에 대비한 육상처리시설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 가축분뇨 및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소화 기술 적용은 장래 해양배출 금지에 따른 처리시설 기반확보와 동시에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환경적 기능, 메탄가스와 같은 재생에너지 생산 그리고 소화슬러지는 퇴・액비화 후 양질의 유기질 비료로 활용하는 등 자원순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축분뇨 및 농축산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회분식 혐기성소화 실험을 통해 각 연구대상 통합시료의 분해속도 및 생분해 특성을 평가하고, 가축분뇨 및 농축산바이오매스의 혐기성통합소화 플랜트 설계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혐기성 통합 소화 대상 농축산바이오매스는 동계사료작물 청보리, 하계사료작물 사료용 옥수수, 가축분뇨는 우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가축분뇨와 Energy Crop의 혼합비는 VS기준으로 60 : 40이었으며, 식종균은 D시의 하수처리장의 중온혐기성소화균을 채취하여 순응적응시켜 이용하였다. 최종생분해도평가는 Graphical Statistic Analysis Method와 BMP Test를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120일동안 우분의 최종생분해도는 72~73%이었으며 가축분뇨와 사료작물의 혼합비 60:40 조건에서 우분+옥수수 통합시료는 83~85%, 우분+청보리 통합시료는 80%의 최종생분해도를 나타내었다. 우분의 전체 생분해성 유기물 중 빠르게 분해되는 분율(S1)은 78%으로 k1(0.087day-1)의 속도로 25일 안에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느리게 분해되는 S2 분율은 22%로써 k2(0.004day-1)의 속도로 95일의 긴 시간동안 분해하였다. 우분+사료용 옥수수 통합시료(혼합비 60:40)의 S1은 25일 동안 BVS 중 80%가 0.090day-1(k1)의 속도로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S2는 95일 동안 k2, 0.004day-1의 속도로 BVS의 20%가 분해되었다. 우분+청보리 통합시료(혼합비 60:40)의 S1은 30일 동안 BVS 중 76%가 0.069day-1(k1)의 속도로 빠르게 분해하였으며, S2는 90일 동안 k2, 0.009day-1의 속도로 BVS의 24%가 분해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