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4
이 글에서 다룬 환동해지역이란 한국의 중동부 해안지역에 있는 양양 오산리·가평리·지경리·용호리, 고성 문암리·철통리, 강릉 초당동 등과 동북해안의 선봉 서포항, 신포시 강상,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끄로노프까 1, 자이씨노프까 7, 클럭 5 지역 등이다. 이곳에서 생겨났던 신석기문화와, 신석기 집단들간의 사회교류, 그리고 당시의 환경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토기의 출현 여부가 기준이 된다. 석기는 후기 구석기 말기이후의 좀돌날과 좀돌날몸돌, 그리고 버들잎 모양의 양면 조정 찌르개도 포함되는데 신석기 이후에도 지속된다. 최근의 연해주 지역의 편년은 Rudnaya > Boisman > Krounovka > Zaisanovka의 4 단계로 구분된다. 한국 중동부지역의 신석기 편년은 오산리 > 지경리 단계로 나뉘어진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시대 고환경은 산소동위원소, 해수면, 꽃가루 등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며 이를 가지고 생업에 대한 추구도 가능하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 유적은 해안사구와 석호지역으로 특정지워 진다. 이곳은 해풍이 약하고 옹화하며 생물종이 다양하여 신석기 사람들이 매우 선호했을 지역으로 생각된다. 환경자료와 문화유물로 볼 때 환동해지역의 생업은 사냥 / 채집 / 물고기·조개잡이 / 농사짓기 등이 모두 영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동해지역의 교류는 백두산 지역의 흑요석이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문화를 고찰하여 볼 때 한국의 신석기문화는 전신세의 개시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동북아시아 일대의 신석기문화와 동질성을 가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결국 한국 신석기문화의 시공간상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Neolithic Sites of the Circum-East Sea Area of this article include Osan-ni·Gapyeong-ni· Jigyeong-ni sites of Yangyang County, Munam-ni·Cheoltong-ni sites of Goseong County, and Chodang-dong of Gangneung City of Middle-East Coast Area, Seopohang site of Seonbong County of Northeast Coast Area, and Krounovka 1 site · Zaisanovka 7 · Klerk 5 sites of Primorye Region in Russian Far East. The Neolithic Period of these regions begins with the invention of pottery. Neolithic stone tools are blades, laurel-leafed bifacial points, and microcores and microblades which were made from Upper Palaeolithic through Epi-Paleolithic till Neolithic as well as many polished stone tools. While the chronology of Neolithic sites in the Primorye Region was going on with 4 steps as Rudnaya (before 7,000BP) > Boisman (around 5,000BP) > Krounovka > Zaisanovka (4,500BP), in the Middle-East Coast of Korea the chronology was developed as Osan-ni (before 7,000BP) > Jigeong-ni (5500BP). Paleoenvironments of Circum-East Sea Region in Neolithic Period could be reconstructed by Sea-level fluctuations. AMS, Oxygen Isotope Stage, Pollen Analysis, Faunal Analysis etc. It might be a little warmer and milder than now. Neolithic subsistence activities can be traced with those ecofacts collected from pollen and batanical analyses and artifacts discovered through many excavations. The subsistence of Circum-East Region in the Neolithic Period was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agriculture.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ere very characteristic, People of that time in that region usually chose the coastal sand dunes and lagoons. It is presumed that Neolithic people might prefer those places where there was no surge. and where the climace was mild, and wild varieties of organisms were so plentiful. The interaction of Neolithic Peopl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as conducted mainly by the exchange or Obsidian near Paektu-Mountain. Considering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Circum-East Sea region the Korean Neolithic could start with the Holocene beginning like many other sites in this region. and have much homogeneities within Notheast Asia s Neolithic.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5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최근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사란 발굴성과의 진전과 새로운 발굴자료의 출현 그리고 이들과 함께 새로운 사고나 연구방법의 진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발전적 측면을 찾아보고, 장차를 전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연구 성과를 몇 개의 주제로 나누었는데,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고환경, 신석기시대의 생업, 사회와 교류 등이 그것이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토기가 출현하는데 주안점을 두다보니 때로는 그 시기가 Pleistocene으로 넘어가가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고산리 유적이 이러한 현상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신석기시대의 시작과 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미묘하고 세련된 사유를 요구한다고 본다. 중서부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으며 지질학, 퇴적학적 지식과 연대측정, 꽃가루분석 등이 유물에 의한 형식분류 못지않게 중요할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온난화로 인한 해면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에 따른 고기조간대 및 토탄층의 형성이 중요하다. 현재 중서부지역의 생업에 대해서는 사냥 채집 물고기잡이 농사짓기 활동 모두가 찾아진다. 서해도서의 자연유물 동정도 상당히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통한 유적의 성격이나 생업활동에 대한 가설이 제기되는 수준이다. 취락과 야외집석유구의 증가로 사회구성 및 교역의 연구가 장차 활발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신석기연구를 전망함에 있어서는 현재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 필요한 몇몇 개념들 - 즉 번역작업, 자연과학, 민족고고학, 민속학 등이 신석기 연구에 얼마나 어떻게 유용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최근의 외국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사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achievements of new excavations in Central -Western Korea, and consider the recent studies of Chulmun (Neolithic) Culture in that region. According to th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in Chulmun Period lately (since 2000), the beginning and ending of Chulmun Perio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hulmun Chronology, some explanations to the subsistence economy,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etc. are main subjects.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s about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Period in Northeast Asia and now the consensus is made that Neolithic Period comes up with Pottery. In Northeast Asia the beginning of Neolithic even went back to Pleistocene. The Gosan-ri site in Jeju Province of Korea might correspond to that moment but the Mid -Western Neolithic would be far later than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 Neolithic in the Mid -Western region began around 5,000 BC which is drawn by typology.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chronology in future should be made not only by typology but by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alyses, and pollen analyses with AMS dating. The environment of Neolithic Period in Mid-Western region is much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resulted from the Hypsithermal in Holocene. Many palaeotidal flats and peaty soil in Mid-Western region are typical evidences of Neolithic high temperatures, and these peat and palaeo- tidal flats are very important data to study Neolithic subsistence / economy and the location of settlement. We have now many ecofacts from which Neolithic people hunted and gathered. The identification of plant and animal species made us expect that the Neolithic subsistence in Mid-Western region included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cultivation. Considering those excavated data so fa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must have been year -round settlements around in many coastal islands. In addition, Neolithic settlements constantly increased in numbers can cause some developments in study of organization and trade. In perspective of doing desirable Neolithic research we should know the current trend of modem archaeology. Translation of foreign archaeological books is very important in that respect. Corresponding with ethnology and ethnoarchaeology, and co-work with natural scientists are very urgent also.
다나카 소이치(Tanaka Soichi)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본고는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중심으로 교류를 통해 토기 양식에 보이는 영향관계와 그것이 나 타난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삼동패총은 한반도 동남 해안지역, 부산 영도에 위치하며 신석기시대 조기부터 만기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형성된 유적이다. 이 유적은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이 나 생업 활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해 연구하는데 많은 자료들을 제공해 왔다. 일본 繩文系 유물들의 존재에 관해서도 연구 초기부터 주목되어 왔는데, 최근에 들어 그 동안 未報告이던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한 발굴조사 성과와 새로 조사된 부산박물관 의 발굴보고서가 나와서 韓·日 新石器文化交流 연구에도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게 되 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는 大韓海峽과 玄界灘을 무대로 하여 비슷한 자연환경에 속하는 한반도 南海岸 地域과 對馬島·壹岐島 등 島嶼部를 포함한 일본열도 西北九州 지역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 졌다. 해협을 사이에 둔 양안 지역에서 출토된 토기들을 통해 新石器時代 早期(隆起文系土器群 段階)부터 晩期(二重口緣土器群 段階)까지 계 속해서 교류가 확인되고, 「어로민들의 생업 활동에 따른 구조적인 접촉」에 의한 문 물·정보 교환이 이루어 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시기에 따라 교류가 활발 한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 韓半島 南海岸 地域에서 對馬島·北部九州 地域으로 보 다 적극적으로 건너가려고 하는 의지가 보이는 시기와 그 반대 방향으로 교류가 향하 는 시기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소개하면서 남해안 지역 전체에 시야를 넓히고 토기의 시기별 출토 양상을 기타 交流 關聯 遺物들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新石器時代 早期부터 晩期까지 계속된 兩 地域의 교류 양상을 早·前期 段階, 中·後期 段階, 晩期 段階로 크게 나눌 수 있고, 早·前期 段階와 晩期 段階에 韓·日新石器文化交流가 활발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新石器時代 早·前期의 隆起文系土器群와 刺突·押引文系土器 段階에는 兩 地域 토기에서 어느 정도 유사성 을 인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해 晩期의 二重口緣土器群 段階에는 그러한 유사성을 찾을 수 없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토기 이동의 배경에는 어로 활동뿐만 아 니라 집단관계 유지를 위한 여러 접촉이나 사람들의 이동 등도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各 段階에서 나타난 交流 모습과 영향관계의 差異가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환경 의 변화와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적응방식과도 관련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for the effect relationship shown in Pottery form through exchanges of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was an important part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ts background. Neolithic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primarily done around Korea South Coast Region belong to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focused on Korea Str.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cluding island areas like Taemado (Tsushima), IKI s, etc. Through the potteries excavated in these two districts based on the Strait, it has been confirmed these exchanges continuously from Early to Late of Neolithic. It was known that culture and Information Exchanges was done by the structural contact in accordance with Livelihood of fishing activities. However, depending on its period, there s the time when its exchange was active or not and the time when the commitment shown to cros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Taemado (Tsushima) · the north of Gyusu more actively or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in introducing this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on this study, not only broaden our horizons to the entire south coast area, but looked at the excavated aspects of pottery through time series with mutual exchange of relics. As a result, the exchange aspects of these two regions from the Early to Late of Neolithic could be divided into 3 big period significantly like the early stage, the middle·the latter part, and the last of it. Among them, some similarities could be recognized within Yunggimun Department earthenware, shot down pattern, and Apinmungye Department earthenware from Early Neolithic between these two regions. But such similarities could not be found within Dual oral earthenware group stage from Late Neolithic. On the exchange in the Neolithic Age Cultur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t only for fishing activities, but for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multiple contacts or groups of people moving to the background of pottery movement. Each of the steps shown in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lives of Neolithic people, and it s about how people adapt and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he said.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 에 대한 觀點의 再檢討
이경아(Lee Gyoung Ah)(李炅娥)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0
본고는 필자가 지금까지 분석한 식물유존체 자료에 기초하여 신석기시대 생계상 및 농경에 대한 관점을 재점토한 것이다. 필자가 분석한 자료는 전기의 세죽리, 비봉리유적, 중기와 동삼동, 후기의 용유도와 상촌리유적에서 수집되었다. 세축리 자료는 명아주속을 중심으로 한 잡초종자로 인간 거주지 주변에서 흔한 종들이다. 당시 주민들이 주변의 야생식물자원을 관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비봉리에서는 전기층에서 다량의 도토리와 함께 조 1 립이 출토되었다. 동삼동 자료는 조와 기장이 전체 종자의 45%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명아주 위주의 일년생 잡초종자이다. 상촌리 자료에서는 조와 기장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잡초에서는 가장족이 명아주속을 대체한다. 반면 서해안의 용유도 유적에서는 어떠한 재배종 유체도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분석된 자료로 볼 때 신석기시대의 식물 이용상은 지역별, 유적 특성별로 차이가 있다. 동남부지역의 경우 조와 기장이 재배되는 시점이 중부지역 즐문토기의 확산기와 대략 일치하며, 주거와 자원 이용 양상 역시 변화한다. 만약 비봉리 출토 조의 연대가 전기로 밝혀지면 작물 및 재배기술이 다른 문화현상에 앞서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기존 자원 이용 계획에 큰 저해가 되지 않는다면 조, 기장 같은 재배종은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조와 기장의 확산에서 지역별 다양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중서부 도서의 신석기유적에서는 경작의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반도 전역의 다양한 생계경제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식물유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과 시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한반도의 선사시대유적에서 발견된 작물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화가 일어난 후 들어왔으므로 한반도는 작물의 기원상 이차적 지역에 속한다. 또한 작물 재배가 이루어진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경제상은 집약적 농경 단계 이전의 저차원 식량생산단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review briefly the perspectives on Korean Neolithic subsistence and agriculture based on archaeobotanical remains which I have examined. M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juk-ri and Bibong-ri sites of early Neolithic. Dongsam-dong site of middle Neolithic. and Sangchon-ri and Yongyu-do site of late Neolithic. Sejuk-ri samples are mainly weed seeds of anthropogenic taxa in which Chenopodium species are most abundant.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of surrounding wild plant resources by hunter-gatherers. Among Dongsam-dong samples 45% of seeds are cultivated millets, and others are annual weed seeds mainly of Chenopodium. In Sangchon-ri, the importance of millets were increased and Paniceae weeds replaced Chenopodium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ultivated remains from Yongyu-do site in western coast. Comparing the samples examined so far, plant exploitation system in Korean Neolithic were varied according to periods. regions, and function of the site. In case of the southeast region. the appearance of millet cultivation was roughly correspondent with the spread of mid-west style chulmun pottery. and the patterns of settlement and plant exploitation were also changed at that time. The regional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pread of millet cultivation since the evidence of cultivation has not been found so far from any Neolithic sites in mid-western islan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e Neolithic subsistence economy pattern across Korean peninsular, we urgently need the study on the region and period where no systematic archaeobotanical analysis have been done. Generally it might be said that the subsistence economy during middle and late Neolithic in Korean peninsular belonged to the low-level production with domesticates, being secondary context of agricultural origins.
Lee Yeong Deok(李永德) 한국신석기학회 2004 한국신석기연구 Vol.- No.8
현재까지 한반도 남해안 도서와 마주하고 있는 제주도에서 신석기시대 유적이 확인된 곳은 약 40여개소에 이른다. 이들 유적은 대체로 한반도 남해안 신석기시대 토기의 편년과 맥락을 같이하며, 제주도라는 고립된 지리적 여건이 반영된 양상도 함께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제주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전남 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과 해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양지역 접촉가능성을 토기를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고대 해로의 역추적과 테우에 의한 제주해협 도항의 예를 통해 신석기시대 제주도와 전남 남해안은 충분히 접촉이 가능했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예는 전남 남해안의 외해에 위치한 여서도나 거문도, 가거도 등에서 출토되는 토기편의 유사성과 태토에 현무암 모래가 혼입된 예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한편 전남 남해안과 제주도내에서 중기 선석기 단계가 빈약하면서 오히려 한반도 남부 내륙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필자는 기후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효과에 따른 생업환경의 변화일 가능성을제시했다. In the light of recent archaeological studies have yield more sophisticated Neolithic data in Jeju-Do; in total about 40 find-spots have been researched until recently. The artefacts from this region share some significant characteristic features with those from the southern part of mainland Korea. The author discusses a plausible hypothesis about inter-regional contact with the artefacts themselves and the mean of transportation. Various archaeological data can be applied to this matter. It can be explained by not only the typological sense, but also the inclusion in the pottery clay. An incorporated pot-temper from Jeju-Do is quite identified with those from Yoseo-Do, Komoon-Do and Gageo-Do that belong to Jeonlanam-Do costal area. Also an experimented voyage with a reconstructed shipping craft allows to give an in-depth possibility of the contact between two regions. In additions, the dynamic process of the Middle Neolithic period is likely to be explained by altering subsistence strategy which was caused by rising sea-level.
김동숙(Kim Dong Suk)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3
이 글은 대구 유천동 248-1 번지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 유적의 조사 성과와 의의를 소개하고, 조사 당시에 그 성격을 밝히지 못하였던 흑색토와 수혈 B류의 성격을 재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유천동 248-1번지 유적은 월배 선상지 말단부 충적평야에 위치하는 신석기시시대의 취락유적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방형주거지 2동, 야외노지 6기, 구상유구 3기, 수혈 41기, 집석유구 3기, 주혈 46개에서 38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은 대부분 침선계의 삼각 및 능형 집선문을 시문한 토기가 주를 이루나 이중구연토기도 포함되어 있어 대략 김천 송죽리유적 후기~말기, 김해 수가리 Ⅱ기, 합천 봉계리유적 Ⅱ~Ⅲ기, 청도 오진리 암음유적의 중기~후기의 단계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번 조사를 통해 대봉동. 서변동, 대천동 유적과 함께 대구지역의 신석기시대 연구에 자료를 추가함은 물론 상술한 영남내륙지방의 신석기시대 취락유적의 한 사례를 덧붙였다는 점에서 조사의 의의가 크다 하겠다. 이번 조사 지점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흑색토의 존재로 보아 완신세의 기후 온난화로 지표에 참억새 등의 규산제가 다량 포함된 초원적인 식물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수혈 B류로 구분하였던 유구는 식물교란의 메카니즘 가운데 나무가 넘어진 자연교란의 흔적으로 재고하였다. 이러한 흑색토와 식물교란흔은 신석기시대 후기의 식생과 기후를 포함하는 자연경관의 복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research outcome and significance of the Neolithic age site at Yucheon-dong 248-1 in Daegu, and reconsider the character of both the black soil and the B type of pit houses whose characters were not elucidated during the excavation period. The Yucheon-dong site is a unit settlement site of the Neolithic age, which is located at alluvial plains in the end part of the Wolbae alluvial fan. Through the excavation research, more than 400 relics were exhumed from the following structural remains: two square dwelling sites, six outdoor furnace sites, three spherical structural remains, forty pit houses, fifty four structural remains from three structural remains composed of assembled stones, and forty six post-holes. These relics reveal a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the following different sites: those of the second period of the Suga-ri site in Gimhae, thos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of the Bonggye-ri site in Hapcheon, those betwee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of the Songjuk-ri site in Gimcheon, and those betwee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of the Ojin-ri Ameum site in Cheongdo. That is to say, most of these relics include triangular and rhomboid jipsconmuns(集線紋: collective linear pattern) originated from chimseon (沈線 : incised line), while some of them contain sechimseonmun (細沈線紋: thinly incised linear patten) and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With the Daebong-dong, Seobyeon-dong and Daecbeon-dong sites, the Yucheon-dong site enabled us to add data, which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local history of Daegu in the Neolithic age, through the excavation research. Besides, this research is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fact that this site, with the sites mentioned in the above, added a case of the unit settlement sit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inland Yeongnam region. The black soil identified fro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urface of the earth was being covered with the grassland-flora, which contains many silicic acid materials for example, Miscanthus sinensis group. Such a phenomenon was resulted from the climatic warmth in the Holocene epoch. In addition, the structural remains classified into the B type of pil houses were reconsidered as a mark of the natural derangement where the roots of trees fell by wind and were piled up. The natural disturbance is one of the mechanisms of floral disturbance. It is believed that both the black soil and the floral derangement marks will be utilized as data for restoration of the vegetative environment in the late Neolithic age.
강창화(Kang Chang Hwa),김종찬(Kim Jong Chan)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6
현재 제주도내에서 확인되는 신석기시대 유적의 수는 60여 개소에 이른다. 제주도 본섬을 포함한 부속도서에 이르기까지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되는 추세이다. 제주 신석기시대 고고학은 증가하는 자료의 축적으로 단순한 토기문양의 분류에 따른 편년단계에서 벗어나 발굴된 유구와 유물의 종합적인 해석이 필요한 단계에 있다. 이에 그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제주도 신석기시대를 초기, 조기, 전기, 중기, 후기, 만기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우선 고산리유적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일본의 유적을 비교하여 고산리 신석기 초기문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초기 고산리식토기단계 이후에 나타나는 남부지방 토기단계의 흐름, 즉 조기 융기문토기(신암리식토기)단계 - 전기 자돌압인문토기(영선동식토기) 단계 - 중기 태선침선문토기(수가리1식토기)단계 후기 퇴화침선·압인·압날점열문토기(봉계리식토기) 단계 - 만기 이중구연토기(율리식토기) 단계로의 전개 흐름이 과연 제주도에서는 어떻게 전개되는지 정리하였다. 또한 단편적이나마 지질학 등의 자연과학과의 연계를 통한 제주 신석기시대 고환경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There are more than 60 Neolithic sites throughout Jeju Island including neighboring islets. Neolithic archaeology in Jeju Island needs to interpret artifacts and features thoroughly beyond a sequence dating by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By reviewing the studies on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we classify Neolithic age in Jeju Island into 6 phases like the beginning, earlier, early, middle, late, and the last phase. We examine Gosan ri site as the beginning phase of Neolithic culture, by comparing it with the sites in Russia and Japan. We also order the phases of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by applying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in southern Korean Peninsular. Gosan- ri style pottery is followed by Sinam ri style (the earlier phase), Yeongseon-dong style (the early phase), the first Suga-ri style (the middle phase), Bonggye-ri style (the late phase), and Yul-li style (the last phase) pottery. Lastly, we examin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eolithic age by interpreting ecofacts through natural sciences including geology.
신석기시대 서울·경기·인천지역 출토 간석기에 대한 연구
박준범(Park Jun Bum)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5
이 글은 신석 기시대 서울·경기·인천지역의 유적 중 최근 발굴 조사된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 유물을 생업활동의 관점에서 출토현황과 함께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에서 채용된 석기제작 기술은 떼기 기술과 갈기 수법 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출토된 석기들은 대부분 완성된 형태의 석기 들이며 석기 제작터가 발견되지 않아 제작과정 등을 밝힐 수 있는 구체적인 사항을 찾아내기는 힘이 들었다. 분석된 자료를 통하여 석기의 용도별 분류를 해보면 이 지역에서는 농경보다는 수렵·어로·채집 등이 더 활발히 진행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 지역 신석 기시대 석기연구의 연구방향은 제작방법 복원, 돌감 산지 분석, 쓴자국 분석, 짐승사냥 등 사냥 방법 복원, 후기구석기에서 신석기 시대 이행기의 석기 제작방법 변화,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 이행기의 석기 형식과 제작방식의 변화,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북지방 출토 석기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신석기시대에 채용된 석기제작 방법은 떼기와 갈기를 혼용한 기술이 이용되었으나 물갈이 수법이 이 시기에 바로 채용되었는가는 좀 더 연구와 관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확장된 연구를 위해서는 서울·경기·인천지역의 좀 더 많은 신석기유적이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stone tools related to living activities in the Neolithic Age. The stone implements were excavated recently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As a result, during the Neolithic Age, techniques of making stone tools in midwestem region of Korea, were mostly chipping and grinding. However, the majority of excavated stone tools around these areas were completed in its shape but there were no sign of workshop sites which enable us to understand the specific procedure of the manufacturing stone implements. According to the analyzed materials classified into their usage, in these areas, hunting, fishing and gathering were more actively done than primitive farming cultivation. Hereafter, the research about Neolithic stone implements foun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 should be focused on three following themes : firstly, restoration of hunting methods through studies of re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stone tools, analysis of places where raw materials of stone tools came from, its original production area, analysis of tools traces and marks while using and animal hunting. Secondly, transition of stone tool producing methods from the late Paleolithic Age to Neolithic Era. Thirdly, changes of manufacturing styles and structures of stone implement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period. Finally, comparison of stone tools between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and that from northeast region of China are necessary. Grinding and chipping were the main methods to make stone tools in the Neolithic Age. However, there need to be some more researches on applying water-grinding skill to make stone tools during this era. For expansion of studies one stone tools, more sites of the Neolithic Age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should be excavated.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1
강원 영서지방은 북한강 유역의 북부와 남한강 유역의 남부로 나뉜다. 이 글은 남한강 상류의 석회암 지대인 충북지방까지 포함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들은 삼면이 바닷가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숙한 내륙에 해당되며, 신석기문화의 자취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왔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신석기 유적의 수는 적지 않다. 기초 조사만 이루어진 유적까지 고려하면 앞으로 급격히 늘어날 것이다. 유적의 입지는 한데유적이나 동굴, 바위그늘 등으로 다양하다. 신석기 중기 이후에 많이 점유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신석기 사람들은 사냥과 채집, 물고기잡이 생활을 주로 영위했다. 서로간에 뿐만 아니라 바닷가, 그리고 한반도의 중서부지역과도 활발한 교역을 하였다. 사람들이 죽은 뒤에는 무덤을 써주었다. 동굴은 주거의 기능을 했던 것과 아울러 무덤이 쓰인 공간이기도 하다. 동굴유적은 남 · 북한강 유역에서 6곳이나 되는데 자연유물이 풍부하게 남아있어 신석기시대의 환경과 생업에 막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점에서 바닷가 조개더미유적과 대응된다. 그리고 사냥 · 채집 · 물고기잡이를 보여주는 각종 유물이 풍부하게 출토되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 및 섬세한 작업에 쓰이는 뼈도구들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상시 바위그늘의 경우). 동굴유적은 겨울나기가 좋고 살았던 시간 범위가 넓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까지도 계속 사용되었다는 점 등에서 장차 신석기 연구의 중심 주제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영서지방 신석기문화의 존재는 이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환경연구, 유적과 유물연구, 생업경제와 사회구성 등 각종 대주제들이 연구를 기다리고 있다. 발굴을 통한 자료의 축적과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Yongsu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wo regions. The one is North Han River valley, the other South Han River valley. The writer deal with both of these two regions added some Karst topographies of Chungchong Bukto Province. Even if Korea has some open and levelled regions caused by having three seas around it s border,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 are the deepest hinterland of Korea. That is why most people think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have few Neolithic sites, artifacts and Neolithic villagers. Recently there are many newly discovered Neolithic sites through the excavations which were planned to build variou dams across many rivers since 1980. Now we can expect we will have much more Neolithic site and marerials in the future. Neolithic sites are widely distributed over at open areas, caves or rock shelters in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Those were occupied since middle stage of the Age. People of Neolithic usually did for a living by hunting, gathering, and fishing. They exchanged good with each other as well as with who lived in distance from sea or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they made tombs for their ancesters. Caves were mainly used for dwelling sites - they were especially available for the winter, while it was repeatedly used for tombs. There are 6 Neolithic cave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Han River valleys. They had plenty of ecofact as well as abundant artifacts and bone tools. All these things suggested to us that cave dwellers did gathering / hunting / fishing and delicate everyday life. Indeed, caves will be the main themes of Neolithic studie of Korean Archaeology because of their material abundance, long duration of occupation, and their historical continuity to the Bronze Age. As the Neolithic culture of Yongsu District of Gangwon Province came into exitence recently, soon we suppose will the big themes like Neolithic environment, sites and artifacts, subsistence and social organization etc. be resolved. Accmulation of data through excavations and studies in detail will have to be done.
古澤義久(Yoshihisa Furusawa) 한국신석기학회 201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2
大韓海峽을 둘러싼 韓日 新石器時代 交流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근년, 교류는 상대적으로 단편적이고 규모가 작았으며, 토기문화에 있어서는 상호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하나의 조류를 이루고 있다. 또 한일 토기 교류에 관한 연구 동향의 한 측면으로서, 대한해협을 낀 지역의 교류를 동북아시아 전체 속에서 위치지우려고 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韓半島丸底土器에 중심을 두고 한반도 환저토기문화의 최단부에서의 토기문화 교류를 비교하여, 대한해협에서의 토기문화 교류를 한반도 환저토기문화 측에서 상대화함을 목적으로 하는 검토를 행하였다. 신석기시대 중기의 한반도환저토기와 극동평저토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清川江流域에서는 평저토기가 기본이지만 평저토기의 문양이 환저토기에 시문되는 절충토기 등이 보이면서 평저토기와 환저토기가 공존하며, 咸鏡南道에서도 평저토기와 환저토기가 공존하는 강상리유형이 전개된다. 또, 한반도 환저토기와 황하 하류역 신석기시대 토기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한 토기문화 교류가 인정되지 않는다. 해협을 낀 지역으로서 大韓海峽과 黃海를 비교하면, 확실한 토기문화 교류의 존부에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 이 차이는 섬과 육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관계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또, 대한해협과 청천강유역·함경남도를 비교하면, 절충토기 양식의 형성 여부에 차이가 보인다. 이 차이는 해협의 유무라는 자연환경과 함께 교류의 담당자와 내용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며, 구체적으로는 한일 간 교류의 담당자가 남성인 어로민이 중심이고 교류 형태도 간헐적인 것이라는 종래의 지적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보인다. Prolific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exchange of the Neolithic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Korea peninsula. Recently, there appears a new trend that points out the exchange was relatively fragmentary and small and had almost little influence. And also there is a tendency to locate pottery exchange through Korea peninsula in the set of whole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trend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pottery culture on the bottom level of the Hwanjeo(round bottom) pottery culture and reviewed to make the exchange of pottery in the Straits of Korea relative in the context of the Hwanjeo culture in the Korea peninsula. In the relation between the Hwanjeo pottery in the Korea peninsula and the Far East Pyeongjeo(flat bottom) pottery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while the Pyeongjeo pottery was widespread in the area of the Cheongcheon River, the Hwanjeo pottery existed together having the Jeolchung(mixed type) pottery in which pattern of the Pyeongjeo pottery was inscribed in the Hwanjeo pottery. In Hamgyeongnam-do, Gangsang-ri type in which the Pyeongjeo and Hwanjeo potteries co-existed was found. And, there was no clear exchange between the Korea peninsula Hwanjeo pottery and the pottery in the Neolithic period in the downstream of the Yellow River. There is an explicit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apparent pottery culture exchange when it comes compare the Straits of Korea and the Yellow Sea as areas with straits. This difference may link to a matter if island and land can be seen with naked eyes. When the Straits of Korea, the Cheongcheon River and Hamgyeongnam-do are compared, there is a different in the Jeolchung pottery pattern formation. This difference is conjectured to be caused by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existence of strait. Specifically, the facts that attendants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male fishermen, and that the exchange type was sporadic seem to support the remark as in the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