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지역 신석기시대의 문화와 사회교류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4

        이 글에서 다룬 환동해지역이란 한국의 중동부 해안지역에 있는 양양 오산리·가평리·지경리·용호리, 고성 문암리·철통리, 강릉 초당동 등과 동북해안의 선봉 서포항, 신포시 강상,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끄로노프까 1, 자이씨노프까 7, 클럭 5 지역 등이다. 이곳에서 생겨났던 신석기문화와, 신석기 집단들간의 사회교류, 그리고 당시의 환경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토기의 출현 여부가 기준이 된다. 석기는 후기 구석기 말기이후의 좀돌날과 좀돌날몸돌, 그리고 버들잎 모양의 양면 조정 찌르개도 포함되는데 신석기 이후에도 지속된다. 최근의 연해주 지역의 편년은 Rudnaya > Boisman > Krounovka > Zaisanovka의 4 단계로 구분된다. 한국 중동부지역의 신석기 편년은 오산리 > 지경리 단계로 나뉘어진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시대 고환경은 산소동위원소, 해수면, 꽃가루 등에 의해 다양하게 연구되며 이를 가지고 생업에 대한 추구도 가능하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 유적은 해안사구와 석호지역으로 특정지워 진다. 이곳은 해풍이 약하고 옹화하며 생물종이 다양하여 신석기 사람들이 매우 선호했을 지역으로 생각된다. 환경자료와 문화유물로 볼 때 환동해지역의 생업은 사냥 / 채집 / 물고기·조개잡이 / 농사짓기 등이 모두 영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동해지역의 교류는 백두산 지역의 흑요석이 주도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환동해지역의 신석기문화를 고찰하여 볼 때 한국의 신석기문화는 전신세의 개시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동북아시아 일대의 신석기문화와 동질성을 가졌던 것으로 나타난다. 결국 한국 신석기문화의 시공간상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Neolithic Sites of the Circum-East Sea Area of this article include Osan-ni·Gapyeong-ni· Jigyeong-ni sites of Yangyang County, Munam-ni·Cheoltong-ni sites of Goseong County, and Chodang-dong of Gangneung City of Middle-East Coast Area, Seopohang site of Seonbong County of Northeast Coast Area, and Krounovka 1 site · Zaisanovka 7 · Klerk 5 sites of Primorye Region in Russian Far East. The Neolithic Period of these regions begins with the invention of pottery. Neolithic stone tools are blades, laurel-leafed bifacial points, and microcores and microblades which were made from Upper Palaeolithic through Epi-Paleolithic till Neolithic as well as many polished stone tools. While the chronology of Neolithic sites in the Primorye Region was going on with 4 steps as Rudnaya (before 7,000BP) > Boisman (around 5,000BP) > Krounovka > Zaisanovka (4,500BP), in the Middle-East Coast of Korea the chronology was developed as Osan-ni (before 7,000BP) > Jigeong-ni (5500BP). Paleoenvironments of Circum-East Sea Region in Neolithic Period could be reconstructed by Sea-level fluctuations. AMS, Oxygen Isotope Stage, Pollen Analysis, Faunal Analysis etc. It might be a little warmer and milder than now. Neolithic subsistence activities can be traced with those ecofacts collected from pollen and batanical analyses and artifacts discovered through many excavations. The subsistence of Circum-East Region in the Neolithic Period was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agriculture.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ere very characteristic, People of that time in that region usually chose the coastal sand dunes and lagoons. It is presumed that Neolithic people might prefer those places where there was no surge. and where the climace was mild, and wild varieties of organisms were so plentiful. The interaction of Neolithic Peoples in the Circum-East Sea region was conducted mainly by the exchange or Obsidian near Paektu-Mountain. Considering the Neolithic Culture of the Circum-East Sea region the Korean Neolithic could start with the Holocene beginning like many other sites in this region. and have much homogeneities within Notheast Asia s Neolithic.

      • KCI등재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와 그 의미

        다나카 소이치(Tanaka Soichi)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본고는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중심으로 교류를 통해 토기 양식에 보이는 영향관계와 그것이 나 타난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삼동패총은 한반도 동남 해안지역, 부산 영도에 위치하며 신석기시대 조기부터 만기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형성된 유적이다. 이 유적은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이 나 생업 활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해 연구하는데 많은 자료들을 제공해 왔다. 일본 繩文系 유물들의 존재에 관해서도 연구 초기부터 주목되어 왔는데, 최근에 들어 그 동안 未報告이던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한 발굴조사 성과와 새로 조사된 부산박물관 의 발굴보고서가 나와서 韓·日 新石器文化交流 연구에도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게 되 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는 大韓海峽과 玄界灘을 무대로 하여 비슷한 자연환경에 속하는 한반도 南海岸 地域과 對馬島·壹岐島 등 島嶼部를 포함한 일본열도 西北九州 지역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 졌다. 해협을 사이에 둔 양안 지역에서 출토된 토기들을 통해 新石器時代 早期(隆起文系土器群 段階)부터 晩期(二重口緣土器群 段階)까지 계 속해서 교류가 확인되고, 「어로민들의 생업 활동에 따른 구조적인 접촉」에 의한 문 물·정보 교환이 이루어 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시기에 따라 교류가 활발 한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 韓半島 南海岸 地域에서 對馬島·北部九州 地域으로 보 다 적극적으로 건너가려고 하는 의지가 보이는 시기와 그 반대 방향으로 교류가 향하 는 시기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소개하면서 남해안 지역 전체에 시야를 넓히고 토기의 시기별 출토 양상을 기타 交流 關聯 遺物들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新石器時代 早期부터 晩期까지 계속된 兩 地域의 교류 양상을 早·前期 段階, 中·後期 段階, 晩期 段階로 크게 나눌 수 있고, 早·前期 段階와 晩期 段階에 韓·日新石器文化交流가 활발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新石器時代 早·前期의 隆起文系土器群와 刺突·押引文系土器 段階에는 兩 地域 토기에서 어느 정도 유사성 을 인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해 晩期의 二重口緣土器群 段階에는 그러한 유사성을 찾을 수 없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토기 이동의 배경에는 어로 활동뿐만 아 니라 집단관계 유지를 위한 여러 접촉이나 사람들의 이동 등도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各 段階에서 나타난 交流 모습과 영향관계의 差異가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환경 의 변화와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적응방식과도 관련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for the effect relationship shown in Pottery form through exchanges of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was an important part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ts background. Neolithic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primarily done around Korea South Coast Region belong to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focused on Korea Str.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cluding island areas like Taemado (Tsushima), IKI s, etc. Through the potteries excavated in these two districts based on the Strait, it has been confirmed these exchanges continuously from Early to Late of Neolithic. It was known that culture and Information Exchanges was done by the structural contact in accordance with Livelihood of fishing activities. However, depending on its period, there s the time when its exchange was active or not and the time when the commitment shown to cros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Taemado (Tsushima) · the north of Gyusu more actively or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in introducing this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on this study, not only broaden our horizons to the entire south coast area, but looked at the excavated aspects of pottery through time series with mutual exchange of relics. As a result, the exchange aspects of these two regions from the Early to Late of Neolithic could be divided into 3 big period significantly like the early stage, the middle·the latter part, and the last of it. Among them, some similarities could be recognized within Yunggimun Department earthenware, shot down pattern, and Apinmungye Department earthenware from Early Neolithic between these two regions. But such similarities could not be found within Dual oral earthenware group stage from Late Neolithic. On the exchange in the Neolithic Age Cultur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t only for fishing activities, but for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multiple contacts or groups of people moving to the background of pottery movement. Each of the steps shown in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lives of Neolithic people, and it s about how people adapt and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he said.

      • KCI등재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신숙정(Shin Sook Chung)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5

        필자는 2000년대 이후 최근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사란 발굴성과의 진전과 새로운 발굴자료의 출현 그리고 이들과 함께 새로운 사고나 연구방법의 진전으로부터 얻어지는 발전적 측면을 찾아보고, 장차를 전망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연구 성과를 몇 개의 주제로 나누었는데,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고환경, 신석기시대의 생업, 사회와 교류 등이 그것이다. 현재 동북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토기가 출현하는데 주안점을 두다보니 때로는 그 시기가 Pleistocene으로 넘어가가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고산리 유적이 이러한 현상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신석기시대의 시작과 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미묘하고 세련된 사유를 요구한다고 본다. 중서부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으며 지질학, 퇴적학적 지식과 연대측정, 꽃가루분석 등이 유물에 의한 형식분류 못지않게 중요할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온난화로 인한 해면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에 따른 고기조간대 및 토탄층의 형성이 중요하다. 현재 중서부지역의 생업에 대해서는 사냥 채집 물고기잡이 농사짓기 활동 모두가 찾아진다. 서해도서의 자연유물 동정도 상당히 이루어져있으며 이를 통한 유적의 성격이나 생업활동에 대한 가설이 제기되는 수준이다. 취락과 야외집석유구의 증가로 사회구성 및 교역의 연구가 장차 활발해질 것으로 예견된다. 신석기연구를 전망함에 있어서는 현재 고고학을 연구함에 있어 필요한 몇몇 개념들 - 즉 번역작업, 자연과학, 민족고고학, 민속학 등이 신석기 연구에 얼마나 어떻게 유용할 것인가를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최근의 외국 고고학 연구방법이나 사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achievements of new excavations in Central -Western Korea, and consider the recent studies of Chulmun (Neolithic) Culture in that region. According to the various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in Chulmun Period lately (since 2000), the beginning and ending of Chulmun Perio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Chulmun Chronology, some explanations to the subsistence economy, social organization and trade etc. are main subjects.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s about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Period in Northeast Asia and now the consensus is made that Neolithic Period comes up with Pottery. In Northeast Asia the beginning of Neolithic even went back to Pleistocene. The Gosan-ri site in Jeju Province of Korea might correspond to that moment but the Mid -Western Neolithic would be far later than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 Neolithic in the Mid -Western region began around 5,000 BC which is drawn by typology.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chronology in future should be made not only by typology but by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alyses, and pollen analyses with AMS dating. The environment of Neolithic Period in Mid-Western region is much influenced by the sea- level rise resulted from the Hypsithermal in Holocene. Many palaeotidal flats and peaty soil in Mid-Western region are typical evidences of Neolithic high temperatures, and these peat and palaeo- tidal flats are very important data to study Neolithic subsistence / economy and the location of settlement. We have now many ecofacts from which Neolithic people hunted and gathered. The identification of plant and animal species made us expect that the Neolithic subsistence in Mid-Western region included gathering, hunting, fishing and cultivation. Considering those excavated data so fa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must have been year -round settlements around in many coastal islands. In addition, Neolithic settlements constantly increased in numbers can cause some developments in study of organization and trade. In perspective of doing desirable Neolithic research we should know the current trend of modem archaeology. Translation of foreign archaeological books is very important in that respect. Corresponding with ethnology and ethnoarchaeology, and co-work with natural scientists are very urgent also.

      • KCI등재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구자진(Koo Ja Jin)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3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구조와 특징, 변화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기존의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편년과 지역권설정은 좀 더 세분화 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두만강유역, 압록강유역, 대동강·황해도지역, 한강·임진강유역, 중동부지역,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 중부 서해안지역, 남부내룩지역, 남해안 지역의 9개 지역권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별·시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크게 Ⅰ기~Ⅲ기의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Ⅰ기는 기원전 6,000년~기원전 3,500년, Ⅲ기는 기원전 3,500년~기원전 3,000년, Ⅲ기는 기원전 3,000년~기원전 2,000년을 하한으로 분기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기설정 중 Ⅰ기는 집자리 유적의 증가에 따라 세분될 가능성 높으며, Ⅰ·Ⅱ기로 양분한 중서부지역의 경우도 추후 자료의 증가에 따라 Ⅱ기의 경우 Ⅱ기와 Ⅲ기로 세분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집자리의 특징과 절대연대측정값을 통해서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는데 , 두만강 유역과 중동부지역에서는 양 지역의 Ⅰ기 집자리에서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위치 및 바닥처리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Ⅱ·Ⅲ기 집자리에서도 평면형태의 변화, 화덕자리의 구조 및 위치에 있어서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동강·황해도지역은 한강·임진강유역의 동시기인 Ⅰ기에 평면형태, 규모, 출입구시설, 저장구덩 등의 구조에 있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Ⅱ기는 금강유역과 평면 형태(장방형 집자리가 하나의 형식으로 정립)나 구조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남부내륙지역과 압록강유역의 동 시기에도 통일한 양상을 보인다. 한강·임진강유역과 중부 서해안지역은 시기를 달리하여 평면 형태와 기둥구멍 배치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나 화덕자리의 구조와 유적의 입지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집단의 이주 및 확산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중부 서해안지역에서 아직 Ⅰ기에 해당하는 집자리 유적의 조사가 미비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추후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 보아야 할것 같다. 중부 서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은 동시기에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 ‘서해안식 집자리’ 와 ‘대천리식 집자리’가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동시기 집단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금강유역과 남부내륙지역은 집자리의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구조와 위치·형태 등이 동일한 양상을 보여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데, 집자리의 내부구조와 입지에 있어서는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남부내륙지역의 ‘송죽리식 집자리’는 출입구시설과 내부공간분할, 구릉상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대천리식 집자리’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집단의 생계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동일집단의 집자리 형태로 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Study of the dwelling sites in the Neolithic of the Korea in terms of thei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made it possible to segment further existing area selection of casement and chronological recording performed around existing comb-pattern pottery. In Neolithic, there were nine area selection dwelling sites in Korea: The Tomen Basin, The Yalu Basin,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Middle East, the Geum River Basin (interior of Chungcheong), Mid West Coast, Southern Interior and South Coast. Properties and change patterns for each area of different times were identified. The Neolithic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I through III. Period I ranged from 6,000 to 3,500 B.C., Period from 3,500 to 3,000 B.C., and Period III from 3,000 to 2,000. I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segmented further as more dwelling sites are discovered. The mid western area, which is divided into I and II, can be segmented into II and III further, but there has been no supporting data from dwelling sites and absolute dating method. There are some similarities in the dwelling sites in each area of each period of the Neolithic. In the Tomen Basin and Middle East, similarity was found in the horizontal shape, the location of stove site and the floor finishing. The same is also found in the dwelling sites in Period II and III.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area has close connection with Period I of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door system and storepit. It has similarity with Period II of the Geum River Basin in terms of horizontal shape (one unit of rectangular dwelling site) or structure, which can also be found in Southern Interior and the Yalu Basin.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and Middle West Coast have similarity in the horizontal shape and the layout of pillar holes, but differ in the structure of stove site and location of the remains, which is worth of noting. It still remains to see whether it is the result of collective movement and expansion or it is because research into the dwelling sites for Middle West Coast for Period I is not enough until more data is collected. Middle West Coast and the Geum River Basin(the interior of Chungcheong) have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and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originated in the same period, bu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reflects the difference in the contemporary groups. Tile Geum River Basin and South Interior have similarities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the structure, location and shape of stove sites, which suggest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ut they differ in the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location. In particular. the Songjuk-ri type dwelling site in the South Interior is different from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has separate doors. iniernal partition and location along the hill. Such difference has to do with lifestyle of each group. which cannot be seen as a dwelling site for the same group.

      • KCI등재

        영남지역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의 지역성 검토

        최문정(Choi Moon Jung) 한국신석기학회 201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2

        본고는 영남지역 신석기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수가리Ⅱ식토기와 봉계리식토기의 지역권 설정과 그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영남지역의 유적들을 대상으로 토기의 문양과 기형을 중심으로 속성을 분류하여 검토를 실시 하였다. 신석기 시대 후기 토기는 중기의 요소들이 계승되고 구연부에 단일문이 한정적으로 시문되는 토기, 침선문 위주의 문양시문 등은 지역과 상관없이 공통성을 띄고 있으나 크게는 낙동강 수계를 기준으로 동·서로 나뉘며, 다시 서남해안과 내륙으로 나누어지는 지역권이 설정되었다.그리고 또 각 수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한 지역적 특징들이 포괄하고 있는 유적도 있었다. 이러한 지역권의 설정 및 유적별 다양성은 중기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신석기시대 후기가 되며 나타나는, 각 지역별 독자적인 토기문화의 수용·변화의 양상을 잘 알 수가 있었다. 신석기시대 후기의 지역차를 통한 지역권 설정에 대한 연구는 신석기시대 중기에서의 탈피되는 후기만의 독특한 문화양상을 찾는 것에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지역성의 확립 및 강화에 따른 사회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의 단초를 제시한다는 것에서도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late neolithic potteries in Yongnam province. I reconsidered the definition about potteries which are constructed the late neolithic period and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s. The study of the late neolithic potteries have studied through many ways, especially classification and detail recording chronologically. However most studies have no exact process of analysis, they just followed the large stream.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of the late neolithic pottery, in the present, centers on form of SugariⅡ and form of Bonggaeri. This two different forms occurred many other opinions. This two forms have regional differences, time difference and horizontal line. Those many opinions make conclusions about diffusion from certain central place. I think that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so I reconsidered about it through potteries and distribution of it. Also there are time differences in their praedial servitude. I want to inquire into the neolithic potteries and their distribution to find out praedial servitude and the time difference in it. First of all I examined about entire the late neolithic potteries in Yongnam province before try to separate regional range - the east-southern part, the west-southern inland part and the west-southern coastal part. There are different aspects from these three parts. I extract attributes from patterns and pottery. From this, I examined distribution through regional. Through this study, I form a conclusion that the late neolithic pottery has regional distinction by the process as appearance, development and disappearance. I think that difference from regional distinction can be told as difference from groups through the way of us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I can t correct at this stage of study, and I expect result about regional distinction through complex and systematic study afterwards.

      • KCI등재

        제주도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창화(Kang Chang Hwa),김종찬(Kim Jong Chan)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6

        현재 제주도내에서 확인되는 신석기시대 유적의 수는 60여 개소에 이른다. 제주도 본섬을 포함한 부속도서에 이르기까지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되는 추세이다. 제주 신석기시대 고고학은 증가하는 자료의 축적으로 단순한 토기문양의 분류에 따른 편년단계에서 벗어나 발굴된 유구와 유물의 종합적인 해석이 필요한 단계에 있다. 이에 그간의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제주도 신석기시대를 초기, 조기, 전기, 중기, 후기, 만기의 6단계로 구분하였다. 우선 고산리유적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일본의 유적을 비교하여 고산리 신석기 초기문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초기 고산리식토기단계 이후에 나타나는 남부지방 토기단계의 흐름, 즉 조기 융기문토기(신암리식토기)단계 - 전기 자돌압인문토기(영선동식토기) 단계 - 중기 태선침선문토기(수가리1식토기)단계 후기 퇴화침선·압인·압날점열문토기(봉계리식토기) 단계 - 만기 이중구연토기(율리식토기) 단계로의 전개 흐름이 과연 제주도에서는 어떻게 전개되는지 정리하였다. 또한 단편적이나마 지질학 등의 자연과학과의 연계를 통한 제주 신석기시대 고환경 복원을 시도해 보았다. There are more than 60 Neolithic sites throughout Jeju Island including neighboring islets. Neolithic archaeology in Jeju Island needs to interpret artifacts and features thoroughly beyond a sequence dating by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By reviewing the studies on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we classify Neolithic age in Jeju Island into 6 phases like the beginning, earlier, early, middle, late, and the last phase. We examine Gosan ri site as the beginning phase of Neolithic culture, by comparing it with the sites in Russia and Japan. We also order the phases of Neolithic culture in Jeju Island, by applying the stylistic seriation of the pottery in southern Korean Peninsular. Gosan- ri style pottery is followed by Sinam ri style (the earlier phase), Yeongseon-dong style (the early phase), the first Suga-ri style (the middle phase), Bonggye-ri style (the late phase), and Yul-li style (the last phase) pottery. Lastly, we examin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eolithic age by interpreting ecofacts through natural sciences including geology.

      • KCI등재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

        김범철(Kim, Bumcheol)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1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과정에 대한 개연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은 여전히 우리 선사고고학 의 큰 숙제이다. 당초 의도와는 상관없이 청동기시대 조기에 관련된 논의는 일단 그러한 숙제의 해결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리된 데에는 ‘주민 남하’라는 동인과 ‘농업사회의 성립’이라는 결과를 ‘설명’의 시말에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의 기후(변화), 정착지의 생산배경 및 생산 방식 등에 대한 거시적, 정황적 정보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은 것 때문에 다소 ‘맥락’에서 벗어날 수도 있는 설명이 양산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신석기⋅청동기시대 기후궤적에 대한 최근의 성과와 관련 유적의 석제 도구조합상 및 그 주변의 토양양상 분석을 통해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의 시말에 관련된 설명에서 장해(障 害) 또는 암초(暗礁)가 될 만한 요소들을 지적한다. It has been a long standing question how the transition of Neolithic to Bronze Age in South Korea processed. Whatever the original idea is, the discussion about the Initial Period of Bronze Age step in the effort to answer the question. It is attributed to proposed that the transition was initiated by the migration of population from the northen part of Korean Peninsula or Liodong, China, and completed by the formation of agr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However, the proposition seems to be out of context, because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information about climatic condition at that time, and the condition and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at the destination. Reconstructing climate fluctuation during Neolithic and Bronze Age, and analyzing composition of stone tools from and soilscapes around the sites relevant to the transition, I point out what could be obstacles or reefs in prope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how the transition went.

      • KCI등재

        大田 屯山 新石器遺蹟의 再檢討

        Koo Ja Jin(具滋振) 한국신석기학회 2012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4

        둔산 유적의 신석기시대 움구덩은 조사당시까지 이와 유사한 신석기시대 유적이 조사된바 없어 유적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 다수의 움구덩과 많은 양의 빗살무늬토기편이 수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비롯한 자연과학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기와 성격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아쉬움도 남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출토 유물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둔산 유적의 상대편년과 성격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대전지역을 비롯한 충청내륙지역에서 다수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조사됨에 따라 이들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 빗살무늬토기 등에 대한 비교를 통해 둔산 유적의 상대편년을 검토해 보았다. 둔산 유적은 빗살무늬토기의 출토양상이 아산 장재리와 성내리 유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원전 3,500~3,000년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둔산 유적 움구덩의 입지, 구조, 빗살무늬토기와 석기 등의 출토유물 양상과 주변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들과의 분석을 통해 움구덩의 성격을 추론해 보았다. 우선 둔산 유적의 움구덩이 계절적 사용을 위한 간이집자리인지, 만약 간이집자리가 아니라면 저장구덩이 또는 수렵을 위한 함정유구로서 가능성이 없는지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둔산 유적의 움구덩은 보고자가 언급한 신석기시대 계절적으로 반복 사용된 짧은 점유기간을 가진 간이집자리나 저장시설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둔산 유적 움구덩은 구릉지역의 정상부와 사면에 비교적 열상의 군집양상을 보이고 있어 당시 수렵과 관련된 유구일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유적에서 출토된 멧돼지 이빨을 통해 멧돼지 사냥을 위한 수렵함정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둔산 유적의 움구덩이 신석기시대에 조성된 것이 아니라면,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 단계의 저장시설일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Recently, a number of sites of the Neolithic Age in the Chungcheong inland areas were investigated. Dunsan sites and the sites of comparison through the relative chronology. Dunsan sites are very similar potte1y with lightning design the Asan of seongnaeri and jangjaeri sites. Should Dunsan sites composition as 3,500 BC to 3,000 years. The pit remains of Dunsan sites occupied seasonally repeated use of the Neolithic Age short period with extra house-digit or storage facilities likely to be small. The pit remains in the hilly regions of the summit and on the slopes are crowded. This time, hunting and associated remain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hunting for wild boar hunting, wild boar teeth excavated is estimated as a trap. If not storage facilities is also the possibility Bronze Age Songguk-riculture that is pit remains of Dunsan sites are Neolithic Age composition.

      • KCI등재

        중국 신석기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돼지 두개골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성격

        김승옥(Seung Og Kim)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9

        이 글은 다양한 민족지와 민족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련의 고고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산동(山東) 반도의 신석기시대 고고학 자료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중국 신석기시대 돼지의 대규모 생산은 식량자원과 종교적 의례행위뿐만이 아니라 정치 엘리트의 경제적 부와 사회적 불평등을 제고할 수 있는 상징적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돼지는 외래기원의 위신재를 획득할 수 있는 경제적 자산이고 이는 곧 정치적 헤게모니의 창출과 연결된다. 이 글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무덤에서 발견되는 돼지 두개골의 변동양상은 장거리 교역을 통해 획득된 위신재의 변화와 궤를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신석기시대의 돼지는 동물성 단백질을 얻기 위한 생계의 중요한 수단이자 사회적 생산의 필수적 대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Archaeological constructs guided by ethnographic and ethnohistorical information are tested against archaeological data from Neolithic Shandong. The study of Neolithic burials show that intensive pig production was important not only for human diet and ritual but also for the display of individual wealth and inequality in the rise of political elites. In addition, pigs served as funds of power for controlling exotic sumptuary items in order to achieve chiefly political hegemony. The data suggest that, in the long term, the fluctuation of pigs skulls in mortuary symbolism coincides with that of prestige goods from long-distance exchange. In short, pigs most likely functioned in ancient China as both means of subsistence and objects fo social production.

      • KCI등재

        新石器時代의 무덤

        Im Hack Jong(任鶴鐘) 한국신석기학회 2008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5

        이 글은 필자가 앞서 발표한 「남해안 신석기시대의 매장유구」를 보완한 것이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무덤 예와 최근 새로 발굴조사된 여수 안도 무덤의 자료를 추가하였다. 북한의 자료는 불확실하여 모두 제외하였지만 제목을 「신석기시대의 무텀 」으로 하였다. 전고의 내용에서 신석기인들의 공간구획개념, 장제, 사회상의 일단, 중국 동북지역과의 연관성에 대해 간단한 의견을 추가하였다.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석기시대 무덤의 공간구획 개념과 무덤의 입지상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첫째, 생활공간과 공존하는 경우로 대부분 남해안 패총유적에서 확인된다. 동삼동옹관묘, 욕지도 4호묘, 범방묘, 문암리묘, 안도묘, 상촌리 1,2,3호 옹관묘, 동삼동 석곽묘 등이다. 둘째, 생활공간과 공존하지만 생활공간과는 분명한 구획개념이 있는 경우로 연대도 집단묘, 욕지도 1,2,3호묘 등이다. 셋째, 독립된 구릉이나 바다가 잘 보이는 특출한 곳, 동굴이나 암음 등 누구에게나 별스러워 보이는 곳이 선택되고 있다. 시도 적석총, 교동 동굴묘, 율리 적석총, 후포리 세골장묘, 산등묘 등이다. 우리들이 생활하고 있는 장소에는 여러 가지 경계가 있다. 특히 상징적, 사회적 경계는 명시적일 뿐 가시적이지는 않다. 죽음과 재생, 사후세계의 관념이 내포된 무덤의 경우에도 이 범주를 벗어날 수는 없을 것이다. 2. 장제와 장법 중에서 고고학적인 방법론상에서 몇 가지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주로 매장에 관계되는 부분이다. 첫째, 매장시설로서는 묘광이 있었으며, 시신을 안치하기 위하여 토기편이나 돌로써 시상을 만들고 있는 예가 확인되었다. 또한 주검을 덮는 시설로 토기편이나 돌이 사용되고 있다. 주검을 돌로 덮는 예가 소위 적석유구로 동시기의 토가소성유구나 야외노지와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둘째, 장법으로는 신전장이 주를 이루나 부신장, 굴지장, 화장, 세골장, 복수장 등이 모두 확인된다. 침향은 사방위보다는 지형이나 생계의 터전 쪽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피장자의 성비와 연령의 문제이다. 성비는 남녀 비슷하며, 당연한 것이지만 성년이나 숙년의 무덤이 많다. 간혹 10대의 인골이 나오는 예도 있고, 옹관의 경우 어린이의 무덤과 관계될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하겠다. 연대도 2호묘에는 숙년 여성과 신생아, 성별 미상의 성년이 함께 피장되어 있다. 3. 부장품과 장신구를 통해 본 사회상이다. 첫째, 부장품의 다과나 무덤을 만드는데 지출된 총에 너지의 대소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계급의 존재에는 회의적이다. 그러나 일부 무덤은 동일 유적 내의 다른 무덤보다는 부장품이 많고, 무덤의 규모에도 약간의 차별성이 있다. 더군다나 귀한 옥류나 장신구, 많은 토기의 부장 등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무덤도 있다. 따라서 신석기시대에는 농경이나 정주생활과는 별개로, 피장자간의 신분이나 지위의 차이는 인정된다고 하겠다. 둘째, 무덤을 만드는 것이 일종의 의례이자 신앙이지만, 무덤에 보이는 몇 가지 사항들은 의례행위의 산물로 파악된다. 매장유구에서 불을 피운 행위, 적석 내에 포함된 의도적인 파손 유물, 주검을 덮고 있는 토기편, 특히 주칠된 토기편 등이다. 4. 일본 구주지역과 중국 동북지역과의 관계 중 일반적인 사항 몇 가지를 언급하였다. 첫째, 일본 구주지역과는 공동의 어로활동으로 인한 원시적인 교역시스템이 있었다는 기존의 연구 성과에 원론적인 부분에서 동의하였다. 둘째, 중국 동북지역과의 관계에서는 세 가지 문제에서 전파론의 문제를 언급하였다. 하나는 융가문토기, 지자문토기, 태선침선문토기 등 제토기의 중국동북지역에서의 전파가능성으로 특히 태선침선문은 해로를 통한 전파를 상정하였다. 또한 단편적인 자료이지만 욕지도의 멧돼지형 토기도 소주산 중충과의 유사성으로 보아 교류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옥류의 문제로 우리 나라 신석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옥기의 연원이 중국 동북지역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This article is re-edited version of the previous work on Neolithic Era Tomb Sites of Southern sea area . More archaeological examples found from middle areas and new sites from Ando, Yoesu were added. Although examples of North Korea were excepted as of its unidentified cases, the name of article has been designated as a Neolithic Tombs . Results of the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space, funeral customs, social life style, and relations with east-north China of Neolithic people were discussed here. The summaries are as such. 1. There are three types of Neolithic Tomb and its spacial concepts. Firstly, tombs are co-exist with the residential areas and it all proves by shell middens nearby the southern sea. Jar burial of Dongsamdong, 4th tomb of Yokjido, Beombang Tomb, Munamri Tomb, Ando Tomb, Sangchonri Jar burials are the examples. Secondly, tombs exist with residential areas but with a certain boundary between two areas and group tombs of Yeondaedo and 1,2,3 tombs of Yokjido are the examplary cases. Thirdly individual hill or caves with a broad sight are chosen for the tombs. Cave tomb of Gyodong, stone piled tombs of Yuli and Sido have these characters. There are several boundaries in our living area. Particularly boundaries of symbolic and social areas are not visual but rather elucidated. Tombs contains meanings of death, rebirth, and after life which is particularly part of the elucidated boundary. 2. Methods of funeral in archaeological terms can be detected few facts which are related to burials. Firstly, burial holes exist for the tomb facility and sherds or stones were used for the platform for the deceased. Sometimes sherds and stones were covered the deceased body. It is necessary to differ the example of stone-covered body from the sites of pottery making or outside bare grounds. Secondly all types of funerals were found here from lay down, overturning, stooping, cremation, bone-collecting methods. Direction of head is downwards to the residential area. Thirdly age and gender do matter. Gender of men and women are similar and elderly or adult are outnumbered. Sometimes teenagers were found, and it is possible that jar burials contain children. No 2 tomb of Yeondaedo contain elderly woman, baby and non-identified gender adult. 3. Social life through burial goods and ornaments. Firstly it is doubt that there is a classification in the society as total expenses for the tomb foundation and amounts of burial goods do not make big discrepancy. However, some tombs contain large amounts of burial goods as large size of the tomb. Also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which have jade and unique ornaments and large numbers of potteries. Then, apart from the staying and agricultural society, people in the Neolithic Age may have different social level and class. Secondly creating tombs are rather customs and religious behaviour, there are several facts which are believed to be ceremonial characters. Firing at the tombs, intended broken burial goods and potteries covered the deceased, and particularly red coloured pottery sherds mean the ceremonial intention of the tomb. 4.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Kyushu, Japan and north east area of China should be commented here. First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it can be true that there is an ancient exchange system caused by common fishing between Korea and Kyushu, Japan. Secondly, diffusionism has been discussed in three points in relation to the north east area of China. First point is that applique decorated pottery, 之 patterned pottery and comb-patterned pottery with wide lines can be diffused from north east area of China. Particularly comb-patterned pottery with wide lines by a sea route. Also it is one simple example, though, wild boar-shaped pottery from Y okjido is similar to the middle level of Soju Mt. of China and this convey more than ex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