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의 제시문 구성 방향 연구 - 곤란도에 영향을 주는 단서를 중심으로 -

        정성헌,박진욱,이미향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Listening test of TOPIK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t. Various factors affect the learner’s listening proces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clues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this sutdy will examine whether the Transcripts of listening test reflects the attributes of listening, and whether there are influences of clues on the Listening validity and difficultie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asks required for understanding about clues, Presentation Method of clues, Placement of clues in listening test Transcripts composed of monologue are suitable for Listening purpos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of questions through 32 learner’s experiments. And through th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lues in Transcripts are valid for listening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standard for placement and presentation method of clues in the TOPIK.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the listening test did not accurately show the listening ability of learners. And, Listening test questions should be careful about the keyword and word order to be used in clue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realistic listening so as to confirm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intermediate level such as analytic listening or inferential listening. 본 연구의 목적은 듣기 곤란 요인을 토대로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듣기 평가 구성을 살피고, 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습자의 듣기 과정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데, 본고에서는 특히 문제 해결에 관련된 단서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듣기 평가 문항의 제시문이 듣기의 속성을 반영하여 구성하고 있는지, 듣기 타당도와 곤란도에 단서가 주는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우선, 본고는 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기출문항 중 독백적 발화로 된 제시문에서 단서의 배치, 제시 방법, 단서 이해에 요구되는 과제의 수준이 듣기의 목적에 맞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32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문항 곤란도를 분석함으로써, 듣기 제시문에 포함된 단서가 듣기 목적에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단서의 배치와 제시 방법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어서, 듣기 평가의 결과가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을 정확하게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분석적 듣기 및 추론적 듣기 등 중급 이상의 듣기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단서로 쓰인 문장에 사용할 핵심어 및 어순에 유의하여, 사실적 듣기에 한정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 듣기 제시문에 대한 숙달도별 곤란 요인 연구-인지 반응에 따른 생체신호 분석을 통해-

        정성헌 ( Jeong Seongheon ),( Wei Qun ),이미향 ( Lee Mihyang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5

        This paper discusses difficulty factors affecting learners` listening. Regarding Korean education, we could evaluate a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only by spoken questions. Consequently, many studies are biased towards listening to questions; and detailed studies about listening processes instead of results, and passage comprehension instead of question comprehension, could not be successful. Hence, we focused on listening processes and passage comprehension, and analyzed learners` living body singles instead of answers. We found that learners` attention and tension levels affected their listening proficiency. Also, the more spoken the language, the easier to understand. Unfamiliar and detailed information was more difficult to listen, but passage`s length had no significant effect. Additionally, if learner`s topic familiarly was high, response was active; otherwise it was passiv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how to organize listening passages to improve learners` proficienc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능 문항의 구성 요소 분석과 문항 제작 방안 :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 근·현대사 과목을 중심으로

        朴振東(Park Jin-Dong) 歷史敎育硏究會 2009 역사교육 Vol.111 No.-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ypes of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History with a focus on item component (item stem, instruction and alternative). I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form and type of multiple-choice type items. Some patterns of the structural elements of questions used in the previous exams are identified through analyzing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xam papers between 2005 and 2009.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em stem aims to help students make the various distinctions required by the question through providing them with guidance both for responding to the elements in the question and for making sense of instruction. Instructions form an essential part in CSAT a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students' ability to conduct an inquiry. The types of instruction can vary according to their choice of kind of sources-primary [secondary] sources or adopted materials as well as written sources or visual sources. Moreover, the ways in which the chosen materials are employed can vary ranging from using a single source through combining more than one to simulating classroom-based activities or field work. Alternatives can be divided into a few types: selecting one word or single phrase answer in either written or visual form and sequencing alternatives in a chronological order.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lternatives are devised to be mutually exclusive as well as to correspond to an item stem and an instruction of the question. Given the impact of the types of a question on the validity of CSAT,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various elements of item component.

      • KCI등재

        중간언어 화용론의 불평 화행 수집 도구 분석 -DCT 상황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김인규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8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study of Korean speech act studied in interlanguage pragmatics and cross-cultural pragmatics. Methods: Specifically, from the selected research papers on speech act of complaint, discourse completion tests, the instrument for collecting speech acts, used in each study were analyzed. In order to establish criteria for analyzing the instrument for collecting speech acts, each situation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ree criteria for analysis were derived: ‘participants’, ‘Specification of the location where a speech act occu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situation’. These three criteria can act as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realization of speech acts. Conclusion: The result of analyzing DCT based on these criteria indicates that, overall, the DCT follows the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 which means it needs to reflect the times and to modify situations accordingly. In addition, in order to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speech act study in Korean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on securing validity of speech act tools should be continued. 목적: 본 연구는 중간언어 화용론과 비교 문화 화용론에서 연구된 한국어 화행 연구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방법: 구체적으로 불평 화행 연구 논문을 선정한 후 각 연구에서 사용된 화행 수집 도구인 담화 완성형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화행 수집 도구 분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담화 완성형 설문지의 각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 ‘화행 발생 장소의 명시’, ‘제시문의 내용 구성’의 세 가지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 세 가지의 기준은 화행 실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 이 기준으로 DCT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DCT는 선행 연구의 틀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아 시대상을 반영해야 하고 자연스럽게 상황을 수정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교육의 화행 연구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키기 위해 화행 수집 도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ㄴ 거 있죠’ 구성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기능

        김태인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본고에서는 ‘-ㄴ 거 있죠’를 화행 층위에서 작용하는 증거성 표지로 파악한다. 화자는 과거에 경험한 사건을 청자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ㄴ 거 있죠’를 사용한다. 이에 ‘-ㄴ 거 있죠’ 구문은 과거 사태에 대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현재형으로 나타나고, 발화 현장에서 화자와 청자가 직접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지’를 보유한 채로 나타난다. ‘-ㄴ 거 있죠’를 통해 표상되는 사태는 담화에 처음 도입되는 신정보이다. 이로 말미암아 ‘-ㄴ 거 있죠’ 구문의 의미․기능은 제언문의 한 의미․기능인 새로운 화제 도입, 화자가 경험한 놀라운 사건에 대한 제보 등으로 이해된다. 이 의미․기능은 문두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 ‘있잖아’, ‘있지’의 그것과도 상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교과 논술 과제 설계에 나타난 교과서 텍스트 선택 체험 분석

        장성민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1

        This study analyzed the selection of textbook reading materials in a essay writing task design of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by applying a constant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lived experiences of 24 participants were collected by implementing 4 time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designing an essay writing tas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content information, source information, and intertext predicat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documents model (Britt & Rouet, 2012); these categories correspond to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lf-regulatory processing,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 reading materials have been recognized as materials that have textual features that are suitable for learners, but are not challenging and do not convey sufficient information. Second, textbook reading materials are disciplinary-appropriate based on reliable and authoritative sources, but they are perceived as unfair materials because of social paradigm and curriculum constraints. Third, textbook reading materials were perceived to satisfy the basic requirements of multiple documents literacy, which provide diverse data of different viewpoints and levels;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 broader range of sources needs to be selected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the deep comprehension that essay writing tasks ultimately aim for. 이 연구는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교과 논술 과제 설계를 뒷받침하는 4회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산출된 자료에 대해 반복적인 질적 코딩을 적용함으로써 ‘담화 행위에 기반한 학습(learning from texts)’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표적인 자료원으로서 교과서 텍스트 선택의 체험을 분석하였다. 브릿과 루엣(Britt&Rouet, 2012)이 제안한 다문서 모형의 구성 요소와 각각으로부터 연결되는 인지적 처리의 범주에 따라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텍스트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텍스트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도전적이지 않거나 충분양 양의 지식을 전달하지 못하는 자료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둘째, 교과서 텍스트는 교육적 맥락에 적합한 신뢰롭고 권위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삼고 있기는 하나, 사회적 패러다임과 교육과정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공정하지 못한 자료로 규정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셋째, 교과서 텍스트는 상이한 관점과 층위의 자료를 두루 제공하는 다문서 문식 활동의 기본 요건을 충족하고 있기는 하나, 교과 논술 과제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내용 지식의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를 넘어선 보다 다양한 범위의 자료원이 함께 선택될 필요가 있음이 지적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