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域外方言의 한국어에서의 활용 및 변화연구 : 韓國 初等學校 敎育用 漢字語의 動詞를 對象으로

        崔金丹 한국중국언어학회 2000 중국언어연구 Vol.11 No.-

        韓國和中國在地理位置上是不可分割的一部分, 在文化背景上又處於同一個漢字文化圈之內. 韓國從公元三世紀開始大量引進幷借用了中國的文字和詞彙. 因此, 作爲中國域外方言的韓國漢字語詞彙和中國語詞彙有着多關聯. 如兩國現用的多詞彙在外形上具有同類語素; 在內容上具有同樣或相似的含義; 在詞彙的用法上具有類似或不同之處. 本論文將中國域外方言-現用韓國小學敎育用詞彙中的 [名詞性詞根+動詞性詞尾(∼하다)] 型詞彙和現代中國詞彙進行了對比硏究. 根據所對比詞彙的外形, 含意, 詞性及用法進行了較細致的對比. 同形同素異義語. 本類型總69個詞彙, 占總對比硏究對象詞彙的百分之七點六三. 本類型在語素排列順序上對稱且相同; 在含意上具有較多的引伸義; 在詞性及用法上具有交叉或相反的特性. 本類型在對比硏究詞彙中所占比率居三, 且雙音節詞彙居多. 本論文總對比硏究語項共904項. 通過上述分類法, 總結出了以下兩點. 第一, 進行對比的韓中詞彙中, 占一半以上的詞彙, 在語素含意及詞性上相同或類似. 說明韓中兩國現用基本詞彙的用法上相同點居多, 這對於學習中文的韓籍學生構詞能力的提高上, 有較大幇助. 第二, 在對比硏究詞彙中有占總硏究詞彙百分之十一點五的104個詞彙, 具有較强的流動性. 這些詞彙所包含的意項較多, 詞性不穩定, 用法也隨之變化. 因此對於學習中文的韓籍學生來說是較難掌握的部分. 本論文只是對現用中國域外方言-韓國小學敎育用詞彙中的 [名詞性詞根+動詞性詞尾(∼하다)] 型詞彙和現代中國詞彙進行了對比硏究. 因數量過多, 沒能將全部韓國漢字詞和中國語的詞彙進行對比. 如有機會的話, 筆者將從整體的角度出發, 對此硏究進行更加廣範及深入的硏究.

      • KCI등재

        한중 ‘falling(떨어지다)’류 동사 어휘유형론 연구

        고은미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99

        본고는 MLexT의 어휘유형론 연구방법론을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 의미 대조 연구에 응용한 것으로 범언어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falling’류 동사의 개념화 양상과 파생의미 패턴을 대조, 분석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개별언어에서 드러나는 ‘falling’류 동사 개념역의 범언어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혔다. 기초 프레임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falling’류 개념역은 모두 ‘분류표현’의 어휘화 전략을 사용하여, 프레임별 구분이 비교적 명확다. 한국어 ‘떨어지다’, 중국어 ‘掉’는 ‘떨어지다’류와 ‘탈락하다’류 프레임을 공어휘화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한국어에서는 ‘떨어지다’외에 ‘빠지다’도 일부 ‘탈락하다’류 프레임을 나타낸다. 한국어에서 ‘쓰러지다’류 프레임은 ‘쓰러지다’, ‘넘어지다’, ‘자빠지다’로 표현하며, 반면 중국어 ‘倒’가 ‘쓰러지다’류와 ‘탈락하다’류 프레임을 공어휘화하며, ‘摔’, ‘栽’가 부분적으로 ‘떨어지다’류와 ‘쓰러지다’류 프레임을 공어휘화한다. 파생의미를 살펴보면, 한국어와 중국어의 ‘falling’류 동사의 파생의미는 범언어적 파생 의미와 일치한다. 한국어 ‘떨어지다’는 감소, 하락, 부족, ‘쓰러지다’, ‘넘어지다’는 예기치 못한 상황, 사건, ‘빠지다’는 감정, 중독 등 통제불가능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국어 ‘falling’류 동사는 변형, 변화의 의미는 없다. 반면에 중국어 ‘掉’, ‘落’는 감소, 하락, 부족의 파생의미를 나타내며, ‘掉’, ‘倒’는 변화, 변형, 교환 등의 파생의미를 나타내는데, 특히 ‘쓰러지다’류 프레임의 ‘倒’는 ‘방향의 변화’를 나타내는 의미가 두드러진다.

      • KCI등재

        한·중 병렬 말뭉치 기반으로 한 한국어 관형절 내포문의 중국어 대응 관계 연구 ― 문장구조적 차이를 중심으로

        董超 ( Dong Chao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7

        본 논문은 관형절 내포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와 중국어 내포문의 대응 관계에 드러나는 차이를 문장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포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에 모두 존재하지만 두 언어는 상이한 언어 유형에 속하기 때문에 많은 문장 구조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장구조적 차이가 어떠한 조건 하에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약 40만 어절, 중국어 약 100만 자, 총 140만 형태 단위 규모의 연구용 한·중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말뭉치에서 추출한 용례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관형절이 담당하는 문장성분이 중국어에 같은 문장성분으로 대응되지 않는 관계로는 중국어 단문과 접속문의 대응 종류가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어 단문과 대응의 관계가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한국어 짧은 관형절과 긴 관형절에서 모두 안은문장의 핵심명사가 중국어의 품사 대응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식을 받는 핵심명사가 한국어에서 술어명사에 해당하는 경우, 중국어 문장에서 동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중국어 접속문과 대응의 관계가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짧은 관형절이 문법적 연어에 쓰이게 되면 중국어 문장에서 연접 관계의 접속문과 대응하는 비율이 높았다. 짧은 관형절이 수식하는 핵심명사가 사람이면서 주어의 기능을 할 때는 중국어에서 연접 관계의 접속문과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짧은 관형절이 수식하는 핵심명사가 사물일 때는 중국어에서 병렬 관계의 접속문과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다. 긴 관형절 내포문이 중국어 접속문에 대응이 되는 경우, 핵심명사가 사물인 경우가 많았으며, 긴 관형절 내포문은 중국어 병렬 관계의 접속문에 대응하는 경우가 인과 관계의 접속문과 대응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중 관형절 내포문의 문장구조 대응의 경향성을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takes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as the research object, builds a 1.49 million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and analyzes the sentence structure differences of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any corresponding forms of Korean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exist in Chinese. From the substructure of Chinese sentences, there are forms corresponding to Chinese single sentence and compound sentence. When the Korean embedded sentence corresponds to Chinese single sent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hort and long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is that the modified central part of speech in Korean is different from its correspondence in Chinese, and the predicate nouns in Korean are mostly regarded as verbs in Chinese. When the Korean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corresponds to Chinese compound sentence, there are corresponding differences between short and long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hort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and Chinese compound sentence is that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Chinese connective-relative compound sentence is in the majority. There are many cases of Chinese parallel-relative compound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long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e corresponding tendency of adnominal clause embedded sentence in Korean and Chines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provide useful learning materials for Chi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or Korean students learning Chinese.

      • KCI등재

        通過課堂互動與文化敎學來强化漢字敎學

        申敬善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2

        한자 학습은 중국어 교육의 난제 중의 하나로써 어떻게 가르치고 학습할 것인지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지만, 우리나라의 대학 중국어 교육은 한자 교육을 하나의 개별적인 과목으로 개설하여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미비로 대부분의 경우 중국어학 교수자의 주관적인 인식과 교수법에 따라 중국어 한자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현재 대다수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 째, 한자 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의 부족, 둘 째, 중국어와 한자 교육을 병행 할 수 있는 교재의 부재이다. 중국의 대외중국어교육과 한국의 중국어 교육 이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서양 언어학 이론, 교육 이론은 표음문자를 위주로 형성된 것으로 표의문자인 한자의 단어 조합 원칙 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 중국어 교재는 한자 지식이나 단어의 조합 원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셋 째, 한국이 한자 문화권이라는 인식과 함께 중고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이 이루어졌고, 대학에서 중국어 교육을 위한 한자의 특징을 별도로 가르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하는 인식으로 전문적인 한자 교육의 자발성이 부족한 점, 넷 째, 중국의 한자가 한국에 전파되어 사용되어 온 오랜 시간 동안 현대중국어의 한자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의 音, 形, 義가 상당수 일치하지 않은 현재의 상황이 이미 한국어의 한자를 다수 인지하고 있는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가져다주는 역효과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하여 현재 우리의 중국어 교육환경 속에서 어떻게 한자 교육을 강화하고 학습 효과를 증대할 것인가라는 교수법의 문제를 인지심리학, 인지발달이론, 사회문화이론의 교육적 적용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한국 대학 저학년들의 중국어 어학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실활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 1학년 1학기의 어학 수업에서 발음, 어휘 교육과 더불어 의식적인 한자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첫 째,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교실활동으로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상상력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둘 째, 문화요소를 포함한 교수법으로 한자에 대한 이해와 규율을 파악하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하며, 셋 째, 한국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학습의 난점들을 맞춤형으로 학습시키고 연습하도록 하며, 넷 째,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종합적인 능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학생들의 오류를 적절하게 수정하고 지도하는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결론은 이러한 교수 방안이 중국어 한자 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교과 개설이 부족한 한국 대학의 현실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 KCI등재

        當代中國語法學的文化重逢

        申小龍 한국중국언어학회 1996 중국언어연구 Vol.4 No.-

        이 논문은 십여년전부터 서구언어학이론체계에 따른 지금까지의 중국어언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반기를 들고 중국에서 최초로 새로운 中國文化語言學을 주창하여 전국에서 커다란 방응을 일으켰던 신소룡교수가 썼다. 그는 《馬氏文通》 이후로 중국언어학계가 서구언어와 특성이 다른 중국어를 서구문법의 틀을 갖고 연구함으로써 중국어 자체의 언어특성을 왜곡시켰을 뿐만아니라 지금까지의 어문교육에 커다란 혼란을 주고 비효율성, 비과학성등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그는 "重意會, 重流動, 重虛實, 重具象"라는 특징이 중국어와 중국문화민족정신의 발로로 지적하고 중국어의 연구도 이러한 정신에 입각해서 이루어져야 하고 중국어에 대한 독자적인 언어이론체계와 방법론체계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중국의 문법학계에서 이 문제에 대한 열띤 찬반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중국어학을 연구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어떤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믿고 여기에 게재한 것이다.

      • KCI등재

        중국어 단음절에 대한 한국인 오류 음성 코퍼스 구축 및 활용 방법 고찰

        이미경 ( Mi Kyoung Lee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6

        這一文章的目的在於要建立韓國人對現代漢語(普通話)單音節的偏誤語音語料庫。紇今爲止, 語言硏究主要集中在文字語言上,不在語音語言上,硏究語音語言被認爲只是次要的,硏究資料大部分都是來自文字語言語料的。除了漢語以外,韓語、英語等其他語言也幷不例外。這是因爲要硏究語音語言,幷建立語音語料庫,可能會出現不少問題。可是,最近,隨著先進語音實驗機器的開發、電腦智能化等的原因,對硏究語音的聲音也開始逐漸增大。從1990年以來,中國社會科學院、中國科學院等硏究機構開始建立語音語料庫。可是這不是韓國人對現代漢語(普通話)單音節的偏誤語音語料庫,而是中國人的語音語料庫,可以說韓國人的偏誤語音語料庫微乎其微。作爲韓國人,首先,要把握韓國人的漢語發音特點,其次,需要근中國人的發音進行對比,最後,要發現爲何出現偏誤,要矯正其偏誤。因此,要建立韓國人對現代漢語(普通話)單音節的偏誤語音語料庫。其偏誤語音語料庫的資料是現代漢語聲音調配合總表的1175個字,一共有12個人參加,總共有28, 200個偏誤語音文件。這一語料庫雖然規模較少,可是一個相當基礎的、重要的。這將不僅有利於提高韓國人的漢語發音水平,也有利於提高硏究音系學、語音學方面的硏究水平。

      • KCI등재

        중국어 역사시기층위 분석방법 이론에 대한 탐구

        안영희 한국중국언어학회 2016 중국언어연구 Vol.0 No.62

        현재 중국어 역사시기층위 이론의 구축에 있어서 중국어 방언접촉 이론과 민족언어접촉 이론의 견해차이가 비교적 크다. 본고는 이런 차이점의 원인을 찾아 역사시기층위 분석 이론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반오운(2010)의 언어접촉 계통수 분석에서 일본어등 외국어의 중국어차용어는 중국어와 직접 역사비교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차용어는 언어접촉 2가지 언어변체 중의 하나로 현지의 모어와 비슷한 음운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중국어와 직접 역사비교를 할 수 없음을 밝혔다. 또한 진보아(1996)의 언어접촉 이론에서 제2단계 언어접촉 재대응[再匹配]의 방향을 제1단계와 똑같이 하였는데, 언어접촉 제1단계의 언어변체는 "한→중"의 방향이지만, 언어접촉 제2단계의 언어변체는 반대로 "중→한"이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즉 언어접촉 제2단계 한자음 대응의 출발어[施配]는 중국어이고 대응의 도착어는 한국어로 봐야 한다. 언어변체1은 출발어[施配]인 모국어의 간섭을 받고 언어변체2는 출발어[施配]인 이중언어화자의 중국어 간섭을 받는데 한국한자음의 간섭은 중국어(이중언어화자의 중국어)이다. 마지막으로 역시시기층위의 분석법에 대한 본고의 견해를 제시하였는바 언어변체2의 연구방법은 본체의 음운변화를 제거하고 다음 언어접촉에 의한 간섭과 동화[趨同]의 영향도 제거하여야만 차용 당시 순수 외국어의 모습을 환원시킬 수 있으며 그제야 비로소 역사시기층위 분석을 진행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初級漢語語音敎學硏究 ― 以音節爲中心

        신경선 한국중국언어학회 2016 중국언어연구 Vol.0 No.63

        본 논문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 학습 과정 중 흔히 발생하는 주요문제점에 대한 논의로써, 주로 초급 학습자의 중국어 음절 학습 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 년 간 한국 대학생들의 중국어 입문 과정에 대한 고찰을 진행한 결과, 중국어 발음 중 [□]와 [□]로 발음되는 /i/모음을 포함한 음절, [□]로 발음되는 /a/모음, 혹은 /e/를 포함하고 있는 음절, ‘□’모음이지만 ‘u’로 표기되었을 때의 발음, 혹은 ‘-iu、-ui、-un’로 표기된 후의 발음, 개음 ‘u’, ‘□’와 자음‘r’로 구성된 무개음 음절의 발음, 한국어의 상용한자 중 중국어와는 동형이음자로 구성된 음절, 경성을 포함한 음절, 제3성으로 시작하는 2음절의 발음 문제 등이 가장 두드러진 현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크게 한어병음 방안 표기법에 대한 이해 부족,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으로 야기된 오류와 연속적인 음절에서 발생하는 성조 변화 등이 주요한 것이었다. 교육현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시작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기 까지 현재 중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논의의 대다수가 단순한 성모, 운모, 성조 차원의 것이었으며, 음절 차원의 논의는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수 년 간의 자료 수집과 문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학습 상의 각 문제점에 대한 대응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고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시도가 향후 중국어 음절 발음 교육에 관한 새로운 관심과 논의를 일으키고 특히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교재 편찬과 발음테스트 유형 연구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를 통한 발견 중 하나는 한국에서의 중국어 교육이 수 십년간 큰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연구와 교재 편찬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상황이며 교육 현장에서 이론적으로 실무적으로 발음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사 양성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의 조건 안에서 이상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가 협업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방식도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 방안 중 하나라고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어 인명 한글 표기의 현주소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이영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중국언어연구 Vol.0 No.33

        如何用韓語標記中國人名這一問題, 學界至今還在爭論不休。根據1985年12月頒布的〈外來語標記시細則>, 中國人名標記應以現代漢語音卽原地音爲準。但目前的表記法除了新開媒體以外 其他部門原地音和傳統漢字音混雜現象較普遍, 甚至傳統漢字音乃處于領先地位, 中國大學生學習韓語熱較高, 他們對中國人名的表記法的掌握或標記狀態如何? 對這一現象的了解對"表記法"的本身問題及推廣表記法有重要的意義和作用。爲此, 本論文集中分析了29 本中韓兩國的大學韓國語敎材中對中國人名的韓語標記方法: 走訪北京三所大學及韓國K大學的韓國語學習者共241名進行了問卷調査: 竝此韓國K大學1.713名中國留學生的韓語人名 薄進行了詳細分析。考察分析結果樂觀地展望了現代漢語音?原音表記法的實行前景, 同時再一次認識到了敎育的必要性及敎材的重要性。

      • KCI등재

        중국 한자학의 연구 동향 분석

        김은희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4

        The present paper aims at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recent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This paper takes on two big topical approaches: Firs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s examined in its specific academic disciplines as categorized in the topic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of China and Chinese academic circles. Second, statistic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ields discussed by the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Chinese major periodicals(核心期刊), CSSCI and other Chinese academic journals on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by the ‘research tasks’ assigned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project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n 1,083 academic paper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published in 11 academic journals are: the research fields of these papers may be divided in accordance to the periodical division of Chinese characters‘ development history into ’Ancient Chinese Characters‘, ’Modern Chinese characters‘, and ’Contemporary Chinese characters‘; major research fields of papers not classifiable in terms of historic periods are divided into 10 topics, including ’general theories on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Chinese characters used outside of China‘, ’the history of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etymology‘, and ’changes in Chinese charac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research is made on Ancient Chinese Characters(28.1%), followed by Modern Chinese Characters(17.3%), Contemporary Chinese Characters(17.2%), dictionaries (12.4%), general theories on Chinese characters(9.1%), and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8.4%) by the order of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In the research on Ancient Chinese characters, the largest numeric research performance was made on characters during the Warring States(43.6%), and, as research materials, jiandu (簡牘) occupied over 50%, of which chujian (楚簡) was the major topic. The topics of research task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conducted as the Chinese MOE and NSSFC funded projects have been confirmed as consistent with this result. The key word in contemporary China‘s research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s ’expansion‘. On the aspect of research materials, there was expansion from the materials handed down since the ancient times to the materials excavated. On the chronological aspect, the expansion was made with the research on modern Chinese characters in Seal Script and Regular Script as a medium stage between Ancient characters and contemporary characters. Spatial expansion occurred in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research materials on Chinese characters used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China. The Chinese research in progres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used outside of the country is noteworthy. Besides the Chinese character materials imported from China and handed down, those formulat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times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education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I look forward to Korean researchers’ taking initiative to lead further research in Chinese characters identifiabl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논문은 최근 5년간(2014~2018) 중국 한자학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은 다음 두 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먼저, 중국교육부 및 중국문자학계에서 분류하는 중국문자학의 세부 학문 분야를 살펴보고, 중국의 核心期刊 및 CSSCI, 기타 중국 문자학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그리고 중국의 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 분야별 통계 분석을 통해서 연구 동향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11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1,083편의 한자학 관련 학술논문을 분석한 결과, 이들 논문의 연구 분야는 한자발전사의 단대 구분을 기준으로 ‘고대한자’, ‘근대한자’, ‘현대한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구분할 수 없는 논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일반한자이론’, ‘자서’(字書), ‘역외한자’(域外漢字), ‘한자연구사’, ‘한자문화’, ‘한자자원’(漢字字源), ‘한자변천’의 10가지로 구분된다. 통계분석 결과, ‘고대한자’(28.1%)에 관한 연구 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며, ‘근대한자’(17.3%), ‘현대한자’(17.2%), ‘자서’(12.4%), ‘일반한자이론’(9.1%), ‘한자문화’(8.4%)의 순으로 논문 편수가 많다. ‘고대한자’에 관한 연구는 ‘전국문자’(43.6%)에 대한 연구 성과가 가장 많으며 연구자료는 簡牘(jiandu)이 5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중에 楚簡(chujian)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중국 교육부(MOE) 및 중국 국가사회과학기금(NSSFC)의 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한자학 관련 연구과제의 내용도 이 결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현재 중국의 한자학 연구의 키워드는 ‘확장’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고대부터 전래된 문헌에서 출토문헌으로 연구 자료가 확장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고문자 및 현대한자의 중간단계로서 예서․해서를 연구하는 근대한자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고, 중국 경내의 한자에서 역외 한자자료에 대한 수집과 정리로 공간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외한자에 관한 중국의 한자학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중국에서 유입되어 전래된 한자자료 외에 고대 한반도에서 형성된 한자자료는 한반도의 사회문화적, 교육적, 정치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앞으로 국내 학자들의 한반도 한자자료 연구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