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역세권 특성에 따른 수요예측의 정확도 분석 - 서울시 지하철을 중심으로 -

        김동준,김덕녕,양재환,성현곤,이성모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1

        Recently, there have been constant criticisms over the low accuracy of the rail demand forecast. The accurate demand forecast is important as the rail project requires copious budget and time. However, the study on the accuracy of the rail demand forecast has not attracted researchers, wherea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accuracy. Especially, different station tends to show different accuracy in the same rail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on this characterist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impact area to 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142 subway stations in Seoul are analyzed to draw 10 characteristic indexes - density, land use mix, number of companies, number of labors, purpose of land use, number of bus lines, number of short-range bus lines, average number of bus lines of bus stop, w or w/o transfer - with categorizing the station impact area to the land use and the public transit. In addition, estimated demand is also analyzed. Th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in each station is used to estimate the ratio of risk. As a result, firstly, in terms of the land use, the demand forecast is more accurate with the higher density, land use mix, number of companies and labors which decreases the overestimation. At the same time, the station in the residential area with steady demand shows the higher accuracy. Secondly, in terms with the transit system, the demand forecast is more accurate when there are more bus lines connected to the subway station, on the other hand, the larger demand leads to the lower accuracy. Besides, the transit station shows lower accuracy than the non-transit station, which is supposed to b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ata. With the results above, it is discovered that the accuracy of rail demand forecast shows great differences between stations, which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ion. Particularly, similar to the anticipated effect of TOD, an area with high density, mixed land use and feeder transit will improve the accuracy of rail demand forecast. 막대한 재원과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철도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가 낮아 비효율성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으로, 수요예측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하나의 노선이라 할지라도 각 역별로 수요예측 정확도는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역별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높여 전체 노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142개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미시적 역세권 특성이 수요예측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세권 특성을 개발밀도, 토지이용의 다양성, 사업체수, 종사자수, 토지이용 목적 등의 토지이용 특성과 버스노선수, 환승/비환승역의 유무 등의 대중교통 특성으로 구분하고 GIS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별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위험도라는 지표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개발밀도가 높을수록, 토지이용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가 많을수록 수요예측의 정확도가 높아 과다 예측된 경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적으로 통행이 발생하는 주거중심의 역이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철과 연계되는 버스노선수가 많을수록, 연계성을 갖는 단거리 버스노선수가 많을수록 예측이 정확했으며, 환승역의 경우 비환승역에 비해 오히려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료의 한계로 인한 결과라 판단된다. 더불어 예측수요가 많을수록 정확도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철도사업 수요예측의 정확도는 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역세권의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철도사업 수요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TOD의 기대효과와 유사하게 개발밀도를 높이고 토지이용을 다양화하며, 연계교통수단의 서비스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철도 통행량 추정의 오차 분석을 통한 예측 정확도 향상 방안

        김동준,양재환,김덕녕,이성모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4

        Recently, there has been constant criticism over the low accuracy of demand forecast in several transportation facilities. Accurate estimation is needed especially in the rail project because it requires copious money and time. However, less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rail project than on the road project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of rail project in Korea. After calculating accuracy of 19 rail projects, accuracy of demand forecast by 5 characteristics of rail project was analyzed. Moreover, accuracy of demand forecast in the rail project and the road project was compared by characteristics. With the results from above,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accuracy of demand forecast of rail project in Korea. Accuracy of demand forecast of rail project in korea is very low, alike that in oversea countries. The range is from -61% to -94%. Seoul metropolitan area shows higher forecast accuracy than non-metropolitan areas. The accuracy is higher when shorter the construction period, and longer the operation time. The fact that accuracy of rail projects is low than that of road projects is also shown in the studies of abroad. For it is really difficult to get detailed data about accuracy of demand forecast of rail project, it is needed to collect and maintain detailed data of rail projects. 교통시설의 수요예측 정확도가 낮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철도사업의 경우 막대한 재원과 오랜 기간이 소요되므로 정확한 수요예측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 철도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는 낮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사업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이 얼마나 정확히 수행되었는 지를 분석하고, 철도사업 특성을 구분하여 수요예측의 정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특성에 따라 철도사업과 도로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철도사업의 특성별 수요예측 정확도 수준을 파악하고, 철도사업 수요예측의 정확도가 낮은 원인 파악 및 향후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철도유형별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위험도가 -61~-94%로 대부분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지역적으로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의 정확도가 낮으며, 건설기간이 짧을수록, 운행기간이 길수록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별 평균 실측 수요량이 커 많은 이용자가 있는 경우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사업과 도로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도로에 비해 철도사업의 수요예측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철도사업 수요예측 정확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의 예보 정확도에 관한 연구

        박창용(Changyong Park),최영은(Youngeun Choi),김승배(Seung-Bae Kim)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을 대상으로 예보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평가 요소별 정확도는 강수 유무가 가장 낮았고 하늘 상태가 가장 높았다. 지역적으로 예보 정확도는 강원도에서 가장 낮았으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서 높았다. 계절별 예보 정확도의 만점 빈도는 겨울에 가장 높았고 여름에 가장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낮은 날의 기압 배치형을 분석했을 때 여름철에는 정체전선형 기압 배치에서 강수 유무의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가을과 겨울에는 한대 고기압 확장형 기압 배치에서 기온 예보의 정확도가 크게 낮아지는 경우가 많았다. 봄과 가을의 이동성 고기압형 기압 배치에서는 날씨가 급격하게 변하여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가장 낮은 지역인 영동 지역의 상층 850hPa 고도의 풍향 자료와 예보 정확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저 및 최고 기온은 서풍일 때, 강수 유무의 경우 동풍일 때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eather forecast accuracies of minimum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ky cover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Average forecast accuracy score of precipitation was the lowest while that of sky cover was the highest during the study period. Overall forecast accuracy scores for Gangwon-do was the lowest while those for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were higher than other areas. The frequencies of perfect forecast(eight points) by seasons, were the highest during winter and the lowest during summer. Pressure pattern analyses for days whe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poor, showed that precipitation forecast accuracy scores were low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stationary fronts during summers. When continental polar air masses expanded, forecast accuracy of temperature became greatly lower during autumns and winters. As the migratory anticyclone pattern rapidly moved, forecast accuracy became lower during springs and autumns. Forecast accuracies were compared by wind directions at 850hPa for the Young-dong region where forecast accuracy was the lowest. Forecast accuracy scores of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were low when winds were westerlies and forecast accuracy scores of precipitation were low when winds were easterlies.

      • KCI등재

        환경부 다중시기 토지피복도로 탐지한 토지피복 변화 지역의 정확도 평가 : 구량천 유역을 사례로

        박종철,김장수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1

        지구 표면의 물리적 형태를 표현한 토지피복도는 다양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배포한 2000년과 2009년의 다중시기 국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전라북도에 위치한 구량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하고, 그 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토지피복 변화 지역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33.2%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시기별 토지피복도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44.2%(2000년)와 84.4%(2009년)이었다. 2000년 토지피 복도의 낮은 정확도는 토지피복 변화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었다. 2000년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낮은 원인은 기하보정과 정사보정 같은 원시자료의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정확도 결여에 있었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원인으로는 초지와 사력퇴 지역의 오분류가 있었다. 국가토지피복도의 토지피복 변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시자료의 전처리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오분류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검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land-cover maps, which represent the physical material at the surface of the earth, have has been used as a fundamental data in various studies. Therefore, the accuracy of land-cover maps is one of important issues.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land-cover change area detected with multi-temporal national land-cover maps(2000 and 2009) produc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udy area is 165.2km2 of the Guryang-cheon watershed, which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area of central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verall land-cover change accuracy was as low as 33.2%. While the land-cover map 2000 has 44.2% overall accuracy, the land-cover map 2009 has 84.6% overall accuracy. The low accuracy of the land-cover map 2000 affects the low accuracy of land-cover change. The major cause of low accuracy in the land-cover map 2000 was a lack of precision in pre-processing of raw data, such as geometric correction or orthometric correction. Another factor limiting higher accuracy appeared to b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 context of grass and a point bar on the inside of a stream bend. In order to improve land-cover change accuracy of the national land-cover map, accuracy of pre-processing will need to be improved, and it will need to strengthen verification in the area of high probability for possible classification error.

      •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 연구

        임천택 한국어문교육학회 2012 어문학교육 Vol.45 No.-

        이 논문은 초등학교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의 수용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글씨 정확도는 쓰기 평가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글씨 정확도는 표현, 맞춤법, 조직 요소의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 요소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문에서는 글씨 정확도와 쓰기 평가 결과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운문에서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의 수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글씨 정확도는 쓰기 평가에서 평가 요소나 기준으로 명시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글씨 정확도에 대한 평가자 연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글씨 정확도 평가가 표현, 맞춤법 등의 평가 요소와 혼동되지 않도록 평가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넷째, 산문 평가에서는 운문 평가에 비하여 글씨 정확도 변인 통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nmanship accuracy and the evaluation results in writing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his 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cceptance of the penmanship accuracy.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 is appeared 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enmanship accuracy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writing. And the penmanship accuracy in the order of the expression, spelling, organization, appeared as a meaningful correlation. But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 element. And the prose is penmanship accuracy and writing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But it did not appear any the correlation of verse.

      • KCI등재

        전형매 가계 내 유전체정보량에 따른 유전체육종가 추정 및 정확도 분석

        김은호,선두원,강호찬,명철현,김지영,이두호,이승환,임현태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6

        The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GEBV) and accuracy of Korean beef (Hanwoo) are used as important indicators for selection, and recent studies using pedigree and genotype are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ccuracy.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families consisting of 10 Hanwoo with the same parents were collected to check the change in accuracy of individuals without genotyp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enotypes in the family. GEBV and accuracy were estimated through single-ste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ssGBLUP) using 14,225 reference groups after assuming 5 test groups by selecting 10, 8, 6, 4, and 2 genotypes for each family. An H-matrix was constructed using pedigree and genotype of the groups, and the GEBV accuracy of carcass weight (CWT),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hness (BFT) and marbling score (MS) were estimated using the BLUPF90 program. Looking at the first family, the average GEBV accuracy of 10 heads with a genotype in the test group was estimated to be 0.734, 0.717, 0.712 and 0.745 in CWT, EMA, BFT and MS, respectively. Then, looking at the GEBV accuracy estimated by removing the genotype two by two, there was no change in accuracy in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a genotype, but the accuracy of the individuals without a genotype was estimated to be 0.114~0.168 lower on aver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GEBV accuracy of individuals without a genotype was 0.604~0.576, 0.6~0.573, 0.599~0.572 and 0.607~0.578 in CWT, EMA, BFT and MS, respectivel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decreased by 0.009 on average. Through this, although the amount of genotypes within a grou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curac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individual genotypes, the presence of individual genotypes had a greater effect on GEBV with high reliability. 한우 개량에 있어서 추정된 유전체육종가와 정확도는 선발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최근 육종가 추정에 있어 정확도의 신뢰도를 높이기위해 혈통과 유전체정보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계 내 유전체정보량에 따라 유전체정보가 미포함된 개체의정확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동일한 부모를 가진 한우 10두로 구성된 전형매 가계 3개를 수집하였으며, 각 가계 별로 유전체정보량을 10두, 8두, 6두, 4두, 2두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5가지의 검정집단으로 가정한 후 참조집단 14,225두를 이용하여 single step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ssGBLUP)을 통해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 (GEBV) 및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각 검정집단과 참조집단의 혈통 및 유전체정보를 이용하여 H-matrix를 구축하였고, BLUPF90 program을 사용하여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GEBV 및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첫 번째 가계를 대상으로 살펴보면, 검정집단에서 유전체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10두의 GEBV 평균 정확도는 도체중 0.734, 등심단면적 0.717, 등지방두께 0.712, 근내지방도 0.745로 추정되었다. 이후 2두씩 무작위로 유전체정보를 제거하여 추정한 GEBV 정확도를 살펴보면, 유전체정보를보유한 개체의 경우 정확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전체정보가 미포함된 개체의 정확도가 평균 0.114 ~ 0.168 낮게 추정되었다. 가계내 유전체정보량에 따른 유전체정보가 미포함된 개체의 GEBV 평균 정확도는 도체중 0.604 ~ 0.576, 등심단면적 0.6 ~ 0.573, 등지방두께 0.599 ~ 0.572, 근내지방도 0.607 ~ 0.578로 평균 0.009씩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계 내 유전체정보량이 개체 별 유전체정보 유무와는상관없이 GEBV의 정확도 추정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신뢰도가 높은 GEBV 추정을 위해서는 개체 별 유전체정보의 유무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제작 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 평가

        김감영 한국지도학회 2018 한국지도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조선오만분지일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좌표가 보정된 이미지 형태의 지형도로부터 등고선을 추출하였다. 비교를 위한 기준은 현재의 1:25,000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이다. 등고선으로부터 DEM을 추출하여 지형면 분석, 중첩분석, 3D 분석, 수문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음영기복, 고도 차이, 지형단면, 하계망의 위치, 하천차수 및 길이, 곡률도, 능선의 위치 등을 통하여 지형 재현의 정확도를 정성적 혹은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북한산과 설악산 주변을 사례로 분석을 수행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 모두에서 서울에 인접한 북한산 주변 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가 설악산 주변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지형의 기호화 방식, 삼각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고도 재현 등 당시 지도제작 방식이 국지적으로 현재와 다른 혹은 부정확한 지형 재현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셋째, 지형에 대한 접근성과 관찰가능성이 지형 재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설악산 주변의 경우 접근 및 관찰이 용이한 남쪽 사면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접근성이 떨어지는 북쪽 사면은 매우 부정확하게 재현되었다. 북한산과 설악산 주변 지형 재현 정확도의 차이는 지도화하는 지역이 식민지 지배와 개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onal accuracy of terrain in 1:50,000 Topograph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sing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of GIS. For this, contour lines were digitized based on the rectified image of the topographical map. The benchmark for comparison is the contour lines of the current 1:25,000 digital map.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were extracted from contour lines and surface analysis, overlay analysis, 3D analysis, and hydr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m. The accuracy of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was assessed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by means of hillshade, elevation difference, elevation profile, the location of stream networks, stream order and length, sinuosity, and the location of ridge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a case study on Bukhansan and Seoraksan Mountain are follows. First, the accuracy of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around Bukhansan Mountain, which is adjacent to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Seoraksan Mountai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Second, the map making methods such as the symbolization of special terrains and the estimation of elevation based on the triangulation resulted in different or incorrect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Third, accessibility and observability of terrain seems to affect the accuracy of terrain representation. The south slope of Seoraksan Mountain, which is easier to access and observe than the northern slope, was more accurately represented. The accuracy difference between Bukhansan and Seoraksan Mountain seems to be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mapping areas in colonial management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조음 발달에 관한 연구

        김유경 ( Yu Kyung Kim ),박미혜 ( Mi Hye Park ),석동일 ( Dong Il Seo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조음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 그리고 자음의 조음 및 위치별 발달 양상을 착용 기간과 착용 연령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모두 16명으로 8명은 3세 이전에 인공와우를 착용한 아동이며 8명은 3세 이후에 인공와우를 착용한 아동이다. 또한 16명 중 4명은 인공와우 착용기간이0-1년이며, 8명은 2-3년, 4명은 24-35개월이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인공와우 착용 연령과기간에 따른 모음과 자음 발달은 U-TAP의 단어 수준 검사를 통하여 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인공와우 착용 기간에 따른 자음의 조음 발달 양상은 조음 방법 및 위치별로 정조음한 자음의 비율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인공와우 이식아동들의 착용 기간에 따른 모음 정확도와 자음정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모음정확도는 초기 2년간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자음정확도는 인공와우 착용 2년후부터 급속한 발달을 보였다. 둘째, 인공와우 착용 연령에 따른 조음 발달은 인공와우 착용연령이 3세 이전인 아동들이 3세 이후 아동들보다 일관되게 모음정확도와 자음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의 조음 방법별 발달 양상은 파찰음, 파열음, 비음,유음, 마찰음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음 위치별 발달 양상은 양순음, 경구개음, 치조음, 연구개음, 성문음 순으로 나타났다. This investigation assessed how the vowel and consonant production of youngusers of cochlear implants varied over time and how performance on the age of implantation. 16 prelingually impaired heari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ere assessed by U-TAP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All children were 5 years old or younger at the time of implant. 16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according with on the age of implantation (group 1 was implanted at pre-3 years (n=8) and group 2 was implanted at post-3 years (n=8)), and they also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ing with over the post-implant period (0-1 year (n=4), 1-2 years (n=8), 2-3 years (n=4)).Results indicated that intelligibility of vowel and consonant exhibited significantly improved percentage over the post-implant period. In vowel,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one year of implant use. In consonant,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wo years of implant use. Finally, results indicated that, in manner of articulation, children was developed in order of affricates, stops, nasals, glides and fricatives, and in place of articulation, children was developed in order of bilabials, palatals, alveolars, velars, glottal.

      • KCI등재

        The Influence of English on Articulatory Accuracy of Korean Nonwords

        윤석연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6 No.-

        이 연구는 제2언어인 영어가 먼저 습득한 제1언어인 한국어 자음 및 모음을 정조음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7개월을 거주한 8~13세 아동 9명, 만 11세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평균 4년 8개월을 거주하고 미국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21~33세 성인 8명, 영어권 지역에 거주한 경험이 없으며, 학교 교과과정 외에 영어학습을 하지 않은 8~13세 아동 18명이 참여하였다. 이 세 집단은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따르지만,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16개의 무의미단어를 듣고 따라 말하였다. 이들의 발화전사를 토대로 계산한 음운정확도, 자음정확도, 모음정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사후검정에 의하면 이중언어아동의 조음정확도(M=90.2)가 이중언어성인(M=94.9)과 단일어아동(M=94.6)보다 발음 정확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성인의 조음정확도가 차이가 없음은 일반적으로 조음음운발달이 완성되는 시기이후에 습득한 영어는 한국어 음소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시사한다. 반면에, 만9세 이전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된 아동의 조음정확도는 한국어 단일어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기 때 영어에 집중적으로 노출될 경우 제1언어인 한국어를 조음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원광디지털대학교)

      • KCI등재

        건청아동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조음특성 비교

        한지혜(Ji Hye Han),김향희(HyangHee Kim),배소영(So Yeong Pae),신지철(Ji Cheol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각 16명씩의 건청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낱말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인동와우이식아동과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건청 아동을 모집하고 낱말위치별, 조음방법별, 조음위치별 정확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음운변동은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과 건청아동 집단에서 각 음운변동을 2회 이상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고,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였다. 자음정확도에 따른 비교는 평균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을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자음정확도 비교는 조음방법 중 마찰음에서 인공와우이식아동이 건청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운변동 비교에서 건청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집단 간 음운변동 비교에서 건청아동 집단이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초성생략, 이완음화, 성문음화, 탈비음화 등의 비발달적 음운변동이 나타났으며,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PCC) and phon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sound position within a word, manner of articulation, and place of articulation comparing normal children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 Sixteen children with CI for more than one year and 16 normal children with consistent PCC were examined using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The number of children with phonological processes more than twice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 terms of phonological processes were investigated between the CI and the normal children. Also, the numb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or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 terms of phonological process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Each subject group of CI and normal children with consistent average PCC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one with PCC above 80% and the other with PCC under 80%. Then, the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of these groups were subsequently compared. From a comparison of PCC, the CI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CC than the normal children in fricatives. From a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the normal children significantly had higher frequency of tensing while the CI children had higher frequency of laxing, which is in contrast to tensing. From a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between the groups, the normal children rarely showe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while the CI children showed various processes such as the omission of the initial syllable, lenition, glottalization, and denasalization.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CI and low PC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