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 및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향희(HyangHee Kim),박은숙(Eun Sook Park),박지은(Ji Eun Park),이현정(Hyun-Joung Lee),남정모(Jung Mo Nam),최명수(Myung Soo Choi),이승진(Seung Ji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2

        배경 및 목적: 뇌성마비에서 보이는 다양한 수반증세 중에서 섭식-삼킴장애는 그 출현률과 유병률이 높은 장애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섭식-삼킴장애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영양공급 및 생명유지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임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될 장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들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과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방법: 총 30명의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대근육운동기능, 소근육운동기능, 비구어기제의 하부영역(호흡, 후두, 인두, 구강)기능, 그리고 섭식-삼킴기능에 대한 평가들을 실시하였다. 이 때, 아동에 대한 일대일 면접을 통한 직접평가와 보호자 설문을 통한 간접평가를 포함하였다. 결과: 각 아동들의 대 · 소근육운동기능 단계들이 측정되었고, 비구어기제기능 및 섭식-삼킴기능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점수가 산출되었다. 대 · 소근육운동기능 및 비구어기제기능이 섭식-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구어기제기능만이 섭식-삼킴기능 변수 총분산의 79.1% 혹은 77.9%를 설명할 수 있었다(p<.001).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구어기제기능을 치료함으로써 섭식-삼킴기능이 향상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 보고를 검증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비구어기제기능과 섭식-삼킴기능간의 이러한 밀접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섭식-삼킴기능이 비구어기제기능에 비하여 좀 더 긴밀한 협응이 요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두 기능은 서로 다른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두 가지 기능이 각각 어떤 협응체계를 보이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해본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rates of feeding-swallowing disorders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are high. These disorders can be detrimental threat to nutritional status, physical growth, and furthermore, life expectancy for children with C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ross motor function, fine motor function, and/or non-speech mechanism affect feeding-swallow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P. Methods: Thirty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Gross motor function, fine motor function, non-speech mechanism, and feeding-swallowing functions were examined via direct assessment of children and caregiver questionnaires. Results: Gross and fine motor functions were identified. The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non-speech mechanism and feeding function were repor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79.1% or 77.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feeding- swallowing function was explained by the non-speech mechanism function(p <0.001).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non-speech mechanism could improve feeding-swallow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CP. We speculate that more precise coordination might be required in feeding-swallowing than in non-speech tasks. Further study is needed to uncover the coordination systems involved in feeding-swallowing as well as non-speech mechanism functions.

      • KCI등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축형(K-BNT-15) 개발

        김향희(HyangHee Kim),김수련(Soo Ry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이름대기 능력의 손상은 신경학적 질환을 지닌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있는 노인에게서도 빈번하게 관찰된다. 이름대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는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주의력 감소로 인하여 검사 소요시간이 길면 검사에 대한 집중이 어려워지므로, 검사 결과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항축소가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여, 60개 문항의 K-BNT를 일반노년층의 이름대기 능력을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15개 문항의 검사(즉, K-BNT-15)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노인 175명을 대상으로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적합도, 성별 차이, 문항난이도 등을 평가하였다. K-BNT-15의 실시 결과, 일반 노년층은 10년 단위로 수행력이 감소하였고,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는 일반노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평가도구의 단축형 개발 시, 특정 집단의 언어적 능력과 문항의 응답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 집단에게 적합한 문항을 선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항반응이론이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K-BNT-15가 노화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감소 및 환자군과의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검사임을 검증하였다. Impaired naming difficulty is common in normal elderly as well as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The 60-item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K-BN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st for measuring confrontational naming ability. However,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may make the elderly difficult concentrating during the 60-item test, therefore, item reduction of the K-BNT would improve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K-BNT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IRT). Considering item-fit index, sex factor, and item difficulty through Rasch analysis, the 15-item K-BNT(i.e., K-BNT-15) was developed. Via administration of the K-BNT-15, we observed age-related decline in naming abilit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performance between the normal elderly and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tility of IRT for developing a short-form language evaluation tool. The K-BNT-15 can be effective as a language screening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normal aging and pathological diseases.

      • SCOPUS

        실어증환자 자발화의 유창성 연구

        김향희(Hyanghee Kim),권미선(Miseon Kwon),나덕렬(Duk L. Na),최상숙(Sang-sook Choi),이광호(Kwang ho Lee),정진상(Chin Sang Ch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3 No.-

        실어증환자들이 산출하는 자발화의 유창성 정도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주관적이며, 과연 어떤 요소들을 기준으로 유창성 판단이 이루어지는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청지각적인 판단에 의하여 31명의 실어증환자들을 비유창군, 정상유창군 및 과유창군 등 세 환자군으로 나눈 후, 그들의 그림설명 자발화들을 여덞가지 유창성 요소들(총 발화수, 총 발화수 내 총 문장수 비율, 총 문장수 내 복문수 비율, 발화당 음절수, 발화당 단어수, 초당 음절수, 한국어 9품사 출현비율, 발화오류비율)에 준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적어도 두 환자군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던 요소들은 발화당 음절수, 발화당 단어수, 총 발화수 내 총 문장수 비율 등이었다. 그 밖에, 단계식 판별분석 결과, 환자군간의 유창성 정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첫째 요인은 ‘발화당 음절수’로 밝혀졌으며 두 번째 요인은 ‘총 발화수’로서 이 두 요인들을 이용할 때 전체환자의 79.37%가 청지각적인 판단으로 할당된 환자군에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에서 실어증환자들의 유창성 정도에 대한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Fluency judgements of an aphasic patient's spontaneous speech can be extremely subjective. A number of variables that might be related to the fluency produced by aphas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Tape-recorded language samples of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of K-WAB were used for the analysis. A consensus judgement on the degree of fluency (i.e., hypo- fluent, normal-fluent, and hyper-fluent) was made by thre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picture description measures of the three groups (hypo-fluent = 16 patients; normal- fluent = 11; hyper-fluent=4) were analyzed using eight variables (i.e., the number of syllables per second or SPS the mean number of syllables per utterance or SPU; the mean number of words per utterance or WPU;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or TU; the total number of complex sentences/TU ratio; the total number of sentences /TU radio or TS/TU; the analysis of nine content-function words; and the per-centages of errors). We used the aforementioned eight variables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three fluency group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categorize at least two patient groups were SPU, WPU, TU, and TS/TU. Based on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he percentage of group cases correctly classified was 79.37%. This study reveals important variables that migh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luency judgement of language of patients with aphasia.

      • KCI등재

        Concurrent Validity of the 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for the Elderly

        김향희(HyangHee Kim),이현정(Hyun-Joung Lee),표화영(Hwa Young Pyo),김정완(Jung Wan Kim),최성희(Seong Hee Choi),최현주(Hyunjoo Choi),유희천(Heecheon You),남석인(Seok-In Nam),임익재(Ikjae 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개발된 삼킴 평가 프로토콜(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중 ‘삼킴기능’ 및 ‘삼킴관련 삶의질’과 관련된 하위영역과 삼킴장애지수(Korean-Dysphagia Handicap Index, K-DHI) 간에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여 SMAP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6곳의 노인복지관이나 경로당에서 조사된 노인 총 579명 중 삼킴 문제를 호소하지 않거나(447명), 신경계 질환 병력이 있는(41명) 대상자를 제외한 총 91명(남 20명, 여 71명; 평균연령 78±6.4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필검사 또는 전자패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SMAP과 K-DHI에 대한 응답을 자가보고하였다. 개별 반응들은 점수화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평가도구 문항들 중 유사한 내용을 측정하는 13개 문항들의 응답빈도를 순위화하여 스피어만 등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SMAP과 K-DHI의 총점 간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는 r=.825 (p<.01)로서 SMAP의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r=.655 (p<.05)로서 두 평가도구들의 각 13개 문항들 간의 상관성이 높은 편이었다. ‘입이 건조하다’를 반영하는 문항이 두 평가도구 모두에서 호소 빈도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액체에 대해 ‘사레’에 걸리거나 ‘기침’을 하는 것도 각각 3위(SMAP)와 2위(K-DHI)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일반 노년층이 보이는 삼킴 문제가 ‘장애’로서의 특색이 아니라 ‘노화’에 따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므로 연관문항들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Objectives: Since swallowing function deteriorates with aging, it is crucial to examine the elderly’s perception of their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swall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wallowing Monitoring & Assessment Protocol (SMAP) and the Korean-Dysphagia Handicap Index (K-DHI). Methods: The results of the one-on-one survey via paper-pencil or mobile format presented to 91 older adults (men 20, women 71; mean age, 78±6.47 years) among 579 participants recruited from the 16 senior welfare or senior community centers were analyzed. Individual responses were converted into scores and Pearson correlation and Spearman rank order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via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Result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r=.825, p<.01) between the overall scores of the SMAP and the K-DHI. Analysis of rank ordered data of response frequency of the 13 items with similar contents in two evaluation tools also revealed a moderate correlation (r=.655, p<.05). Items related with ‘dry mouth’ ranked as the first complaint in both evaluation tools. Also, ‘choking’ and ‘coughing’ on liquids or water was ranked third (SMAP) and second (K-DHI) complaints, respectively, in both evaluation tools. Conclus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some swallowing problems observed in older adults may be a consequence of ‘ageing’ rather than features of ‘disorder’, per se.

      • KCI등재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의 검사방법 타당성 연구

        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BNT)를 아동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검사방법을 변경하여 60개 전체 문항 대신 일부 문항만을 실시하더라도 60개 전체를 검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대체 검사방법을 고안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방법: 3세부터 14세에 걸친 6개월 단위의 24개 연령군 총 2,56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K-BNT의 결과를 다음의 세 가지 검사방법에 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방법에서는 전체 60개 문항 검사실시에 대해 총점을 산출하였다. 둘째 방법에서는, 1번 문항부터 시작하여 연속 6개 오반응이 관찰되는 최고한계(ceiling) 지점까지의 정반응 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방법에서는, 연령별 시작문항이 주어지고, 8개 연속 정반응이 관찰될 때의 기초선(baseline)과 연속 6개 오반응의 최고한계를 동시에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세 가지 방법 간에 24개 연령군 별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검사문항수에 있어서는 60개 전체 문항을 실시하는 방법, 최고한계만을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기초선과 최고한계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 순으로 문항수가 적어도 무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p<.001). 다시 말해서, 최고한계를 적용하는 방법에서 60개 문항대신 전체 연령군 평균적으로 60개 문항의 82%인 49개의 문항을, 그리고 기초선 및 최고한계를 동시에 적용하는 검사방법에서는 60개 문항의 55%인 33개의 문항만을 실시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K-BNT의 검사 방법은 대상군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총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초선 및 최고한계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검사 효율성 면에서 가장 좋은 방법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efficient method of administering the Korean versio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K-BNT-C) by comparing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methods: 1) administering 60 test items; 2)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of the ceiling upon six consecutive failures and 3) applying both a baseline upon eight consecutive successes and a discontinuation rule of the ceiling. Methods: A total of 2,560 children between 3 and 14 years old were stratified into 24 groups based on age and were tested via the K-BNT-C. The results of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ree administration method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est scores of the three methods. However, the number of test item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in the following order: administrating 60 test items, applying a discontinuation rule (49 test items), and applying both a baseline and a discontinuation rule (33 test items). Discussion & Conclusion: Alternative administration methods of the K-BNT can be proposed for different subject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the K-BNT-C can be administered more efficiently by applying both a baseline and a discontinuation rule in testing or screening for confrontation naming impairment in children.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15-item 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 for Older Adults Based on a Rasch Analysis

        김향희(HyangHee Kim),김가영(Ga-Young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노화에 따른 삼킴기능의 변화는 노년층에서 가파르게 만연되고 있는 현상이다. 따라서 자가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사회 노년층 스스로의 삼킴기능과 삼킴관련 삶의질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개발된 삼킴기능 26문항의 자가보고설문지에 대해 추가적인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라쉬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479명의 노인들(남자:여자= 238:241, 평균 연령 75.6±7.17세)을 대상으로 26개의 문항이 포함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라쉬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WINSTEP?? 프로그램(버전4.4.6)을 활용해 문항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문항적합통계(item fit statistics)를 통해, 26개 중 11개 문항이 모델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도출된 15-문항 삼킴기능 간단평가(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는 차원수(dimensionality)와 문항적합통계 측면에서 일차원적(unidimensional)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문항 신뢰도는 우수하였으나, 대상자 신뢰도(person reliability)는 다소 낮았다. 평정척도(rating scales)는 일부 범주를 통합한 후 재분석되어 세 범주로 축소되었다. 논의 및 결론: 라쉬분석을 통해 확인된 BISA-15은 정상에서 임상전단계로 전이되는 삼킴기능을 탐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노년층에서 좀 더 폭넓은 연령대 및 다양한 환자군에게 도구유용성이 검증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Aging-related changes in swallowing functions have rapidly become prevalent among the elderl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re often conducted to observe how people perceive their swallowing functions, and to report the swallowing-associated quality-of-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use of Rasch analysis for validating the pre-develop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assess swallowing function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479 older adults (men=238, mean age±SD= 75.6±7.17 years) were enrolled. Twenty-six items with respect to swallowing functions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Each item investigated symptom frequency or severity on a 5-point Likert scale. A Rasch analysis using the WINSTEP?? program was undertaken to establis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From the item fit statistics analysis, 11 out of 26 items were shown to be misfits to the model. Thus, the 15-item 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 was derived and demonstrated a unidimensional scale based on the dimensionality and item fit statistics. The overall item reliability was excellent. The person reliability was lower than the required threshold. The rating scales needed to collapse into three categories both in frequency and severity (i.e., never, sometimes/moderate, often/severe). Conclusion: The BISA-15 can be utilized to detect degree of aberrations in swallowing that transit from normal to subclinical stage in older adults. Future studies are warranted to further clarify the utility of the BISA-15 in a wide range of age in the elderly as well as in the various clinical populations.

      • KCI등재

        노년층 삼킴 평가 프로토콜의 내용타당도

        김향희(HyangHee Kim),김가영(Ga-Young Kim),이현정(Hyun-J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Objectives: Since swallowing function changes with typical aging,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the geriatric swallowing characteristics. Some swallowing features in the elderly may be related to geriatric diseases such as stroke, motor disorders, and dementia; in all of which early detection of swallowing problem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both diagnosis and intervention by utiliz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of evaluation items of the swallowing assessment protocol, which is under development. Methods: We trichotomized a total of 78 evaluation items from the ubiquitous swallowing assessment tools into three domains: self-report of swallowing function, self-report of swallowing-related quality-of-life, and clinical swallowing assessment. T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ge, 43.60± 5.99 years; clinical experience period, 15.00 ± 6.63 years) responded to a 5-point Likert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each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retrieved. The cut-off point of .75 was used as an indicator of items with good content validity. Results: The number of the evaluation items with the CVI exceeding the cut-off point of .75 were 66 in total, comprising 16 items regarding self-report of swallowing function, 22 of self-report regarding swallowing-related quality-of-life, and 18 regarding clinical swallowing assessment. Conclusion: These item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assessing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By doing so, we may be able to detect and monitor dysphagia-related symptoms, often leading to aspiration pneumonia, weight loss, and/or elderly frailty. 배경 및 목적: 삼킴기능은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하므로, 삼킴의 어떠한 측면에서 노인들이 어려움을 겪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일부 삼킴 특색은 뇌졸중, 운동장애질환, 치매 등과 같은 노인성 질환과 연관되므로 삼킴장애의 조기 탐지가 진단및 중재에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 중에 있는 노년층 삼킴 평가 프로토콜의 문항들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33개 삼킴 평가도구들의 문항 들을 세 가지 영역(삼킴기능 자가보고, 삼킴 관련 삶의 질 자가보고, 삼킴 임상평가)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총 78개 문항들로 내용타 당도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10명의 언어재활사들(평균 연령 43.60±5.99세; 평균 임상경력 15.00±6.63년)에게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정하였다. 이때, 내용타당성의 기준이 되는 절단점은 .75로 설정하였다. 결과: 절단점보다 높은 문항들로는, 삼킴기능 자가보고, 삼킴 관련 삶의 질의 자가보고, 삼킴 임상평가 영역들에서 각각 26개, 22개, 18개로 총 66개가 선정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들 문항들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삼킴 기능 평가의 기초 문항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삼킴장애로 야기될 수 있는 흡인성 폐렴, 체중 감소, 노인 노쇠(frailty) 등의 후유 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김향희(HyangHee Kim),김정완(Jung Wan Kim),허지희(Ji Hoe Heo),김덕용(Deog Young Kim),성수진(Soo Ji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침상에서 실어증의 유무를 효율적 이고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어증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 그동안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 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실어증 검사가 활용되어 왔으나, 실제 검사 과제들이 언어수행력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기존 검사들의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실어증 선별검사 개발에 적용하 고자 하였다. 방법: 기존 실어증 검사(full battery)도구와 실어증 선별검사(screening test)도구의 하위 평가과제들을 분석한 후, 7인의 언어치료전문가들이 판단한 각 검사항목에 대한 척도점수에 근거하여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이하 CVI)를 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새 롭게 개발될 실어증 선별검사의 평가문항들을 작성한 후, 그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 다. 결과: 14개의 평가문항들의 CVI는 모두 .60 이상으로 제안된 실어증 선별검사의 평가문항들이 실어증 유무를 선별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제안된 실어증 선별검사 도구 내의 문항들이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감별하고자 하는 검사의 목적과 적절한 연관 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향후 실어증 선별검사도구의 표준화 과정의 전 단계로 검사문항 들의 내용적인 타당성을 확보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Essentials to the notion of routine aphasia evaluation at the bedside are efficiency of test administration as well as discriminative validity of measures. An aphasia screening test might satisfy the two conditions but existing aphasia screening tests have fail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of test items.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aphasia tests and to propose test items of an aphasia screening test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s: After analyzing the subtests of the aphasia assessment tools and aphasia screening tests, Content Validity Index(CVI) was calculated based on CVI of the test items judged by sev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sults: It was found that CVIs of the test items of the newly developed aphasia screening test were above .60 and thus the items were thought to be suitable to detect aphasia. Discussion & Conclusion: Aphasia screening test with optimal level of CVI of test items would serve as an appropriate screening test for detecting aphasia.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ntent validity of test items as preliminary data in standardizing an aphasia screening test.

      • KCI등재

        A Thematic Analysis of Speech Self-Awarenes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김수민(Soomin Kim),김향희(HyangHee Kim),남석인(Seok-In Nam),김한샘(Han-Saem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자가보고는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한 삶의 질의 변화를 측정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말은 변화하며, 활동참여를 방해한다. 본 연구는 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말 자가인식에 대한 보고에서 출현하는 주제들을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 시내 총 세 곳의 지역사회 노인복지관에서76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였다(남:여=23:53, 평균 연령=73.19±8.54세). 대상자는 “1년 전에 비하여 말을 하는데 어떻게 차이가 있나요?”, “말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게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대하여 말의 변화와 활동제한, 참여제약 경험을 보고하였다. 분석에는 NVivo 12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 번째 상위주제는 말 변화의 특색으로서 ‘조음’, ‘발성’, ‘유창성’, ‘운율’, ‘말 명료도’, ‘호흡’이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는 말 변화의 원인으로서 ‘일반적 노화’, ‘치아 문제’, ‘질병’, ‘청력 저하’라는 하위주제가 확인되었다. 세 번째는 말 변화로 인한 활동제한 및 참여제약으로서 ‘노래’, ‘대화’, ‘직업 활동’이라는 하위주제가 나타났다. 네 번째는 말 변화의 해결 방안으로서 ‘구어 훈련’, ‘비구어 훈련’, ‘질병 치료’ 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노인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말의 변화를 경험하며, 그 원인이 노화의 영향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활동참여 문제를 겪으며, 개별적으로 해결책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문제에 대한 예방교육이나 의사소통 삶의 질 증진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Objectives: A self-report is often used to measure one’s own problems and related quality of life. With typical ageing, speech may change and can restrict activity and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mes in speech self-awareness reports stated by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rough a thematic analysis. Methods: We interviewed 76 older persons (men:women=23:53, mean age=73.19±8.54) from three senior community centers in Seoul.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 changes in speech and the related activity limitations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by responding to the survey items; “Have you perceived any changes in your speech in the last year?” and “Does your speech cause any inconvenience in your daily life?”. Thematic analysis using the NVivo 12 program was done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Results: Four main themes and 16 sub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and the main themes included ‘characteristics of changes,’ ‘causes of changes,’ ‘activity limitations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due to changes,’ and ‘solutions to changes’ in speech. Conclusion: We observed that older persons experience changes in speech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that most of them consider these to be the result of ageing. They experien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blems and make an effort to resolve them. The main themes and subthemes could be served as key concepts upon providing intervention and/ or preventive education regarding geriatric speech problems.

      • KCI등재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김재옥(Jaeock Kim),최성희(Seong Hee Choi),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김효정(Hyo Jung Kim),황보명(BoMyung Hwang),박현린(Hyun Rin Park),박희준(Hee-Jun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국내 언어치료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수는 총 50개교이고, 교육과정 프로그램은 총 87개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성장하였으나, 국내 전반에 걸친 임상교육, 훈련 및 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적인 임상의 질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국내 언어재활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임상 교과와 임상실습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임상교과과정, 임상실습, 임상교육환경으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국내 언어치료교육과정 프로그램 87개 중 설문에 회신한 57개(10개 전문대학, 19개 4년제 대학교, 28개 대학원) 과정들의 자료룰 분석 하였다. 결과: 비록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국가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핵심 임상 교과과정은 운영하고 있으나, 임상교과 학점, 시수, 훈련 내용과 실습 영역 및 임상환경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학원 프로그램들은 언어치료전공자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임상수업활동이나 임상실습을 면제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장 많이 실습하는 주된 영역은 학령전기/학령기 언어발달장애 영역이었다. 모든 실습과목 담당 교수진이나 임상감독자들은 언어치료를 전공한 교원으로 언어재활사자격증을 가진 전문가였으나, 세 개의 학제 간에 다양한 자격증 유형과 교수진의 형태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치료학과 프로그램들 간의 일관된 질적 임상 훈련이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임상교육 훈련 내용이나 임상 환경에 관한 좀 더 구체화된 최소 표준 임상규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우리의 미래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교육과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in speech-language pathology/therapy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has reached a total of 87 programs in 50 universities. However, no nationwide survey on the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of the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carried out.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on clinicbased courseworks, clinical practicum, and clinical educational setting was distributed, and a total of 57 (10 community college, 19 undergraduate, 28 graduate) progr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Although most of programs ran core clinical courses required fo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various credits of clinical courses, clinical hours, and practical area, and clinical environments were documented. Most graduate school programs permitted students with speech-language pathology backgrounds or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 licenses to be exempt from clinical coursework and practicums.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 or school-age children was the most predominant practice area in most of the programs. Supervision of clinical activities in all three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was provided by licensed faculty or supervisors. Conclusion: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qualified clinical training or education across the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standard clinical guidelines regarding education training contents or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diverse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SLP profession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in the upcoming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