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한 병실환경과 삶의 질 :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비교

        안병탁,한성희,이충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연구 목적: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하는 개방 병동과 폐쇄 병동의 병실환경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 그 차이가 그들이 보고하는 삶의 질과 어떠한 연관을 보이는가를 고찰함으로써 개방병동이 가지는 병실환경의 치료적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개방병동이 지향해야 하는 병실환경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국립서울정신병원의 일 개방병동과 일 폐쇄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각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실환경평가척도(Ward Atmosphere Scale : WAS)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에 응답케 하였으며, Lehman의 삶의 질 면담(Quality of Life Interview)의 일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하여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들과 주관적 지표들의 점수를 측정하였다. 개방병동군과 폐쇄병동군에서의 측정치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병실환경척도의 점수와 삶의 질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병실환경에 대한 지각에 있어 개방병동군은 패쇄병동군보다 병실환경을 보다 지지 적이고 자율적이며 실제 지향적이라고 지각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평가에 있어 개방병동군은 폐쇄병동군에 비해 높은 '전반적 삶의 질'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인구학적, 임상적 변수들과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들에 의한 영향을 공분산분석으로 배제한 뒤에도 유의하였다. '전반적 삶의 질' 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인 병실환경특성들 중 개방병동군의 경우 '질서와 조직'(r=0.49, p<.05). 그리고 패쇄병동군의 경우 '지지'(r=0.59. p<.01)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개방병동군은 병실환경을 지지적이며 자율적이며 실제지향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긍정적 지각은 그들이 보이는 삶의 질 점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ward atmosphere of an open ward and that of a closed ward as perceived by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perceived ward atmosphere i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and also to get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treatment policies of open wards. Methods : Fifty-two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ere selected, 26 of them were in an open ward and the remaining 26 patients were in a closed ward, in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All the pati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whole items of Ward Atmosphere Scale (WAS) and SCL-90-R. Objective indicators and subjective indicators of their quality of life were scored during a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potions of Lehman's Quality of Life Interview. The subjective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were combined to a single global quality-of-life score and then examined for associations with other variables. All the measu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Covariate adjustments were made as needed. Results :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upport', 'autonomy' and 'practical orientation' subscales among WAS in comparison with closed ward patients.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higher 'global quality-of-life score' compared with the closed ward patients. These differences were also significant fo11owing covariate adjustments for demographic, clinical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variables. Among the WAS subscales 'order and organization'(r=0.49, p <.05) was the highest correlate of 'global quality-of-life score' in case of open ward patients, and 'support'(r=0.59, p <.01) was the highest correlate in case of closed ward patients. Conclusion : The open ward patients reported better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ir reported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their higher ratings on WAS:

      • KCI등재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1

        유혜진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최근 22년 간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과 관련된 국내 연구논문의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국내 5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고 선정 기준에 맞는 총 14개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13개 연구가 횡단적 조사연구였으며 1개의 연구가 질적연구였다. 양적 연구 중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을 측정한 도구 중 Maslach Burnout Inventory(MBI)가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나이, 결혼 여부, 임상경력, 정신건강간호사 자격증 소지 여부, 월 급여, 종교 여부, 정신과 관련 교육을 받은 횟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근무 시 폭력 경험 여부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큰 규모의 횡단적 연구와 추적연구가 시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ast twenty two years of research trends in the burnout of psychiatric ward nurses and suggests guidance for future studies. Five domestic databases were used in the literature search, and fourteen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thirteen articles were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ies and one study was qulitative study. Among the quantitative study, the most used instrument to measur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was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The individual factors related to burnout in nurses in psychiatric wards were age, marital status,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license status. monthly income, religious status and education related to psychiatry. The most related situational factor that affect burnout in psychiatric ward nurses was experience of violence. In future research, large-scal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nd based on this, intervention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reducing the burnout of psychiatric ward nurses.

      • KCI등재

        일반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혜수(Hye-Su Lee),전원희(Won-Hee 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간호역량의 정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 이상급에서 일하는 일반병동 간호사 197명이었다. 자료는 2021년 8월 20일부터 8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결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수준은 5점 만점에 3.42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간호역량은 성별(t=-3.38, p=.001), 근무형태(F=6.09, p=.003), 정신간호 관련 보수교육경험(t=-4.5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간호역량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r=.44, p<.001), 셀프리더십(r=.5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신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체적 의사소통 기술(β=.370 p<.001), 정신간호 관련 보수교육경험(β=-.33, p<.001), 목표설정(β=.20 p=.003), 건설적 사고(β=.16, p=.009)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정신간호역량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0.0%였다. 결론 일반병동 간호사의 정신간호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정신간호 관련 보수교육의 기회를 마련하고 교육 내용으로 구체적 의사소통 기술과 목표설정 및 건설적 사고 관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general ward nurse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i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7 general ward nurses who worked in a general hospital or a higher-level facility (more than 100 be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20 to August 27,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In addi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mean score for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general ward nurses was 3.42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t=-3.38, p=.001), type of duty (F=6.09, p=.003), and remuneration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nursing (t=-4.51, p<.001).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elf-efficacy (r=.44, p<.001) and self-leadership (r=.55, p<.001).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were specific communication skills (β=.37, p<.001), remuneration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nursing (β=-.33, p<.001), goal setting (β=.20, p=.003), and constructive thinking (β=.16, p=.009).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0.0%. Conclusions To improve the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general ward nurs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remuneration education related to mental nursing and to include specific communication skills, goal setting, and constructive thinking-related programs educational content.

      •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미술자기표현에 관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의 이론적 고찰

        이현정,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1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회복과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염두에 두는 관점에서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그리고 미술자기표현에 관한 미술심리치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신과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증상과 진단이 다양한 환자들이 외부와 단절된 환경 속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는 폐쇄병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에 적합한 미술심리치료 모델로써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을 제시하였다. 외부와 단절된 치료 환경에 놓인 폐쇄병동 정신질환자는 자아존중감 위축, 대인관계 능력 저하 등의 심리적, 기능적 문제가 더욱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이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회복 및 대인관계 개선, 미술자기표현 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폐쇄병동의 현황 및 특성을 반영하여,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에게 적합한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의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호병동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명상 프로그램의 적용

        김규남(Kim, Gyu-Nam),이상일(Lee, Sangil),김정모(Kim, Jeung-M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논총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명상 프로그램이 보호병동에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에게 적용될 때 고려되어야 할 점들에 대해 탐색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에서는 보호병동에 입원 중인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환자 및 병동 담당의 및 간호사들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그 결과, 참가 환자들의 전반적인 기능 상태의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 예상하지 못한 퇴원으로 인한 중도 탈락, 과제에 대한 부담감 및 지루함 등이 보고되었다. 보고된 문제점들을 본 연구(main study) 프로그램에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연구에서 보고된 문제점들을 수정한 명상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명상 훈련을 받았으며 통제집단은 병동 내 일반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예비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강박증척도에서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으며, 불안 척도에서 유의수준에 근접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명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에게 치료 효과가 있다는 점과 보호병동이라는 특수한 치료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consideration of Mindfulness-based meditation program for psychotic disorder patient in closed ward, and examined the effect of Mindfulness intervention. In the preliminary study, we conducted the Mindfulness program for psychotic disorder patient in closed ward, after the program, we received the feedback from patients, ward nurses and doctor. As results, several problems have been reported such as communication difficulty due to the difference of clinical function between participants, dropout for discharge, some pressure to individual task and boredom for meditation training. We modified the medita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eported problems, and this program were applied to main study. These showed that the training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obsessive index and a trend toward significance of anxiety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based meditation intervention can be used to help psychotic disorder, and problem and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closed ward.

      • 국립서울병원에서 개방병동에 적응 못하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특성

        서주행(Joo-Haeng Seo),장안기(An-Kee Chang),최종혁(Jong Hyuk Choi)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1

        연구목적: 개방병동에서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들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전동환자 빈도와 전동이유를 알아 환자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국립서울병원의 남자 개방병동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302명 중에서 입원치료중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환자(전동군) 22명과 같은 기간동안 1년 이상 개방병동에서 입원치료를 하고 퇴원한 환자 또는 1년이상 입원 치료중인 환자 31명을 대조군(비 전동군)으로 하여 병력지를 조사하였고, 양군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연구 기간동안 남자 개방병동에서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는 302명이었고, 폐쇄병동으로 옮겨간 환자는 22명(7.28%)이었다. 전동이유의 빈도는 환청 또는 망상과 자해가 12명(54.5%)으로 가장 많았고, 옮겨간 시기는 환자의 40.9%(9명)에서 개방병동 입원 1개월 미만이었다. 전동군 환자들은 입원 시 주소에 있어서 난폭한 행동이 많았으며, 알코올 의존증을 많이 동반하였고, 난폭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개방병동 입원 생활 중에는 월평균 프로그램 참여회수가 낮았다(p<0.05). 결 론: 개방병동 입원환자 중 난폭행동을 주소로 입원하였거나, 동반질환으로 알코올 의존 및 물질남용이 있거나, 난폭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많은 치료적 관심을 요한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causes and occurrence time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transferred from an open ward to a closed ward for treatment improvement. Methods:Twenty-two 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the Seoul National Hospital during the years between 2000-2001 and transferred from an open ward to a closed ward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red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ll patients admitted to an open ward and not transferredduring the same period. Thirty-on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patients’s chart was reviewed. Results: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habitant, chief complaint on admission, alcohol dependence and substance abuse, the number of engagement in ward program and history of violent behavior(p<0.05). The causes of transfer were hallucination and delusion(31.8%), self-harm(22.7%), violation of ward rule(18.2%), violent behavior(13.6%) and escape(13.6%) in order. The majority of transfer occurred within 1st hospital month(40.9%). Conclusion:Psychiatrist should pay attention and interest to patients who have violent behavior in chief complaint, alcohol dependence and substance abuse and history of violent behavior in an open ward.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홍선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 12회기를 시행하였다. 정신과 병동의 간호사는 특수한 근무환경과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 로 하는 간호수행에 따른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므로 감정표현에 영향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또한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자신만의 문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과 의료기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간호업무의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직무 스트레스 감소는 절실히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감정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내의 정신과 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12명 간호사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시행하였 으며, 양적 연구에는 직무 스트레스 척도, 정서표현 질문지,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위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양적 분석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 정서표현, 우울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질적 분석은 집단구성원간의 진솔한 감정표현과 긍정적인 에너지로 집단의 응집력과 자아 통합 을 갖게 되어 직무 스트레스 및 감정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took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12-sessions,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emotional express of psychiatry ward nurses. Psychiatric ward nurses get a high level job stress, because of working in a special conditions and doing the emotional labor that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 patient of affective disorder. So we have recognize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need to be reduced why job stress of the nurses in psychiatric ward have not only staying on their own problems, but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patients, healthcare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consequently. In this study, we set the following a subject of inquiry with the group art therapy. First,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job stress in psychiatric ward nurses? Second, how to effect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in psychiatric ward nur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12 nurses who are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in Gwangju. For quantitative analysis, levels of job stress, questionnair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are used and pre- and post- survey were also undertaken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Qualitative analysis has been consisted of group art therapy in order to see the impact onto the stress level and emotional express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gab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 ares of job stress,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effect. Having been integrated into the energy of group cohesion and self-unity, stress and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were positively influence.

      • KCI등재

        한국 현대시 속 정신병동과 감옥 공간에 대한 고찰 : 이승하의 감시와 처벌의 나날 을 중심으로

        김정신(Kim Jeong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는 이승하의 시집 감시와 처벌의 나날 을 대상으로 통제 또는 규율사회에서 비정상의 범주로 규정된 정신병자나 죄수들이 어떠한 양상을 드러내며, 시적 치유의 가능성을 어떻게 보여주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감시와 처벌의 나날 에 나타난 정신병동과 감옥이라는 제재에 주목하여 그것이 갖는 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정신병동과 감옥은 현대의 권력이 구조적으로 장소화 되는 곳이다. 최근 한국시에서 이러한 소재에 집중한 이승하의 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시 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푸코의 감시와 처벌 을 연상시키는 감시와 처벌의 나날 (2016)은 총 2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2부(38편)에서 는 정신병자들이 병원에 갇혀 있는 ‘감시’의 세계를 보여준다. 시인은 「죽음에 이르지 못하는 병」, 「광(狂)」, 「흉터」등에서 병든 누이를 신화화함으로써 현실의 폭력성을 폭로하고 ‘미친 누이’의 고통을 시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또 시인은 정신병동에 살고 있는 환자들의 삶을 통찰하고, 환자들이 그림을 그리거나 자작시를 씀으로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이것이 결국 시적 치유로 나아가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1부(24편)에서는 재소자들이 감옥에 갇혀 있는 ‘처벌’의 세계를 보여준다. 40년 동안 입어온 수의(囚衣)를 수의(壽衣)로 갈아입고 죽어서야 감옥을 나오는 모습을 그린 시(「출소」)도 있고, 사형수 유영철과 강호순을 소재로 한 시도 있다. 시인은 재소자들이 감옥에서 본래의 순수자아의 감성을 끌어올려 시를 쓰는 문학 활동을 지도함으로써 시의 치유적 기능을 보여준다. 한국 현대시인들이 다룬 공간 가운데 ‘감옥’과 ‘정신병원’은 대단히 특이한 공간이므로 다룰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pects of psychopaths and prisoners, -defined as abnormal categories in controlled or disciplined societies, -and how they show the possibility of poetic healing in Lee Seung-ha’s collection of poems. In other words,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sanctions of psychiatric wards and prisons in The Days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and explore the poetic meaning of the work. Psychiatric wards and prisons are spaces where modern power is structurally placed. By considering the recent Korean poetry of Lee Seung-ha, who has focused on these materials, this study will be able to expand the horizons of Korean poetry research. Poet Lee Seung-ha’s The Days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2016), reminiscent of Foucault’s Surveillance and Punishment, consists of two parts. First, Part Ⅱ(38 poems) shows the world of ‘surveillance’ in which psychopaths are trapped in hospitals. By mythizing a sick sister in A disease that does not lead to Death , Gwang(狂, madness) and The Scar , the poet reveals the violence of reality and makes the pain of the ‘crazy sister’ poetic. The poet offers insights into the lives of patients living in psychiatric wards in his poems, and shows that patients experience catharsis by painting or writing their own poems, which eventually leads to poetic healing. Meanwhile, Part Ⅰ(24 poems) of The Days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shows the world of ‘punishment’ in which prisoners are imprisoned. There is also a poem Coming Out of Prison that depicts the image of leaving prison only in death changing his clothes from the prison uniform(囚衣), which has been worn for 40 years, to the shroud(壽衣). There is even a poem that has poetic material similar to Yu Yeong-cheol and Gang Ho-sun. The poet shows the healing function of the poem by guiding literary activities in which prisoners write poems by raising the original pure self’s sensibility in prison. Among the spaces covered by modern Korean poets, the ‘prison’ and ‘psychiatric ward’ are very unusual spaces; thus. I think these are worth studying.

      • KCI등재

        감금과 통제: 19세기 러시아 정신병원의 실체

        이병훈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9 러시아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uth of Russian madhouse in the works of 19th century Russian novelists, focusing on V. Garshin and A. Chekhov. It was in the late 19th century that modern psychiatry and psychiatric hospitals began to be established in earnest in Russia. Unlike the West, Russia, however, had a very uneven development in central and local areas. Above all, it is largely due to the vastness of Russian territory. From the center to the provincial, from the provincial to the rural areas,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 of madhouse were inferior. Besides regional inequality, Russian madhouses had another reason for being more responsive to the social demands of incarceration and control. The feudal class system and the backward political system attempted to maintain the old system by treating the psychiatric patients as socially unstable and isolating them. Here, the military social order made Russian madhouse like a space similar to a prison. In other words, the Russian madhouse was merely an institution supporting the prison. We can see these things vividly, especially in <The Red Flower> of Garshin and the <Ward No. 6> of Chekhov. The two works deal with madhouse in provincial and rural cities, but their size, facilities and management systems are different. And the latter has a stronger nature of incarceration and control than the former and performs functions similar to a prison. In this respect, the two works are true records of Russian madhouse written by patient and doctor. 본 논문의 목적은 가르신과 체호프의 작품에 나타난 19세기 러시아 정신병원의 실체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러시아 정신병원에 관한 다양한 역사 자료들을 참고하고 있다. 러시아에서 근대적인 정신의학과 정신병원의 체계가 정립된 것은 19세기 후반이었다. 서구와는 달리 러시아는 중앙과 지방의 발전이 매우 불균등하게 진행되었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러시아의 광활한 영토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중앙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다시 시골로 갈수록 정신병원의 시설과 관리체계는 더욱 낙후되었다. 지역의 불균등성 외에도 러시아 정신병원은 감금과 통제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밖에 없었던 또 다른 이유를 지니고 있었다. 예컨대 봉건적 신분체계와 낙후된 정치체제는 정신병자들을 사회 불온세력으로 간주하고, 그들을 격리함으로써 구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다. 여기에 군사적인 사회질서가 러시아 정신병원을 마치 감옥과 유사하게 만들었다. 요컨대 러시아 정신병원은 거의 감옥을 보완하는 기관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들을 가르신의 「붉은 꽃」과 체호프의 「6병동」에서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두 작품은 각각 지방도시와 시골도시의 정신병원을 다루고 있지만, 그 규모와 시설, 관리체계는 상이하다. 그리고 후자는 전자보다 감금과 통제의 성격이 강해서 감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들은 정신병 환자였던 가르신과 의사였던 체호프가 작성한 러시아 정신병원에 대한 진실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신병동에서 진행하는 사이코드라마의 특성과 방법에 대한 고찰

        윤우상 ( Woo Sang Yu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정신병동에서 진행하는 사이코드라마의 특성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출자는 사이코드라마 진행을 위해서 정신병동의 특수성과 정신과 환자의 증상에 대해 알아야 한다. 정신과 환자는 사고, 감정, 행동, 지각에 문제가 있으며 크게 망상, 환각, 기이한 행동 등의 양성 증상과 감정의 둔마, 무의욕, 무감동의 음성 증상으로 나눈다. 정신병동의 사이코드라마는 목적과 진행방식에 따라 세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사회기술 훈련이나 놀이를 중심으로 하는 역할놀이,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적 사이코드라마, 그리고 잉여현실을 중요하게 여기는 실존적 사이코드라마이다. 연출자는 워밍업, 행위화, 나누기할 때의 방법과 주의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the psychodrama in the psychiatric ward. Director should know the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ward and psychotic symptoms for psychodrama. Patients have symptoms regarding thought, emotion,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are two groups of symptoms. Positive symptoms include delusion, hallucination and bizzare behavior. Negative symptoms include blunt emotion, apathy and avoli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psychodrama in psychiatric ward according to purpose and method. Role playing applies to play and social skill training. Therapeutic psychodrama is for treatment. Existential psychodrama focuses on surplus reality. Director should be acknowledged of methods and precautions for warm-up, drama and shar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