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한 재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을 중심으로

        김가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3 No.-

        화가의 교유관계 파악은 한국회화사 연구에서 필수적이었다. 그동안 화가의 작품 세계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우정, 사승관계, 혈연과 같은 인간관계는 외적 영향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다. 이 중 전통시대 화가의 ‘우정(友情)’은 쉽게 이상화되거나 미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18세기의 화가 정선(鄭敾, 1676-1759)에 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선과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은 매우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정을 나눈 것으로 전제(前提)되어 왔다. 간송미술관 소장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역시 정선과 이병연의 합작(合作)이라는 이유 때문에 이들의 우정을 표현한 그림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고는 《경교명승첩》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과 관련된 작품들의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정선의 시가 가면 그림이 온다는 약속 즉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정선이 양천현령으로 재직하던 1740년에서 1741년에 제작되었다. 《경교명승첩》 은 정선의 아들 정만수(鄭萬遂, 1710-1795)로부터 심환지(沈煥之, 1730-1802) 의 수중에 들어가기 전까지 정선의 집안에 소장되어 있었다. 정선은 일생 동안 타인의 그림 주문에 수응(酬應)하며 생활했다. 이런 그가 자신과 자신의 친구인 이병연을 위해 그린 《경교명승첩》은 수응화(酬應畵)가 아니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경교명승첩》에 들어 있는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초상화, 실경산수화, 고사인물화, 시의도 등 다양한 장르를 변형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을 시각화하였다. 정선과 이병연은 이 작품들을 통해 그들의 우정을 돈독히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경교명승첩》이 보여주는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실제로 이들의 개인적 친분 관계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선에게 이병연은 친구이자, 그림 주문자, 그림 중개인이었다. 정선과 같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에게 그림을 주문할 때 그와 직접적 친분이 없는 사람들은 정선의 친구였던 이병연을 통해서 그림 주문 및 제작을 의뢰하였다. 이병연은 중국으로 사신을 가는 사람들을 활용하여 정선의 그림을 대리하여 판매해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정선은 그림을 판매한 대가를 현금이 아닌 물고기, 비단, 양초, 황유자기와 같은 ‘선물’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는 사대부 출신의 화가가 그림을 통한 상업적 거래를 하는 것이 장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선물’과 같은 ‘대가성 현물’을 통해 거래하는 것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해 세속적 거래를 했다는 낙인을 피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아울러 그림 주문자들은 양반 출신의 화가에게 친구인 이병연을 통해 그림을 부탁함으로써 화가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득의작(得意作)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했다. 또한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서로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도 상업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의 많은 수장가들은 정선의 그림과 이병연의 시를 함께 하나의 화첩으로 만들어 소장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선과 이병연은 당대 최고의 화가와 시인으로서 서로의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영감을 주는 예술적 동반자였다. 이와 동시에 이들은 시와 그림이라는 예술로 생계를 이어 나가며 명성을 쌓아 가는 데 현실적으로 서로에게 이익이... In 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 artist lived and worked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his or her artistic produ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such as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 as well as kinship are regarded as external factors in the formation of an artist’s world. In particular, the factor ‘friendship’ was prone to being idealized or romanticized in the narrative of a traditional artist. This phenomenon appears to have occurred also in the case of the eminent painter Jeong Seon (1676-1759). Most research on Jeong Seon and his friend Yi Byeongyeon (1671-1751) claims that they shared a pure and beautiful friendship. Until now,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Famous Scenic Spots in the Suburbs of Hanyang) in the collection of the Kansong Art Museum is considered to be a collaboration by Jeong and Yi which resulted from their friendship. However, this paper aims to visually analyze those works from the album Gyeonggyo myeongseung cheop, which were based on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Its primary objective is to reconsider the friendship between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ork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were executed between the years 1740 and 1741 by Jeong and Yi, while the former lived and worked in Yangcheon as a county magistrate. The album was in the possession of Jeong Seon’s family until Sim Hwanji (1730-1802) acquired it from the painter’s second son. It is very rare that Jeong created paintings for himself, since he normally painted on commission for other people throughout his lifetime. The paintings in the album were designed to visualize their friendship while featuring various genres such as portraits, topographical landscapes, narrative pictures, and poetic paintings (paintings based on poems). Jeong and Yi utilized these paintings to cement their friendship. The friendship represented in these paintings, however, should not be regarded as a true portrayal of their close relationship. Yi Byeongyeon was not only a friend but also a client as well as an agent (go-between or middleman) involved in art sales. Jeong Seon was a literati artist, who belonged to the aristocratic, ruling yangban class of Joseon society. When someone with no acquaintance to him desired to request a painting, Yi Byeongyeon served as the intermediary between artist and client. Yi also assisted Jeong Seon in selling his paintings to the Chinese whenever Korean emissaries went to China on diplomatic missions. Yi asked the emissaries to sell Jeong’s paintings on his and the painter’s behalf. Instead of money (cash payments), Jeong Seon seems to have accepted various gifts as payment for his art. Thus, he received goods such as fish, silk, candles, yellow-glazed porcelain wares from China, and so forth. In Joseon Korea, literati painters were generally not encouraged to sell their paintings for money. For this reason, exchanging gifts was a way for aristocratic artists to escape stigmatization related to the monetary sale of paintings. Additionally, when clients ordered paintings through Yi, they could obtain high quality works while avoiding to hurt the artist’s pride. In this way, the friendship of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served as a means of using the output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in a commercial way. Many eminent collectors of the 18th century wished to own an album which combined Jeong Seon’s paintings with Yi Byeongyeon’s poetry. Jeong and Yi were artistic partners who mutually understood their artistic activities and inspired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ir friendship was mutually beneficial and accordingly came to be utilized commercially for their art business.

      • 아리랑의 남상, 정선아리랑

        박민일(Minil Par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9 아시아강원민속 Vol.23 No.-

        이 논문은 한국민요 아리랑 중 가장 오랜 역사와 가장 많은 가사량을 지닌 소리ㆍ노래가 정선아리랑임을 예증하고 논증한 논고이다. 한국의 아리랑들은 국내외를 통해서 약 186종 2277편이 조사되었다. 세계에 그 유례가 없는 아리랑만의 특징적 가치물이다. 약 186종의 한국아리랑들 중에서 어느 것이 아리랑의 효시이고 언제 생성되었는지를 설득력 있게 파악하여 오지 못하고 있다. 이에 팔자는 1982년 『강원도아리랑고』이래 4차에 걸친 증보론을 통해서 14세기말 여말선초에 고려유신 정선7현들이 부른 망국 한탄가에서 비롯한 정선아리랑(아라리)이 한국아리랑의 남상이요 始原임을 갈무리해냈다. 다음과 같은 근거와 이를 뒷받침하는 예증과 논증을 통해 재삼 파악해냈다. 1. 역사적 근거 : 고려조의 역사적 인물, 정선칠현설 2. 문화적 근거 : 역사ㆍ문화지리적 근거, 정선아리랑제 3. 문학적 근거 : 정선아리랑 전설, 한국민요 중 가장 많이 적층된 가사량 등 위 세 가지의 인문학적 근거와 이를 뒷받침하는 예증과 논증들은 사대부문학과는 달리 기록되지 못했지만, 그래서 온전한 보전과 전승의 혜택을 누리지 못했지만, 溢不溢의 구비문학을 충실하게 채워주는 컨텐츠로 작용하고 있다. 아리랑의 남상인 정선아리랑(아라리)은 정선이란 향토를 넘고 한국이란 국가를 넘어서 온 세계가 애호하고 동반하는 Global Arirang으로 마땅히 자리해야 한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Jungsun Arirang that having been very long history and very many texts. Korean arirangs have 186species 2277texts. of these arirangs Jungsun Arirang was studied the origin of arirang in 1982’s 『The study on kangwon-do arirang』 by me. In the book, I assert Jungsun Arirang was sung by seven men in 14 century. Seven men usually was called seven scholars in Jungsun Gun. Basis of my thesis are as that 1. historical ground: seven men called seven scholars Jungsun Gun in 14 century. 2. culutal ground: Jungsun Arirang festival. 3. literary ground: legends of Jungsun Arirang, and many texts. Above three grounds and various oral texts was not written in the last history, but was handed down orally. Then the various oral texts of Jungsun Arirang will be function the korean oral literature. Also I want to that Jungsun Arirang go into World Cultural Heritage.

      • KCI등재후보

        鄭敾의 身分과 仕宦 履歷 -사대부 출신 및 도화서 화원 진출 여부-

        김두헌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4

        본고에서는 정선의 신분과 도화서 화원 경력 여부, 그리고 그의 신분과 예술적인 성과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정선의 가계는 중인 가계라고 볼 수 없었다. 정선이 속한 가계에서는 잡과와 주학 입격자나 기술직 종사자를 배출하지 않았으며, 이들 가계 구성원들이 다른 중인 가계 구성원들과 혼인한 사례도 없었다. 정선의 가계는 양반 庶流 가계도 아니었다. 광주 정씨의 가계기록과 정선 직계 배우자들이 소속된 각 가계의 가계기록을 통해서, 정선의 父系 직계 先祖들과, 고조모, 증조모, 母, 그리고 정선의 둘째 사위 등이 모두 양반 적자녀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가계 기록 중에는 18세기 중반에 간행하였거나, 고종 연간에 정부에서 간행한 『선원속보』도 있으므로, 정선의 신분은 양반 적손이라고 판단하여도 무방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承旨 尹敬龍이 영조에게 정선의 신분이 사대부라고 언급한 말은 사실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 이유는 윤경룡이 승지로써 당시 官界 인물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여지가 많았고, 특히 정선과 의금부에서 都事로 같이 근무한 적이 있어서 정선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사대부는 당시에 중인이나 양반 庶流와 구별되는 신분 곧 양반 嫡孫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윤경룡의 진술은 정선이 사대부임을 확실하게 해 준다. 숙종 연간에 도화서 화원에 임명된 자들 중에 상당수가 신분이 중인으로 판명되었다. 이들이 소속된 가계 중에는 숙종 연간에 이미 도화서 화원을 세전한 가계도 있었다. 숙종 연간에 도화서 화원은 역관 등의 기술직과 같은 부류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중인이 도화서 화원 등 기술직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였다. 양반 서자가 진출한 사례도 지극히 소수만 발견될 뿐이고, 사대부가 진출한 사례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대부인 정선이 도화서 화원이 될 가능성이 없다는 기존의 판단은 옳다고 생각한다. 이어서 천문학겸교수에 중인이 영조 29년부터 독점적으로 진출하였고, 그 이전에는 사대부도 진출하였음을 실증하였다. 정선이 숙종 연간 말미에 천문학겸교수에 임명되었다는 사실과, 그림으로 명성을 떨쳤다는 이유 때문에, 그를 도화서 화원 출신이라고 세상 일부에서 오해하였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정선의 신분이 사대부이어야만 그의 예술적 성과가 위대한 것은 아니다. 도화원 화원 출신이라고 해서 예술적 성과의 위대성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정선의 예술가 및 인간으로서의 위대성은 그가 여러 학문에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것을 그림에 투영하였고, 사상적인 사유만 한 것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궁핍한 현실을 극복하는 삶을 살았으며, 그 과정에서 賤技에 집착한다는 비난을 받을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열적으로 꾸준하게 노년까지 그림을 그려나간 그의 인생 자체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wo issues : whether Cheong Seon(鄭敾) was from Sadaebu (a man of high birth in Chosun Dynasty, 士大夫) and whether he served as Dohwaseo Hwawons(a court painter in the Royal Court, 圖畵署 畵員) because these two issue have yet to be concluded in the study of Cheong Seon. The status of Cheong Seon was not Jungin(a man between nobility and commoner in Chosun Dynasty, 中人). Members of Cheong Seon's lineage were not engaged in the technical-official posts which were Jungin's occupations and they were not married to members of Jungin family. The status of Cheong seon was not Yangban Seolu(an offspring of a nobleman's concubine, 兩班庶流). Men and women of Cheong Seon's lineage were confirmed to be Yangban Geogson(children born to legal wives of noblemen, 兩班嫡孫) through genealogy records. It turns out to be true that Sungji(Secretary of King, 承旨) Yun Geong-young(尹敬龍) said to Youngjo(英祖) that “Cheong Seon's status is Sadaebu,” The term Sadaebu was used to designate Yangban Geogson. The new historical records cited i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status of Cheong Seon was Yangban Geogson, or Sadaebu. It became also clear that Cheong Seon did not serve as Dohwaseo Hwawons(圖畵署 畵員) because it was mostly Jungin's occupation specially during the Sugjong(肅宗)'s reign. Jungin nearly monopolized the technical-official posts(技術職) and Dohwaseo Hwawon was recognized as the technical-official posts such as YeogGuan(譯官) during the Sugjong's reign. Any example that Sadaebu advanced Dohwaseo Hwawon during the Sugjong's reign was not discovered. It was proved that Jungin monopolized Cheonmunhaggyeomgyosu(天文學兼敎授) since Youngjo(英祖) 29Years, but Sadaebu often entered the post before the year. That is why Cheong Seon, as a Sadaebu, got the post in his career, and why he was misunderstand that he served Dohwaseo Hwawon because both jobs were occupations of Jungin and he was a well-known painter at that time. Some people think that Sadaebu Cheong Seon would make more great artistic works than Jungin or Dohwaseo Hwawon Cheong Seon.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his status and his artistic achievements. I think that the greatness of Cheong Seon, as a painter and as a human being, was in his life. Most of all, he was a man of learning in many field with wide and deep knowledges which were reflected in his pictures. Secondly, he overcome economic hardship through hardworking and honesty. Thirdly, though he was criticized that he had deep affection on mean works such as paintings, he never stopped painting until he died.

      • KCI등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

        장진성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 후기에 중국적인 화풍을 모방하던 전통적인 화풍에서 벗어나 금강산과 서울의 명승명소(名勝名所)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새로운 진경산수화풍을 개창한 화가로 높게 평가되어 왔다. 정선의 작가적 생애, 정선 화풍의 양식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 정선과 후원자,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회화이론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그 동안 이루어져 정선의 생애와 예술세계에 대한 상당한 이해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선이 어떠한 상황에서 그림을 제작하였으며 누구를 위하여 회화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즉 정선의 진경산수화 작품들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어떠한 양상이었으며 정선은 이러한 그림 수요에 대응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그림을 제작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이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선의 화가로서의 일상생활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주한 일상생활 속에서 정선은‘휘쇄필법(揮灑筆法)’이라는 한 번에 쓸어내리듯 급히 휘두른 필묵법으로 폭주하는 그림 수요에 대응해 나갔다. 즉 매우 빠른 붓질로 경물을 신속하게 그려내는 정선의 작화 방식은 그림 주문이 너무 많아 하나하나 성의를 다해 그릴 수 없는 상황에서 급히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안해낸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병연(李秉淵, 1671~1751), 조영석(趙榮, 1686~1767), 권섭(權燮,1671~1759), 신돈복(辛敦復, 1692~1779),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심재(沈縡, 1722~1784), 이규상(李奎象,1727~1799) 등은 정선의 그림을 평가하면서 모두‘휘쇄필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을 정도로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방식으로 휘쇄필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조영석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피곤하고 지친 필법인‘권필(倦筆)’로 그림을 그렸으며 그림 주문이 폭주할 경우‘응졸지법(應猝之法),’즉 갑작스러운 그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임시방편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의 바쁘고 지친 일상생활과 밀려드는 그림 주문을 감당하기 위해 고안해 낸 형식적인 필묵법으로 상호간에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바쁜 일상 속에서 정성을 들이지 않고 대충대충 형식적으로 그린‘수응화(酬應畵)’제작을 위해 사용한 필묵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선이 한가할 틈도 없이 거의 매일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정선 그림의 높은 가격 때문 이었다. 정선의 그림은 화첩의 경우 보통 30~70냥 정도했으며 따라서 작은 조각 그림도 모두 보배로 여길정도로 정선 그림의 인기는 대단하였다. 아울러 정선의 그림을 중국으로 가져가 파는 경우가 있었는데 중국에서 정선 그림은 100~130금(金)을 호가하였다. 18세기 전반 중국 청나라 인기 화가들의 그림들이 대 부분 6금(金)이하이며 건륭제(乾隆帝, 1736~1695년 재위) 시기의 일급 궁정화가들의 한 달 월급이 11금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정선 그림의 가격은 경이로운 일이었다. 정선은 자신의 그림을 사서 중국에 되팔려는 사람들의 그림 요구로 나날이 쉴 틈 없이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조영석이 언급하고 있듯이 정선의 화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지자 비단은 날로 쌓여가고 한가할 틈이 없어졌을 정도로 정선은 매일 그림을 그렸지만 엄청난 그림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다. 정선은 생의 거의 마지막까지 그림 주문에 대응하는 바쁜 삶을 살았다.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겸재(정선)는 80여세가 되어도 여러 겹의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세밀한 그림을 그렸는데 터럭만큼도 실수가 없었다(謙齋年八十餘, 眼卦數重鏡, 燭下作細畵, 不錯毫髮)”라고 노화가(老畵家) 정선의 그림 그리던 상황을 전하고 있다. 눈이 어두워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열심히 그림을 그리던 80여세 노인 정선의 일상생활은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Ch˘ong S˘on (1676-1759) responded to painting requests in everyday life. Ch˘ong has long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eminent painters of late Chos˘on Korea. He played a pivotal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During his lifetime, Ch˘ong traveled to Mount K˘umgang (Diamond Mountains) and other famous scenic sites along the East Sea area and created a large number of paintings depicting the splendid beauty of famous places. He also traveled frequently to historic and scenic places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Hanyang and painted numerou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them. He was a brilliant and creative painter whose genius and innovative mind led to the cre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set a new paradigm for late Chos˘on pain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was a lucrative and entrepreneurial painter who had to deal with numerous painting requests from patrons and clients. Ch˘ong S˘on received too many commissions to manage. The painting requests were overwhelming to the degree that he employed his son and his students as ghost painters to meet the demand. As painting commissions became too pressing, he painted a large number of routine paintings with schematized compositions, loose and mechanical brushwork, and repetitive ink dots. Many textual records note that Ch˘ong S˘on used frequently the speedy and cursory brushwork in the making of routine landscapes. Tired of completing commissioned works, he wielded his brush to make such perfunctory landscapes.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at many of his extant paintings are routine landscapes. This is indicative of how he was reluctant to respond to painting requests and how his everyday life as a painter was devoted to resolving the problem of commissioned works. Ch˘ong S˘on was the most celebrated and best-paid painter of his time. This pushed him to work constantly on numerous commissions. His paintings were highly paid even in the art market in Beijing so that members of the Korean envoys to China put much pressure on Ch˘ong to paint pictures for them, pictures that were to be sold at more prices in china. Ch˘ong was the most creative yet the busiest painter to respond to all different kinds of painting requests. His life as the most sought-after painter of his day sheds new light on how he worked and lived. Examination of the reality and myth of Ch˘ong S˘on’s life serve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arious dimensions of his career as the most creative yet commercially successful painter.

      • KCI등재후보

        정선의 《양천십경첩》 연구: 정선의 새로운 자아 표상과 예술 전략

        김가희(Kahee Kim)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81

        정선(鄭歚, 1676-1759)의 《양천십경첩(陽川十景帖)》은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내에 포함되어 있다. 정선은 1740년에 양천(陽川, 현재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일대)의 현감(縣監)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1740년에서 1741년 사이 정선은 자신의 현아(縣衙) 주변의 풍경을 10경으로 선정하여 이를 《양천십경첩》으로 제작하였다. 정선이 《양천십경첩》을 제작한 목적은 그가 양천에 현감으로 부임한 후 자신의 관직 생활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정선은 이 화첩을 그의 집안에서 대대로 전승하기 위한 ‘가전화첩(家傳畫帖)’으로 기획하여 제작하였다. 《양천십경첩》에 포함된 작품들은 양천 현감으로서의 정선을 보여주는 일종의 자화상적인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표현적인 작화(作畵) 태도는 이전 시기 금강산도(金剛山圖) 제작 과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1740년경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통해 사대부적 자아를 새롭게 표상하고자 하였다. 《양천십경첩》은 가전화첩으로 제작되었지만 당대의 많은 문예계 인사들이 이 화첩을 감상하였다. 현재 다수 전하는 정선의 양천 지역 실경산수화들을 통해 유추해봤을 때 당대에 이미 이러한 작품에 대한 상당한 수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선 역시 《양천십경첩》을 제작할 당시 자신의 작품이 많은 이들에게 감상될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통해 자신을 사대부(士大夫)로 표상(表象)하고자 하였다. 본래 사대부 출신이지만 직업화가와 같은 삶을 살았던 정선은 사회경제적으로 생활이 안정되자 사대부 화가로서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선이 《양천십경첩》을 통해 사대부적 자아를 표상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그의 치밀한 예술전략 속에서 이루어진 행위이다. 또한 이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었다. 정선의 양천 지역 실경산수화를 감상한 이들은 양천을 ‘정선이 관직을 했던 곳’으로 인식하였다.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활용하여 당대인들의 양천 지역에 대한 인문지리(人文地理)적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자신의 화명(畫名)을 높였다. 결국 《양천십경첩》을 통해 정선은 직업화가가 아닌 진정한 사대부 화가이자 양천 지역을 다스리는 현감으로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정선은 평생 화가로서 자신의 정체성 및 자아를 기민하게 변화시키며 예술계에서 생존해나갔다. 화가였던 정선은 본인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그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정선의 능동적인 작가상(作家像)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 바로 《양천십경첩》이다. Jeong Seon’s (1676-1759) Yangcheon sipgyeong cheop (Album of Ten Views of Yangcheon) is originally an independent album presently included in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Views in the Capital and Suburbs) in the Kansong Art Museum. After Jeong Seon was appointed County Magistrate of Yangcheon (present-day Gangseo-gu, Seoul), he painted ten landscape views surrounding the precinct of his office between the years 1740 and 1741. Jeong undertook the project intending to commemorate his new position as a county magistrate and to bequeath the album to his descendants.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has much to do with Jeong’s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The representation of Jeong’s selfhood demonstrated in this album is intended to publicize him as a literati painter. Although Jeong Seon created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for members of his family, it was also highly evaluated and esteemed by his contemporaries. Jeong was probably well aware of the considerable demand for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Yangcheon when he created the album.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was thus used as a means of presenting him as government official and scholar-painter. Jeong Seon belonged to the literati class, but he became a professional painter and made a living from his art. As he gained economic stability, however, Jeong wanted to reclaim his status as man of letters. Therefore, his selfpresentation in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was not a mere coincidence but the result of his carefully planned strategy. It consequently shifted the anthropo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viewers to recognize Yangcheon as the place “where Jeong Seon served in public office,” thus contributing to promote his reput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Jeong Seon aimed to enhance his social position as both a literati artist and the county magistrate of Yancheon. As a painter, Jeong Seon actively engaged in the Joseon art world while astutely making public his “self ” and “identity.” Jeong Seon’s life as a painter cannot be determined plainly by his social status, which has long been a subject of debate in art-historical scholarship. In any event, Jeong unquestionably was an artist who made efforts to enhance his status by using his paintings. It is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that explicitly shows such artistic strategies of Jeong Seon.

      • KCI등재

        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최영미(Young-mi, Choi)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suprasegmental type in Jeongseon dialect. To this end, compared with those in Samcheok dialect Tonal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were. In conclusion, Jeongseon dialect is a tone language and the tonal system in Jeongseon dialect is more unstable than that in Samcheok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First, these are interpreted to be the tone languages in Jeongseon and Samcheok dialects. The base of the judgment is as follows a. The tone systems consist of three tonemes and have a range of two levels. b. The departing tonal pattern is only in a word with one syllable. c. The pitch of departing tonal pattern was equated with rising tonal pattern in a word with one syllable. d. The departing tonal pattern has been changed to plain tonal pattern in a word with two syllables. Second, the tonal system in Jeongseon dialect is more unstable than that in Samcheok dialect. There is some ground for this argument. a. The realization of the tone in Jeongseon dialect is optional but that in Samcheok dialect is steady. In other words, the Pyeongbok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have two or more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Meanwhile, the Pyeongbok patterns in Samcheok dialect have one olny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b. The Pyeongbok patterns in Jeongseon dialect are not distinctively confronted with its side-dot pattern, tonemic pattern and pitch pattern, but the Pyeongbok patterns in Samcheok dialec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s. c. There is partly adequacy in part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between Jeongseon dialect and Samcheok dialect. It is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with the plain tone, departing tone, and rising tone in a word with one syllables. Also it is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in plain-single pattern and rising pattern. But the pyeongbok patterns are not adequate to the satisfactory of bi-uniqueness.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실현을 비교하여 정선방언의 성조체계가 갖는 불안 정성을 살피고 정선방언의 운율유형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 결과, 정선방언은 성조방언이고, 정선방언의 성조실현은 삼척방언의 성조실현보다 더 불안정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논의는 아래와 같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실현을 근거로 하여 추론할 수 있다. 먼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은 유형론적으로 성조언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의 근거는 아래와 같다. 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성조체계는 2단 3성조로 구성되었다. 나.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에서 거성형은 1음절에서만 존재하고, 2음절 이상의 어절에서 거성형은평2형으로 변동한다. 다. 단음절 거성형의 음조[M]는 고립된 환경에서 상성형의 음조[˘M, H¨ ]로 실현된다. 이러한사실은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의 단음절 성조실현에서 거성이 측성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조체계 측면에서 정선방언과 삼척방언은 1음절 거성이 측성을 성격을 잃게되면 음장방언으로 변화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정선방언의 성조체계가 삼척방언의 그것보다 더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러한 추론의 근거는 아래와 같다. 가. 정선방언 성조규칙 체계에는 평복형의 자유변동 규칙이 있지만, 삼척방언의 성조규칙 체계는 이 규칙이 없다. 나. 정선방언의 평복형은 변이성조실현을 갖지만, 삼척방언의 평측형은 고정적으로 실현되어변이 성조실현을 가지지 않는다. 다. 단음절의성조실현은 양방향동일성 조건을 충족한다. 그러나 두 방언에서 다음절의 성조실현은 양방향 동일성 조건을 충족 여부가 다르다. 즉, 평측형 중 평1형과 상성형이 양방향 단일성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동질적이지만, 평측형 중 평복형과 거성형이 양방향 단일성 조건을 충족 시키지 못하여 이질적이다. 라.‘가•다’류 풀이씨 어간과 가변적 평측형 풀이씨 어간‘흐르-, 모르-’는양방향 단일성 조건을충족하여 동질적인 면과 충족시키지 못하여 이질적인 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 KCI등재

        謙齋 鄭敾의 寫意山水畵 연구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본고에서는 겸재 정선이 제작한 詩意圖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의도는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되는 회화분야로서 크게는 사의산수화의 한 경향이다. 정선은 진경산수화의 대가로서 높은 명성을 누렸지만, 평생동안 꾸준히 사의산수화도 제작하면서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畫境을 추구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정선이 제작한 시의도의 전반적인 면모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존하는 시의도 관련 기록과 작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선이 陶潛의 「歸去來辭」를 토대로 한 시의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하였고, 그 이후의 시로는 唐詩를 자주 인용하였으며, 宋詩나 明詩, 朝鮮詩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인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중에서도 半官半隱을 추구한 王維의 시를 가장 자주 인용하였는데, 이는 관직에 있으면서도 脫俗을 추구했던 왕유의 삶을 추앙하고, 이를 현실 속에서 실천하려고 하였던 이 시기 조선 사대부 선비들의 心想을 시사하는 현상이다. 이후에는 정선의 생애 주기에 따른 시의도의 제작양상과 시의도의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정선의 시의도 관련 활동은 3,40대 중년기로부터 확인되는데, 왕유와 관련된 기록이 많았다. 이 시기의 시의도로서 현존하는 작품은 거의 없지만, 30대부터 진경을 그릴 때 시적인 畫意를 담아내려고 하였던 만큼 시의도에 대한 관심은 젊은 시절부터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선의 시의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작품과 기록이 전해지는 시기는 개성적인 화풍과 화경이 정립된 5,60대인 노년기이다. 이 시기에 정선은 진경산수화를 그릴 때 시 의도의 성격을 가미하거나, 시의도를 그릴 때 진경산수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등 진경과 사의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창작에 임하였다. 시적인 이상이 곧 현실적 속에서 이루어진 것을 시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선은 말년기에도 독자적인 경지를 모색하며 시의도를 꾸준히 제작하였다. 《사공도시품첩》, 王守仁의 明詩 등 중년기나 이후 다른 화가들이 다루지 않은 시를 표현하는 등 독창적인 면모를 드러내었다. 말년기에는 화풍이 도식화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진경산수화와 사의산수화 양 방면에서 모두 나타났다. 특히 진경산수화의 화풍과 기법이 시의도 속에 혼효되는 일이 잦아졌다. 정선은 진경과 사의를 넘나들면서 현실 속의 이상, 이상에 대한 지향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i-eui-do, 詩意圖(poetic painting) by Jeong Seon(1676-1759). Though Jeong Seon is well recognized as a master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is imagery stretched beyond it. The preceding contents of this article is a catalogue of existing records and works on poetic painting by Jeon Seon. It suggests that Jeong Seon quoted preferably from poems of Tang period, and quite reluctantly from Sung, Ming, and Korean poems. Wang Wei’s poems were most often quoted. The liking of such mirrors the images of the mind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valuing the lifestyle of Wang Wei. In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Jeong Seon’s poetic paintin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specific time periods. Considering that his effort to dissolve poetic images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tarted in his 30’s, it can be assumed that Jeong Seon had interest in poetic painting from his earlier days. In his elderly years from 50’s to 60’s, Jeong Seon firmly established his imagery and painting style. His works of true-view landscape were imbued with attributes of poetry, and of course, the reverse as well, an implication of poetic ideals taking place in reality. Jeong Seon’s dedication to poetic paintings did not wither in his 70’s and 80’s, more later years. Though his effort, as referencing poetry neglected by other painters, resulted originality, both Jeong Seon’s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started to show stereotyped painting styles. Jeong Seon yearned for realization of ideals, through his imageries of true-view landscape and poetic painting. His life was a tireless search for the ideal which was expected to be realized in reality.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정립과 기원의 창조

        정우택 ( Jeong Woo-taek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은 정선아리랑의 대표곡 및 기원 정립 과정과 정선아리랑의 주체 문제를 둘러싼 서로 다른 주장들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선아리랑 정립과정의 기록을 최대한 제시·분석하였다. 조선 왕조 초기에 고려 왕조를 섬기던 7인의 충신이 개성에서 정선의 거칠현동(居七賢洞, 현재 정선군 남면 소재)으로 은거지를 옮겨 살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한시 율창으로 부른 것이 정선아리랑의 시원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노랫말이 바로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올라나 /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라는 것이고 이 노래는 지금 정선아리랑을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불려지고 있다. 노랫말 중 `만수산`이 고려 왕도(王都)인 송도(松都)에 있는 산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는 노랫말은 문헌기록에 1967년에야 처음 나타난다. 같은 시기에 위 노랫말과 `고려 유신(遺臣) 기원설`을 연결시키는 내러티브가 정선군에서 발간한 『정선아리랑』 가사집에 처음 등장한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은 1968년 전후, 국가 이념 및 시책을 홍보 지원하는 군 공보실의 주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1970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가를 위해 정선아리랑의 유래와 대표곡을 설명하는 과정에 이 노랫말과 기원설은 하나의 콘텐츠로 확정되고, 이 경연대회에서 정선아리랑이 민요 부문 1등상(문화공보부 장관상)을 수상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에는 정선아리랑이 양반 사대부로부터 유래한 `고급`한 노래라는 점(민요의 상층기원설)과 `국가에의 충성`을 주제로 했다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잠재되어 있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은 정선의 관련 문중과 지역 유지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선양되었다. 그러나 아라리 현장에서는 정선아리랑의 기원과 성격, 주체에 관해 다른 입장을 보인다. 아라리를 놓고 상징 투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선아리랑을 상층-사대부 기원설을 통해 문자라는 리터러시의 권위 속에 등재시키려는 그룹(관, 유지, 문중)과 실제 아라리를 노동과 생활 속에서 소리와 구전으로 전승 전파하며 부르는 민중들 사이에 `신조와 구조/ 문자성과 구술적 현장성` 등의 구분이 생겨났다. 정선의 일반 민중들은 정선아리랑이 민중들의 노동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소리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make a survey of the archetype of JeongSun Arirang an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Much effort was made on the collecting and analyzing of the documents and records which contain related materials on JeongSun Arirang.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even loyalists to the Korea Dynasty moved from GaeSung to Jeongsun and lived in secluded residences in GeoChilHyun Dong(located in Nam Myun, JeongSun at present). It has been said that the origin of JeongSun Arirang came from the seven loyalists` metrical song in the form of Chinese poem which expressed their `determined refusal of double-minded fidelity.` Some of the words of their song are as follows: “Will it snow or rain? Will the rainy spell suddenly begin? Black clouds from Mt. ManSoo are awfully gathering together.” In these days, their song is widely being sung in Jeongsun district as the typical song of JeongSun Arirang. It has been also asserted that Mt. ManSoo in the words pointed to the mountain in SongDo, capital of Korea Dynasty. But the words of the song, “Will it snow or rain「Will the rainy spell suddenly begin」 Black clouds from Mt. ManSoo are awfully gathering together.”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documents in 1967. 「 JeongSun Arirang」, a collection of words of JeongSun Arirang published by JeongSun county office showed a narrative which tried to connect the above-mentioned words to the `Korea loyalists origin` theory. It may be inferred that the `Korea Dynasty loyalists origin` theory was made out before and after 1968 designedly by the Information Service Bureau of JeongSun county office which aimed to advertise and support the national ideology and policy. The above words and the theory of origin were settled down as a firm content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origin and typical song of JeongSun arirang when it attended in 1970 National Folk Art Contest. JeongSun arirang won the 1st prize in the section of folk songs contest and then spread fast over the country. The `Korea Dynasty loyalists-GeoChilHyun Dong origin` theory has the hidden purpose of lightening the fact that JeongSun arirang was a kind of noble song created by the upper class of old Korea(theory of folk song`s upper class origin) and it was based on the theme, faithfulness to the nation. The `loyalists of Korea Dynasty origin` theory has been actively accepted and advertised by the related family and local leaders in JeongSun. But, in JeongSun, a theoretical and symbolic dispute brole out in terms of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original makers of JeongSun Ariarang. There exist two devided groups: one(containing public office, local leaders and related family) attempts to place JeongSun Ariarang on the authority of literacy through the upper class origin theory, and the other(common people) only enjoys singing JeongSun Ariarang in the everyday work and life, orally taking over and handing down it in the form of actual Arari. The division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fidelity and social structure, literacy and on-the-spot oral information. The common people in JeongSun insist that JeongSun Ariarng natually came into being in everyday labor and life.

      • KCI등재

        정선아리랑 수용 공연콘텐츠의 양상과 특징 고찰

        박경수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68

        이 논문은 민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공연콘텐츠를 폭넓게 조사하여 그 현황과 상호관련성을 파악한 후, 이들 공연콘텐츠에서 정선아리랑이 어떠한 서사와 결합하면서 가창되고 있는지 그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창작 공연콘텐츠는 다양했다. 이들 중 김도후의 극본이 전체 23편 중 16편인데, 김도후가 각색, 연출한 1편을 더하면 17편이다. 김도후의 극본들 중에는 정선아리랑을 고려 말 칠현 서사와 결합하여 가창하는 콘텐츠들, 세 자매의 기구한 인생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콘텐츠들, 그리고 아우라지 전설을 재구성한 서사 등 독자적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콘텐츠들로 크게 세 유형을 보여주었다. 첫째 칠현 서사와 결합하고 있는 정선아리랑 창극으로 <아! 정선, 정선아리랑>(2000)과 <신들의 소리>(2001)를 대표로 들 수 있다. 전자는 칠현의 안내로 정선이 정선아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것으로, 칠현 서사와 정선의 성장 서사가 결합되면서 정선아리랑이 가창되는 특징을 보인다. 후자는 칠현의 서사를 스토리텔링의 중심 서사로 삼으면서 정선아리랑이 가창되는 경우이다. 전ㆍ후자 모두 칠현 서사의 무비판적 수용에 따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유형은 세 자매의 기구한 인생 서사 속에서 정선아리랑이 불리는 것으로, 대표적 극본으로 <아리랑고개 너머>(2009)가 있다. 셋째는 여러 독립된 서사와 결합된 정선아리랑 창극 유형이다. 아우라지전설을 조혼풍속의 폐해와 연결하고 있는 창극으로 <아우라지>(2002), 하늘의 아름다운 소리를 훔친 어둠의 마왕으로부터 하늘의 천사인 다섯 아리아나가 다시 소리를 되찾는 과정을 정선아리랑과 흥미롭게 엮은 창극 <소풍>(2009), 조혼풍속을 현대사 속에서 각시의 성장 서사에 따라 정선아리랑을 부르는 창극 <어머이>(2012)가 있다. 한편, 허규의 <애오라지>(1980)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첫 희곡 작품으로, 민담의 환상적 스토리에 정선아리랑이 부분적으로 교합되어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이 허황된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일깨움을 준다. 이하륜의 <아리랑 정선1>(1980)은 아우라지 전설에 밀착된 서사의 극적 구성에 정선아리랑이 결합된 면모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이후 정선아리랑의 창극 창출에 상당한 자극과 영향을 주었다. 최병화의 <메나리>(2014)는 선녀와 나무꾼, 견우와 직녀 설화를 혼성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선녀인 월녀와 농사꾼 월우 사이의 애틋한 사랑의 서사에 정선아리랑 등 동부메나리로 부르는 여러 소리를 결합한 창극이다. 윤정환의 <아리아라리>(2018)는 가족사 스토리를 새롭게 구성한 서사, 자연스러운 극적 구성을 보여준다. 특히 뗏목 운반에서 경복궁중수사업으로 연결되는 서사에 따라 정선아리랑을 비롯한 여러 민요가 다채롭게 가창됨으로써 경쾌하면서도 진지한 창극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1950-60년대 북한의 정선(鄭敾)에 관한 인식

        김미정 ( Kim Mi-jeo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33

        이 글에서는 1950-60년대 북한의 문예 정책 속에서 정선(鄭敾, 1676-1759)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북한에서 정선은 1950년대 전반부터 탁월한 사실주의 풍경화가로 규정되면서 그의 위상과 회화의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 후반까지 민족미술의 특질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각종 매체의 지면에 정선의 작품이 민족의 보물로 소개되었다. 정선의 생애정보에 맞춘 기념행사는 1950-60년대에 3차례 치러졌으며, 그중에서 1956년과 1959년에는 전람회도 개최되었다. 그러나 정선에 관한 북한의 인식은 초기에 부여받았던 높은 위상으로 고정되었던 것이 아니라, 시기와 문예 정책에 따라 달라지면서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평가가 낮아지기도 했다. 김홍도가 인민의 낙천성을 표현한 사실주의 인물화의 대가로서 시종일관 그 가치가 변하지 않은 것에 비하면 정선은 비교적 짧은 기간 위상이 높았던 화가였다. 이러한 현상은 남ㆍ북종화풍을 절충한 독창적 필법과 적묵의 효과가 특색인 정선 화풍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정선의 화풍은 1950년대 후반 서정적인 풍경화의 허용과 함께, 자유로운 표현과 예술적 기교가 인정되었던 스탈린 사후 ‘미학적 해빙기’에 일시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었다. 1950-60년대 북한의 정선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면, 문예계 정책에 따른 자의적인 해석이 가미 되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하지만 한국 학계에서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정선을 주목하기 시작했던 상황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 연구에서 살펴본 북한의 정선 관련 문헌들이 지닌 미술사적 의의는 되새겨볼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d the aspect of changing the recognition of Jeongseon(鄭敾, 1676-1759) in North Korea’s literary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The North Korean art world defined Jeongseon as a realism landscape painter from the early 1950s and highlighted his stature and the value of his painting. Also, it defined the character of national art in the late 1960s and introduced the works of Jeongseon through various media as a treasure of the nation. According to the lifetime information of Jeongseon, a commemorative event was held three times in 1950s and 60s, and an exhibition was also held in 1956 and 1959. However, the recognition of Jeongseon in North Korea was not fixed at high stature in the early period, but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 and literary policy, and the evaluation on Jeongseon were lowered in the late 1960s. Kim Hong-do was evaluated as a master of realistic figure painting that expresses the optimism of people, and the evaluation was not changed to the present, while Jeongseon received high evaluation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because Jeongseon’s rough strokes and unique style of painting were not suitable for the style of socialistic realism. The painting style of Jeongseon could be temporarily highlighted during the “aesthetic thawing season” in the late 1950s after Stalin’s death, when free expressions and artistic craftsmanship were recognized along with the permission of a lyrical landscape.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Jeongseon-related literature in the 1950s and 60s reviewed in this study was interpreted politically and arbitrarily, it is meaningful to ruminate over its artistic significance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South Korea’s academic world in the late 1960s when Jeongseon started to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