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검사 시 통합정맥주사를 통한 고객 만족도 향상

        구본승(Bon Seung Koo),대창민(Chang Min Dae),민관홍(Kwan Hong Min),김성룡(Sung Ryong Kim)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최근 종합병원은 분야별로 전문화된 원스톱 진료 및 검사를 통해 높은 고객 만족도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환자들이 CT검사를 포함한 MRI, 수면 내시경, 채혈, 핵의학 검사 등 한 가지 이상의 검사를 받는 경우 각 검사부서 간에 대상자를 파악할 수 없고, 검사종류에 따라 바늘의 형태, 종류, 주사 위치 등이 달라 매번 새로 주사를 맞아야 히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검사 과정에서 한번의 정맥주사로 모든 부서의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정맥주사 방법과 프로세스의 개선 및 질적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 추구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조영제를 사용하는 CT검사 환자 중 정맥주사를 필요로 하는 MRI, PET, 수면내시경, 채혈 등의 검사를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들을 통합정맥주사 대상 환자로 지정하였고, 매번 검사마다 반복적으로 정맥주사를 맞는 것에 대하여 환자의 불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여, 통합정맥주사 시행에 따른 기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통합정맥주사 대상 환자 중 채혈보다 타 부서의 검사가 선행된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혈액응고 가능성과 타 검사에서 사용한 약물에 의해 혈액 검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Toshiba Medical Systems의 TBA 200FR NEO Chemistry Analyzer를 이용하여 혈액 검체 결과를 측정하고, MedCalc?? Version 10.0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게다가, 타 부서와 함께 브레인스토밍을 시행하여, 통합정맥주사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대상 및 방법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010년 11월~2011년 1월까지 검사를 위해 정맥주사를 맞는 전체 환자 수는 7,615명이었고, 통합정맥주사의 대상자 수는 3,125명으로 약 41.0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2. 설문지를 작성한 197명 중 2회 이상의 정맥주사를 반복적으로 맞았던 환자는 총 94명이었고, 이중에서 각 검사실마다 주사를 다시 맞고 검사하는 것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69명(73.4%), 통합정맥주사를 시행할 경우 편리할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83명(88.3%), 통합정맥주사의 편리함 때문에 본원을 재 방문할 의사가 있는지는 76명(80.9%) 그리고 통합정맥주사에 대해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79명(84%)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작성하였다. 3.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검체를 Bland & Altman plot과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earson p 가 0.7~1.0 사이에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대조군 값과 실험군 값의 오차가 적고, 신뢰성이 높다. 4. 각 검사부서에서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정맥주사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함에 따라 통합정맥주사 대상 환자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마다 적절한 바늘 게이지의 종류와 정맥주사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게다가, 모든 부서의 검사들이 종료된 후에 주사 바늘을 제거하지 않고, 귀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바늘이 미 제거된 환자의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결론 통합정맥주사 대상 환자들은 두 가지 이상의 검사가 시행되어도 여러 번의 주사를 맞지 않게 됐고, 임의로 검사순서를 바꾸는 경우에도 채혈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밝혀져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합정맥주사를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편의 제공은 물론 통합정맥주사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부서간의 유기적인 협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번 통합정맥주사 프로그램은 병원을 찾은 환자의 고통 및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혁신적인 성과이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여 환자 편의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적극 실무에 적용하도록 노력하겠다. I. Purpose Recently, hospitals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specialized one-stop treatment system and up to date medical examinations. However, patients may take more than one examination like MRI, PET, conscious sedation endoscope, blood drawing, nuclear medicine and CT. Each examination requires different intravenous(IV) line, needle type, needle gauge and location. if a patient has more than one examination, he or she has to have injection more than one time in this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sing first IV line for different medical examinations in order to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II. Materials and methods Object of this study is patients who take CT along with other examinations such as MRI, PET, conscious sedation endoscope, blood drawing and nuclear medicine from Nov 2010 to Jan 2011. Patient’s dissatisfaction is surveyed when they are injected for each examinations. Generally, patients take blood drawing first. However, 106 patients took another examination first. In order to figure out blood coagulation possibility and effect of other medicine on blood testing, Samples are analyzed by TBA 200FR NEO Chemistry Analyzer from Toshiba Medical Systems. MedCalc ⓇVersion 10.0 is also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II.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in the below. 1. From Nov 2010 to Jan 2011,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for intravenous injection test was 7,615 and there were 3,125 subjects of integrated IV, which was highly captured of approximately 41.04%. 2. Among the 197 patie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94 patients have repeatedly taken IV more than 2 times. According to them, it was reported that 69 patients (73.4%) experienced inconvenience of taking injection repeatedly in each department, 83 patients (88.3%) would be convenient if they were taken integrated IV, 76 patients (80.9%) is considering that they will visit us again thanks to the convenience of integrated IV, and 79 patients (84%) have an intention to recommend integrated IV to the people around them. 3. Bland & Altman plot. and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are used to compar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Pearson p value is 0.7~1.0. This value is confidence level. 4. If integrated IV system is developed in order for each department to share patients-information, we can’t only easily recognize the patients of integrated IV, but know the proper needle gauge and the location of intravenous injection. Moreover, to prevent the patients who get home with needle after all examination of departments, we provide the list of patients who didn’t eliminate the needle. IV. Conclusion Even if they are in the situation that more than two times of ex amination is going to be, the patients with integrated IV don’t need to frequently take injections anymore. Also, since it was reported that in case that the order is randomly changed, the effect of blood sample result is slight, we can more easily and securely conduct integrated IV management program. Besides, by sharing patient’s information through integrated IV management program, which makes each department possible to cooperate organically, we can make a beneficial assistance to patients. This integrated IV system is an innovative result coming from an idea to resolve the patient’s pain and dissatisfaction and we will keep making an effort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and convenient by carefully listening to patient’s words.

      • 정맥주입간호사 주도로 삽입한 PICC 현황 조사

        황진순,손수미,이명덕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0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0 No.-

        배경 및 목적: 말초혈관을 통해 정맥치료요법을 받는 많은 환자는 잦은 정맥천자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인 정맥염, 일혈, 통증 등으로 삶의 질이 떨어지고 신체적, 심리적인 부담감을 안고 있다. 이를 위해 PICC(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는 한번 천자를 통해 잦은 정맥천자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안위를 도모하며 다른 중심정맥관 삽입 시술보다 합병증의 위험이 낮으며 쉽고 빨리 삽입하는 편리한 중심정맥관이다. 본원에서는 정맥주입간호사 주도로 2008년부터 PICC가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서울성모병원의 PICC의 삽입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 18부터 2010년 7월20일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정맥주입간호사 주도로 삽입한 PICC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총 626명의 환자에게 648건의 PICC삽입술이 시행되었고 시술 건수는 2008년에 총 76건, 2009년에 총 310건, 2010년 7월20일까지 총 262건이 시행되었다. 총 648건 중 남자 총 414명(63.9%), 여자 총 234명(36.1%)이며 평균연령은 57.8세(범위1세∼101세)였다. 총 648건 중 71건(10.9%)을 제외한 577건(89.1%)이 성공적으로 삽입되었고 시술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PICC 삽입목적은 정맥혈관 장치 441건(68.0%), 정맥영양요법 115건(17.8%), 항암요법 72건(11.1%), 항생제치료 20건(3.1%)순이었다. 정맥관 거치기간은 평균13.2±20.9일(범위1일∼278일)이었고 퇴원 시 카테터는 치료완료인 제거가 533건(92.4%), 가정 간호 19건(3.3%), 전원 16건(2.8%), 자가간호 9건(1.5%)였다. PICC 거치기간 중 합병증은 총 67건(11.9%)이며 정맥염이 23건(4.1%), 막힘 14건(2.5%), 감염 의심 18건(3.2%), 카테터 파손 5건(0.9%), 부종이나 통증이 7건(1.2%)이었고 494건(88.1%)은 합병증 없이 치료완료 되었다. 결론: 정맥주입간호사 주도로 PICC 삽입 시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함으로써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고 시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합병증예방을 위해 의료진, 환자, 보호자의 PICC 관리교육이 필요하며 치료기간을 고려해서 치료초기에 PICC를 삽입하면 환자만족도가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 위암 CP환자의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정맥염 감소효과

        손수미,황진순,이명덕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0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0 No.-

        배경: 위암CP환자는 8∼9일에 걸쳐 외과적 수술 후 치료를 받고 퇴원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비경구적 영양수액요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영양집중지원을 위해 말초정맥 영양수액요법 시 혈종, 통증 그리고 정맥염이 자주 발생하여 천자 횟수도 잦게 되었다. 그래서 위암CP프로그램에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 설치를 기본 과정으로 첨가함으로써 환자는 1회의 천자로 퇴원까지 안전하게 비경구적 영양수액요법을 받게 되어 환자와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이게 되었다. 연구 목적: 단기적으로 말초 정맥용 영양수액요법을 7일 이상 치료를 받을 경우에 중장기용인 PICC를 위암 CP환자에게 적용 후 정맥염과 합병증 발생율 등을 이전에 조사된 말초정맥으로 말초정맥용 영양수액요법 시의 정맥염 발생율을 비교하여 PICC가 단기간에 삽입되었을 때의 정맥염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위암수술을 받고 PICC를 삽입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말초정맥염은 2007년 같은 병원에서 소화기 내과로 입원한 말초정맥용 영양수액요법을 받은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맥염은 Weinstein(1993)이 개발한 것을 참고하여 박선희(1996)가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등급이 올라갈수록 정맥염의 중증을 의미하며 Grade2∼3을 정맥염으로 보았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총 393명의 환자에게 PICC를 삽입하였다. 그중에서 45건(11.5%)은 실패, 348건(88.5%)을 삽입하였으며 남여평균연령은 57.9세, 남자 219명(62.9%), 여자 129명(37.1%) 이었고 유지기간은 평균 6.8일 이었다. PICC의 정맥염은 총 9건(2.5%) 이었고 합병증은 감염의심 13건(3.7%), 부종 4건(1.1%), 기타 어깨 통증 2건(0.6%) 이었다. 말초용 영양수액을 주입한 환자의 말초정맥염은 평균유지기간 37.4시간 이었고 정맥염 발생율은 Grade0은 3명(2.7%), Grade1은 33명(30%), Grade2는 65명(60.0%), Grede3은 8명(7.3%)이었다. 결론: 말초 정맥으로 말초용 영양수액 요법 시 말초정맥주사 유지기간이 평균 37.4시간이었고 위암CP로 8∼9일 동안 입원할 경우 37.4시간 마다 1회의 정맥천자 시 총 5.7회의 천자가 필요할 것이며 Grade2∼3의 정맥염이 66.3%가 발생되어 카테터를 제거하였다. 반면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의 유지기간은 6.8일 이었고 합병증 5.4%, 정맥염은 2.5%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정맥염 감소 효과와 환자의 불편감 해소 및 의료진의 만족도 면에서 PICC의 이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인공정맥판막이 설치된 손상된 정맥판막에서의 유동분석

        김형호,김경욱,최영호,이창제,선상원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6

        There exist various treatment methods for varicose veins, such as high ligation, stripping, sclerotherapy, radiofrequency ablation, and laser ablation. However, these are palliative treatment methods. Artificial venous valves are expected to reproduce the normal functions of venous valves. We performed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venous valves. An artificial venous valve that is based on fluid mechanics and capable of reproducing the functions of human venous valves was designed and evaluated through flow analysis simulations. Two types of damaged human venous valves and an artificial venous valve that can be installed with endovascular approach were designed. A total of 16 cases of flow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artificial venous valve, installation location, and normal or reflux blood flow. An analysis of the flow rate, wall shear stress, and velocity vector demonstrated that the stagnant flow around the venous valve can be resolved if the artificial venous valve is installed behind the damaged venous valve. 하지정맥류의 경우, 고결찰, 정맥발거술, 경화요법, 고주파/레이저 절제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나, 이는 완화요법의 일환으로 인공정맥판막을 통한 정맥기능의 회복이 근본적인 치료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인공정맥판막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맥판막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유체역학 기반의 인공정맥판막을 설계하고, 유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손상된 인체정맥판막과 혈관내로 설치가 가능한 형태의 인공정맥판막을 설계하였다. 인공정맥판막의 유무 및 설치위치에 따른, 그리고 정상방향의 혈류유동과 역류시의 혈류유동에 대하여 총 16 케이스의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유량, 벽전단응력, 속도벡터 등을 분석한 결과, 손상된 인체정맥판막 뒤쪽으로 인공정맥판막을 설치할 경우, 정맥판막 주변의 정체되는 유동이 일정량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정맥 내 980-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대복재정맥 역류의 치료

        김건일,이원용,조태준,이재웅,홍기우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2

        배경: 최근 하지 정맥류 치료에 정맥 내 레이저 치료가 도입되어 비침습적이면서도 좋은 치료 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대복재정맥 역류로 인한 하지 정맥류 환자에서 980-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복재정맥 폐쇄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치료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대복재정맥 역류로 인한 하지 정맥류 환자 238명(332예)을 대상으로 980-nm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정맥 내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은 레이저 치료와 동시에 보행적 정맥류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임상 양상과 수술 합병증, 그리고 수술 후 1개월과 3개월의 추적 듀플렉스 초음파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반상 출혈이 발생하였고, 감각 이상이 68예(20.5%), 피부화상이 3예(0.9%) 발생하였다. 추적 초음파 검사에서 수술 1개월 후 26예, 3개월 후에는 10예에서 추가로 대복재 정맥 역류 혹은 부분 혈류 재개가 확인되어 치료성공률은 각각 91.3%, 87.9%였다. 결론: 레이저를 이용한 대복재정맥 폐쇄술이 기존의 대복재정맥 발거술에 비하여 비침습적이기는 하지만 저자들은 다소 높은 대복재정맥의 재개통을 경험하였다. 이는 적절치 않은 레이저 강도나 적용 시간(속도), 과도하게 확장된 대복재정맥 등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며 시술 후 정맥의 재개통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 노력과 함께 초음파 검사를 통한 정확한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복재정맥 수확방법에 따른 이식편의 손상과 수술창의 합병증의 빈도

        최종범,박권재,양현웅,이삼윤,최순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7

        배경: 최근 들어 관상동맥 우회술에 장기 열림이 우수한 동맥 이식편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복재정맥도 부가되어 이용될 중요한 이식편으로 남아 있다. 더욱이 정맥의 주위조직의 손상이 적으면 이식편으로서 장기 열림도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재정맥의 수확 방법 중 정맥 이식편의 손상을 줄이고 정맥수확 부위의 수술창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시 이식편으로서 대 복재정맥을 사용했던 34예의 환자들에서 50개의 수확 부위를 선택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25 정맥 이식편의 수확부위(제 1군)는 무릎아래의 장딴지에 대복재정맥을 따라 긴 절개를 하고 정맥의 주위조직을 깨끗이 박리하였으며, 10 수확부위(제 2군)는 무릎위의 대퇴부에서 내시경을 이용하여 정맥 이식편을 수확하였다. 다른 15 수확부위(제 3군)는 대퇴부의 대 복재정맥을 따라 3개의 분리된 절개를 만들어 정맥의 주위 조직을 일부 포함하여 무딘 박리로 복재정맥을 박리하였다. 결과: 정맥 이식편의 수확시간은 내시경 방법에서 가장 길었고(44.7±9.8분) 대퇴부위의 절개방법에서 가장 짧았다(24.2±5.9분) (p=0.000). 수확 시 이식편의 분지 손상은 내시경 수확방법에서 가장 많았다. 대퇴부에서 수확한 정맥 이식편은 이식편당 연속문합수가 1.72±0.98개로 장딴지의 정맥 이식편(1.16±0.37개)보다 더 많았다(p=0.02). 가장 많은 수술창의 합병증으로는 입원 중 다리 부종으로 제 1군이 20부위(80%)에서 발생하여 가장 많았고(p=0.000) 수술창의 신경증상(저림)도 제 1군의 7부위(28%)에서 발생하여 제 1군이 다른 두 군보다 더 많은 합병증을 보였다(p=0.013). 수술창합병증의 위험인자는 절개방법이었으며, 부위별 위험도는 무릎하방(장딴지)이 상방(대퇴부)보다 더 높았다. 결론: 정맥 이식편의 수확에 있어 대퇴부의 분리 절개방법은 내시경 방법이나 장딴지부위의 절개 방법보다 더 빠르고 정맥의 손상이 더 적으며 창상의 합병증도 상대적으로 적어 정맥 이식편의 우수한 수확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소복재정맥 역류에서 고위결찰술을 동반한 정맥내 레이저 치료

        정재한,김건일,이원용,김형수,조성우,이희성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2

        Background: Endovenous laser treatment (EVLT)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s a less invasive technique for treating an incompetent small saphenous vein and many good results have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EVLT combined with high ligation in patients with an incompetent small saphenous vein. Material and Method: The study included 60 patients (66 limbs) who were treated with EVLT combined with high ligation of an incompetent small saphenous vein between January 2006 and May 2009. The preoperative clinical findings, the postoperative results and the postoperative ultrasonography follow up results at 1 and 3 months were reviewed. Resul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7 patients (15 limbs,28.3%) and postoperative paresthesia occurred in 5 limbs (7.6%), but there was no deep vein thrombosis. Ultrasonography follow up at 3 month was performed in 93.9% of the limbs (62/66). The vein occlusion rate at 1and 3 months were found to be 91.9% (57/62) and 90.3% (56/62), respectively. Conclusion: We performed EVLT combined with high ligation and ambulatory phlebectomy in patients with an incompetent small saphenous vein, and this all revealed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but it showed a relatively low cure rate even though we also performed EVLT combined with high ligation altogether. We need to determine whether EVLT combined with a high ligation procedure will improve the venous occlusion rate. We also need to investigate how we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nerve injury. 배경: 최근 하지 정맥류 치료에 정맥 내 레이저 치료가 도입되어 비침습적이면서도 좋은 치료 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소복재정맥 역류로 인한 하지정맥류 환자를 대상으로 고위결찰술과 함께 정맥내 레이저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였고 그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소복재정맥 역류에 의한 하지 정맥류 치료에 고위결찰술과 함께 정맥내 레이저치료를 받은 환자 60명(6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임상 양상과 수술 결과,그리고 수술 후 1개월과 3개월의 추적 초음파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관련 합병증은 17명(25예, 28.3%)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후 감각 이상은 5예(7.6%)였고 심부정맥혈전증은 없었다. 3개월까지 추적 초음파 검사가 가능한 경우는 93.9% (62/66)였고 정맥완전폐쇄율은 1개월, 3개월에 각각 91.9% (57/62), 90.3% (56/62)였다. 결론: 저자들은 소복재정맥 역류 환자에서 고위결찰술을 동반한 레이저 치료와 보행성 정맥절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합병증의 수술 결과를 보였으나 고위결찰술을 병행했음에도 완전정맥폐쇄율은 다소 낮았다. 소복재정맥 레이저 치료시 신경손상합병증을 배제할 수 있으면서도 정맥폐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원발성 하지정맥류의 임상적 고찰 - 209례 보고 -

        이연재,박철,김종석,김한용,유병하,Lee, Yuen-Jae,Park, Chul,Kim, Jong-Seok,Kim, Han-Yong,Yoo, Byu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하지정맥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혈관 질환으로 흉부외과 영역에서도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하지정맥류 환자 209명 혹은 269족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 관찰하였다. 결과 : 남자는 52명, 여자는 157명으로 1:3의 비율이었고, 연령은 평균 42.2$\pm$9.7세 이었으며, 평균 발생기간은 12.2$\pm$9.7년이었고, 평균 추적간은 2001년 7월을 기준하여 평균 14.8$\pm$6.1개월이었다. 증상은 하지 통증이 122례(58.4%)로 가장 많았다. 장시간 서있는 직업(44명), 임신(37명), 가족력이 있는 경우(7명) 및 이들의 조합이 주원인으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주병소는 대복제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26례, 소복제 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8례, 망상혈관 및 모세혈관확장증만 있었던 경우가 65례 있었다. 치료는 대복제정맥 발거,분절 절제술, 대복재정맥-대퇴정맥 연결부위 결찰, 혈관 경화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 발거를 시행한 군(A군)과 혈관경화요법을 시행한 군(B군)을 비교했을때, 시술후 합병증은 A군에서 많았고(p 0.05), 재발은 B군에서 많았다(p 0.05). 소복재정맥까지 침범한 경우 stab avulsion을 시행한 경우(C군)와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D군)의 비교시 D군에서 2례의 재발이 있었으나 합병증 및 재발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혈관 경화요법에서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B군)와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이 있는 경우(E군)의 비교시 합병증은 차이가없었으나(p 0.05), 재발률은 B군에서 높았다(p 0.05). 발거후 합병증으로는 발목 무감각 및 저린 느낌(2례), 발목 통증(2례), 족부부종(2례),창상감염(1례)등이 있었고, 혈관 경화요법의 경우 정맥혈전염(1례), 피부궤양(1례)등이 있었다. 결론 : 대복재정맥의 혈관경화요법은 발거술 보다 재발률이 높았지만.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에서의 혈관경화요법은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정맥류의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하지만, 혈관경화요법은 수술 및 입원이 필요없는 간편한 치료이기에 대복재정맥의 경우에도 더욱 연구 보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Varicose vein is a very common vascular disease and has recently become a matter of concern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ns. Material and Method : We analyzed 209 cases or 269 feet with varicose vein retrospectively, which had been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April 1999 to December 2000. Result : Male : Female ratio was 1:3(Male : 52 cases, Female : 157 cases), mean age was 42.2$\pm$9.7 years old, mean duration of varicosities was 12.2$\pm$9.7 years, and mean follow up was 14.8$\pm$6.1 months from July 2001. Most common symptom was leg pain(122 cases, 58.4%). Long standing job(44 cases), pregnancy(37 cases), and family history related to varicose vein came to 79.9% as the major predisposing or precipitating factors. Anatomic classifications of main lesion were GSV (greater saphenous vein,126 cases), LSV(lesser saphenous vein,18 cases), and reticular veins and telangiectasias(65 cases). Main treatments were stripping of GSV, stab avulsion, ligation of saphenofemoral junction, sclerotherapy, and conservative treatment. Comparing A group (stripping of GSV) with B group(sclerotherapy of GSV), A group had more complications than B group; however, A group had less recurrences than B group(p 0.05). Comparing C group(stab avulsion of LSV) with D group(sclerotherapy of LSV), there were 2 cases of recurrence in 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plication and recurrence(p>0.05). Comparing B group(sclerotherapy of GSV) with E group(sclerotherapy of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lication; however, B group had more recurrences than E group. Post-stripping complications were ankle numbness and tingling(2 cases), ankle pain(2 cases),ankle swelling(2 cases), and wound pain(1 case). Postsclerotherapy complications were thrombophlebitis(1 case) and skin ulcer(1 case). Conclusion: 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 involving GSV had more recurrences than stripping for lesions involving GSV. Sclerotherapy for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had less recurrences than sclerotherapy for lesion involving GSV. Sclerotherapy is a very convenient method without operation and admission, thus further research is demanded in case of varicose vein involving GSV.

      • 한국인 팔오금 부위 피부정맥의 변이에 대하여

        홍해숙,박미숙,Hong, Hae-Sook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본 연구는 변이가 심한 팔오금 부위에 있어서 피부정맥의 유형을 조사하여 정맥의 변이양상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여 의료인이나 간호사들이 정맥주사와 관련된 업무 수행시 학문적 고려하에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성인 남녀(20세∼40세) 각 100명을 대상으로 팔꿈치 윗 부분을 고무줄로 묶은 뒤 주먹을 쥐고 팔을 굽혔다 폈다 하고 근육을 주물러 정맥을 튀어나오게 하였으며, 팔의 아래 부분과 팔 앞쪽의 정맥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형광펜으로 표시한 후 정맥의 양상을 백지에 그려 Halim과 Abdi의 분류법을 토대로 형태를 분류하였고 유형들 간의 유의성 검증은 X^2-test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팔오금 부위에 있어서 피부정맥의 유형별 변이양상은 남녀 전체에서 팔꿈치 부위에서 요골쪽 피부정맥과 적골쪽 피부정맥이 팔오금 중간정맥에 의해 연결되는 Ⅰ형(67.8%)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P<.005) 남녀 차이는 없었으며 오른쪽, 왼쪽 유형별 차이는 남녀 모두 없었다. 결과 및 결론 :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팔오금 부위의 변이 양상은 다양하므로, 의료인과간호사들은 정맥주사시 정맥변이의 기초지식을 알고 시행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사를 놓을 것으로 사료된다. Knowledge of the superficial veins in the cubital region with variations is directly needed for the safety in venipuncture and intravenous injec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upply clinial benefit for medical team and nurses and to find out variations of the superficial veins in the cubital region in 200 living Korean subjec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ype I had a median cubital vein joining the cephalic and the basilic vein in the elbow region and was the most common type.(P < .005) In venous types in the cubital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bilateral symmertrical and asymmetrical venous type in same individual, bilateral asymmetry was showed more frequently than bilateral symmetry in males and females,(P < .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 KCI등재

        우회단락을 사용한 상대정맥증후군의 수술

        신재승,조원민,민병주,정원재,이인성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

        종격동 섬유화로 인한 상대정맥증후군을 가진 41세의 남자 환자를 정맥 우회단락을 사용하여 상대정맥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상당히 높은 중심 정맥압을 보였으며, 수술 시 측행혈관이 차단될 수밖에 없어, 수술에 따른 신경학적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았다. 수술은 막힌 상대정맥과 무명정맥을 제거한 후에 자가 심낭을 튜브 모양으로 만들어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중에 정맥 우회단락을 이용하여 두경부 및 상지의 정맥환류를 유지하였다. 우회단락의 사용은 상대정맥증후군의 수술 시 정맥압을 즉시 감소시키고, 수술시간에 따른 부담이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