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lforaphane Inhibits Ultraviolet 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이삼윤,문성록 한의병리학회 2012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26 No.6

        Sulforaphane [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butane] is one of the most abundant isothiocyanates in some cruciferous vegetables, especially broccoli. Sulforaphaene has been shown to exhibit many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However, the anti-skin photoaging effects of sulforaphane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ulforaphane on MMP-1 and -3 expressions of the human dermal fibroblasts via various in vitro experiments and elucidated the pathways of inhibit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real-time PCR revealed sulfiraphane inhibited UVB-induced MMP-1 and -3 express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UVB strongly activated nuclear factor-κB (NF-κB) activity, which was determined by NF-κB DNA binding activity. UVB-induced NF-κB activation and MMP expression were completely blocked by sulforpha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lforaphane could prevent UVB-induced MMPs expressions through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 KCI등재

        기계판막엽의 탈출 -1예 보고-

        이삼윤,최종범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

        기계판막치환술 후에 기계판막엽의 탈출은 드물게 보고되는 질환으로 Edwards TEKNA 판막의 탈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저체온순환정지와 역행성 뇌관류에 의한 대동맥궁을 침범한 급성 대동맥 박리증의 수술결과

        이삼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

        Background: Acute thoracic aortic dissections involving the aortic arch differ in diagnosis, surgical procedures, and operative results compared to those that do not involve the aortic arch. In general cerebral perfusion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HCA) is performed during the repair of the aortic arch dissection. Here, we report our surgical results of the aortic arch dissection repair using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RCP) and its safety.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2, 22 consecutive patients with aortic arch dissection underwent aortic arch repair. In 20 of them RCP was performed under HCA. RCP was done through superior vena cava in 19 patients and by systemic retrograde venous perfusion in 1, in whom it was difficult to reach the SVC. When the patient's rectal temperature reached 16 to 18oC, systemic circulation was arrested, and the amount of RCP amount was 481.1±292.9 ml/min with perfusion pressure of 20~30 mm Hg. Result: There were two in-hospital deaths (4.5%) and one late death (9.1%). Mean circulatory arrest time (RCP time) was 54.0±13.4 minutes (range, 7 to 145 minutes). RCP time has no correlation with the appearance of consciousness, recovery of orientation, or ventilator weaning time (p=0.35, 0.86, and 0.92, respectively). Ventilator weaning was faster in patients with earlier recovery of consciousness and orientation (r=0.850, r=926; p=0.000, respectively). RCP of more than 70 minutes did not affect the appearance of consciousness, recovery of orientation, ventilator weaning time, exercise time, or hospital stay (p= 0.42, 0.57, 0.60, 0.83, and 0.51, respectively). Conclusion: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time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during repair of aortic arch dissection may not affect recovery of orientation, ventilator weaning time, neurologic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recovery. 배경: 급성 대동맥 박리증 중 대동맥궁의 박리 및 수술을 요하는 경우 진단, 수술방법, 수술결과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동맥궁의 박리를 교정하기 위해서 저체온순환정지하에서 뇌관류를 시행한다. 대동맥궁의 수술이 필요한 대동맥 박리증에서 역행성 뇌관류에 의한 수술결과를 조사하고 그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대동맥궁을 침범한 급성대동맥 박리증의 수술 환자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2예 중 20예에서 저체온순환정지 하에 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하였다. 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한 20예 중 19예에서는 상대정맥을 통해 뇌관류를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상대정맥의 접근이 어려워 역행성 체정맥 관류를 시행하였다. 직장온도 16∼18도에서 순환정지를 시행했고 역행성 관류압 20∼30 mmHg에서 평균 관류량은 분당 481.1 292.9 ml이었다. 결과: 병원사망은 2예(9.1%)였으며 만기사망은 1예(4.5%)였다. 평균 순환정지(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54.0 13.4분(범위, 7∼145분)이었다. 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의식 및 지남력 회복, 호흡기 탈거 시간과 상관관계가 없었고(각각 p=0.35, 0.86, 0.92), 의식출현과 지남력 회복이 빠른 환자에서 호흡기 탈거도 빨랐다(각각 r=0.850, r=926; p=0.000). 70분 이상의 역행성 뇌관류가 의식출현, 지남력 회복, 호흡기 탈거 시간, 운동력회복 및 입원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각각 p=0.42, 0.57, 0.60, 0.83, 0.51). 결론: 저체온순환정지하에 역행성 뇌관류로써 대동맥궁을 포함한 대동맥박리증 수술 시 뇌관류 시간은 의식회복과 호흡기 탈거, 신경학적 합병증, 수술 후 회복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흉골 봉합 방법이 흉골 열개 및 감염에 미치는 영향

        이삼윤,박권재,고광표,최종범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6

        배경: 수술 후 흉골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들 중 흉골 봉합선의 견고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본 저자들은 흉골 봉합 방법에 따른 흉골 열개 및 감염의 발생빈도를 조사하여 합병증이 적은 가장 효과적인 흉골 봉합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7월까지 개심술을 받았던 환자들중 45세 이상의 환자 48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봉합 철사 6개로 단순 봉합을 한 159예, 흉골병에 2개의 단순 봉합 후 3개의 8자형 봉합을 한 119예, 각 늑간에 2개씩 10개의 단순 봉합한 150예, 단순 봉합과 8자형 봉합을 혼합하여 사용한 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34예에서 판막수술을, 213예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42예에서 그 외의 수술을 하였다. 결과: 총 12예(2.5%)에서 흉골 열개 및 감염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흉골 절개부의 합병증은 철사 6개를 이용한 단순 봉합 환자군의 3.1%(5/159)에서, 8자형 봉합 환자군의 3.4%(4/119)에서, 철사 10개를 이용한 겹치기 단순 봉합 환자군의 2.0%(3/150)에서 발생하였으며, 단순 봉합과 8자형 봉합을 혼합하여 사용한 환자 군에서는 합병증이 없었다(교차비에서 유의성은 없으나 다른 세 봉합방법에 대한 상대위험도에서는 유의성을 보임). 판막수술을 받은 환자군의 7예(3.0%),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환자군의 5예(2.3%)에서 흉골 합병증이 발생하여 수술 종류에 따른 흉골 감염의 차이는 없었으며, 당뇨병은 흉골 합병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될 수 있었다(교차비 및 다량분석에서 p = 0.00). 결론: 흉골 봉합 때 단순 봉합과 8자 봉합의 혼합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흉골봉합이 용이하고 수술 후 흉골의 열개나 감염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비해 64.5 $\pm$ 4.6%, 63.8 : 4.4%로 유의하게 개선된 소견을 보였으나(P<0.05), ll, III군에서 reserpine 및 prazosin으로 전처치 조건을 차단한 V, Vl군은 동일한 재관류 시간이 경과한 후 developed pressure는 52.2 $\pm$ 5.2%, 49.8 $\pm$ 5.7%로 단위시간당 수축기 좌심실압의 회복율은 54.8 $\pm$ 5.1%, 53.3 $\pm$ 3.6%로 II, III군에 비해 유의한 회복율의 감소를 보였고 이러한 회복율은 I군에 비해 유의한 차가 없었다. 결론: 교감신경 $\alpha$-수용체 작용약물에 의한 약물학적 전처치는 재관류 후 심근기능 회복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전처치 효과는 교감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의 고갈이나 $\alpha$1-수용체 차단제에 의해 소멸되는 것으로 보아 전처치에 의한 심근보호효과는 교감신경계 전달물질 및 $\alpha$1-수용체를 통해 유도됨을 알 수 있다.380$\pm$71 mL, p=0.05).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Backgrou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sternal complications is stable sternal approximation. We have tri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sternal closure method by examining the incidence of sternal dehiscence with or without infection in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through median sternotomy.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489 patients over 45 years of age with median sternotomy for open cardiac surgery. Simple closure with interrupted 6 wires was performed in 159 patients, figure-of-8 closure technique in 119, overlapping interrupted closure using 10 wires in 150, and combined closure technique of interrupted simple closure and figure-of-8 suture closure in 61. Two hundred thirty-four patients underwent valve and aortic operations and 213 patients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Result: Sternal dehiscence with or without infection occurred in 12 (2.5 %) patients. The complication developed in 5 of 159 patients (3.1%) with six interrupted simple closure, in 4 of 119 patients (3.4%) with figure-of-8 closure, and in 3 of 150 patients (2.0%) with overlapping interrupted closure using 10 wires, but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61 patients with combined closure technique (relative risk for other closure techniqu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the sternal complication between valve and aortic operation group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oup (3.0% vs 2.3%, not significant), but diabetes mellitus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 (odds ratio and multivariate analysis, p<0.05). Conclusion: The sternal closure technique that combines simple interrupted suture closure and figure-of-8 suture closure may be a more useful technique to enhance sternal stabilization compared to other closure techniques, such as simple interrupted closure, 8-figure closure, and overlapping interrupted closure.

      • SCOPUSKCI등재

        폐의 부분 절제시 조기 변형식 흉곽성형술의 임상적 의의

        이삼윤,양현웅,최종범,최순호,Lee, Sam-Yun,Yang, Hyeon-Ung,Choe, Jong-Beom,Choe, Sun-H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4

        변형식 흉곽 성형술은 폐절제 후 잔여 폐가총장을 채울 수 없는 경우나 농흉이 합병된 경우 폐 절제 후 이차적으로 실시하거나 폐 절제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시행된다. 원광대학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 까지 폐암종 3예와 폐결핵에 의한 이차성 병변 5예 (2예에서 기흉, 2예에서 아스페루질루스종에 의한 각혈, 떼는 기관지루를 동반한 농흉)에서 폐엽 절제술에 부가적으로 변형 흉곽성형술을 시행하고 조기 및 만기적인 임상 결과를 관찰하고 폐의 부분절제시 변형 흉곽성형술의 적절한 시행방법과 임상적 의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술식에 있어서 1 번 늑골을 보존하는 대신 폐첨을 늑골로부터 박리하고 2, 3, 4번의 늑골을 골막외로 절제하였다. 4예에서 변형 흉곽성형술이 폐 절제와 동시에 시행되었고,다른4예에서는 폐 절제 후 1내지 8일째에 시행되 었다. 흉곽 성형술 후 재원기간은 평균 13일 (범 위, 10-26일)이었으며 2차 흉곽 성형술을 시 행한 2 예를 제외한 6예에서 술후 4 내지 10일 (평균 6일)에 흉관의 발거가 가능하였다. 흉곽성형술은 폐 절제 후 발생하는 합병증인 농흉의 치료를 위해 이차적으로 시행되는 경향\ulcorner 있으 나, 폐의 부분 절제 (전폐 절제를 제외한 폐엽 절제 및 폐염의 부분절제)후 잔여 폐의 용적이 적거나 폐 실질로부터 공기 누출이 심한 경우, 폐 절제와 동시에,또는 절제 후 조기에 변형 흉곽성형술을시행함 으로써, 빠른 늑막 유착을 유도하고 만기에는 흉곽 변형이 없이 잔여 폐의 확장을 얻을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ailoring thoracoplasty is employed prior to, following, or concomitant with pulmonary resection when it is anticipated that insufHclent lung tissue will remain to fill the pleural space following a pulmonary resection. This study reviewed a series of eight patients treated with tailoring thoracoplasty between 1990 and 1995. Indications were to close a persistent space In four patients and to tailor the thoracic cavity to accept diminished lung volume concomitant with a pulmonary resection in the other four patients. The primary underlying disease was lung cancer in three patients and pulmonary tuberculosis In five patients, two of whom had concomitant aspcrgilloma, two, pneumothora , and one,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In four patients with a prior pulmonary resection, the tailoring thoracoplasty was performed within eight days after the resection surgery. There was no failure to accommodate the thoracic cavity to insufficient lung tissue, even though two patients needed a second thoracoplasty. We conclude that tailoring thoracoplasty may be performed to close anticipated persistent pleural space and to accommodate diminished lung volume with acceptable cosmetic results Early, after, or concomitant with pulmonary resection in selected patients.

      • KCI등재

        크레아티닌치가 높은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신장기능의 변화와 처치

        이삼윤,최종범,이미경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2

        배경: 수술 전 크레아티닌이 상승된 환자에서 심폐기를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후 사망률과 이환율이 증가하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에 수술 전 크레아티닌 치가 상승된 환자에서 신장기능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최근 심폐기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한 74예 중 수술 전 일주일 이내에 1.5 mg/dL 이상의 혈청 크레아티닌치를 가진 환자 17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크레아티닌 치가 2.0 mg/dL 이상인 환자가 7예였고 그중 3예는 수술 전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였다. 후자의 3예에서는 수술전날에 혈액투석을 하였다. 혈액투석을 받던 환자나 수술 후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체액량 및 크레아티닌의 조절을 위해 수술 직후 복막투석을 시작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 크레아티닌치의 상승을 보였으며 퇴원 시에 수술 전 크레아티닌치로 회복되었다. 2.0 mg/dL 이상의 크레아티닌치를 가진 환자 4예 중 2예와 혈액투석을 받던 3예에서는 수술 후 복막투석만으로 체액량과 크레아티닌치를 조절할 수 있었고 혈청 전해질치도 유지할 수 있었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일시적으로 크레아티닌치가 상승하며,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환자나 수술 전 혈액투석을 받던 환자에서는 수술 후 복막투석만으로도 체액 량과 크레아티닌치의 조절이 가능하였다. Background: Preoperative elevated serum creatinine valu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both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ABG). We investigated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renal function and proper management in the patients. Material and Method: Among 7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on-pump CABG, 17 patients with increased serum creatinine level (creatinine ≧1.5 mg/dL) within preoperative one week were included in the study. Seven patients showed preoperative serum creatinine level of 2.0 mg/dL or higher, and 3 of them had been undergoing hemodialysis. Preoperative hemodialysis was performed in the 3 patients due to end-stage renal failure (ESRD) the day before the operation. We started peritoneal dialysis immediately after the cardiopulmonary bypass in patients with ESRD or postoperative acute renal failure if it was necessary to remove intravascular volume and lower serum creatinine level. Result: In most of the patients with CABG, postoperative serum creatinine level increased and recovered to the preoperative level at the discharge. In 2 of the 4 patients with serum creatinine level of 2.0 mg/dL or higher and 3 patients with ESRD, intravascular volume, serum creatinine level and serum electrolyte were controlled with peritoneal dialysis. Conclusion: Postoperative serum creatinine level increased transiently in most of CABG patients, and intravascular volume and serum creatinine level were controlled by peritoneal dialysis only in the patients with acute renal failure postoperatively and those depending on hemodialysis.

      • KCI등재

        Associations of IFITM3 haplotypes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a Korean population

        이삼윤,유지인,채수천 한국유전학회 2012 Genes & Genomics Vol.34 No.5

        Interferons (IFNs) play important roles in tumor pathogenesis by controlling apoptosis and through cellular anti-proliferative and differentiation activities. Interferon inducible transmembrane protein (IFITM) family genes were first discovered in interferon-treated neuroblastoma cells. IFITM3 is a member of the IFITM family, and has been described as a key player in the specification of germ cell fate. We have previously identified 7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multiple variation regions in the IFITM3 gene and have suggested that IFITM3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to ulcerative colitis (UC).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FITM3 SNPs g.-204T>G, g.-175T>C, and g.42C>T are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RA). Although, the genotype and allelic frequencies of these SNPs in the RA patien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in the healthy control group,the distribution of the major haplotypes (GTC, TCT and TTT)of the IFITM3 SNPs in R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P = 5.34E-12,1.47E-5 and 1.51E-18, respectively).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haplotypes of the IFITM3 polymorphisms may be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to RA.

      • KCI등재후보

        심근경색 모델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B-type Natriuretic Peptide 발현 및 심박변이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삼윤(Sam Youn Lee),이미경(Mi Kyoung Lee),김남호(Nam-ho Kim),주민철(Min Cheol Joo),조항정(Hyang Jeong Jo),강지숙(Ji Sook Kang),김병숙(Byung Sook Kim),윤선식(Sun Sik Yoon),최을식(Eul Sig Choi),이문영(Moon Young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심박변이율의 감소는 심근 경색 환자에서 예후의 악화와 관련되어 있다. 심박변이율 중 very low frequency가 심부전환자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심실의 압력 증가에 반응해서 생성되는 B-type natriuretic peptide가 심근 경색의 예후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음 역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모델을 제작하여 일정의 회복 기간을 거친 다음 다시 일정 기간의 스트레스를 겪게 한 후 심박변이율의 변화 및 심실 조직에서의 BNP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15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인위적 스트레스 및 수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restraint stress를 받지 않은 군(MI+No Stress, n=5),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후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받은 군(MI+Stress, n=5)으로 분류하였다. 심근경색 모델 제작 직후 15분 이상 심전도의 변화를 기록하였으며, 2개월 정도 후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동물을 두 군으로 나누어 그 중 한 군에는 1주일 동안 restraint stress를 가한 후 restraint stress를 가하지 않은 동물과 심박변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심실 조직은 좌심실 전벽 부위의 위축을 관찰할 수 있었고, 대식세포에 의하여 응고, 괴사된 심근세포의 탐식과 혈관이 풍부한 육아조직 및 섬유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심박변이율은 심근경색 수술을 받은 직후 심박수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very low frequency (VLF) 및 low frequency (LF)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심근경색 수술을 받았던 동물에서 두 달 정도의 회복 기간을 거친 후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군은 심박수 및 기타 심박변이율 분석에서 SDNN 값을 제외하고는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던 반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받은 군에서는 심박수가 다시 유의하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SDNN, VLF 및 LF 역시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심근경색 동물에 대해 1주일 동안 스트레스를 가한 결과 심박변이율이 감소하고 심실에서의 BNP 발현은 더욱 증가하여 악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Diminish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ssociated with less favorable progn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MI). It has been reported that very low frequency (VLF) power in HRV analysis is an independent risk predictor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can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of M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ess has an effect to the changes of BNP expression and/or heart rate variability in MI model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CON), MI group (MI+No Stress), and MI followed by stress group (MI+Stress). MI+Stress group rats were raised for a two month recovery period after the operation, followed by being exposed to restraint stress for 2 hours per day for 1 week. Electrocardiogram was recorded after the operation and the last day after 1 week of stres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HRV were calculated in the frequency domain such as VLF, low frequency (LF), high frequency (HF) and so on. In HRV analysis,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to normal intervals (SDN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LF and LF also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MI+Stre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addition, BNP expression in western blotting was shown the strongest bands in MI+ Stress group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NP and HRV were aggravated by stress in MI rat model. (Korean J Str Res 2010;18:275∼285)

      • KCI등재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Gene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a Korean Population

        Sam-Youn Lee(이삼윤),Ji-in Yu(유지인),Soo-Cheon Chae(채수천)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

        TSLP 유전자는 IL-7와 유사한 새로운 조혈성 사이토카인이다. 인간의 TSLP는 상피세포, 기질세포 및 비만세포에서 만들어진다. TSLP는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윤활성 활액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낸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들은 사람의 TSLP유전자에서 4개의 유전자다형성 및 한 개의 변이를 발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들이 발굴한 TSLP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의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의 비율을 건강한 정상인과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비교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 있어서 유전자형에 따른 RF 및 anti-CCP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쪽 그룹에서 이들 유전자다형성에 의한 일배체형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류마티스관절염 환자군과 건강한 정상인 군 사이에 있어서 유전자형, 대립형질 비율뿐만 아니라 일배체형 비율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TSLP유전자의 유전자다형성은 류마티스관절염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암시한다.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is a novel IL-7-like hematopoietic cytokine. Human TSLP is produced by epithelial cells, stromal cells, and mast cells. The TSLP gene is highly expressed in synovial fluid specimens derived from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We previously identified fou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one variation site in human TSLP gen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enotypic and allelic frequencies of the TSLP SNPs between RA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NP genotypes and the RF levels and anti-synthetic cyclic citrullinated peptide (CCP) levels in RA patients. We then calculated the haplotype frequencies defined by these SNPs for both groups. 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TSLP SN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RA patients and the healthy controls. We also found that TSLP SNPs in the RA patients ha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levels of RF or anti-CCP. Our results suggest that TSLP SNPs are not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RA.

      • SCOPUSKCI등재

        수술 중 발견된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의 개심술 - 1례 보고 -

        윤영남,이삼윤,유경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0

        한랭응집소는 저온에서 적혈구의 용혈 및 응집반응을 일으켜 저체온법을 이용한 개심술 시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킨다. 41세 남자 환자가 승모판 협착증을 진단 받고 외래 관찰 도중 기침과 발열 등의 폐렴증상으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 후 승모판 치환술을 받았다. 수술 도중 심정지액의 온도를 내리면서 응집현상을 관찰하고 한랭반응단백질에 의한 응집현상을 의심하여 심정지액을 온혈성으로 바꾸고 정온 체외순환으로 무사히 개심술을 마쳤으며, 수술 후 면역혈청학검사에서 한랭응집소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pen heart surgery with hypothermia in patients with cold agglutinin can cause severe complications by hemolysis and hemagglutination of red blood cells. A 41 year-old male patient with mitral stenosis was admitted due to fever and cough. After antibiotics treatment, he was scheduled to undergo mitral valve replacement. In the operation room, we found agglutination of blood cardioplegia during lowering temperature of cardioplegia. And then, the cardioplegia was changed to warm cardioplegia and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der normothermia due to the suspicion of the cold reactive protein.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eventfully. Postoperatively, cold agglutinin was confirmed by immunochemistry of the patient\`s se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