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교과서 운영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모델

        종명(Choi, Jong My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5 전자출판연구 Vol.- No.5

        출판 산업은 시장이 매우 큰 산업이며, 전자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출판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전자책의 일종인 전자교과서는 학교 교육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시범 사업에서는 많은 문제점들을 노출시킴으로써 전자교과서 확산에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 공립학교와 2014년 국내에서 진행된 전자교과서 운영 사례를 기존 연구 문헌들과 신문 기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전자교과서 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교육모델-교수자역량”의 삼각 모델을 소개하며, 활성화를 위한 각 요소들의 내용을 제안한다. The publishing industry is a big industry with large market. In the publishing industry, e-books is growing rapidly and it will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future publishing market. E-textbook, a kind of e-book, is believ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 in school education, so tha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made policies to promote e-textbook market. However, some experimental adoptions of e-textbook in US and Korea have revealed some problem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e-textbook adoption, in L.A. schools and in Korea schools, and introduce our e-textbook promotion model, which consists of “education environment – education model – capability of lecturer.” We also propose our suggestions for promotion of e-textbook in schools.

      • KCI등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작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 전자 작문을 중심으로 focused e-writing

        김정자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본고는 전자작문을 중심으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글 쓰기가 교육내용으로 새로이 추가되었다. 「국어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교육 내용에 '컴퓨터로 글 쓰기'가 새롭게 설정되었으며, 「작문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체계에도 작문의 실제 범주에 '정보화 사회에서의 글 쓰기'가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글을 쓰고 편집하는 도구나 표현할 내용을 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을 뿐이지, 새로운 의사소통의 매체와 텍스트로서의 컴퓨터나 인터넷의 가능성과 본질은 교육과정에서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는 전자 작문과 전통적인 글쓰기를 대비하여 전자작문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즉 컴퓨터와 인터넷이 글쓰기에 가져온 변화를 주목하여 전자 작문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전자 작문의 작문 과정이라든지, 전자 작문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설명은 공통적으로 부족했다. 또한 같은 작문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이지만 교과서에 따라 전자 작문에 대한 설명의 수준과 다루고 있는 비중의 차이는 다양했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작문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제시된 작문 과제의 대부분은 전자 작문의 특성을 살릴 수 없는 것이었다. 7차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는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표현력을 길러 주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안이 부족했다. 그 이유는 첫째, 교육과정 자체의 문제점이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자 작문에 대한 교육내용이 추상적이고 부족하기 때문이다. 둘째, 작문 교과서에서 인터넷 글쓰기의 양상과 표현 방식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하고 있지 못한 것은 새로운 매체의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지금의 국어 교육과정과 작문 교육과정에서 전자 작문은 작은 영역만을 차지하고 있으나 작문 환경이 컴퓨터와 인터넷 환경으로 급변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전자 작문의 유형을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설정해야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sis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 for composition in 7th curriculum systems. E-writing is proposed in contents system in 7th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riting with computer' is introduced as new content and in composition curriculum 'writing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introduced as new contents. But these contents in 7th curriculum are about things to use computer and Internet as the implement for writing and editing or a means for collecting and selecting ideas. These contents don't involve possibilities and an intrinsic attribute of computer and Internet as new media and new text for communication.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the contents for e-writing are realized to textbooks for composition. In textbooks the concept and features of e-writing are explained in contrast with writing. Most of descriptions about the process and types of e-writing are not satisfactory in all textbooks. And levels and importance of explanation about e-writing are various according to textbooks. Writing assignments for e-writing proposed in textbooks are not reflected features of e-writing Concrete contents and methods to educate expression in age of hypermedia are insufficient in textbooks for composition in 7th curriculum. Because there are problems in 7th curriculum. The contents for e-writing are proposed abstractly in 7th curriculum. Because research about aspects and express -ion forms of e-writing is deficient.

      • KCI등재

        학교교육 적용을 위한 국어과 전자교과서의 개발 방향 연구

        서유경 ( Yu Kyung Seo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이 연구는 최근 들어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학교교육에 도입할 전자교과서 모델 정립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전자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전자교과서 개발과 그 도입을 위한 연구는 이미 10년이 지나고 있는 정도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적절성을 인정받고 안정적으로 학교교육에 도입될 수 있다고 동의가 이루어진 모델은 없다는 점에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 분석, 검토 대상으로 삼은 전자교과서는 사이버학습교재, 교과서 따라하기, 전자교과서 시범개발 사회과 및 과학과 자료, 수학과 전자교과서(1차년도)-이다. 분석 기준은 (1)사용 환경(인터넷 활용 유무, 주요 매체 등), (2)멀티미디어, 학습 활동 저장, 학습 이력, 학습 도구 등의 기능 설계, (3)사용 주체 설정(교사, 학생, 학교급 등), (4)교과서와의 상동성 혹은 유사성, (5)교수학습 활동 설계의 방식과 범위 등이다. 이러한 전자교과서의 비판적 분석 결과, 향후 국어과 전자교과서 개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교사와 학습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2)가정이나 학교에서 늘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3)관리가 필요한 영역은 최소화되어야 하고, 4)서책형 교과서를 최대한 온전히 구현하면서도 참고서 기능을 갖도록 해야 하며, 5)서책형 교과서와 적절히 역할 분담을 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This study aims that recently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model of the digital textbook for school education.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development and the research of the digital textbook was started, but the consensus about the appropriate type of the digital textbook is not made yet. In this research the object of the critical analysis is as follow ; Cyber-learning Material, Following the Textbook, Test version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xtbook-Social and Science subj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xtbook Model. The criteria of this analysis are 1)user environment(internet, media etc), 2)multimedia, saving the learner`s activity, tracking, designing tool, 3)target user, 4)similarity with the textbook, 5)method of the learning i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digital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for both teacher and student, possible to use both home and in school, minimized the area of management, have the function of reference, similar to the textbook and so on.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수준 미술전자교과서 개발 연구

        노승림 ( Sung Rim N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7 예술교육연구 Vol.5 No.2

        정보화시대의 도래와 함께 미술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또한 변화되었다. 시각정보의 비판적 수용능력과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내는 창의력을 기르는데 있어 미술이해와 감상교육에 대한 요구는 확대되고 있으나 수업시수의 부족과 교과서의 한정된 정보제공 등으로 인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써 다양한 자료를 담을수 있고 영상 미술 등의 감상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전자교과서의 도입이 요구된다. 전자교과서는 단순히 인쇄교과서를 전자화 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교육자료의 총체적 변화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술교과의 특수한 성격과 학년별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학년 미술교육은 저학년 미술교육과 달리 비교감상과 맥락적 분석적 감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이러한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는 미술전자교과서의 설계모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항해유형(Navigation)이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인지적 융통성 이론에 기반한 연계적 항해유형과, 위계적 항해유형의 두가지 유형의 비술전자교과서를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고등학교1학년을 대상으로 시험학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계적 항해유형의 미술전자교과서는 위계적 유형의 전자교과서에 비하여 학습자의 이해수준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다중맥락적 이해를 지원하는 데 유리하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digital media age, the importance for appreciation education is growing to enhance creativity and understanding in visual information with a critical mind. To address this issue, discussions are underway to introduce electronic art textbooks. To this end, research is required to devise differentiated methodolog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of electronic art textbooks so that learners at high-school level can enjoy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era, nation or expression technique regardless of their prerequisite knowledge. Apprecia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level should be offered in a way that comparative education is more focused rather than simple appreciation seen in lower grade. To review the above mentioned issues, the research developed two types of electronic art textbooks (connected navigation type vs. hierarchical navigation type), and made comparison of educ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experimental group for connected navigation type compared to control group for hierarchical navigation shows higher average grade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 of comparative appreciation and learning regardless of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both types of text books showed higher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and concentration compared to printing materials.

      • KCI등재

        XML기반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 개발 및 적용

        오영범,이상수,서정진,김미숙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 교수.학습용 전자교과서를 개발·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ROM 타이틀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자교과서가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후에는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성, 만족도, 그리고 흥미도의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영어과 전자교과서의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성, 학습 만족감, 그리고 학습 흥미도가 높아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보다 증진될 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영어 학습 효과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n electronic English textbook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3rd grad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textbook was based on XML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electronic textbook format, and avoid the disadvantages of the CD-ROM that 3rd grade classes currently use. After electronic textbook was developed, focus group interview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at based on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s of student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electronic textbook and it is an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ll be improved. Also, we anticipate that the students’ learning effectiveness will be enhanced.

      • KCI등재

        전자교과서 개발시 학습동기 밀 몰입(flow)유발을 위한 이론적 접근

        한철우,임택균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2006 敎員敎育 Vol.22 No.3

        전자교과서는 1990년대 현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된 이래,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도입에 당면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실질적인 기초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교과서의 성격을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 형태로 규정하고,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전자교과서의 설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교과서의 개념을 간단히 정리하여 보고, 전자 교과서의 특성, 유형을 살펴보고, 현황 및 문제점을 간단히 짚어보았다. 그리고 학습 동기(ARCS) 이론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몰입(flow) 이론의 개념과 구성 요인 등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개발될 전자 교과서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기술적 측면과 내용 구성 체제 측면에서 각각 전망해 보았다. 컴퓨터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자교과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화와 발전을 해 나갈 것이다. 이러한 전자교과서 개발에 있어 본 연구는 기초 연구의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We face up to introduce the electronic textbook in education on the ground of developing the computer technology, since it had been suggested an alternative idea in education for modern paradigm-shift in 1990s. but, there is insufficient in the substantial and basic research for the electronic textbook. Hereupon,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e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textbook to lead participation on the learner's own initiative, on the assumption that the electronic textbook supports the self-leading learning. For this, the conception of the electronic textbook is identified, the feature of the electronic textbook and the various kinds of the electronic textbook are classified,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textbook is investigated. And then, the conception and components of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ARCS) and the flow(optimal) experience theory, which is watched with keen interest recently, is presented. Consequently, on the basis of this, several ways in each aspect of the computer technology and the system how to consist of learning contents are suggested. We have to keep in mind these as we develop the electronic textbook from now on. This research is one of the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 KCI등재

        초등 수학 전자 교과서의 구성 및 개발 전략

        김봉우,배종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7 No.-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과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초등수학 전자 교과서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전자 교과서의 구성 및 개발 전략에 대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이러한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유사 자료 사례 분석, 내용 분석, 기능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초등 수학 전자 교과서의 구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개발 전략의 일환으로 단계적 개발 모형과 컨텐트 확보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suggest a desirable organizational and developmental strategy of electron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irst of all, it was intended to set up the exact definition of electron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y surveying previous researches and examinations regarding elementary mathematics and electronic textbooks, and showed were the total organizational model of electronic textbooks for elementary mathematics by analyzing related cases. Finally, it was intend to present a developmental strategy for each level and an effective method to secure its content.

      •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 방안 연구

        정한호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의 환경적인 특성과 기능을 기반으로, 학교현장에서 나타나는 전자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 도출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 즉 월별 사교육 현황 추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의 전자교과서 활용 수업관찰, 교장(감) 및 교사, 학부모 등 관련자 심층면담, 사교육 현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자교과서 활용이 교수-학습과정, 교사의 교수활동, 학생의 학습활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에 대한 교장(감), 교사, 학부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이 사교육 패턴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의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한 사교육비 절감 방안 연구

        정한호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hadow education cost savings plan through the use of smart learning based on digital textbook in schools. In this study, based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smart learning, we identified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that appear in schools. In addition, we explored the practical changes due to electronic textbooks advantage, namely the trend of monthly shadow education status. Data were collected using classroom observation of digital textbooks, in-deep interview from (vice) principal and parents, and questionnaires of shadow education statu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digital textbook use’ g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learning process,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among (vice) principal, teacher, and parent about smart learning based digital textbooks. Third, we explored the potential that smart learning based digital textbooks have a positive impact on effect on the shadow education patterns change.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described above, we discussed effective and realistic development plans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을 바탕으로 사교육비 절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의 환경적인 특성과 기능을 기반으로, 학교현장에서 나타나는 전자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 도출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 즉 월별 사교육 현황 추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의 전자교과서 활용 수업관찰, 교장(감) 및 교사, 학부모 등 관련자 심층면담, 사교육 현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자교과서 활용이 교수-학습과정, 교사의 교수활동, 학생의 학습활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에 대한 교장(감), 교사, 학부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이 사교육 패턴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 기반 전자교과서의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 외국인조선어학습자들을 위한 조선어전자교과서도입의 필요성과 그로부터 얻게 되는 효과에 대하여

        허철호(?哲豪)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2 중국조선어문 Vol.238 No.-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지속되고 있는 신형코로나비루스로 오늘날 원격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사는 나날이 높아지고있다. 이 론문에서는 외국인조선어교육에 조선어전자교과서가 왜 필요하며 그것이 교육현장에 도입되는 경우 어떤 효과들을 얻을수 있는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