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
정한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s of secondary stud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um and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he instruction design. Diaries of teaching practicum,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he key data in this study.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at was based an adaptation, harmony, and chang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econdary stud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secondary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practical knowledge of instruction desig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These were framing of lesson plans, preparing of materials, producing of materials, formulating of strategies, and activating of the integratio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students-students. However guidance teachers' apathy to their student teachers had been declining opportunity for observing classroom instruction or practicing instructio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and some student teachers had to finish their teaching practicum without actual experiences of instruction design. Through this study, even though there was general planning to conduct teaching practicum, each guidance teacher decided to on having opportunities of observing classroom instruction, designing instruction, practicing instruction, and conducting open teaching without defining basis. There were phenomena in all of the data, such as diaries of teaching practicum,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study, it observed that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depending on the guidanc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실태를 파악하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수업실습 및 교사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일지, 집단 및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적응, 조화,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생태학적 관점으로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경험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지도안 작성, 자료준비 및 제작, 학급상황에 적합한 수업전략 수립, 교사-학생 및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 유발과 같은 수업설계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을 교육실습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교사의 무관심은 예비교사의 수업참관 및 수업기회를 제한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부 중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 없이 교육실습을 마치는 경우도 있었다. 연구결과, 학교마다 수업실습에 대한 기본 안내서가 있었지만, 수업참관, 수업설계, 수업실습, 공개수업 횟수는 주로 지도교사의 ‘말 한디’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교육실습일지, 집단면담, 심층면담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업설계 및 수업수행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지도교사를 만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는 ‘교육실습의 질’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esson plan design among novic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design lesson plan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lesson plan desig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ne male teacher, three female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from Colaizzi's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ndividual ‘correction' helps to improve their lesson plan writing skills. Second, the ‘closed nature' of school culture and ‘indifference to cla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vic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 plans. Third, the novice teach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ir lesson ideas. Fourth, the novice teachers had difficulty creating lesson plans from ‘various school events’, ‘school authorities’ emphasis on the use of media, and ‘students' learning gap.’ Fifth, the novice teachers perceived the design forms for lesson plans currently being used in schools as a formal framework to be shown to those outside the class. Sixth, unlike experienced teachers, novice teachers created lesson plans as practical tools for preparing their lessons.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기 위해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직경력 5년 미만의 초임교사(남 1, 여 3)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분석 방법인 Colaizzi 방법으로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되는 ‘첨삭지도’가 수업지도안 작성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문화의 ‘폐쇄성’과 ‘수업에 대한 무관심’은 초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각종 학교행사’, ‘학교당국의 매체사용 강조’, 그리고 ‘학생의 학습능력 차이’로 수업지도안 작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섯째, 초임교사들은 현재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업지도안 작성 양식을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형식적인 틀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초임교사들은 경력교사와 달리, 자신의 수업 준비를 위한 실제적인 도구로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팀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에 대한 질적 고찰 :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eam-based learning using social medi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social media usage with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is study, the authors taught lessons to 26 students in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for 3 week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social media usage in team-based learning using qualitative data from students’ journals on team activities, team reports, and in-deep interviews. Findings/Result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positive awareness of social media usage, its usage in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purpose social media Valu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both in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use of social media in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본 연구는 팀 학습에서 발생하는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실태를 탐색하고 소셜미디어가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관련 수업을 적용하고 생성된 팀 프로젝트 활동 일지와 팀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그리고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소통중심의 활용, 편의성 위주의 활용’ 등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셜미디어 중심의 학습 전략 및 활동 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학습참여 유형이 대학 강좌에 대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의 집중도와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function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communal engagement on students’ loyalty to college courses using social media. To examine the impact,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to their courses that utilize social media to discover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In this study, function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communal engagement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Lecture commitment and social presence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students’ loyalty to their courses were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courses that utilize social media. 295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Findings/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functional engagement, and social presence positively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loyalty to courses that utilize social media. Value: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use of social media in college courses.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기능적 참여,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 등이 학생들의 강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대학 강좌의 충성도와 관련된 영향변인을 도출하고 각 변인 간의 관계성에 대한 최적의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의 활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들로부터, 학생들의 기능적 참여,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 등을 외생변인, 강의 집중도,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변인, 그리고 해당 대학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대학 강의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295명의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상에서의 기능적 참여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실재감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대학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강좌에서 점차 보편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는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기독 예비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 탐색
정한호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4년제 기독교 대학 사범학부의 기독교교육, 영어교육, 역사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교육이 학교현장실습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지도교사의 자질과 예비교사 지도에 대한 예비 기독교사의 인식이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이 예비 기독교사의 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교사의 영적, 지적, 인격적, 신체적인 요소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예비교사 양성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 교사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과 학교현장 간의 학교현장실습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현장실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내용 추출과 지도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계기로 예비 기독교사의 양성 및 학교현장실습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가 지속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정한호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05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13
Planning lights for displaying spaces such as museums is not right to have a purpose as to just clear vision or present the atmosphere of the space. But it is actually done with simple calculation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or it is enforced or managed as the means of lighting design plans with partial lighting structures for just performing the space. To plan light structures of a space, many factors should be examined such as the purpose of the architecture, the fuction of the interior space, amenity and safety of fuctioning that can be developed in each space, includ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to consider the lighting environment as a series of system planning. It's not enough to just assure the vision from lighting that is a part of the exhibition since the education for the public should be concomitant through the result collected and investigated from the fuction of museums. As a result, forms and planning matters related to the purpose of lighting in exhibitions are needed to be examined, and a criterion for light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ppropriat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specificity of light sources for the spaces.
대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에 관한 연구 : 사범계열을 중심으로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good instruction in universities and derive from this the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We explor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good instruction in university lectur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iven level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tudent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at C Univer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were analyzed into five dimensions, namely: ‘instructional objectives’, ‘direction of instruction’, ‘instruction method’, ‘lesson management’, and ‘instructor’s attitude and style.’ Findings/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sson management’ such as ‘being fully aware of the lecture contents and teaching systematically’, ‘check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consistency between tests and teaching contents’, and ‘appropriate feedback to students’ were the most important key factors for good instruction in universities. In this study, ‘instructional objectives’ such as ‘why we need to lear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ation from the lecture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of good instruction. However, according to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good instructors in two dimensions, ‘lesson management’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Thu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se two dimensions and the need to improve them is an urgent one that can be addressed through teaching programs for instructors in universities. Value: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Good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수행되는 좋은 수업의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관점을 바탕으로 대학강의에서 나타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특성을 중요도와 실행도 측면에서 탐색하고 차이를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좋은 수업의 특성을 ‘① 수업목표, ② 수업방향, ③ 교수방법, ④ 수업운영, ⑤ 교수자의 태도 및 성향’ 등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수가 자기 강의를 잘 숙지해서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강의’,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점검하면서 진행하는 강의’, ‘평가와 강의내용이 일치하는 강의’, ‘교수의 피드백이 적절히 제공되는 강의’ 등과 같은 ‘수업운영’이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인이라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또한 ‘왜 이걸 배워야 하는지 깨닫게 하는 강의’, ‘지적인 자극과 영감을 줄 수 있는 강의’ 등과 같은 ‘수업목표’가 좋은 수업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그러나 IPA 분석결과, 상기 두 영역의 중요도-실행도 간의 차이가 모든 영역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앞으로 각 대학에서는 ‘수업운영’과 ‘수업목표’와 관련된 특성을 시급히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 ·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수용의도 탐색: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태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정한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敎育問題硏究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적으로 활용되는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그리고 태도(attitude)를 ChatGPT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Intention to continuous use)를 예측하는 변수로 추출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 있는 267명의 학습자로 구성되었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 중 하나인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ChatGPT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자들의 ChatGPT 지속 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수용모형의 핵심 변수인 지각된 용이성이 ChatGPT의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가 일상에서 ChatGPT를 사용한 경험이 교육적인 활용에서의 지속 사용의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의 성별은 '지각된 용이성, 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종속 변수인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대학교육에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 explored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which is utilized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is research, variables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were extracted as predictors of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were examined.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67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impact of key TAM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n learners'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ChatGPT.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learners' continuous use intention. Secondly, perceived ease of use, a core TAM variable, was found to have limited direct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ChatGPT; however, it had an indirect impac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Thirdly, learners' experiences of using ChatGPT in their daily liv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ir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it for educational purposes. However, learners' gender was not found to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dependent variable ‘continuous use inten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result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use of ChatGPT in hig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