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영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two prominen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form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means that almost sam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every year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also means the level of contribution at national development is almost same.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Meanwhile, if we take a look the debates surrounding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s is going on the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nd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 students is going on th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Now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 on college basis, it causes lots of debates over centrally ‘The Effect of school’ - ‘Is junior college effectiv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it causes lots of discussions over centrally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 ‘Do junior college students succeed?’Therefore,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totally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o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tatus of junior college through the fea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Second, I partitively suggest conditions on main issue related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with junior college basis and student basis. Finally,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 basis, I suggest condition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nd then indicated problems on debates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 체제는 크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등교육 체제에서 전문대학이 양성하는 인력이 4년제 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은 4년제 대학에만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전문대학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쟁이 있었는지 살펴보면, 먼저 전문대학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생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펼쳐졌다. 여기서 ‘전문대학 효과’는 대학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은 효과가 있는가’ 즉 ‘학교의 효과(effect)’에 대한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고, ‘전문대학생의 성공’은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생은 성공하고 있는가’ 즉 ‘학생의 성공(success)’을 중심으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문대학 효과’ 논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와 4년제 대학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지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문대학 효과’ 또는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의에서, 의견을 전혀 달리하고 있는,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한국의 고등교육 현황과 전문대학의 위상을 한국 고등교육의 특징과 전문대학의 비중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교육 효과 관련 주요 쟁점을 대학 차원과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대학 차원은 ‘전문대학 효과’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학생 차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들을 제시한 후 이러한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취업준비과정의 의미

        신현정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or college student's lived experience in preparation process for a job. For understanding those, it was necessary to see from college student's perspective as well as to reveal those phenomena. The results were as below. The contexts of college student's preparation process for a job were about 'job education process that has experienced as not real host but pretend host', 'getting a job process has transformed into outcome prioritism', 'real practice process that has desired, but be blocked'. The meaning on those was to exit of 'self-exclusion' for 'better lives' in the 'field of test·experiment'. The discovery was founded. First, 'better lives' for them was to live well based on earning lots of money. That was related to their social clas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notion' and 'reality', that was identified as ' existential situation' especially represented as 'time gap'. Third, program related to getting a jog provided college has included participation as well as non-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verlapping between exit of 'self-exclusion' and 'self-exclusion' was founded from this phenomena, that has meaned as 'intention', hoping to giving interests on themselves.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취업준비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해를 위해서는 전문대학생이 취업을 위해 어떤 일을 겪는지 이들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 필요했다. 전문대학생의 에믹한 관점을 통해 현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취업준비과정의 맥락은 ‘주인인 듯 주인이 아닌 직업교육과정’, ‘성과주의로 환원된 취업준비과정’, ‘욕망하되, 차단된 실습과정’으로 나타났다. 맥락을 바탕으로 알게 된 전문대학생 취업준비과정의 의미는 ‘보다 나은 삶’ 추구를 위한 ‘실험·시험무대’에서의 ‘자기소외 탈피’ 과정이었다. 본 연구를 통한 발견은 첫째, 전문대학생의 취업목적은 ‘보다 나은 삶’ 추구였다. 여기서 ‘보다 나은 삶’은 상당 부분 돈과 관련되어 있었기에 전문대학생에게 ‘보다 나은 삶’이란, ‘경제적 안정’, 즉 “돈을 많이 벌어” 과거보다 경제적으로 풍족한 삶을 사는 것이었다. 둘째, ‘관념’과 ‘현실’ 간 ‘시간 차’가 존재했다. 취업관련 프로그램이 개설되기를 바라면서도 실제 참여하지 않는 현상 속에는 ‘관념’과 ‘현실’ 사이에 ‘시간 차’로 대표되는, 학생들의 ‘실존적 상황’ 고투가 있었다. 셋째, 취업관련 프로그램에 참여, 비참여하는 학생들 모두 ‘자발적’, ‘비자발적’ 측면을 포함했고 ‘자기소외’와 ‘자기소외 탈피’의 중첩된 모습이 있었다. 전문대학의 취업준비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자기소외 탈피’를 지향했는데 무엇보다, ‘자신을 향한’ 개별화된 관심을 요청했다. 현상학적 접근인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체험한 취업준비과정의 의미를 통해 본질을 찾는 ’자유변경(free variation)’의 한 과정이기에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간호재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관 비교연구

        이향련 ( H Y Lee ),김윤희 ( Y H Kim ),강현숙 ( H S Kim ),이지아 ( J Lee ),( Fan X ),( Ling M ),YuanQ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정한 5개의 영역인 비판적 사고력,전문직관, 지도력,의사소통능력, 간호수행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과 전문직관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간호학 생의 교육성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유학생의 기준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미래 간호인력 활용에 있어 서도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였다.본 연구결과 한국의 간호교육과정이 주로 3년제와 4년제로 구분되어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의 경우 4년 제와 5년제로 구분되었고 입학자격이 일반적으로 중 학교 졸업 이상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의 간호대학은5년제 과정이었으며 교과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나 전문직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한국의 간호대학의 경우 2학년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 고와 간호,가 전공 선택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관련 교과목의 선수경험을 조사한 결과 비판적 사고가 전문직관보다 양국기간에 더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국기간의 비판적 사고성향 비교에서 한국은 97. 06점 (l35점 만점) 이었고, 중국은 88. 61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以286, p<.001).이는 한국학생들의 43. 3% 가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8. 7% 안이 관련과목을 수강하였다고 보고하였음을 감안할 때 국가 간의 차이보다는 교육의 효과가 좀 더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한국 측 대학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목이 2학년의 선택 과목으로 개설되고 있었다. 선행연구인 Yoon (2004) 의 95. 55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한국학생 대상자 군의 점 수가 더 높았다. 한편, Yoon (2004) 의 연구에서는 대상 자들의 비판적 사고관련 과목의 선수경험여부를 보고 하지 않았지만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고라는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상태이며 l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5. 09과 974로 235의 차이가 있는 반면 한국의 경 우 1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4. 10점과 103. 22정으로 좀 더 큰 점수차이인 9.12점 이였음을 고려할 때 비판 적 사고를 주제로 한 교과과목의 수강경험이 비판적 사고성향 함양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급 속히 변화하는 임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본 연구의 한국측 간호대학에서는 학 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에 관심을 갖게 되어 ‘비판적 사고와 간호· 라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실제로 임상현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없이 이루 어지는 간호행위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 서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 혹은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켜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을 접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성향을 기르도록 하여 임상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또 하나의 교육성과 측정영역인 전문직관을 분석한 결과 한국학생은 65. 44점 (95점 만점) 이었고 중국학생 은 72. 14점으로 중국학생이 한국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논 - 4. 876, P<, o이). 이는 Kim등신999) 의 연구에서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현직 간 호사를 위한 2년의 편입과정 (RN- BㄴN)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입학 시 점수인 91. 2叩33점 만점)을 95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인 입학시 65. 14점보다 높았고 졸업 시 점수인 70. 83보다는 한국학생은 낮은 점수를 중국학생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 구에서 저학년학생들과 고학년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한국 의 경우 l학년은 61. % 점이었고 4학년은 70. 17점으로 4학년이 l학년보다 821점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과 함께 병용된 체계화된 임상실습경험이 학부생인 l학 년과 4학년의 점수차이에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인 다. 중국의 경우에서도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1학년에 서 4학년까지의 점수 범위가 67. 10점에서 71. 50점인 반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5학년의 경우 77.7점로 4학 년보다 α 27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전문직관과 관련된 선수과목의 경험여부는 점수에 별로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즉, 관련과목 경험학생들의 전문직관이 70. 03점이었고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은 68. 2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 1. 033, p=272). 본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양 대학에 전문직 관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과목이 없었고, 간호전문직 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간호수행과 관련 된 전문성, 직업윤리 및 감정이입의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간호수행을 실습하는 현장실습인 임상실습 의 경험여부가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Jeong (2007) 의 연구에서도 임상에서 간호전문직관에 따라 간호수행능력이 달라지므로 간호전문직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 교육 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성과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해 일차적으로 중국 의 간호교육 환경을 중국의 간호역사와 함께 이해하며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 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5개 영역 중 먼저 2개 영역을 평가하며 중국과 한국학생들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지속적인 연구교류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여전히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오는 상대방을 이 해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대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현지 연구팀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시도한 공동연구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연구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were a part of five domain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ursing practice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college nursing students: 104 students from the 4-year degree program in Korea and 103 from the 5-year degree program in China from September 2006 to September 2007. The instruments for Chinese students were translated in Chinese and re-translated to check accur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Win 12.0 Version. The x2-test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Korean nursing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ritical thinking than did Chinese students while Chinese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Students took previous courses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did those without previous courses tak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professionalism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related courses or not. Rather tha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reported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than did those without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Levels of critical thinking were influenced by course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while professionalism was improved by combination of associated courses and clinical practice. For follow-up study, there is needed to examine nursing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강대중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assessment literacy statu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the purpose of proposing future plans for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study, 218 seniors currently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t G city took the assessment literacy test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cy perception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result differed from previous study which showed that male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taken courses on educational assessment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ve not taken such cours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higher confidence level in educational assessment showed higher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Fourth, a comparison between the assessment literacy standards set by the KICE test and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generally lower, and that their level were lowest in the domain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ditional implementation of an curriculum with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ssessment literacy of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를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교육대학교 4학년 218명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요 배경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학생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남학생 예비교사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기존의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둘째, 교육대학교 교육평가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예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자신감이높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상의전문성 기준선과 비교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은 모든 영역에서 낮았으며, 특히 평가 도구의 개발영역의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의 양성 과정에서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계획및 운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지영(Kim Ji Young),김우리(Kim Woo Ri),손윤실(Son Yun Sil),김정섭(Kim Jung 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Academic Stress Sca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ale, and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th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삶과 앎, 그 체험적 구성: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신현정 ( Hyun Jung Sh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1

        전문대학생에 대한 이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그간 이루어졌던 다수의 취업관련 전문대학 연구와 달리, 나는 생생한 학생들 삶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전문대학에서 학생들은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이들의 체험적 구성에 대해 알고 싶었다. 외부적 시각에 의해 재단된 전문대학생의 모습이 아닌, 내부적 관점에 의해 드러난 전문대학생의 삶과 앎이 궁금했다. 그래서 나는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했다. 우선, 학교생활을 ‘수업’과 ‘수업 외’의 두 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문대학의 공간 배치와 시간표 배정, 지도교수 확정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생활 모습을 기술하였다. ‘수업’에서는 강의, 학점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는 교수자-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이 드러났다. 전문대학 수업의 독특한 역동이 나타났다. ‘수업 외’에서도 교우관계를 비롯한 학교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 모습이 나타났다. 학교생활에서의 체험적 맥락을 중심으로, 나는 전문대학생이 구성해가는 삶과 앎의 체험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이것을 신체, 시간, 공간, 관계의 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문대학생의 신체는 ‘나선형적 탈피 과정’을 겪으면서 성장해갔다. 그리고 시간은 ‘압축과 표층 사이’에서 다양한 변이와 탈주를 통해 중층적, 관계적 측면을 공유했다. ‘모호한 경계 속 인간화된 배치’라는 공간적 특성 속에서 전문대학생의 ‘극단으로 집중된’ 관계의 독특함도 볼 수 있었다. 발견에 따른 이해, 이해에 따른 숙고, 숙고에 따른 행위가 이어졌으면 좋겠다.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 tried to listen to the lived stories of college students, unlik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any job searching papers that had been done in the past. I wondered what they had lived and learned in their college lives. I wanted to know the real lives of college students―not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but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Therefore, I planned to look into the real lives of college students, which I classified into ‘within the class’ and ‘beyond the class’. I described the situations of college students related to fixed space placement, curriculum timetable, and their main professor at school. Between within the class and beyond the class, I discovered that the various interactions among students-students and professor-students. Based on the experiential context of college lives, I thought about the experiential meaning that students had made up. I looked into the situation using the frame of lived body, lived time, lived space, lived relationship. As a result, they had revealed and developed through the ‘spiral process of peeling the old body’, between compression and surface’, ‘humanized layout in ambiguous boundary’, and ‘concentrated relationship in the extreme``.

      • KCI등재후보

        2년제 사립대학 신입생의 초기 학교 탈락 연구 ―4년제 대학 편입학 계획을 갖고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김수연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ersistence and withdrawal rates of two-year private college freshmen with transfer plan to four-year colleges in Korea and explored which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student attrition. In 1998 and 1999, the final study after a pilot study in 1996 was undertaken in 17 schools, with a cohort of 1,587 students. This study involved questionnaires with the same questions. Among them, the withdrawer with transfer plan totalled 51 students and the persisters with transfer plan were 373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1) gender and the level of mother's occupation ar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in two-year private college freshmen with transfer plan; (2) 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mother holding the upper level of occupation are more prevalent characteristics of non-persisters; (3) two institutional in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sistence-interaction with faculty, academic integration into college; (4) there was a greater tendency to persist among female students, which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more interaction with faculty; (5) academic integration into the institution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or both females and males; and (6) male students preparing to enter a four-year college seem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variables which college cannot control, it is assumed; this is not so for female transfer.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학 계획을 갖고 있는 2년제 사립대학 신입생의 학교 유지와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1996년 예비조사를 통하여 연구 변인 및 질문지 내용을 수정한 이후, 1998년과 1999년에 걸쳐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단계 유층 표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7개 2년제 사립대학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587명이다. 이 가운데 편입학 계획을 갖고 있는 학생은 모두 424명으로, 51명은 중도탈락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373명은 학교에 계속 다닐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 편입학 계획을 갖고 있는 2년제 대학 신입생의 특징은 성(性)과 어머니의 직업을 통해 예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곧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인 학생일수록 편입학 계획을 갖고 있으며 학교를 그만두려는 특징을 나타냈다. 이 학생들의 학교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변수는 교수와의 상호작용과 대학에의 학문적 통합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수와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그리고 대학에 학문적으로 통합하지 못할수록 중도탈락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다. 교수와 만남을 많이 가졌던 학생들이 오히려 중도탈락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이 연구가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년제 대학의 특성상 중도탈락을 생각하는 학생들이 교수를 찾아가 많은 상담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년제 대학 신입생의 학교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변수를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에의 학문적 통합은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여학생에게만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곧 인간관계지향적인 여학생이 학교 유지 또는 탈락의 결정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이나 대학 내에서 사회적 활동보다는 교수의 영향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년제 대학이 학생 유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대학 행정가들이 학생관리 및 학사운영을 할 때 학생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정책을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분석을 통한 학생진로의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K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재빈,이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K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학업지속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학생진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중 어느 환경 요인이 중도포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업중단 원인을 타 학교 이동학생과 대학교육을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동기결여, 대인예민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학생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기초학습, 전공학습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학습, 대학이미지, 대인예민성이 학업중단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student career by analyzing the predictors of dropout focusing on K college students. This is to support students' continuing education in career couns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upport. Therefore,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cause students to decide whether to stop studying, and the difference in factors of university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any of the students decided to dropout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260 students who decided to stop studying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7. The reasons for dropout were divided into the students who moved to other schools and those who gave up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idd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der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lack of motiv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Second, according to the grade,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student support. Third,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due to the suspension of schooling were basic learning and major learning. Fourth, major learning, college imag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group. In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follow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 1) Domains of the construct establishment; 2) Instrument items develop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4) Norm development. The construct model was revised with the Delphi technique.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four domains, i.e., the educational support,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First, Three sub-domains were identified in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1) curriculum, 2) teaching, and 3) professor. Second,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career program and career counselling and 2) employment program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ird,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academic administration and 2) staff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of the department. Forth, the physical environmen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 1)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2) the college campus environmen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the field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480 junior college students. After conducting the item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a set of 45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A total of 23,520 ju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test of the instru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Cronbach’s alpha value for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the career & employment support domain,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domain and the entire instrument was above 0.9 an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stablished.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consisted 9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4 domain and 9 sub-domain structure of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phase 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규준 개발의 네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인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도구를 가지고, 전문대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용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전문대학생 21,53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계수가 0.9이상으로 나타나 도구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는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의 네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육과정, 수업, 교수,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9가지 하위영역이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적절히 측정해 낼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 현장에서 필요한 대학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경영전략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장애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 및 영향 요인-경기도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정소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Key competencies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rther, it also investigates basic influence factors on the key competencies. 132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Key competencies dealt in the study utilized the Key Competency evaluation items suggested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online-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maj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key competencies. For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ecessity for key competencies was in the order of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The factors influencing key competencies included the types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which may limit its nature of generalization of the study for the whole public. Still, the study carries a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key competencies, which is often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community college, using types of disabilities. Further, that the study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focused on the currently attending students with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y also carries import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become the basis for core development program operation or curriculum refor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전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전문대학 장애학생 132명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을 활용하였고, 장애학생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전문대학생의 성, 장애정도, 전공계열은 직업기초능력 필요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학생 순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도를 높게 나타냈다.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전문대학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직업기초능력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고, 대학에 많이 재학하고 있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장애학생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실행,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가 대학에서 장애학생의 직무수행능력 강화 프로그램 운영이나 교육과정 개편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