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관의 재난대비인식, 재난대비역량 및 재난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이영란(Lee Yeong Ran),강현임(Kang Hyu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disaster preparedness percepti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and disaster educational needs in firefighting officers and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 report questionnaires from convenience sample of 280 fire-fighting officers from January 5 to January 30, 2017.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factorial analysis, controlle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score was 3.43, the mean disaster perception score was 3.63 and the mean disaster educational needs score was 4.11.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periods of working, experience of disaster education in workplace and experience of disaster education in other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accounted for 43% of the variance by disaster perception and grade. In order to improve the preparedness of a fire-fighting officers, one must first consider ways to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simulation training programs that include the specialized expertise and technical content of the disaster, and the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vulnerabilities. 본 연구는 소방관의 재난대비인식, 재난대비역량과 재난교육요구 수준을 파악하고 재난대비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소방관 280명을 편의 표집하여 2017년 1월 5일부터 1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요인분석 및 통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난대비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63점, 재난대비역량은 3.43점, 재난교육요구는 4.11점으로 나타났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많을수록, 근무지 및 외부재난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가 재난대비역량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재난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재난대비인식과 계급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3%였다. 소방관의 재난대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난대비인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재난 특유의 전문지식과 기술내용을 포함하고 지역사회 특성과 취약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재난안전교육 컨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정희수,송창근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1

        최근 국내 자연 및 사회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싱크홀 등 새로운 재난과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이 결합된 대규모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난상황에 대한 인식과 기능적 대처과정을 숙지해야 하므로 재난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54개 전문 재난안전 교육기관을 통해 재난안전 종사자를 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표준재난안전교육과정의 부재로 기관별로 다른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관별 교육내용이 중복되고, 재난안전체험시설도 부족하다. 이는 재난안전요원이 실제 재난현장 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교육 분야와 달리 재난안전 교육 콘텐츠 분야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간의 연계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국내 재난안전교육기관 및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된 재난안전 표준 교육과정 수립, 가상현실 기술 및 인포테인먼드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교육 체험 콘텐츠 제작 및 보급, 모바일 AI 튜터링 서비스 개발 등의 국내 재난안전교육 콘텐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Korea are increasing, and new disasters such as COVID 19 and sinkholes, and large-scale disasters that combine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In order to reduce damage caused by disasters and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the importance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s emerging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disaster situations and the functional response process. Ministry of Public Interior and Security is providing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rs through 54 special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There is also a lack of experience facilities. This has a problem in that it makes it difficult for disaster safety personnel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actual disaster sites. Also, unlike other education fields, the connection between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focusing on natural disaste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ir content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domestic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a unified disaster safety standard curriculu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infotainment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mobile AI tutoring service.

      • KCI등재

        재난관리체제에서 민관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李時慶,崔振烈 한국의정연구회 2012 의정논총 Vol.7 No.1

        이 글에서는 재난관리에서 바람직한 민관군 협력 체제를 구성하기 위한 부문별 역할을 분석하고, 이들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재난관리에서 민관군이 각각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면, 기관 간 협력적 네트워크의 구성을 용이해진다.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군 간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민간부문은 스스로 재난관리의 주체라 인식하고 국가의 재난업무 수행에 협조하고, 자기 시설의 재난발생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재난관리의 핵심기관으로서의 공공부문은 군 및 민간단체와 상호 협력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법률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군은 재난관리의 지원기관이지만, 특별한 재난이 발생한 경우 핵심기관이 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병력과 장비 위주의 지원에서 정보와 시설 분야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we presents policy improvement of disaster management to analyze the role of among civilian-government-military network system. If the civilian-government-military groups performed their own roles desirably 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e collaborative network easy and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increas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mutual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are required. Civilian sector has to recognize their mission for cooperation with government and should to reduce the disaster of self-owned facilities. As the core agency of disaster management, government organization have to revise laws and institutions to cooperate with civilian and military organizations. Military sector is support agency of disaster management, but is to be a key institution at a special case.

      • KCI등재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자원동원 현황 및 문제점 고찰

        김연수,장대원,이상권,김승우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4

        When a disaster event occurs, early preventive measures, through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are highly crucial for minimizing the areas affected by disaster. The resulting damage can become widespread in cases where there is a lack of resources or the early reaction is delayed due to difficulties in mobilizing resources in a timely manner. However, because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sources and stockpiles, and disaster events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occurrences and types of damage, gaining possession of and effectively utilizing the resources is a difficult task. To build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resources and support, analyzing the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used during previous disaster events is necessary. However, research analyzing disaster management and the related problem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data regarding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at occurred over the course of 20 years (1996-2015) is collected and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historical and yearly record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related books, and annual reports. The resour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human power, equipment, and suppliesand lack of resources, capability, usage, and response time were noted as problem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The current study results are significant for improving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and addressing the related problems. Future studies can use the current study results to derive further findings. 재난 발생 시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확보 및 지원을 통한 초기재난 확산방지는 매우 중요하나, 보유한 자원이 부족하거나적시에 자원 동원이 어려워 초기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요구 비축량이 많으며, 재난유형별로 발생특성이 다양하고 피해유형도 상이하기 때문에 모든 재난유형에 대한 자원을 보유하고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효율적인 재난자원의 관리 및 응원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재난발생에 따른 자원의 운영 및응원사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재난대응 시 자원의 동원현황 및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1996년~2015년)동안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재해연보및 재난연감, 관련 백서 및 보고서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재난유형별 자원동원 현황을 인력, 장비, 자재로 세분화하였으며, 자원동원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원 부족, 자원 능력, 자원 활용, 대응시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국내에서발생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에 대하여 재난유형별로 자원동원 사례와 문제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크며, 향후 관련연구에서 본 결과가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대형재난 상황 발생 시 소방공무원들의 현장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아름 한국자치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자치경찰논총 Vol.1 No.1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성장을 해 왔으며, 이러한 성장을 통해 오늘날 현대 사회는 농·어업 중심의 사회에서 산업혁명 이후 고도의 산업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고층화된 건물과 기술융합의 시대인 제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으로 대형화재 재난의 발생뿐만 아니라 세월호 여객선 침몰사건과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사건 및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건, 평택물류창고 화재사건, 강원도 대형 산불사건, 이천 물류창고 화재사건, 청주 에코프로비엠 공장 대형화재사건 등으로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켜 화재재난 발생 시 현장대응체계의 문제점 등 국가적으로 커다란 쟁점이 발생했다. 재난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재산적 피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에 피해를 주기에 예고 없이 발생하게 되는 재난이어도 재난관리에 있어서 사전대비와 예방 단계에서 부터 재난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효율적인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대형재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현장대응 체계의 수립과 활용, 국가 단위의 동원 등 통합적인 협력과 정부 관련 부서와 지방자치단체와 민관군 그리고 의료기관과 각종 공사 및 청사 등 지원기관의 공동대응을 통해 대형재난이 발생하였 을 때 피해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복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논문과 보도기사, 지침, 법령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ea has grown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and today's modern society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licated and high-rise buildings and technology convergenc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Even if disasters not only threaten the lives of the people but also cause damage to the state due to physical and property damage, efficient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re accurately known from the preliminary preparation and prevention stage.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such major disasters, Korea is making great efforts to reduce and restore damag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integrated cooperation such as rapid and efficient on-site response system, mobil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joint response from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ch as related papers, press articles, guidelines, and law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efficiently respond to disasters that come without notice.

      • KCI등재

        한국의 재난발생추세에 대한 분석 :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김창윤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7 경찰학논총 Vol.2 No.2

        재난추세의 변화 및 지역적 차이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지역주민의 안전을 보다 더 확보하기 위한 시도이면서 국가의 재난방지정책에 대한 평가와 미래의 재난예방정책을 위한 기초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지역적 접근에 대한 관심부족, 재난지표에 대한 구성문제, 분석방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재난현상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10년간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재난사고의 발생추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또한 울산지역 재난방지분야의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방방재청의 평가기준을 준용하였으며, 기존의 통계를 응용하여 소방관 1인당 재난발생건수, 인구 1,000명당 재난발생건수 등과 같은 시도를 통해서 보다 쉽게 재난발생추이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재난 유토피아와 증언-하기의 윤리 - 2020년대 SF(Science Fiction)에 나타난 ‘기후/생태 재난’을 중심으로 -

        황지영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8 No.-

        In this paper, recent novels featuring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re analyzed and the nature of the ‘disaster utopia’ created in the ruins is considered. In addition, members of the disaster utopia will review ‘testimony-making’ as an ethical attitude toward the ruined climate and ecosystem. In recent novels,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re reproduced as both a description of the reality currently underway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 catastrophe for the future to come. And in this world, when human sustainable life is in question due to climate and ecological disasters, a dome city is built to protect only selected people. People in the dome who are guaranteed survival and people outside the dome who are driven to death conspire to protect the dome. However,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 utopia outside the dome try to end the hostile coexistence by tearing down the dome that promotes discrimination and disgust. They hope everyone faces this problem with equality in the face of disaster. When the age of disaster arrives, many values used in the previous era change. Among them, what stands out in the novels is the fact that the reciprocity of the gift form is transformed into an exchange method. People who are guaranteed a minimum life through exchange practice actions to end disasters. And disasters are talked about in various ways such as diary, report, lecture, and oral retelling. And later, when someone investigating a disaster appears, this story is completed as the testimony of an era. As such, the disaster testimony in the novels show that humans faced with mass extinction did not give up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in the midst of shame, misery and despair, and struggl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ethics not only for the present human race but also for future generations. 본고에서는 기후/생태 재난이 등장하는 2020년대 SF(Science Fiction)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폐허 속에서 만들어지는 ‘재난 유토피아’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재난 유토피아의 구성원들이 망가진 기후와 생태계를 대면하면서 선택한 윤리적 태도로서의 ‘증언-하기’를 검토할 것이다. 2020년대에 발표된 SF들 속에서 기후/생태 재난은 세계의 각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묘사인 동시에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파국적인 예시(豫示)로서 재현된다. 그리고 이 세계 속에서는 기후/생태재난으로인해인간의지속가능한삶이의문에부쳐지자, 선별된사람들만을 보호하기 위한 돔시티가 건설된다. 생존을 보장받은 돔 안의 사람들뿐 아니라 죽음으로 내몰린 돔 밖의 사람들 역시 돔을 지키기 위해공모한다. 하지만 돔 밖에서 재난 유토피아를 경험한 소수의 사람들은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돔을 허물어 적대적 공존 상태를 마감하고, 재난 앞에서 모두가 평등한 상태로 이 문제와 직면하길 바란다. 기후/생태 재난의 시대가 도래하면 이전 시대에 통용되던 많은 가치가 변화하는데, 그중 소설들 속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증여 형식의 호혜가 교환 방식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교환을 통해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은 사람들은 재난을 끝내기 위한 행위를 실천하고, 일기・보고서・강연・구술 등 재난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훗날 재난의 비밀을 경청하려는 누군가가 나타나면 이 이야기는 한 시대의 증언으로서 완성된다. 이처럼 기후/생태 재난을 다루는 소설 속에서 재난 증언-하기는 대멸종 앞에 선 인간들이 자괴와 수치, 비참과 절망 속에서도 연대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현 인류뿐 아니라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과 윤리를 다하기 위해 분투했음을 보여주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어린이 재난안전 교육실태와 발전방안: 초등학생 재난안전교육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이주호,양기근,김경진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어린이 대상 재난안전 교육실태 및 교육내용에 대한 학습인지 수준을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어린이 대상 재난안전 교육정책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외 재난안전교육을 함께 받은 실험집단과 대비하여 학교내에서만 재난안전교육을 받은 통제집단의 재난안전 교육경험이 전반적으로 낮은 가운데, 안전사고교육에 대비하여 재난교육 횟수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고,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흥미도에 대비하여 재난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인지 수준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린이 재난안전교육을 지원체제 정비 및 재설계 측면에서 학교 내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재난안전교육 현장 차이를 고려하여 재난안전교육 콘텐츠 차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학교 내 재난안전교육이 담임선생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초등교사의 재난안전교육 전문성 강화 필요성 및 전문가 양성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재난관리에 있어 경찰역할에 관한 연구

        조호대 한국공안행정학회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0 No.-

        현재 재난은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에서는 1990년대 중반이후 재난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아 오고 있을 만큼 재난은 생활의 안전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 중에서 그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국민들에게 재난의 발생은 더 이상 새롭거나 놀라운 사건으로 인식되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재난은 국가의 관리노력에 의하여 예방되어질 수 있거나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재난의 피해규모가 크고 광범위할수록 국민이 느끼는 좌절과 공포는 과거에 비해 더욱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국민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높은 안전을 보장받기 위하여 경찰의 적극적인 활동이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경찰은 좁은 의미의 소극적인 위험방지를 위한 명령·강제나 범인의 체포·수사와 같은 법집행적인 임무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서비스 활동을 통해 국민에게 봉사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재난이 발생하기 이전에 재난발생의 가능성을 줄이고 그 정도를 완화 시키며, 재난이 발생한 이후에는 신속한 대응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현재 경찰의 역할 중 재난관련 전담부서와 경찰의 재난관련 방범활동, 재난관련 교육훈련과 장비의 확보, 재난발생시 현장중심의 경찰역할을 중심으로 경찰활동을 강화하는 것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ways and means needs to improve the polic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Our country is suffering natural disaster by sudden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and weather surrounding, and danger of disaster that is social danger factor by after this economy development plan and large size anger of equipment construction by propulsion of industrialization policy, population congestion anger and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is ever-present. When a disaster happens, it dose so in local jurisdiction. Police agency should develop and maintain a program of disaster management to meet their responsibilities to provide the protection and safe of the public. The disaster administration must convert and minimize damage by disaster to police disaster system for preliminary provision in past rehabilitation balance. This research improve for the specialzation of police disaster management and reduces possibility of disaster occurrence and attemper the degree before disaster happens, and there is the purpose to grope that solidify police activity laying stress on present police's disaster connection complete charge countersignature and prevention of crimes activity of role, collection of disaster information, disaster education and training, disaster education program, security of equipment, police role of disaster place to do to minimize damage through quick confrontation that disaster happens after.

      • KCI등재

        한국 재난영화 속 불평등과 생태학적 치유

        진은경,박세준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난영화를 젠더와 생태학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부산행>, <터널>, <판도라>와 <엑시트>, <반도>, <싱크홀>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난영화 위험(파국)의 관점에서 재난약자의 불평등을 사회·문화적으로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재난영화의 젠더 변모 양상을 분석하며 재난영화에 나타나는 치유의 관점을 젠더와 생태주의를 중심으로 의미를 탐구했다. 이 연구의 내용은 근대의 '위험사회' 속에서 불특정 다수가 재난에 평등하게 노출하지만, 실상은 불평등하게 피해를 보는 재난 약자들은 영화나 현실이나 같다는 점이다. 성인, 남성, 대기업, 원청회사, 대단지 아파트 주민이 청소년, 여성, 편의점, 하청회사, 철도 옆 빌라 주민에 비해 재난에 대응하는 데 유리했다. 이처럼 2016년을 기점으로 젠더의 관점에서 불평등이 줄어들었다. 이전 영화에서는 재난 약자들을 구하는 것은 대부분 “가부장”들이지만 이후 영화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위치에서 재난에 맞선다. 재난 이후 치유도 달라졌다. 돌봄과 연대의 윤리를 통해 자신과 가족 나아가 미래의 다른 이들까지 책임진다. 이 연구의 결론은 재난을 경험하는 것은 평등하지만 예방, 복구에 있어서는 불평등하다. 그럼에도 극복과 치유에 있어서는 돌봄과 연대의 윤리를 통해 평등함을 지향해야 한다. 부정적 세계화 속 불평등과 '위험사회'에 대한 성찰을 통한 치유는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평등하게 맞닿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