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험이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동시대의 경험경제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기억에 남는 브 랜드경험을 제공하고자 장소성을 매개로한 커뮤니케이션 전 략들이 증가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 험이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장소성의 매 개역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 후 선정기 준에 따라 장소성을 매개로 하는 브랜드경험의 4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설문문항과 함께 실험자극물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신뢰도분석, 기 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 립변수인 브랜드경험과 종속변수인 만족도와 충성도의 영향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브랜드경험이 만족도 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행동, 감각, 감성, 인지경험 순 으로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통해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행 동경험이 강화되어 브랜드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는 라이프스타일 일부를 창조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브 랜드경험과 만족도 사이에 장소성의 매개효과 검정결과, 감 각/인지/행동경험에서 장소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인 지, 행동경험이 큰 매개역할을 하며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장소의 사회 문화적 맥락인 장소성을 브랜드와 함께 제 시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창조적으로 몰두하고 지적인 자극을 제공함으로서 만족도에 호의적인 태도를 구축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장소성은 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특 정 장소에 대한 개인적인 또는 공유된 공통점이므로 이러한 장소성이 매개되면 브랜드경험이 촉발되어 만족도와 충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기업 들이 장소성의 매개역할을 활용하여 브랜딩을 한다면 기억에 남는 브랜드경험을 제시하리라 예상된다. Based on the increasing number of communication strat egies using placeness to provide memorable brand experi ences to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 der the impact of brand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 ween brands and consumers and the role of placeness as mediation. Four cases of brand experience with placeanes s were selected and experimental stimuli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Online surveys were condu cted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 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between brand experience, and satisfactio n and loyal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s in the order of behavior, sensory, affective, and intellectual expe rience, which can be seen as strengthening the behavior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nsumers experiencing the brand, ultimately creating part of their lifestyle. Since pla ceness is based on human experience, it has been confir med that the mediation of such placeness triggers the bra nd experience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 n and loyal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mpanie s will present memorable brand experiences to consu mers if they brand using the role of a medium of place ness.

      • KCI등재

        글로벌 브랜드의 ‘장소 공간 브랜딩’ 개념에 대한 연구

        윤주현,장동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2

        오늘날 글로벌 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브랜드 경험을 관계적 수준에 이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글로벌 브랜드의 소통에 해당 지역의 사회문화적 측면인 장소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경험의 구성요소와 진화의 방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면서 번 슈미트가 언급한 관계적 마케팅을 장소성으로 해석하고, 장소 개념에 대한 이론을 접목하였다. 이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를 위한 ‘장소 공간 브랜딩’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세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나아가, 글로벌 브랜드 매장의 디자인을 사례 분석하여 각 사례의 장소성 적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가장 장소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유형은 장소 관련 요소를 반영한 서비스나 활동을 계획하거나, 지역의 산업 시스템과 연계되어 장소의 유무형 자산을 활용하고 기여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장소 공간 브랜딩을 실시하기 위한 디자인 방법이 포함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장소 공간 브랜딩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은 글로벌 브랜드를 자신의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만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지역화된 리테일 디자인을 위해 실질적 방법을 제시하며, 소비자에게 의미와 가치를 찾도록 하는 관계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Today, global brands are trying to provide consumers with diverse brand experiences, but in order to reach the relational level of brand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stakeholders including consumers. This means that it is critical to reflect the socio-cultural aspect, the placeness to the communication of global brand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rand experience and its evolution were investigated, and reinterpreted to the relational marketing as ‘placeness’ and applied place theory.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authors propose ‘Place Space Branding' concept for global brand retail stores, and classified it into three types. In addition, the design application of global brands’ retail store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types of ‘Place Space Branding’. The most progressive type reflected the placeness in the services or activities or utilized the assets of the place while integrating it to the local industry and society.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that includes a design method for ‘Place Space Branding’. Based on this concept and framework, customers are able to experience global brand within their socio - cultural context.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practical methods for localization of retail design for global brands, and enables customers to reach the relational brand experience with their own meaningful context.

      • KCI등재

        감정의 전이: 관계 감정이 장소와 브랜드점포 감정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Ji Hye Park),오창환(Chang Hwan Oh) 한국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연구 Vol.25 No.4

        장소는 인간의 활동 무대로써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다. 사회적 관계 속에서 관계 감정이 만들어지며 관계에 대한 의미가 부여되는 곳이기도 한다(Johnston, Gregory, and Smith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인 관계가 형성되는 장소를 중심으로 대인관계 속의 감정이 장소에 대한 감정으로, 이어 장소에 위치한 브랜드 매장에 대한 감정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소에 대한 감정의 깊이가 깊어지는 경우 장소에 대한 감정이 장소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이어 브랜드 점포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관계 감정의 장소 감정, 점포 감정으로의 전이(affect transfer)는 일화 흔적 이론(episodic trace theory), 고전적조건화이론(classical conditioning theory), 감정전이가설(affect transfer hypothesis), 감정일치가설(affect congruence hypothesis)로 설명될 수 있다. 연구 결과, 대인 관계 감정은 관계가 형성된 장소의 감정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형성된 장소 감정은 브랜드점포의 감정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 장소 감정은 대인 관계 감정과 브랜드 점포 감정 간의 관계에서의 매개역할이 증명되었으며, 반복적인 대인 관계 감정으로 형성된 장소 감정은 그 관계 감정이 소거되더라도 지속되었다. 장소 감정은 장소 애착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더 나아가 장소 애착은 그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브랜드 점포 애착 형성과 브랜드 태도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형성을 위해서는 브랜드애착 형성뿐만 아니라 브랜드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 및 그 장소에서의 대인 관계 감정 또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과, 일정 기간 이상의 지속적인 반복을 통해 형성된 감정은 그 관계가 소거되어도 지속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감정전이의 기존 연구를 확장시켰다는데 연구의의를 갖는다. 또한 기업과 브랜드 관리자의 측면에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브랜드점포의 거점지역 선정 및 일방적인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넘어, 브랜드점포 내·외부에서 소비자 간의 만남과 관계형성을 통한 긍정적인 감정 형성을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Affect developed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transfer to the place where the interpersonal meeting is frequently made. When past experiences are recalled, individuals also draw feeling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s and connected to the place. The emotional reminiscence can influence the affect of the retail store located in the place and ultimately, influence attitude toward the brand. When the interpersonal meetings are frequently held in the place, individuals may develop emotional and symbolic meanings to the pl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ffect transfer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place to the retail store. In addition, affect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nsfer to the place and the retail store attachment was examined. Episodic trace theory, classical conditional theory, affect transfer hypothesis, affect congruence hypothesis were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 A total of 190 individuals responded to this study. Based on Ahn and Seo (200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ive major public places with well-known retail stores including Geodano at Gangnam Station, KFC at COEX, Lotte Department Store at Euljiro, Migliore at Myeong-dong, and Geodano at Euljiro 2Ga.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172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pondents were first asked to recall the maj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ed in the place and write the story or episode about the selected relationship in details. Next, respondents responded to questions including relations affect (Larsen and Diener, 1992), place affect (Larsen and Diener, 1992), retail store affect (Larsen and Diener, 1992), place attachment (Thomson, Maclnnis, and Park, 2005), retail store attachment (Thompson et al., 2005), and brand attitude (Mitchell and Olson, 1981). The mean age of respondents (N=172) was about 25 years with a wide range of 24 to 32. Almost equal number of males (46%) and females(54%) participated. Analysis of the causal model was conducted by a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procedure using AMOS 4.0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To assess model fit, a chi-square statistic, goodness-of-fit index (GFI), adjust goodness-of-fit index (AGFI), normed fit index (NFI), relative fit index (RFI)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were used. Results of relations affect-place affect transfer model testing revealed χ2 = .917 (df = 2; χ2/df=.459), GFI = .997, NFI= .999, CFI= 1.000, RMSEA = .000. The fit statistics suggest a reasonably good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Among five hypotheses in the model, four hypotheses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 affect and place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ffect and retail store affect, and relationship between retail store affect and brand attitude were supported. Place affect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 affect and retail store affect. However the effect of place affect on brand attitude was not found. Results of relations affect-place attachment transfer model testing revealed χ2= 29.839 (df = 2; χ 2/df=7.460), GFI = .888, NFI= .929, CFI= .939, RMSEA = .276. The fit statistics suggest a moderat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Among five hypotheses in the model, four hypotheses except the effect of retail store attachment on brand attitude were supported. Relations affect influenced place affect and in turn influences place attachment. Place attachment also influenced retail store attachment. Both place affect and place attachment influenced brand attitude. The interesting difference from the model 1 and model 2 was observed. In the affect transfer model, the effect of place affect on brand attitude was not found, whereas the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attachment transfer model. This implies that the direct effect of place affect developed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brand attitude is meaningful when the relationship was sustained longer.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내부 브랜딩 - 내부 마케팅과 리더십을 중심으로 -

        김정희,조성도,김기용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5 마케팅관리연구 Vol.20 No.3

        This study is focusing on non-profit organizations’ internal branding which is a role of employees to provide company’s brand substance with customers. When domestic local governments built and promoted each place brand, we analyzed the process of the mechanism for motivating internal employees to recognize each domestic local government’s brand image and a positive attitude.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at How local governments can motivate and manage internal employees in terms of internal marketing and leadership points during the promotion of their place brands period. The internal marketing variables we analyzed in this research are place brand education and place brand communication and then the govern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middl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considered as variables of leadership. The reason that we choose place brand education and place brand communi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is that the local government has a hierarchical atmosphere and critical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official education and an internal communication system. Also we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self-monito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brand identifica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and place brand attachment. We contacted 308 employees of 5 local governments such as Mokpo city, Jindo, Gangjin, Hampyeong and Muan country.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 can find out meaningful insights. Whereas place brand education enhances place brand perception of employees, place brand communication improves participation behavior for local brands. This result means that the internal communication system and atmosphere are more crucial than official education in terms of encouraging organizational members to act for promoting the local brand. The govern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greatly associated with place brand perception of employees than participation behavior for local brands. The middle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more greatly related to participation behavior for local brands than place brand perception of employee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middle manager could play a more critical role in making internal employees to participating in branding activities than the governor.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the usual intuition. Additionally, self-monitoring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brand identification and place brand attachment and positive brand attachment. Place brand identificat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본 연구는 종업원이 기업의 브랜드 실체를 전달하는 브랜드 대사가 되도록 하는 내재화 활동인 내부 브랜딩에 초점을 맞추고 지방자치단체들이 각 지역의 장소브랜드를 구축하고 촉진할 때 내부 구성원들에게 브랜드를 인식시키고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유도하는 메카니즘과 과정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조직인 지방자치단체들이 장소브랜드 구축 활동을 펼칠 때 조직내 구성원들을 어떻게 동기부여하고 관리해야 할지 내부 마케팅과 리더십 관점에서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내부 마케팅 요인은 장소브랜드 교육훈련, 장소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고 리더십 변수는 단체장 변혁적 리더십, 중간관리자 변혁적 리더십이다. 이와 같은 변수들은 조직내 수직적 체계가 분명하여 교육훈련과 공식적, 비공식적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직 분위기가 형성되는 지방자치단체의 특성과 장소브랜드 구축 활동에서 지방자치단체장 리더십의 중요성 때문에 고려되었다. 또한 기존 내부 마케팅 연구에 근거하여 중간관리자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도 분석하여 지자체 단체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과 비교하였다. 내부 브랜딩 과정을 설명하는 변수로는 장소브랜드 참여행동, 장소브랜드 종업원 인식, 장소브랜드 동일시가 제시되었으며 결과 변수로는 장소브랜드 애착과 긍정적 구전의도가 포함되었다. 그리고 자기감시성의 조절변수 역할을 실증 분석하였다. 5개 시, 군(목포시, 진도군, 함평군, 강진군, 무안군)의 브랜드 업무 관련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보면 장소브랜드 교육훈련과 장소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장소브랜드 참여행동과 장소브랜드 종업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소브랜드 종업원 인식에는 장소브랜드 교육훈련, 장소브랜드 참여행동에는 장소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종업원의 장소브랜드 참여행동을 동기부여하려면 내부 조직 분위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중간관리자 변혁적 리더십은 지자체 단체장 변혁적 리더십보다 장소브랜드 참여행동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브랜드 참여행동과 장소브랜드 종업원 인식은 장소브랜드 동일시에 영향을 주었으며 긍정적 구전의도와 장소브랜드 애착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자기감시성에 따라 장소브랜드 동일시-긍정적 구전의도, 장소브랜드 동일시-장소브랜드 애착의 관계 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충분한 연구가 거의 없는 내부 브랜딩 연구 영역을 공공조직까지 확대하여 주요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연구 -장소성 활용을 중심으로-

        이윤정 ( Lee Y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4 No.-

        본 연구는 경험 경제의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브랜드경험을 제공하고자 장소성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전략들이 증가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험이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를 진행 한 후 기준에 따라 선정된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험의 5가지 사례와 함께 설문문항을 작성하여 실험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험 중 인지, 행동, 감각, 관계, 감성경험의 순서로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행동, 관계경험은 소비자의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감각, 감성경험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장소성을 활용한 인지경험이 브랜드태도와 충성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소비자가 장소성을 브랜드와 함께 인지하면서 창조적으로 몰두하게 되며 쉽게 바뀌지 않는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행동경험이 소비자 관계에 두 번째로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특정 장소와 함께 브랜드를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행동경험이 형성되어 브랜드와 상호작용을 하며 라이프스타일을 창조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장소성은 인간의 경험을 기초로 하기에 장소성을 브랜드경험과 함께 전략적 요소로 활용한다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효과적이며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업들이 장소성을 고려하여 브랜딩에 활용한다면 소비자들에게 기억에 남는 브랜드경험을 제공하리라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onsumer based on the increasing number of communication strategies using placeness in order to provide brand experience to consumers in the age of experience economy.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study, five examples of brand experience using placeness were selected and the experimental stimuli image was produc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n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mong the brand experience utilizing placeness, it was found that i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attitude of consumers in order of intellectual, behavioral, sensory, relationship, and affective experience, while the intellectual, behavioral, and relationship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loyalty of consumers, it was found that the sensory and affective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It is confirmed that intellectual experience using placeness has the greatest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loyal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creating a favorable attitude that does not change easily. In addition, behavioral experience has the second strongest impact on consumer relationships, which can be seen as interacting placeness with brands and creating some of their lifestyles. Placeness is based on persons experience, so if placeness is utilized as a strategic element along with brand experience, it is effective in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승훈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various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hich are their destinations as attractive brands. In particular, in order to emphasize the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br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intentional for spreading the word of mouth were examined. This study approached the place branding from a social function perspective, and it is also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onsiders place branding as a complex phenomena when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 total of 310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9, was us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E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ce brand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d of mouth. These results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the level of place brand complexity should be manag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provides useful directions in practice to actively engage residents when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place brand policy as part of tourism marketing. 이 연구의 목적은 관광 장소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주민을 잠재적 관광 마케터로 활발히 참여시키는데 유용한 방향과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장소 브랜딩을 사회적 기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에서 시작되었고, 지역주민을 고려할 때 장소 브랜드는 복잡성을 가져야 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이며, 2019년 8월 한 달 동안 수집한 총 310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은 구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소 브랜드의 복잡성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관광 마케팅의 일환으로 장소 브랜드 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주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향을 실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효율적인 장소 브랜드 이미지 강도 측정 방법

        최석재,전종식,비스위스 수브르더,권오병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5 지능정보연구 Vol.21 No.2

        Location branding is a very important income making activity, by giving special meanings to a specific location while producing identity and communal value which are based around the understanding of a place’s location branding concept methodology. Many other areas, such as marketing, architecture, and city construction, exert an influence creating an impressive brand image. A place brand which shows great recognition to both native people of S. Korea and foreigners creates significant economic effects. There has been research on creating a strategically and detailed place brand image, and the representat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by Anholt who surveyed two million people from 50 different countries. However, the investigation, including survey research, required a great deal of effort from the workforce and required significant expense.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make more affordable, objective and effective research metho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image of the brand objective and at a low cost through text mining purposes.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keyword and the factors constructing the location brand image from the related web documents. In this way, we can measure the brand image intensity of the specific lo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Anholt's 50 city image consistency index ranking around the world. Four methods are applied to the test. First, RNADOM method artificially ranks the cities included in the experiment. HUMAN method firstly makes a questionnaire and selects 9 volunteers who are well acquainted with brand management and at the same time cities to evaluate. Then they are requested to rank the cities and compared with the Anholt’s evaluation results. TM method applies the proposed method to evaluate the cities with all evaluation criteria. TM-LEARN, which is the extended method of TM, selects significant evaluation items from the items in every criterion. Then the method evaluates the cities with all selected evaluation criteria. RMSE is used to as a metric to compare the evaluation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suggested by this paper’s methodology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evaluation method that targets ordinary people, this method appeared to be more accurate. Second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urvey method, the time and the cost are much less because in this research we used automated means. Thirdly, this proposed methodology is very timely because it can be evaluated from time to time. Fourthly, compared to Anholt's method which evaluated only for an already specified city, this proposed methodology is applicable to any location. Finally, this proposed methodology has a relatively high objectivity because our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open source data. As a result, our city image evaluation text mining approach has found validity in terms of accuracy, cost-effectiveness, timeliness, scalability, and reliability.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managers with clear guidelines regarding brand management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s public sectors such as local officers,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to formulate strategies and enhance the image of their places in an efficient manner. Rather than conducting heavy questionnaires, the local officers could monitor the current place image very shortly a priori, than may make decisions to go over the formal place image test only if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proposed method are not ordinary no matter what the results indicate opportunity or threat to the place. Moreover, with co-us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extracting meaningful facets of place brand from text, sentiment analysis and more with the proposed method, marketing strategy planners or civil engineering professionals may obtain deeper and more abundant insights for better place rand images. In the future, a prototype system wi... 장소 브랜딩은 특정 장소에 대한 의미 부여를 통해 장소성의 정체성 및 공동가치를 생성하며 가치 창출을 하는데 중요한 활동이며, 장소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파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마케팅, 건축학, 도시건설학 등 여러 분야에서는 인상적인 장소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를 포함한 대면조사 방법은 대부분 주관적인 작업이며 측정에 많은 인력 또는 고도의 전문 인력이 소요되어 고비용을 발생시키므로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비용효과적인 브랜드 이미지 조사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장소 브랜드의 이미지 강도를 객관적이고 저비용으로 얻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장소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과 그 키워드들을 관련 웹문서에서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를 통해 특정 장소의 브랜드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성능은 안홀트 방법에서 평가에 사용하는 전세계 50개 도시 이미지 인덱스 순위와의 일치도로 검증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해 임의로 순위를 매기는 방법, 안홀트의 설문방식대로 일반인이 평가하는 방법, 본 논문의 방법을 사용하되 안홀트의 방법으로 학습한 것으로 유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평가 항목만을 반영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론은 정확성, 비용효율성, 적시성, 확장성, 그리고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보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안홀트 방식에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장소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속성 별로 등장횟수를 계산 한 후에 장소 브랜드에 대한 태도, 연상, 그리고 브랜드 자산과의 인과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부분까지 구현하고 실증적 실험을 할 예정이다.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의 특성 연구

        이경화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Creating Shared Value, which appeared to develop the whole social and environmental area and to enhance enterprises' competitiveness, can offer methodological directions for creating value for both of brands and communities in the place brand imaging that creates common value of place by providing place assets with mean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the features of place brand imaging by focusing on branding strategies for Creating Shared Value. Firstly, relative documents have been studied for analyzing components of place brand imaging, the contents of meaning and the context of relationship were established as the imaging process and previous studies have been analyzed to draw out the features of branding strategies for Creating Shared Value. Secondly, through case studies of place branding focusing on place brand imaging process, the features of place brand imaging were analyzed and its directions were presented for Creating Shared Valu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value property of each case in place brand imaging for Creating Shared Value, it was analyzed that the oriented value properties depended on the oriented positioning direction and the meaning that was added to (positive, negative, or absent) place assets when the identity direction was set.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case factor revealed that social online network and its expansion have been figured out as a relatively important factor in economic value with partnership and community spirit in relative value, space-sensitive experience in creative value and consistence of maintenance in circulative valu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features of branding strateg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lace brand identity to help alienated social environment issue, the implementation of recycling positioning focusing on negative tangible or intangible asset and the creation of community to keep and control the local resident's resilience as the future direction in the place brand imaging for Creating Shared Value. 최근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동시에 사회 및 환경 전반 영역을 함께 발전시키고자 등장한 공유가치창출은, 장소자산의 의미부여를 통해 장소성의 공동가치를 생성하는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에 있어 브랜드와 공동체 모두를 위한 가치창출의 방법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브랜딩 전략을 중심으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일차적으로, 관련 문헌을 통하여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이미지화의 전개 과정으로써 의미의 콘텐츠와 관계의 컨텍스트를 설정하고,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브랜딩 전략 특성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차적으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의 전개 과정을 중심으로 장소 브랜딩의 사례평가를 통해,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의 특성 분석 및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에 있어 사례별 특성은 정체성 방향 설정에 있어 장소자산(긍정, 부정, 부재)의 의미부여와 지향하는 포지셔닝의 방향성에 따라 지향하는 가치 특성이 상이하게 분석되었다. 둘째, 각 사례의 가치별 요인의 평균값 분석 결과, 경제적 가치에 있어서는 사회적 온라인 네트워크와의 확장성이, 관계적 가치에 있어서는 파트너쉽과 공동체성이, 창조적 가치에 있어서는 공감각적 체험성이, 순환적 가치에 있어서는 유지 관리의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주요한 요인 특성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장소 브랜드 이미지화에 있어, 소외된 사회 환경 문제를 도울 수 있는 장소 브랜드 정체성의 설정, 부정적 유무형 자산을 우위로 한 재생 포지셔닝의 수행, 지역민 스스로의 자생력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공동체 형태 수립과 같은 브랜딩 전략 특성을 향후 지향해야할 방향성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다움 상징 요인 분석 -‘한국다움을 찾아서’ 캠페인 이벤트에서 도출된 126만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박상희,장동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The place brand is based on many resources such as the various meanings of a specific place, the culture that contains many identities, the inherent tradition and architecture, and the person who h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s DNA, and forms homogeneity and bond within the place, Outside, it means activities for improving brand image. Although place brand refers to the form of brand asset which is deliberately formed by using the brand management paradigm, the existing brand management paradigm can not be utilized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ymbolic factors that can be shar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Korea. In Chapter 2, we examine the necessity of consumer (or user) participation at the stage of brand development through the concept of place brand and ca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brand paradigm. In Chapter 3, about 1.26 mill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mbolism factor of koreanness through the koreanness keyword. In Chapter 4, we derived the symbolism factor of koreanness through big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make a place brand successful, the unique value of the place should be the center of communication. Second, the inherent value should be the value base that the person belonging to the place and the outsider can sympathize with. Third, Korea's unique storytelling should be planned using the four categories of traditional culture, landmark, industry, and lifestyle derived through factor analysis. 장소브랜드는 특정 장소가 지닌 다양한 의미, 많은 아이덴티티를 내포하고 있는 문화, 고유한 전통과 건축, 장소의 다양한 특성을 DNA로 지닌 사람 등 많은 자원을 바탕으로, 장소 내부에서는 동질성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대외적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활동을 의미한다. 장소브랜드는 브랜드 관리 체계 활용하여 계획적으로 형성한 브랜드 자산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그 특성 상 기존의 브랜드 관리 체계 활용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라는 장소가 가지고 있는, 대내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상징 요인을 찾아보고 새로운 브랜드 관리 체계 개발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브랜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장소브랜드 개념과 사례를 통하여 브랜드 개발 단계에서의 소비자(혹은 사용자) 참여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한국다움을 찾아서’ 캠페인을 통해 도출된 약 126만개의 한국다움 키워드를 통해 한국다움 상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설계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다움 키워드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다움 상징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장소브랜드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그 장소의 고유한 가치가 소통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둘째, 고유한 가치는 그 장소에 소속된 사람과 외부인이 공감할 수 있는 가치 기반이어야 하며, 셋째, 한국다움 상징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전통문화, 랜드마크, 산업, 라이프스타일 4가지 분류를 활용한 대한민국 고유의 스토리텔링이 기획되어야 한다.

      • Placebrand의 역할과 전략적 관리에 대한 개념적 고찰

        김유경,최창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06 東西言路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장소 브랜드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다루었다. 최근 국가와 지역 단위에서 장소를 브랜드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는 도시개발 계획이나 관광 마케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을 뿐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의 종합적인 논의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Anholt의 장소 브랜드 평가 모델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기존의 브랜드 이론 및 장소 마케팅 이론 고찰을 통해 장소 브랜드에 대 한 개념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