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세인지를 통한 거북목자세 교정의자 개발

        이정원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8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0 No.2

        Many people do not realize that they have poor neck posture. Incorrect forward head posture can lead to turtle neck. This aim to development of specific chair to reduce tension and other symptoms of turtle neck posture. This turtle neck syndrome adjusting chair is a chair that supports the hip and shin of a person to help them correct their posture. It is consisted of the shin support that supports the shin in an angle and the hip support that supports one's hip while the shin is supported at an angle, the main frame that has the two of them connected and the fluid seat that is joined at the top of the hip support and reacts accordingly to the shape of the hip. This is a posture correction chair which has the fluid seat that provides unstable hip support so that it can allow a person to realize their posture from the constant stimulation about the posture. When one seats on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their hip and shin are supported at an angle that straitens their back, and as their back is straightened, their shoulders and chest are opened, and the neck is positioned at the middle to help them correct their posture. An unbalanced posture causes discomfort to the person seated at the chair, and the person sitting on the posture correction chair will continuously adjust his/her posture to balance the hips to keep the correct posture. Through this process, the person shall adjust his/her left and right posture, ultimatel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posture correction. A future collective study on the continuous posture correction of people having turtle neck syndrome using this posture correction chair is required. 목적: 본 거북목 교정용 의자는 사람의 엉덩이와 정강이를지지하여 사람의 자세를 교정하는 의자로서, 정강이를 경사상으로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대와 정강이가 정강이 지지대에경사 상으로 지지되었을 때 사람의 엉덩이를 경사 상으로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대와 정강이 지지대와 엉덩이 지지대가각각 결합되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과 엉덩이 지지대 상부에결합되며 엉덩이의 형상에 상응하여 유동적으로 함입되는유동시트를 포함하며, 유동시트에 엉덩이가 균등하게 함입되도록 함으로써 불안정한 엉덩이 지지면을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자세에 대한 자극을 주어 사람이 자세를 인지함에따라 교정되도록 고안된 자세 교정용 의자이다. 결과: 자세 교정용 의자에 사람이 착석하게 되면, 정강이와엉덩이가 경사 상으로 지지되고 이에 따라 허리가 펴지게되는데, 허리의 펴짐에 따라 어깨가 뒤로 젖혀지면서 가슴이펴지고 목이 몸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사람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불균형한 자세는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자세불량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고,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자세 교정용 의자에 착석한 사람은 엉덩이의 균형을 잡기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자세를 교정하여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람의 좌우 방향의자세를 교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세 교정의 효과를 높일수 있게 된다. 결론: 향후, 본 교정용 의자를 사용한 거북목 자세를 가진사람에 있어서 지속적인 자세교정에 대한 집단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자세균형 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및 자세 교정 장치 디자인 개발 연구

        임채란,오승용,권대규,홍정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현대인의 80% 이상이 일생 중 한번이상 허리통증을 경험하고 이들 중 5~15%가 만성질환자로 발전된다. 한국인은 하루에 7.5시간을 앉아서 보내며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는 곧게 서있 는 자세보다 허리의 압박이 증가한다. 이러한 압박을 감소시 킬 수 있는 비대칭성을 교정하는 좌판에 대한 연구나 교정좌 판에 착석 시 나타나는 교정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세교정 장치를 분석하여 운동기구 형태, 쿠션형태, 의자형태로 분류하였고 국내외 유사제품 조사 및 제품 분해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제품의 사용방식, 기능 사 용성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고찰하였다. 신체 사이즈 및 인체 의 근골격계를 고려하여 한국 생활 방식에 맞는 자세교정 장 치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시험 장비의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편향적 자세 불균형을 측정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 으로 각 환자에게 맞는 맞춤형 자세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운 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자세교정의 효과에 어떤 도움이 되 는지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 요소와 개 발사례는 향후 가정용 자세교정 장치 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ver 80% of modern people experience a backache,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and 5 to 15% of them become chronic patients. South Koreans spend 7.5 hours a day, sitting on a chair, and the pressure on the back increases in a sitting position from that in an upright position. There are few studies of a seat board to correct asymmetry, which can reduce this pressure or the effect of sitting on the corrective seat board on posture correction. This study analyzed posture correction devices for home use, classified their types into exercise equipment type, cushion type, and chair type and discussed their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method of use, functions and usability of the domestic products, investigating similar products and conducting a decomposition analysis of the products. Developed the design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suitable for Korean lifestyle, considering body size and musculoskeletal system. Next, measured biased posture imbalance through an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the test equipment, developed an exercise program that would allow posture correction custo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found out how helpful effect it would have on posture correction. It is judged that the drawn design elements and the developed case through this study will b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osture correction devices.

      • KCI등재

        외사위의 프리즘 교정에 따른 자세 안정성의 변화

        황명기,문병연,유동식,조현국,김상엽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외사위의 프리즘 교정 기준에 따른 자세 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9.19±5.88 △의 원거리 외사위를 가진 18명(남자 8명, 여자 10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BTracksTM Assess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프리즘 교정 조건(셔드기준 프리즘 교정조건, 사위 전량 프리즘 교정 조건)에 따른 자세 안정성요소(흔들림 경로길이, 흔들림 타원 영역, 그리고 흔들림 속도)의 변화를 완전교정상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흔들림 경로길이는 완전교정 조건 및 사위의 전량 교정 조건과 비교해 셔드기준 프리즘 교정 조건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흔들림 타원 영역은 완전교정 조건과 비교해 셔드기준 프리즘 처방 조건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다(p<0.05). 흔들림 속도는 완전교정 조건 및 사위 전량 프리즘 교정 조건과 비교해 셔드기준 프리즘 교정 조건에서 평균 흔들림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사위의 프리즘 교정은 시각적 불편함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자세조절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이끄는 광학적 개입이 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postural stability depending on prism correction criteria in patients with exophoria. Methods: A total of 18 subjects (8 males and 10 females) with an average of 9.19 ± 5.88 △ distance exophor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in postural stability factors (sway path length, sway ellipse area, and sway velocity) depending on the prism correction conditions (Sheard’s criterion prism correction; SP and full prism correction for phoria; FP), comparing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for refractive errors (FC) with other conditions of prism corrections using a BTracksTM Assess Balance System, Results: The sway path length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SP compared with both FC and FP (p < 0.05). Additionally, the sway ellipse area exhibited a marked reduction under SP compared with FC (p < 0.05). The sway velocity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SP compared with both FC and FP (p < 0.05). Conclusions: Prism correction for phoria can not only relieve the visual discomfort but also lead to a positive optical intervention that improves postural control abilities.

      • 앉기자세 교정이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동작 수행에 미치는 효과

        송병호,김성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recting sitting posture on the functional movements of upper-extremities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children age from 6 to 12 years old(age mean=9.7, SD=1.9) with cerebral palsy in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correcting the sitting posture using soft belt restraint for the functional movement of upper extremities by the Box and Block Test We compared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sex, age, and types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cting sitting posture was effective on the functional movements of upper-extremities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econd, correcting sitting posture was effective on the functional movements of dominant han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 Third, th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all the functional movements in age group from 6 to 9 years old, but in age group from 10 to 12 years old the result showed the improvement on only dominant hand's functional movement. Fourth, spastic cerebral palsy was effective in the both hands and athetoid cerebral palsy was only effective in the dominant hand. In conclusion, the correcting sitting posture was effective on the functional movements of upper-extremities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efore, the correcting sitting posture using soft restraint belt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올바른 앉기자세 교정이 상지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고, 남녀, 연령층, 장애유형에 따라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뇌성마비아동 15명이었고, 독립보행이 되지 않지만 상지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하고 협조 가능한 아동이었다. 검사 도구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를 사용하였고, 앉기 자세 교정 전, 후의 상지동작을 평가하였다. 우세 손과 비우세 손 각각의 효과가 뇌성마비 아동의 남녀, 연령층, 장애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았다. 수집된 자교를 바탕으로 대웅표본 t-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 검중을 하였다. 이 연구의 걸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올바른 앉기 자세 교정은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동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성별 자세 교정 효과는 우세손에서 있었고, 성별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연령층별 자세 교정 효과는 6세-9세의 연령층에서는 양손에서 있었고, 10세-12세의 연령층에서는 우세 손에 있어서만 효과가 있었다. 넷째, 장애유형별 자세 교정 효과를 보면 경직형은 양손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고 무정위 운동형은 우세손에서만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교육 현장에서 쉽게 간과할 수 있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를 올바르게 잡아주는 것이 상지동작 수행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앉기 자세 교정은 학업 수행 능력을 부여하고 어릴 때부터 조기 중재가 필요함이 나타났다.

      • 자세교정을 위한 스마트 의자커버 “체크 메이트”

        김우림(WooLim Kim),김지연(JiYeoun Kim),장현국(HyunKook Jang),이희연(HeeYoun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30 개 이상의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현대인의 자세교정을 위한 스마트 의자커버를 제작하고 7 가지의 자세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압력센서를 통하여 자세를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자세를 알려주며, 딥 러닝으로 자세 별 일반 값을 규정하여 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를 판단한다. 또한, 받은 데이터의 통계 값을 시각화를 통해 전달하고 잘못된 자세의 비율이 높을 경우 위험성을 인지시키고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통해 자세를 교정하여 사용자의 평소 습관을 확인 및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자세교정을 위한 동작치료

        백순기,김현나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d the basic principles and exercise methods for posture correcting that is grounding of well health. This study analys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over the preceding research datum, books and internet.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correct posture and range of motion of parts of body. Correct posture are the well balanced condition in the muscles and bones at the maximum efficiency, it has the good alignment in the front and side aspect. The appropriate range of motion need to be kept in the head and neck, shoulder, hip joint, knee, and ankle for the correct posture. Second, the first step for posture correcting is training of the sense recognition for correcting the sense error and breathing using diaphragm. In the principle leading phase, opening the back of the head, articulation of the vertebrae and the training of sterno-cleido-mastoid and illiopsoas muscle which is synchronous muscle with SCM are needed. In the grounding phase, training of pelvis, coxa, illopsoas, hamstring, gluteus maximus, a foot and an ankle are needed. In the centering phase, abdominal muscle, transverse abdominis and the vertebrae which is reacting muscle with the transverse abdominis need to be trained and then a levator scapula muscle and trapezius muscle training are needed for shoulder alig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의 지표가 되는 자세교정을 위한 기본원리와 운동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문헌, 인터넷 자료 등을 분석하는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바른 자세를 정의하고, 자세교정을 위한 동작치료 원리를 제시하였다. 첫째, 바른 자세란 근골격계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최고의 에너지 효율을 갖춘 상태로, 전면, 측면의 바른 정렬 가지며, 이를 위해 머리와 목, 어깨, 고관절, 무릎, 발목의 정렬과 정상가동범위가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자세교정을 위한 동작치료는 먼저 신경학적 자극을 위해 몸의 정렬상태와 감각에 대한 감각인식 오류를 위한 인지훈련이 필요하며, 관절과 근육의 수직과 수평상태 유지를 위해 각 부위별로 인체의 수직, 좌우, 전후축의 3축에서 정해진 방향으로 정상범위까지 훈련해야 한다. 자세교정을 위한 동작치료는 리딩, 그라운딩, 센터링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리딩의 원리에서는 후두부의 개방, 경추신전, 흉쇄유돌근과 동조근육인 장요근의 트레이닝이 중요하며, 그라운딩에서는 골반, 고관절, 장요근의 강화와 햄스트링, 대둔근의 훈련이 요구되고, 발과 발목 훈련이 필요하다. 센터링에서는 복근단련, 복횡근과 반응성 근육인 척추기립근 훈련, 어깨정렬을 위한 광배근, 견갑거근, 승모근의 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폼롤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 적용에 따른 자세교정 및 통증감소 효과 분석

        이한용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폼롤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 적용에 따른 자세교정 및 통증감소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신의 자세 불균형과 관련된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요통을 호소하는 남여 대학생 20명에게 12주간 폼폴 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을 적용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자세교정지표로서 체간 길이, 골반 기울기 각도, 골반 비틀림 각도를 측정하였으며, 통증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AS 통증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세교정지 표의 변화에서 체간길이는 적용 전에 비해 폼폴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 적용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골반 기울기 및 골반 비틀림 각도의 변화에서는 적용 전에 비해 폼폴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 적용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5). 또한, 통증정도에서도 적용 전에 비해 폼폴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 적용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이를 통해 폼롤러를 통한 체간 스트레칭의 적용은 자세교정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증감소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posture correction and pain reduction effect of trunk stretching with form roller.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0 university student who had complaining of postural abnormality and back pain composed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retching of the trunk with form roller for 12 weeks and the effects on posture correction index and VAS pai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mong the posture correction index of trunk length, pelvic tilt angle and angle of pelvic tors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VAS of pain. Consequently, Applying of stretching of the trunk with form roller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complaining of postural abnormality and back pain will be effectively appeared to positive change of posture correction and reduction pain level.

      • KCI등재

        거북목 자세를 예방하기 위한 목 건강 경고 알고리즘

        이재은,김종남,최홍석,김영봉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3 No.3

        몇 년 전 코로나가 발병하면서 화상 회의, 전자 문서 작업이 많아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현대인들의 하루 일과 중에서 컴퓨터 작업을 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서 시력 저하, 거북목증후군 환자들이 늘고 있다. 최근까지도 자세 교정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사용자가 장비를 착용하여 자세 교정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와 사람 사이의 최소 거리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교정 센서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때 최소 거리 시 울리는 경고 알람 중 오류 알람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도 함께 제안한다. 이는 초음파 센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몸에 기기를 부착하지 않고도 자세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험 결과에서 거리 측정 시 발생한 잡음을 제거하여 오류 알람을 줄임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소도구를 활용한 자세교정운동이 여성노인의 골밀도, 기능적 체력과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현웅,박희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2-week postural exercise program using small tools on bone density, functional fitness, and body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65 years of age or older. Methods: The s ubject of the s tudy was a s mall tool pos ture correction exercis e program for 12 weeks , 3 times a week, for 60 minutes for a total of 28 people, 14 in the control group and 14 in the experimental group, targeting female elderly people over 65 who were registered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D-gu, Gwangju. and general exercise program, and after 12 weeks, bone density, functional stamina, and body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functional fitness and body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mall tool posture correction exercise program. Specifically, i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upper body strength, dynamic balance, and static balance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female who participated in general exercis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safety factors than in the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d in general exercise in body balance ability.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mall tool posture correction exercise is an exercise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unctional fitness and body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목적: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소도구를 통한 자세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골밀도, 기능적 체력과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G시 D구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에 등록한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통제군 14명, 실험군 14명 총 28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60분간 소도구 자세교정운동 프로그램과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12주 이후 골밀도, 기능적 체력과 신체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소도구 자세교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기능적체력과 신체균형능력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체력에서 저항성 운동에 참여한 여성노인보다 상체근력, 동적 평형성, 정적 평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균형능력에서 저항성 운동에 참여한 여성노인보다안전성 요인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도구 자세교정운동은 여성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신체균형능력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운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운동재활프로그램 적용이 남자 성인의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이봉현(Bong-Hyeon Lee),김성택(Seong-Taek Kim)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0 운동재활·복지 Vol.1 No.1

        이 연구는 불균형적인 신체밸런스를 가진 남자 성인에게 운동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운동재활프로그램 적용으로 자세 교정되는 것을 확인함으써, 자세교정을 위한 운동재활프로그램 개발 및 스포츠 재활 교육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에 있는 30대 남자 직장인으로 신체불균형과 통증이 있으며, 연구목적에 동의한 성인 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자세분석 장비인 Body Style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앞면, 옆면, 뒷면 그리고 다리 분석하였다. 운동재활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주 1∼2회씩, 1회 60분씩 10회로 대상자의 컨디션에 따라 강도와 빈도를 조정하였다. 운동재활 프로그램을 적용 후 첫째, 앞면분석결과 어깨 높이, 골반 높이, 다리길이차이, 좌우밸런스가 개선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옆면분석결과 전방 머리 기울기와 상체 기울기가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고, 골반 전·후 기울기 방향은 전향으로 증가하였으나 정상 등급에 포함되었다. 셋째, 뒷면분석결과 견갑골좌·우 높이와 척추휨이 개선되었다. 넷째, 운동재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부러진 다리와 종골 각도가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운동재활 프로그램이 자세 교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apply an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to salaried employees who have improper body postures and investigate the program’s effect on posture correction and to provide base data that can help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program and educational guidance related to sports and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n individual with body imbalance and pain was selected from salaried employees in their thirties of B company in Gyeongsan, Gyeongbuk Province, and 1 adult who agreed to self-selection was taken as the subject of study. To conduct this study, Body Style, a posture measurement device, was used to perform front analysis (shoulder height, pelvis height, leg length discrepancy, bowed legs, center of pressure), side analysis (forward head posture, upper body tilt, pelvic inclination angle) and back analysis (angulus inferior scapulae, spinal curve, calcaneal angle).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divided into three phases (posture recognition, correction exercise, Foam Roller SMR), was implemented 10 times over 8 weeks, 60 minutes each time. Every week, the intensity and frequency were adjusted gradually. As a result, changes in posture correction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shown that shoulder height, pelvis height, leg length discrepancy, and center of pressure improved on the front of the body. Second, after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shown that forward head posture and upper body tilt improved on the sides of the body. The pelvic inclination angle increased, but it falls under A-3, which is a normal grade. Third, after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shown that angulus inferior scapulae and spinal curve improved on the back of the body. Fourth, after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shown that bowed legs and calcaneal angle improved. In conclusion, the results collectively showed that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salaried workers’ posture cor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