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에 관한 연구

        서영훈 ( Young Hoon Suh ),하미나 ( Mi Na Ha ),박충학 ( Choong Hak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Papanicolaou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결과를 TBS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이상 소견을 보인 세포진검사 결과는 세포학적인 진단을 최종적인 병리조직학적 진단과 비교·분석하여 그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진료는 물론이고 향후 최근의 자궁경부암검사 방법 (New trends of cervical cancer detection)인 ThinPrep Pap Test 및 Computerized Screening Test 시도에 대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만 24개월 간 단국대학교의료원 산부인과 외래 Clinic을 방문한 환자 (OG 군)와 건강진단을 받기 위해 종합건강진단센터와 산업의학과를 방문한 환자 (HC 군) 중에서 Papanicolaou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시행한 10,8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세포진검사 결과와 병리조직학적 진단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연구 대상 총 10,807명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결과를 TBS에 의거하여 분류하였을 때, 검체가 판독하기에 만족스러운 경우가 10,787명 (99.81%)이고, 불만족한 경우가 20명 (0.19%)이었다. 세포학적 진단은 WNL인 경우가 5,501명 (51.00%), BCC 4,911명 (45.53%), ASCUS 168명 (1.56%), LSIL 67명 (0.62%), HSIL 89명 (0.83%), SCC 34명 (0.32%), AGUS 16명 (0.15%), ACC 1명 (0.01%)이었다. ASCUS/SIL 비는 1.08이었다. OG 군에서는 WNL, ASCUS, LSIL, HSIL, SCC가, HC 군에서는 BC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2. 환자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19세 이하가 9명, 20대 1,011명, 30대 3,244명, 40대 3,110명, 50대 2,218명, 60대 1,035명, 70대 148명, 80세 이상 12명으로 평균 연령은 44.03세이고 표준편차는 11.43이었다. 통계학적으로 HC 군이 OG군과 비교하여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많았고, 세포진검사 결과에서는 BCC와 ASCUS에서 HC 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연령이 많았다. 3.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상 결과가 비정상 (ASCUS 또는 AGUS 이상)으로 나온 경우는 375명이었고 연령분포변로는 20대 39명, 30대 106명, 40대 90명, 50대 88명, 60대 37명, 70대 14명, 80세 이상이 1명이었다. 비정상예 중에서 HSIL 이상의 병변이 나온 경우는 124명 (33.07%)이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 (HSIL or worse)을 보였다.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은 OG 군(245명 중 95명, 38.78%)이 HC 군 (130명 중 29명, 22.31%)보다 많았다. 4. TBS에 따른 비정상 세포진검사 결과 375명 중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한 예는 176명 (46.93%)이었으며, 세포학적 진단이 ASCUS인 환자 56명 중 21명 (37.5%)이 L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고, 세포학적 진단이 LSIL/HSIL/SCC인 환자 112명 중에서는 91명 (81.25%)이 L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 (high-grade histologic diagnoses; HSIL, SCC, ASC, AIS, ACC and other CA)을 보인 경우는 ASCUS 56명 중 14명 (25.00%), LSIL 24명 중 6명 (25.00%), HSIL 63명 중 55명 (87.30%), SCC 25명 중 24명 (96.00%), AGUS 7명 중 5명 (71.43%), ACC 1명 중 1명 (100.00%)이었다. 전체적으로는 조직검사를 시행한 176예 중 105명 (59.66%)에서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편평상피세포이상에서는 세포학적 진단이 고등급으로 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이 증가하였다. 세포학적 진단이 AGUS인 환자 7명 중에서는 5명 (71.43%)이 H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베데스다 시스템에 의거한 자궁경부 Papanicolaou 세포진검사의 결과는 문헌상의 다른 연구 보고들과 비슷하였고, 연구대상이 선별검사와 고위험 군 (Screening and high-risk population)인 OG 군과 선별검사 군 (Screening population)인 HC 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HC 군이 OG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전체적인 평균 연령과 BCC가 많았고 BCC/ASCUC 진단에서도 평균 연령이 많았으며, 편평상피세포이상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을 보이고 세포학적 진단이 고등급으로 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고등급의 조직학적 진단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진단율을 높이는 최근의 검사방법인 ThinPrep Pap Test와 Computerized Screening Test 시도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n important basic data which would be useful not only in clinical practice but also in clinical trial of ThinPrep Pap Test and Computerized Screening Test as the new trends of cervical cancer detection, by analyzing the conventional Papanicolaou cervical cytologic test according to The Bethesda System (TBS) and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and histologic diagnose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outpatient clinic (OG group: high risk and screening population ) and in Health Check-up Center/Industrial Medicine clinic (HC group: screening population) at Dankoo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99 to December 31, 2000. Ten thousand and seven hundred eighty seven cases (5,019 cases in OG group and 5,768 cases in HC group) who underwent conventional Papanicolaou cervical cytologic test were analyzed.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or worse]) were compared with histologic diagnoses as a reference standard. Results :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1. Of the 10,807 patients, 20 (0.19%) were diagnosed as unsatisfactory for evaluation. Of 10,787 cases, there were 5,501 (51.00%) cytologic diagnoses of Within Normal Limit (WNL), 4,911 (45.53%) of Benign Cellular Change (BCC), 168 (1.56%) of ASCUS, 67 (0.62%) of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89 (0.83%) of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34 (0.32%) of Squamous Cell Carcinoma (SCC), 16 (0.15%) of Atypical Glandular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GUS) and 1 (0.01%) of Adenocarcinoma (ACC), respectively in conventional Papanicolaou smear series. The ASCUS/SIL ratio was 1.08. Statistically, there were more cytologic diagnoses of WNL, ASCUS, LSIL, HSIL, and SCC in OG group but BCC in HC group. 2. The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ere as follows: 9 cases under 19 years, 1,011 in the 20`s, 3,244 in the 30`s, 3,110 in the 40`s, 2,218 in the 50`s, 1,035 in the 60`s, 148 in the 70`s, and 12 over 80 years. The mean age was 44.03 years. The mean age of H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G group. The mean ages of BCC and ASCUS in H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G group. 3. Of 10,787 cases, there were 375 abnoraml cytologic diagnoses (ASCUS/AGUS or worse): 245 in OG group and 130 in HC group. Statistically, there were more high-grade cytologic diagnoses (HSIL, SCC, and ACC) both in older age and in OG group. 4. Of 375 cases with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176 patients had histologic diagnoses. Of the 56 ASCUS, 21 (37.5%) showed positive histologic LSIL or worse diagnoses. Of the 112 cytologic LSIL or worse cases, 91 (81.25%) showed positive histologic LSIL or worse diagnoses. Of the 7 AGUS, 5 (71.43%) showed HSIL or worse diagnos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ytologic diagnoses and high-grade histologic diagnoses in squamous abnormalities.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한 PapSure 검사에서 Spiral Brush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송언호,김어진,명나혜,박충학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2001년 12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만 7개월 간 단국대학교의료원 산부인과 부인종양 Clinic에서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한 PapSure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SpiraBrush Cx_® 검사를 실시한 33예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진단과 SPiraBrush Cx_®)에 의한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진단 및 최종적인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비교, 분석하여 SpiraBrush Cx_®에 의한 세포진 검사가 생검에 의한 조직검사를 대체할만한 유용성이 있는지 그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21세에서 70세까지였으며 40-49세 군이 42%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평균 연령은 45.7세였다. 2. 환자의 평균 임신횟수는 3.6회였으며, 평균 출산횟수는 2.0회였다. 3. 기존의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y)상 진단이 음성으로 나온 경우가 19예(57.6%)였고, ASC를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14예(42.4%)였다. 자궁경부 형광경진 검사(Speculoscopy)에서는 음성이 13예(39.4%)였고, Suspicious 진단을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20예(60.6%)였다. SpiraBrush Cx®에 의한 세포진 검사(SpiraBrush Cx_® Papanicolaou cytology)에서는 진단이 음성인 경우가 8예(24.2%)였고, ASC를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25예(75.8%)였다. 4. 병리조직학적 검사의 진단은 음성 12예(52.2%), 저등급 편평상피내병변(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이하 LSIL이라 함) 2예(8.7%), 고등급 편평상피내병변(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oin: 이하 HSIL이라 함) 3예(13.0%),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이하 SCC라 함) 6예(26.1%)였다. 5. 검사 결과의 양성판정 기준을 세포진 검사의 경우는 ASC 이상으로 하고 조직학적 검사의 경우는 LSIL이상으로 정할 경우,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63.6%이고 특이도는 66.7%였으며, SpiraBrush Cx_®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90.9%이고 특이도는 33.3%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연구 대상의 숫자가 적어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찾을 수 없으나 SpiraBrush Cx_®가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에서 생검에 의한 자궁경부의 조직학적 진단을 대체하지는 않는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가 63.6%인데 반하여 SpiraBrush Cx_®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90.9%로 훨씬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SpiraBrush Cx_® 세포진 검사의 특이도는 33.3%로 훨씬 낮았는데 이는 매우 흥미있는 사실로서 향후 많은 Data로 더욱 연구하여 진위를 구분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SpiraBrush Cx_® 기구의 강모들이 단단하고 날카로워서 기저막층까지의 조직과 상피층 세포들을 탈락시키면서 많은 출혈을 초래하여 슬라이드 판독에 어려움을 주었고 이는 연구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생각되는 바, 이러한 출혈로 인한 요인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며 향후 SpiraBrush Cx_® 세포를 채취한 후 최신의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법인 ThinPrep Pap Test를 이용하거나 조직표본을 만들기 위한 Cellblock 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new stiff bristled spiral shaped brush (SpiraBrush Cx_(??))∼in) PapSure Test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by comparing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es with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and final histologic diagnose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Gynecologic Oncology Clinic of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Dankoo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I, 2001 to June 30, 2002. Thirty three cases who underwent PapSure Test (Pap cytology t Speculoscopy) were analyzed. SpiraBrush Cx_(??)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and histologic diagnoses as a reference standard. Results :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1. Age distribution was between 21 and 70. The mean age was 45.7 years. 2. The mean gravidity was 3.6 and the mean parity was 2.0. 3. There were 19 (57.6%)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and 14 (42.4%) of Positive including ASC. There were 13 (39.4%) Speculoscopy diagnoses of Negative, and 20 (60.6%) of Positive including Suspicious. There were 8 (24.2%)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and 25 (75.8%) of Positive including ASC. 4. There were 12 (52.2%) his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2 (8.7%) of LSIL, 3 (13.0%) of HSIL, and 6 (26.1%) of SCC,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BS, 2001. 5. For detecting LSIL or worse lesions,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test yielded sensitivity of 63.6% and specificity of 66.7%. On the other hand, SpiraBrush Cx_(??) cytologic test yielded sensitivity of 90.9% and specificity of 33.3%. Conclusion :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is does not seem to have clinical efficacy replacing the histologic diagnosis by punch biopsy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this study. But further studies using ThinPrep Pap Test or Cellblock techniques with large data will be required and anticipated.

      • KCI등재

        자궁경부 비정형 샘세포 세포진을 가진 환자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의 역할

        김은경 ( Eun Kyoung Kim ),이소명 ( So Myoung Lee ),박서연 ( Seo Yeon Park ),박주미 ( Ju Mi Park ),강우대 ( Woo Dae Kang ),김철홍 ( Cheo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종운 ( Jong Woon Kim ),김윤하 ( Yoon Ha Kim ),김석모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자궁경부세포검사에서 검출된 비정형 샘세포의 진단적 의의와 심각한 병변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발견하고, 심각한 병변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비정형 샘세포의 유형 및 조직학적 진단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의 결과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자궁경부 액상 세포진검사에서 비정형 샘세포가 검출되었고, 이 후 조직검사 및 인유두종바이러스 유전자 분류검사 (HPV DNA chip test)를 시행한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사하여 진단당시의 연령, 폐경 상태 등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자궁경부 액상 세포진검사상 비특이적 비정형 샘세포가 60예, 종양성 비정형 샘세포가 28예였다. 비특이적 비정형 샘세포가 검출된 60예 중 정상은 31예,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분화도 1 (CIN1)은 3예, CIN 2는 1예, CIN3는 3예, 침윤성 평편상피암 2예, 침윤성 샘상피암 7예, 자궁내막암 12예, 자궁내막증식증 1예였다. 또한 종양성 비정형 샘세포 28예 중 정상은 6예, CIN1은 1예, CIN3은 2예, 침윤성 편평상피암 1예, 샘상피내암 5예, 침윤성 샘상피암 9예, 자궁내막암 4예 등을 나타내었다.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 결과 정상과 CIN 1에서 6예 (14.6%, 6/41)를 보였고, CIN2와 3에서 5예 (83.4%, 5/6), 침윤성 편평상피암은 2예 (66.7%, 2/3), 샘상피내암은 4예(80%, 4/5), 침윤성 샘상피암은 11예 (69%, 11/16), 자궁내막암에서는 3예 (18.7%, 3/16)에서만 양성을 나타내었고, 자궁내막 증식증 1예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자궁경부에 CIN2 이상의 고등급 병변을 갖는 경우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에 대한 민감도는 73.3%, 특이도는 85.3%, 양성예측도는 78.5%, 음성 예측도는 81.3%의 결과를 얻었다.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된 경우는 모두 35세 이상이었으며, 비정상 자궁출혈을 보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자궁경부 액상 세포진검사에서 비정형 샘세포를 보이는 경우 고등급 병변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특히 샘세포 병변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질확대경검사하의 조준 생검뿐 아니라 자궁목내 소파술 또는 자궁내막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샘세포 병변을 찾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는 고등급 병변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보여주고 있어서 비정형 샘세포를 보인 여성에서 바이러스검사가 양성이지만 조준 생검 등에서 병변이 없을 경우 원추절제술 등 추가검사를 시행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형 샘세포를 보이며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가 음성이고 35세 이상이며 비정상 자궁출혈을 호소하는 경우 반드시 자궁내막조직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diagnostic role of HPV DNA chip test that may predict high grade lesions in gladular cell abnormalities on cervical cytolog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88 patients, who were reported for atypical glandular cells on liquid-based cytologic test and was done subsequent cervical biopsies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7. HPV DNA chip test was performed on residual material of previous liquid-based cytologic test. And it was compared with pathologic results. Results: Of the 88 patients with atypical glandular cells, th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60 patients were reported as atypical glandular cells, not otherwise specified (AGC, NOS), 28 patients were reported as atypical glandular cells, favor neoplastics (AGC, favor neoplastics). Of the 88 patients with an AGC result, pathologic results were as follows: 47 patients (53.4%) had a clinically significant high grade lesions. Of this high grade lesions, 5 cases of high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CIN 2 & CIN 3 (83.4%, 5/6), 2 cases of SCC (66.7%, 2/3), 4 cases of AIS (80.0%, 4/5), and 11 cases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69%, 11/16) were positive on HPV DNA chip test. The sensitivity of human papilloma virus positivity to predict the presence of high grade lesion in cervix was 73.3%, specificity 85.3%, positive predictive value 78.5%,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81.3%. There were 16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Only 3 patients were HPV DNA chip positive. All of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were over 35 years of age and almost have symptoms of abnormal genital bleeding except one. Conclusion: HPV DNA detect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 grade lesions in women with atypical glandular cells on cervical pap sm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re is no high grade lesion in patients with HPV positive AGC-NOS at initial work-up, meticulous search like cone biopsy should be done to find high grade lesion. If the women with a diagnosis of AGC on pap smear are over 35 years of age and has abnormal utero-vaginal bleeding, this patients needed to be evaluated with endometrial biopsy.

      • KCI등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암에서 세포진 검사의 검진 양상 고찰

        이근호(Keun Ho Lee),권용일(Yong Il Kwon),이원철(Won Chul Lee),임현우(Hyun Woo Rhim),신진웅(Jin Woong Shin),박태철(Tae Chul Park),박종섭(Jong Sup Park),남궁성은(Sung Eun NamKo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이상 자궁경부 조직을 보인 우리 나라 여성에서 자궁경부 세포진 검진 양상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41명의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침윤성 자궁암 환자의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655명의 정상 자궁경부 조직을 가진 여성과 비교하였다. 이중 138명을 대상으로 3년 이내의 검사 양상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통계분석에 t-test가 사용되었다. 결과: CIN군과 침윤성암 군에서의 세포진 민감도는 각각 89.2%, 92.7%이였고, 특이도는 96.9%이었다. 138명을 대상으로 한 두 군의 최근 3년간 평균 검사 횟수는 각각 2.42회와 2.17회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시기분포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종 진단으로부터 이전의 마지막 검사 시기차이는 두군에서 각각 12.1개월과 13.7개월로 역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우리 나라에서는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양상이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및 침윤성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세포진 검사는 검진 형태로 지속적으로 매년 시행을 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spects of Pap smear affect cervical abnormality in our country. Methods: We compared the sensitivity of Pap smear of 241 cases of pathologic proven CIN & invasive cancer, compared to that of 655 cases with normal cervical biopsy, and reviewed the history of the test of 138 cases, retrospectively. Results: The sensitivity of the test was 89.6%, 92.7% in CIN & invasive cancer group, respectively, with 96.9% specificity. Among 241 cases, 138 cases were examined for the frequency of test during the 3 years with the result of 2.42, 2.17/3yr in CIN and invasive cancer. And distribution of the test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intervals of last two Pap smear before diagnosing final pathology in CIN and cancer were 12.1, 13.7 months,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in our country the aspects of Pap smear such as frequency and interval do not influence the result of cervical abnormality, so recommend the annual Pap test as a screening.

      • KCI등재

        임신 시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를 보이는 여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순지 ( Soon Ji Jeong ),서성숙 ( Sung Suk Seo ),김정헤 ( Jeong Hye Kim ),옥순애 ( Soon Ae Oak ),문은정 ( Eun Jeong Moon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2

        목적: 본 연구는 임신 시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의 임상적 중요성과 이들의 추적 관찰을 위한 세포진 검사와 질확대경검사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ASCUS 이상의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의 결과로 질확대경 클리닉에 전원되어진 임산부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첫 질확대경검사는 임신 제 1 삼분기 말에 시행되었다. 남은 임신 기간 동안 1~2회 그리고 산후 6~8주에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와 질확대경검사가 반복 시행되었다. 질확대경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이면 질확대경하 조준 생검이 시행되었다. 침윤의 증거가 없다면 임신 중에는 어떠한 침습적 시술도 시행치 않았고 지속적 CIN2 이상의 병변은 산후에 치료되었다. 산후 진단 결과를 최종 산전진단명 및 초기 세포학적 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5년 동안 103명의 임산부가 질확대경검사 클리닉에 의뢰되었다. 산전에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보이지 않았다. 53명의 환자가 산후 확진을 위해 추적 관찰되었고 이중 CIN2이상의 병변을 가지는 17명의 환자가 치료되었다. 2례의 미세침윤성 펀평상피세포암, 1예의 침윤성 샘상피암이 산후에 진단되었다. 처음 세포학적 진단상 ASCUS 소견을 보인 33명군에서는 7례의 CIN2, 3 병변과 3례의 침윤성 암이 진단되었다. 11 LSIL군에서는 1례의 CIN3 병변을 보인 반면 모든 HSIL 환자는 CIN3 병변을 보였다. 임신 중 CIN2, 3로 진단되어진 16명에서는 산후 2례의 미세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이 진단되었다. 결론: 임신 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장 ASCUS 소견을 보인 환자는CIN2, 3 그리고 암으로의 진행 가능성이 30%이다. LSIL은 85%에서 정상소견을 보였고 HSIL군은 100% CIN3였다. 산전 CIN2, 3가 미세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행될 위험성은 12.5% 이나 조준 생검상 침윤 소견이 보이지 않으면 세포학적 검사와 질확대경 검사에 의한 추적 관찰 그리고 보전적인 관리는 합리적인 치료 방법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bnormal cervical cytology in pregnancy and the effectiveness of cytologic and colposcopic surveillance of these wome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pregnant women referred to the colposcopic clinic with abnormal cervical cytologic results above ASCUS between Jan. 2002 and Dec. 2007. The Initial colposcopy was performed at the end of 1st trimester. Cervical cytology and colposcopy were repeated once or twice during remaining period of pregnancy and at postpartum 6~8 weeks. Colposcopy directed cervical biopsies were taken in case of colposcopic abnormalities. Without evidence of invasion, no invasive procedure was attempted during pregnancy. Above CIN2 patients were treated postnatally. The postpartum diagnoses were compared to the worst antepartum impressions and initial cytologies. Results: One hundred three pregnant women were referred to colposcopic clinic for 5 years. There was no invasive cervical cancer antenatally. After delivery, 53 patients were followed up and 17 patients above CIN2 lesions treated. Two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 invasive adenocarcinoma were found postnatally. In 33 initial ASCUS cytologies, there were 7 CIN2,3 lesions and 3 invasive cancers. One CIN3 was found in 13 LSIL cytologies. All 7 HSIL patients had CIN3 lesions. There were 2 microinvasive cancers postnatally in 17 antenatal CIN2,3 patients. Conclusion: ASCUS cervical cytologic results in pregnancy have 30% possibility of CIN2,3 and cancer. LSIL results are normal in 85% and HSIL group 100% CIN3. Even though there is 12.5% risk of microinvasion in antenatal CIN2,3 lesions, noninvasive conservative management is reasonable.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에서 ASCUS와 LSIL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적 의의와 처치

        이광현,전효정,김지현,차문석,제구화,나서희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목적 : The Bethesda System에 따른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에서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YS) 또는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그 빈도 및 재검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이들이 가지는 임상적 의의와 처치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1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을 내원하여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실시한 5752명의 환자 중 ASCYS로 진단된 64명과 LSIL로 진단된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판독은 The Bethesda System(TBS)의 진단기준에 따랐고 이들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ASCYS 35명, LSIL 28명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 조사기간 동안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받았던 5752명중 Within Normal Limit (WNL)로 진단받은 경우는1680명, Benign Cellular Change (BCC) 3828명,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64명,Atypical Glandular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GUS) 6명,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62명,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64명, Squamous Cell Carcinoma (SCC) 48명 등이었으며ASCUS와 LSIL의 비율은 각각 1.1%, ASCUS/SIL ratio는 1.97이었다. ASCUS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35명 중 반복 세포진 검사나 조직학적 검사로 확인 시 다시 ASCUS인 경우는 1예(2.8%), 양성변화의 소견이 25예(71.4%), 이형성증 이상의 소견을 보인 경우는 9예(25.8%)였다.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28명의 LSIL환자의 추가적인 검사에서는 정상소견 15예(53.5%), ASCUS 1예(3.6%), 만성자궁경부염 3예(10.7%), CIN I 예(3.6%), koilocytosis Ifl(3.6%), condyloma 예(3.6%), LSIL 6예(21.4%)로 고등급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에서 TBS 진단기준에 따른 ASCUS시 이형성증 이상의 소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25.8%에 달해 보다 적극적인 추적관찰과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and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Methods : Pathologic reports of 5752 patients who have underwent cervical Pap smear screening were reviewed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2000 to February 2002. Cytologic diagnosis was classified by the TBS. Of these patients, 63 women with ASCUS and LSIL were followed by repeat Pap smear, colposcopy-directed punch biopsy, cone biopsy and hysterectomy. Results : The rate of abnormal cytology was 4.2%, with 1.1% of ASCUS, 0.1% of AGUS, 1.1% of LSIL, 1.1% of HSIL, and 0.8% of SCC. The ratio of ASCUS/SIL was 1.97. Of the 35 patients who had a cervical cytologic diagnosis of ASCUS, 9 patients (25.8%) were above dysplasia, 25 (71.4%) were normal or benign changes, and 1 (2.8%) was ASCUS. The 62 cases had diagnosed LSIL by TBS. Of these patients, 28 cases were follow up with repeat smear and/or cervical biopsy. They showed WNL or BCC in 15 cases (53.5%), chronic cervicitis in 3 (10.7%), ASCUS in 1 (3.6%), CIN I in 1 (3.6%), koilocytic atypia in 1 (3.6%), condyloma in 1 (3.6%), and LSIL in 6 (21.4%). Conclusion : Most of ASCUS or LSIL revealed negative for malignancy, usually conservative management such as repeat Pap smear is desirable. But this study showed that a cytologic diagnosis of ASCUS was associated with SIL and cancer in one fourth. So further active management such as colposcopic directed biopsy is required.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에서 자궁경부암 및 전암병변에 따른 HPV감염 빈도와 양상

        박아미 ( A Mi Park ),고석봉 ( Suk Bong K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목적: 자궁경부세포진검사상 이상 소견이 발견되어 전원된 환자를 대상으로 세포진검사 결과와 HPV DNA chip검사 결과를 대조하여 자궁경부암의 암화 과정 및 환자의 나이에 따른 HPV 아형 분포와 HPV 다중감염의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 병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자궁경부세포진검사와 HPV DNA chip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자궁경부세포검사 결과 ASCUS 이상의 결과를 보인 4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HPV 아형은 ASCUS/LSIL 경우는 HPV 16, 58, 18, 31, 56형/HPV 16, 58, 52, 66, 18형 빈도순으로, HSIL/IC 경우는 HPV 16, 58, 33, 52, 18형/ HPV 16, 58, 33, 52, 53형 빈도순으로 나타났다. HPV 다중감염은 IC가 자궁경부 전암단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P<0.05). 또한 나이와 다중감염과의 관계에서는 25세 미만에서는 전체 30예 중 17예 (56.7%), 25세에서 35세 사이는 전체 101예 중 24예 (23.8%), 35세 이상은 전체 311예 중 66예 (21.2%)로 25세 미만의 환자가 25세에서 35세 및 35세 이상의 환자에 비해 다중감염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결론: 대구경북 지역의 자궁경부세포검사 결과 ASCUS 이상의 비정상 상피세포를 가진 441명의 HPV 아형의 빈도순은 HPV 16, 58형 순으로 모든 자궁경부 암화 과정에서 같았으나 세 번째부터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다중감염은 자궁경부 전암단계 및 25세 미만의 젊은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견되었다. Objective: We analysed subtype of HPV infection in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among women who liv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Methods: We recruited total of 441 women diagnosed with cytologically abnormal cervical samples between Dec. 2004 and Dec. 2006.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HPV subtype and multiple infection according to cervical lesion and age. Results: The most prevalent HPV subtypes in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were HPV 16, 58, 18, 31, 56 in ASCUS, HPV 16, 58, 52, 66, 18 in LSIL, HPV 16, 58, 33, 52, 18 in HSIL, HPV 16, 58, 33, 52, 53 in IC each other. IC was less multiple infection than ASCUS, LSIL, HSIL.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multiple HPV infection and cervical lesion in young women (<25 years). Conclusion: The types of HPV 16, 58, 52, 18 were common in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from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Multiple infections were more common in women under 25 years of age than above age and precancerous lesion.

      • KCI등재

        고도상피내종양과 자궁경부암에서 고식적 세포진 검사와 ThinPrep 세포진 검사의 비교

        이경철,최호선,김혜정,김용식,정광필,박훈,임소이,김석모,남종희,변지수,박창수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자궁경부암의 고등급상피내병변 및 침윤암의 진단에 있어 고식적인 세포진 검사와 ThinPrep 세포진 검사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조기암 클리닉에 내원하여 세포진 검사를 시행한 수진자중에서 조직검사로 확인된 1594명의 고식적인 세포진 검사를 시행한 군과 1339명의 Thin- Prep 세포진 검사 (ThinPrep 2000 system)를 시행한 군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경부암의 고등급 병변과 침윤암의 진단에 있어 고식적인 세포진 검사는 민감도 62.0%, 특이도 96.5%, 양성예측도 87.7%, 음성예측도 86.3%를 보였으며, ThinPrep 세포진 검사는 민감도 85.1%, 특이도 98.3%, 양성예측도 97.4%, 음성예측도 89.7%를 보였다. 자료분석은 McNemar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론 : ThinPrep 세포진 검사는 고식적 세포진 검사에 비해 표본제작시 오류를 줄임으로써 검체의 적정성을 유지하여 세포진 검사의 위음성율을 줄여 세포진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고등급병변 및 침윤암의 진단율을 높이는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한 세포진 검사와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안태규,이경,김동원,한세준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목적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와 HPV DNA (Hybrid capture 1)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12월 1일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1028명의 환자중 질확대경을 통한 조직검사 및 수술을 시행한 후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결과 비교가 가능한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63.0%, 특이도는 88.1%, 양성 예측율은 89.7%, 음성 예 측율은 59.3%이었다. 2. HPV DNA 검사의 민감도는 51.9%, 특이도는 85.3%, 양성 예측율은 85.2%, 음성 예측율은 52.1%이었다. 3. HPV DNA검사와 세포진 검사를 병행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76.9%, 특이도는 76.9%, 위양성률은 23.1%, 위음성률은 23.1%이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로서 형태학적 검사인 세포진 검사와 생물학적 검사인 HPV DNA 검사를 동시에 사용하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여 향후 적절한 선별검진의 간격을 결정하는 등 자궁경부암 조기 진단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icacy of cytology and HPV DNA test (Hybrid capture I) in early diagnosis of cervical canc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28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 1995 to March 31, 1998. And we chose 305 samples who underwent biopsies among taking the cytology and HPV DNA test. All women simultaneously underwent an exo- and endo-cervical smear. Results : 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tology were 63.0% and 88.1%, respectively. 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ytology were 89.7% and 59.3%, respectively. 3.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PV DNA test were 51.9% and 85.3%, respectively. 4.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HPV DNA test were 85.2% and 52.1%, respectively. 5. When HPV DNA test and Papanicloaou smear were combin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6.9% and 76.9%, respectively. However, the specificity of the combined test with HPV DNA test and Papanicloaou smear was lower than Papanicloaou smear alone. Conclusion : The sensitivity of cervical cytology was markedly improved by combination with HPV DNA test. So, the combined test could improve the high false negativity of cervical cytology, if the effectiveness is confirmed by mass screening study.

      • KCI등재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의 민감도 상승에 있어서 Speculoscopy의 효용성에 대한 예비적 비교

        문종필 ( Mun Jong Pil ),최정원 ( Choe Jeong Won ),지일운 ( Ji Il Un ),정은환 ( Jeong Eun Hwan ),김학순 ( Kim Hag S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2

        목적 : 전통적인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는 자궁경부암의 선별검사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위음성율이 높아 새로운 선별검사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의 선별검사로서 전통적인 세포진 검사와 비교하여 speculoscopy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01년 12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세포진 검사와 speculoscopy, 착공생검을 동시에 시행한 41명을 대상으로 조직검 Objective : Since the accuracy of Pap smear for cervical neoplasm has been questioned, a number of adjunctive tests have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peculoscopy, a magnified chemiluminescent examination, as 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