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와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상태

        서수미,한성호,박영진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10

        Background: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mpact of diabetes fear of self-injecting (FSI) and fear of self-testing (FST) on glycemic control and diabetes self-manage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one-on-one interviews with 100 insulin-treated diabetic patients. The questions included subject traits, FSI/FST, and confidence in diabetes self-care (CIDS). Glycemic control was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 of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A1C). Results: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a spouse and were less well educated showed high FSI/FST scores and low CIDS scores. The patients who had taken high quantities of insulin, had diabetes related complications,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ss frequently showed high FSI/FST scores. The patients who had received diabetes education, possessed glucometer and performed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frequently had high CIDS scores. High FSI/FST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negatively related to low CIDS scores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moglobin A1C.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een between CIDS scores and Hemoglobin A1C. Conclusion: High levels of FSI and/or FST were associated with high diabetes-related distress, poor general well-being, and psychologic comorbidity as well as poorer adherence to the diabetes treatment regimen. It is important in diabetes care to lower injection-related fears and improve diabetes self-management through systematic desensitization, relaxation therapy, the use of pen- type injection device, and proper education such as insulin injection amount adjustment, properties of insulin, and the risk of hypoglycemia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과 관련된 공포를 확인하고 이것이 혈당조절 및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당뇨병 환자의 자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인슐린 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특성, 인슐린 자가 주사 및 자가 혈당측정에 대한 공포정도, 당뇨병 관리의 자가 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일대일 면접을 통해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사 관련 공포와 자가 관리 이행 정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배우자가 없는 군, 교육수준이 낮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더 높고 자가 관리 이행도 낮았다. 또 인슐린 용량이 30단위 보다 높은 군, 당뇨병 합병증이 있는 군, 혈당검사 횟수가 적은 군에서 주사 관련 공포가 컸다. 당뇨병 자가 관리는 당뇨병 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혈당 측정기가 있는 군, 혈당검사를 자주 하는 군에서 이행정도가 높았다. 인슐린 자가 주사 할 때의 공포(FSI) 및 자가 혈당측정 할 때 공포(FST)는 서로 관련성이 있어 FSI가 높을수록 FST도 높게 나타났으며 공포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이 잘 되지 않았으나 당화혈색소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반면 당뇨병 자가 관리 이행과 당화혈색소는 관련성이 있어 당뇨병 자가 관리가 잘 될수록 당화 혈색소가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인슐린 주사 치료 중인 당뇨병환자에서, 인슐린 주사 관련 공포가 높을수록 자가 관리 이행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주사 관련 공포를 조절하는 것이 자가 관리 이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이를 통해 당뇨병의 경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여성들의 자가진단에 따른 모발 및 두피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송정빈(Jeong Bin Song),김진숙(Jin So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17 뷰티산업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모발·두피관리의 자가진단을 통하여 모발·두피에 대한 관리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연구로 모발 및 두피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홈케어 조언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모발 및 두피관리 자가진단을 알아본다. 셋째, 모발 및 두피관리의 자가진단구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자가진단에 따른 관리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모발 및 두피관리 자가진단은 두피가 나쁜 상태의 경우보다 건강한 상태의 경우가 더 높았다. 모발 및 두피의 자가진단에 따른 행동관리특성 차이에서는 두피 및 모발관리를 위해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10분 이내가 가장 많았으며 두피, 모발관리 비용으로 지출되는 금액으로 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모발 및 두피의 자가진단에 따른 제품관리특성 차이에서는 두피. 모발관리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제품의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중화되는 두피모발관리 분야에 대한 관심의 초점이 자가진단에서 비롯됨을 인식하고 자가진단에 따른 관리태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마련되어야 할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필요한 것을 보이며, 여성을 포함한 남성 또는 남성과 여성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길 바란다. 제언으로는 미용실이나 자가 샴푸시 사용제품에 대한 성분 분석, 사용법 등이 좀더 자세히 폭넓게 이루어져야하며 이에 대한 지식또한 쉽게 접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는 제품회사와 소비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두피나 모발에 대한 교육프로그램도 좀 더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hair and scalp through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suggested direction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f home care advice, The study was expected to show the direction of hair and scalp management and serve as a base for home care advic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were carried out. First, we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self-diagnosis is examined. Thir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elf diagnosis classification are examined. Fourth, we examine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elf-diagnosi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omen in Seoul area were selected for empirical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air and scalp management self-diagnosis was higher in the healthy condition than in the bad condition of the scalp.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hair and scalp according to the self diagnosis is that the time for investing in scalp and hair care is less than 10 minutes per day, and the amount spent on hair and hair care costs was less than 50,000 won. The difference in product management characteristics due to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choosing a scalp and hair care produc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etary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self diagnosis of hair and scalp, foods that try to eat as often as possible, include bean curd and soybean products, vegetables, meat, fish, dairy products, nuts, eggs, and seafood. Also use hair products, dyeing, and ferm for home care due to self-diagnosis, should use products such as treatment packs to be beautiful in appearance, However, since they are also made of chemical products, they are not the only ingredien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scalp. Therefore, avoid using a large amount of product, care about proper use and cleanliness including scalp massag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백영호,고정림,천은석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교사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를 위해 B·U시에 있는 13개 고등학교 총 1,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한 84명을 제외한 1,726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들의 성, 계열, BMI에 따른 자가건겅관리행태를 비교하였다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Vol. 46, No. 2, (2007) 성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남·여학생 모두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남학생 2시간·여학생 1시간으로 남·여학생 모두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 간식횟수는 매일 먹는다, 간식선호도는 비스켓, 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 체형인지정도는 약간 살찐 체형,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TV시청시간, 아침식사여부, 선호음료, 체형인지정도,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제 등의 복용여부에서는 남학생이 더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컴퓨터 사용시간, 간식선호도, 인스턴트섭취횟수, 선호음식, 음주횟수,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학생이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나타냈다.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1시간,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로 간식횟수는 저체중·정상체중은 매일 먹는다·과체중은 주 1~2회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간식선호도는 비스켓·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 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로 체형인지정도는 저체중은 마른체형으로 정상·과체중은 약간 살찐 체형으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정상은 저체중·과체중보다 간식선호도에서 과체중은 정상·저제중보다 아침식사여부, 간식횟수, 선호음식, 체형인지도에서 자가건강관리행태가 좋았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계열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MI는 정상체중이 저체중과 과체중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높이고,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청소년 자가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청소년기에 맞는 보다 일반화된 검사를 할 수 있는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설문지 개발과 자가건강관리의 능동적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For the study on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and physical self- 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took a census at 1,810 students of 13 high-schools at area of U and P. This study took a Chi-square to compare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of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n perform one-way ANOVA to compar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Verifications on those was executed by Dunca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below. At both boy and girl students: average sleeping time -6 hours,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aking a breakfast everyday, how often they eat snack foods -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cognition on body type - a little fat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reason why they do ex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 boys (2 hours) / girls (1 hour).Boy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girl students in watching TV time, yes or no of eating breakfast, the preferred beverage, cognition on the body typ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Girl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boy students in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the preference of snack foods,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the affection of smokingㆍdrinking alcohol on studying. At all under, normal, over-weight students: the average sleeping time - 6 hours, the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average time in using a computer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 -Taking a breakfast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reason why they do exer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 low & normal - everyday / over - 1~2 times. The normal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low or over-weight in the preferences of snack-foods. the over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the normal or low-weight in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cognition on body type. On gender,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boy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girl students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On BMI,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normal weight are higher than low & over weight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se results show us that we have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s-self that enhance upright types of self-care status and fix the wrong living and eating habits. And these results also show us that we have to prepare the types of self-care status which can be generally tested for juveniles and the development of census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active practice plan on self-care status.

      • KCI등재

        도시와 농촌지역 당뇨노인의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김여원,장수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7 No.-

        Diabetes Mellitus is a chronic disease affecting on elderly diabetic patients’ quality of life. Elderly diabetic patients have many difficulti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because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And also it is predic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self-management of elderly diabetes are different due to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e explored the variables affecting on the self-management of the elderly diabetic patient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omparison with elderly diabetic patients between two groups, family support and knowledge on diabe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elderly diabetics rather than urban elderly diabetic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The factors on affecting elderly diabetic patient's self-management in urban were sex, smoking, exercise, diet, family support and knowledge on diabetes. In rural, only family support was the significant factor. Based on the results fou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for elderly diabetic patients are recommended. 당뇨병은 약물, 식이, 운동 등 일상생활전반에서 지속적인 자가관리가 필수적인 만성 질환이다. 하지만 노인 당뇨병 환자는 노년기 발달단계의 특성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으로 당뇨병 자가관리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지리적, 의료적, 문화적 환경이 상이한 도시와 농촌 지역 간 자가관리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시와 농촌 당뇨노인의 자기관리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가족지지 및 당뇨지식의 수준은 상이하였다. 또한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도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시대에 급증하고 있는 만성질환 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개입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건강포인트제도가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오대규 ( Dae Kyu Oh ),이혜숙 ( Hea Sook Lee ),임준 ( Jun Yim ),정원 ( Won Cheong ),윤미경 ( Mee Kyung You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8 No.1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으로 인천광역시 만성질환 관리시스템(iCDMS)에 등록된 환자 중 1,000명을 대상으로 건강포인트제도와 건강관련 생활습관 행태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만성질환관리사업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여 인천광역시 만성질환관리 수준 향상과 인천시민의 건강향상에 기여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실시되었다. 포인트 적립률을 보면 교육포인트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는 상설교육장의 부족 등 접근성 문제로 교육포인트 적립이 쉽지 않고, 등록포인트를 부과하더라도 최초 등록 후 포인트 사용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포인트 지급 기준을 변경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개별교육을 받은 경우도 교육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함이 바람직하다고 본다.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포인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업이 필수검사포인트 적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업주부나 무직의 경우에 필수검사포인트 적립률이 높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시간적인 여유가 많아 자가관리를 잘 하면서 스스로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높아 필수검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자궁암 검진군의 주부가 미검진군에 비해 높았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한 (Park & Kim, 1997) 결과를 보였다. 반면 농축수산업에 종사하는 대상자들의 포인트 적립률이 제일 낮았는데, 이의 원인을 파악하여 포인트 적립과 사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필수검사포인트 적립과 누적량이 많을수록 운동, 식이조절 및 절주 등의 생활습관 실천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검사 측정빈도가 많을수록 더 자주 질환에 대한 인지를 하게 되면서 자기관리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하겠다. 비교적 장기간 동안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참여율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본 연구의 참여 상태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고혈압 환자에게 적용한 자가관리 프로그램 실시 후 운동습관의 변화가 나타나 운동실천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는 Kim (2003)의 연구와 당뇨병 자가관리를 위해 운동, 식사요법을 주로 이용하였다는 연구(Ahn, Bae, Youn, & Kim, 2011) 등이 필수검사포인트가 있으면서 누적량이 많을수록 운동실천을 많이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식이조절 실천에서는 Cappuccio, Plange-Rhule, Phillips와 Eastwood(2000)의 영양교육 전후에 염분섭취량이 감소하였고, 교육의 효과가 균형 있는 식사의 중요성 즉 식사의 질을 위주로 식행동이 개선되었다는 보고(Lee et al., 2008; Park, Yang, & Kim, 2011)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Choi (2007)는 건강행위 변화의 기저요인으로서 질환의 인지와 음주행위와의 관련성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고, 고혈압·당뇨의 인지와 치료는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음주 빈도를 낮추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에서 약 1/2 수준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필수검사포인트가 있고 누적량이 많을수록 절주실천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대상자들의 의료기관 방문포인트와 사용포인트가 다른 포인트에 비해 월등히 많은 점을 고려해 볼 때 질환에 대한 인지와 치료율이 비교적 높을 것이라고 보여져 음주습관이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금연실천과 건강포인트 적립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Konrady, Brodskaya, Soboleva와 Polunicheva (2001)의 구조화된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흡연습관에 변화가 없었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미 기존 연구들에서 여러 차례 밝혀졌듯이 흡연과 음주행태는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Choi, 2007), 질병 상태의 인지에 따른 행태 변화가 흡연보다 음주에서 더욱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예상케 하는 것으로, 현재와 같은 금연위주의 정책은 향후 절주 및 금주관련 보건교육을 강화하는 쪽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and Social Affairs, 2006). 교육, 방문, 사용포인트 유무 및 누적량은 생활실천 항목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필수검사포인트와 달리 행위의 결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노력이 많이 요구되므로, 실천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인트 누적량에 따른 생활습관 개선의향을 살펴보면, 운동, 영양과 비만관리, 절주 및 금주관리, 금연지도 서비스를 받고 싶은 의향이라는 건강태도에 유의한 변수는 교육과 방문포인트 누적량이었다. 이는 보건교육을 통한 정확한 건강지식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여 개개인이 건강관리 능력을 갖추게 되면, 건강위험행동을 감소시키는 등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제력을 갖게 됨으로써 건강한 생활습관으로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Meeks, Heit, & Page, 2003). 그러나 개인의 건강행위가 건강습관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부적 요인 외에 지식과 환경적 지원이 필요하며, 개인의 행동변화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지원을 받도록 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소이다(Choi, 2008). 따라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려면 사회적인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가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율적 동기가 동기를 스스로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Deci & Ryan, 2000), 자가관리행위 실천을 위해 만성질환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면 적극적인 자가관리행위 실천을 촉진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사회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민관협력모형의 만성질환 관리사업을 수행하고, 의료기관과 환자의 자발적 동기에 의해 등록이 이루어지는 건강포인트제도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 생활습관 실천에는 필수검사포인트가, 생활습관 개선 의향에는 교육포인트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수로 나타났으며, 건강포인트 서비스의 활용이 만성질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만성질환자가 자가관리행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율적 동기를 강화시키고, 자가관리행위의 촉진과 유지를 위하여 대상자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며 이를 위하여 의료진의 환자에 대한 자율성 지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Seo & Choi, 2011). 추후 연구에서는 환자의 자율적 동기를 촉진시키는 의료진을 포함한 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행위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health point system on the lifestyle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listed in iCDMS, a project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enter for Chronic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1,000 persons among the patients listed in iCDMS from March 16, 2009 to December 21, 2010 by telepho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odds ratio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the accumulation of the points of necessary medical examinations they have, the better the lifestyle the participants practice moderation in drinking, exercise, and diet (p<.05). Also the higher the percentage e accumulative points of education and visit, the stronger the intention to improve the lifestyle such as for example, receiving the guidance of no smoking, giving up drinking, or being conscious of nutrition and obesity (p<.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ation through an incentive system can increase self-care make an effect on the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KCI등재

        노인 당뇨환자의 당뇨 자가관리와 관련요인

        김기숙(KiSook Kim),고지운(JiWoon Ko)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4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levels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and find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64 elderly Koreans over 65 years old who visited one general hospital in S city in South Korea for their medical treatment. In the results, there are fe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according with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DSCA). DSC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278, p=.033)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Ls(r=.310, p=.013)and IADLs(r=.415, p=.001).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mplementing self-care activities to the elderly with diabetes based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d functional capacities (ADL and IADL). In addition, the advanced research will be needed for developing tailored nursing education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elderly patients. 본 연구는 노인 당뇨환자의 당뇨 자가 관리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로 진단받고 S시의 일개 종합 전문 의료기관에 외래진료를 위해 방문한 65세 이상의 노인 당뇨환자 264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당뇨 자가관리 행동 일수는 일반적 당뇨식이일수가 1주일 중 5.5일로 가장 많았고 특수 당뇨치료 식이 일수가 3.3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당뇨 자가관리 행동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뇨 자가관리 행동은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가(r=-.278, p=.033), 일상생활 수행능력(r=.310, p=.013)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41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노인 당뇨환자의 자가관리정도와 관련 요인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가관리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 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변인(우울)과 기능적 역량(ADL, IADL)에 따른 노인 당뇨 자가관리 중재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환자 수준에 맞춘 개별화된 당뇨 자가관리 교육 및 관리도구 개발을 위한 추후 확대 연구의 시행을 제언한다.

      • KCI등재

        탈모요인 자가인식이 건강관리와 두피,모발관리에 미치는 영향

        김관옥(Kwan Ok Kim),김성남(Sung Nam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탈모요인 자가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탈모요인 자가인식 정도가 건강 및 두피·모발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탈모예방 및 올바른 두피·모발 관리 습관을 제안하고 두피·모발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2년제와 4년제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미용관련 학을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2월 28일부터 3월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347부의 자료는 SPSS 16.0을 통해 분석되었다.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탈모요인 자가인식은 두피상태, 스트레스, 식습관, 모발상태, 가족력, 음주·흡연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건강관리 차원은 적극적 건강관리, 소극적 건강관리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두피·모발 관리 차원은 개인관리, 전문관리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탈모요인 자가인식이 건강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습관 요인(β=-0.184)은 적극적 건강관리에 부적영향, 가족력 요인(β=0.169), 두피상태 요인(β=0.106)은 적극적 건강관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요인(β=-0.453), 가족력 요인(β=-0.148), 음주·흡연 요인(β=-0.120)은 소극적 건광관리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모발상태 요인( β=0.099)은 소극적 건광관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요인 자가인식이 두피·모발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습관 요인(β=-0.185)은 개인관리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가족력 요인(β=0.126)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력 요인(β=0.175)은 전문관리 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모발상태 요인(β=-0.114)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리가 두피·모발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 건강관리 요인(β=0.521)과 소극적 건강관리 요인(β=0.234) 모두 개인관리 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건강관리 요인(β=0.473)은 전문관리 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소극적 건강관리 요인(β=-0.135)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탈모요인 인식정도는 건강관리와 두피·모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전문관리를 소홀히 하는 사람과 적극적으로 건강관리를 하지 않는 사람은 탈모예방 및 방지를 위해 더욱 영향섭취에 신경을 쓰고 두피·모발건강을 위한 관리 시간을 더욱 투자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발은 건강의 지표임을 인식하고 아름다운 모발과 건강한 두피를 위해서는 컨디션을 조절하고 편식하는 습관을 줄이는 등 건강에도 많은 신경을 써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self perception levels of hair loss factors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care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s the self perception has on the health and scalp·hair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ways of preventing hair losses and keeping scalp and hair healthy as good daily practices. For the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ebruary 28 through March 14, 2011, with the subjects of beauty care department students at 2-year o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collected data of 347 copies were analyzed with SPSS 16.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elf perception of hair loss factors were viewed by scalp conditions, stress, dietary habits, hair conditions, family history, drinking·smoking, while health management dimensions were divided into active health management and passive health management, and scalp·hair management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managemen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elf perception of hair loss factors has the effects on health management as follows: Dietary habit factor(β=-0.184) has negative effects on active health management, while family history factor(β=0.169) and scalp condition factor(β=0.106) have positive effects on active health management. Stress factor(β=-0.453), family history factor(β=-0.148), drinking·smoking factor(β=-0.120) have negative effects on passive health management, and hair condition factor β=0.099) has positive effects on passive health management. The self perception on hair loss factors has the effects on scalp·hair loss management as follows: Dietary habit factor(β=-0.185) has negative effects on personal management, and family history factor (β=0.126) has positive effects. Family history factor (β=0.175) has positive effects on professional management, and hair condition factor(β=-0.114) has negative effects. Health management has the effects on scalp·hair management as follows: Both active health management factor(β=0.521) and passive health management factor(β=0.234) have positive effects on personal management. Active health management factor(β=0.473) has positive effects on professional management, and passive management factor(β=-0.135) has negative effects.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self perception levels of hair loss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and scalp·hair management. This indicated that those who do not pay proper attention to professional management or do not follow the active ways of health manage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and time to nutritional intakes for hair loss prevention. In addition, hair conditions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dication of health, and thus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general health and dietary habits for keeping beautiful hair and healthy scalp conditions.

      • KCI등재

        혈액투석 노인의 건강문해력, 자가관리지식과 자가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유혜선(Hye Seon Yu),이영휘(Young Whee Lee),김화순(Hwas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혈액투석을 받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건강문해력, 자가관리지식, 자가간호행위 수준을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인천광역시 내 9개 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60세 이상 19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건강문해력, 혈액투석에 대한 자가관리지식과 자가간호행위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정,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건강문해력은 17점 만점에 평균 13.66(±2.09)점, 자가관리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3.33(±1.85)점, 그리고 자가간호행위는 80점 만점에 평균 63.95(±10.32)점이었다. 건강 문해력과 자가관리지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1, p =.003), 건강 문해력의 하위 척도인 독해력과 자가관리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5, p =.001). 그리고 자가간호행위와 자가관리지식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15, p <.05).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노인의 자가간호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건강문해력의 수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을 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self-management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but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s those variables in elders with hemodi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3 patients from dialysis clinics of nine hospitals in Incheon who aging over 60 years ol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using Health Literacy Scale, Self-Management Knowledge Scale, and Self-Care Behavior Scale. Th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the results, average score of subjects health literacy, self-management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were 13.66(±2.09), 13.33(±1.85) and 63.95(±10.3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knowledge and health literacy (r=0.37, p <.001) and reading comprehension part which is subscale in health literacy (r=.25, p =.001). Also,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r=0.15, p <.05).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for improving the self-care behaviors in elders with hemodialys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education based on his/her level of health literacy.

      • KCI등재

        신뢰성 있는 전자기록관리기관 감사인증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해영,김익한,심성보,우현민,임진희,조윤선,김효진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학연구 Vol.0 No.25

        Digital records management is one whole system in which many social and technical elements are interacting. To maintain the trustworthiness, the repository needs periodical audit and certification. Thus, individual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gency needs toolkit that can be used to self-evaluate their trustworthiness continuously, and self-assess their atmosphere and system to recognize defici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self-certification toolkit for repositories, which synthesized and analysed such four international standard and best practices as OAIS Reference Model(ISO 14721), TRAC, DRAMBORA, and the assessment report conducted and published by TNA/UKDA, as well as MoReq2 and current national laws and standards. As this paper describes and demonstr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ramework of this self-certification toolkit, othe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gencies could follow the process and develop their own toolkit reflecting their situation, and utilize the self-assessment results in-hous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12 areas for assessment were set, which include (organizational) operation manage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master data management, acquisition,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storage and preservation, disposal, services, providing finding aids, system management, access control and security, monitoring/audit trail/statistics, and risk management. In each 12 area, the process map or functional charts were drawn and business functions were analyzed, and 54 'evaluation criteria', consisted of main business functional unit in each area were drawn. Under each 'evaluation criteria', 208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which supposed to be implementable, measurable, and provable for self-evaluation in each area, were drawn. The audit and certification toolkit developed by this research could be used by digital repositories to conduct periodical self-assessment of the organization, which would be used to supplement any found deficiencies and be used to reflect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ategy. 전자기록관리는 수많은 사회적 기술적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신뢰받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기관은 감사와 인증의 정규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개별 전자기록관리기관에서는 스스로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해보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스스로의 환경과 시스템을 자체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의 필요성이 생겼다. 본 연구의 목적은 OAIS 참조모형(ISO 14721)과 영국 UKDA와 TNA의 자가진단보고서, TRAC 및 DRAMBORA 등 4개 표준과 국제모범사례를 분석하고, MoReq2와 현행 국내 법령 및 표준 등을 종합, 분석하여 자체인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인증도구의 개발과정과 전체적인 틀을 기술함으로써, 타 기관에서도 기관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도구를 개발하고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결과, (기관) 운영관리, 분류체계 및 기준정보 관리, 입수, 등록․기술, 저장․보존, 처분, 서비스, 검색도구 제공, 시스템 관리, 접근통제․보안, 모니터링․감사증적․통계, 위험관리 등 총 12개 영역으로 진단영역이 확정되었다. 설정된 12개 영역 각각에 대해 각 영역별로 프로세스 맵 또는 기능차트 등을 만들고 업무기능을 분석한 후, 영역별 주요 업무기능 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된 54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각 평가지표 별로 실제 자가진단을 시행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하고 증빙이 가능하도록 작성한 208개의 ‘평가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생성된 이 지표는 전자기록관리기관의 감사인증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기관 스스로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실행하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발견된 미비점을 보완하고 향후 기관의 발전 전략에 반영할 수 있다.

      • 효율적인 건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오피스빌딩을 중심으로-

        최승실 ( Seungsil Choi ),전광섭 ( Gwangsup Jeon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4 건설경제산업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건물관리 수요자이자 건물관리회사 결정자인 건물주 상대로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소유주가 느끼는 애로사항과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자가관리보다는 위탁관리가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물 관리회사가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건물관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안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위탁관리 건물주들의 만족도가 높아 추후 자가관리 건물주들이 위탁관리회사에 건물을 위탁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위닥관리시장의 성장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ractical difficulties and satisfaction which the building owners has felt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towards the building owners who are the demanders of the building management at the same time the decision-maker for the building management company. The satisfaction of consignment management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self management,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by suggesting solutions about on what field the building management company should concentrate in managing the building. Eventually, the satisfaction of the building owners in consignment management type appeared to be high. Accordingly, the cases that the building owners in self-management type will increasingly consign their building to the consignment management company will be expected to be highly increased so the growth possibility of consignment management market will be estimated to be remarkabl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