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DMS와 기록물의 라이프사이클

        김익한,Kim, Ik-han 한국기록학회 2002 기록학연구 Vol.0 No.5

        Today the market of EDMS is esteemed more than 100 billions won. It signifies a comming of age of electronic records. The traditional archival theories which are based on the paper records are confronted with a new challenge. In some leading countries of archival studies reorientation of archives management has been tried by a number of distinguished specialists such as Bearman and Hedstrom since 10 years. As a consequence new paradigm of archival theories has been developed. Also in Korea this new paradigm has been introduced by some expert such as Lee, Sang-Min, Sul, Moon-won, Lee, Seung-Eok. However their arguments are too general to offer a concrete clue for new paradigm. Faced by new age of electronic records, it's important to start a discussion for the reasonable method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t once. The most drastically changed part of record management by the electronic technique is the life-cycle of records. The commonly practiced three-stage life-cycle is to be reduced to the two-stage life-cycle, and the concept of the spatial movement of records is to be changed. It can be also pointed that the public emerges as user from the early creating stage of records beyond time and space. Thus is can be said that the method of the management features dynamic and cohesive. The method of appraisal must be also changed and reproduced, so that it can reflect the various levels considering dynamics of the electronic records. Supposedly it will be a core factor that causes the change of methodology in records management with the change of life-cycle theory. It must be noted that various subjects would be involved in the work of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ver time and space and that feedback between them is of important. Description also tends to be made at the crating stage of records and structured dynamically. It results from the change of life-cycl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ontinuum. Such trend allows us to start discussions on the assumption that description of both creator and archival professionals act together an important role. Of course, it is linked with the methodology in which most descriptions are made automatically at the early drafting stage of the structure. The meat date is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should be feedback between areas of automatic description, description of creators and archival professional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description is to develop a suitable way how it is structured. An alternative must be offered for managing data set. As iweb that is being operated by Myongji university shows, records created in daily business are managed not as electronic records but as date base. This is because they exist outside the repository in the EDMS system. Since data set often has various sources, an alternative for classification needs to be developed. It is now likely that database is filed according to the created year to be transferred automatically to the repository. Over a long-term the total management of database, electronic records and electronic information will be a topic. A right direction of new paradigm will be found for both iweb and E-government, when practice and studies of theories are combined and interac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자기록의 진본 평가 시스템 모형 연구

        김익한,Kim, Ik-Han 한국기록학회 2006 기록학연구 Vol.0 No.14

        전자기록은 평가 시 가치 평가와 진본 여부 평가를 함께 수행해야 한다. 그간 기록의 가치 평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진행되어 왔지만 진본 평가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진본 평가가 기록관리 각 과정의 어느 국면에서 필요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대체로 입수단계에서는, 생산기관에서의 재생산 직후의 일치 검증, 수신된 전자기록의 품질 및 일치 검증, 입수기록패키지와 보존기록패키지의 일치 검증이 필요하다. 저장단계에서는 매체수록된 보존기록패키지의 일치 검증, 저장된 전자기록의 손상여부 검사와 복구가, 각종 처리의 단계에서는 관리기준값 변경 처리 후의 적절성 평가, 기록철 분류구조 변경 후의 평가, 마이그레이션 이후의 일치평가 및 기타 주기적 무결성 평가, 배부기록의 일치 평가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진본 평가를 위해서는 일치검증평가, 내용적 동일성 확인 평가, 메타데이터 요소의 적절성 평가, 불법적 변경여부의 확인 평가, 물리적 상태평가 등의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Electronic Records need to be appraised the authenticity as well as the value itself. There has been various kinds of discussion about how records to be appraised the value of themselves, but there's little argument about how electronic records to be appraised the authenticity of themselves. Therefore this article is modeling some specific authenticity appraisal methods and showing each stages those methods should or may be applied. At the Ingest stage, integrity verification right after records creation in the organization which produced the records, quality and integrity verification about the transferred in the organization which received the records and integrity check between SIP and AIP in the organization which received and preserved the records are essential. At the Preservation stage, integrity check between same AIPs stored in different medium separately and validation of records where or not damaged and recovery damaged records are needed. At the various Processing stages, suitability evaluation after changing the record's management control meta data and changing the record's classification, integrity check after records migration and periodical validation and integrity verification about DIPs are required. For those activities, the appraisal methods including integrity verification, content consistency check, suitability evaluation about record's meta data, feasibility check of unauthorized update and physical status valid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 KCI등재

        서울 현대사 기록물의 범위와 유형

        김익한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89

        이 글에서는 서울 현대사의 내용 구성에 대해 논하고 그 구성과 관련된 사료로서의 기록물에 대해 정의한다. 아카이브가 미발달한 우리의 경우, 존재하는 사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기록물의 범위와 유형을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불균형적, 국부적으로 기록물의 범위를 정의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찬의 내용 구성을 위주로 연역적으로 분석을 하여 기록물의 범위와 유형을 정의하는 것이 실효적이다. 시사는 제도사나 시 관할 사업, 건물 등의 역사에 집중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시민, 마을공동체 등 새로운 주체가 중시되고 시정 운영에 있어서도 거버넌스가 강조되는 지금의 시점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시사에 대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필요는 충분히 있다. 행정․제도사뿐만 아니라 서울 시민의 삶의 영역까지를 포괄하는 시사 편찬, 다중 주체의 참여와 네트워크에 의해 진행되는 시사 편찬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때이다. 전체사이자 미시사인 시사, 사회구조사이자 신문화사인 시사, 제도․사회경제사이자 생활사인 시사와 같은 관점에서 시사 편찬을 고려하는 것도 지금의 상황에서는 나름의 진전이라 생각한다. 이 정도의 수준에서 시사 편찬의 전략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조응하는 사료 발굴과 이용, 아카이브의 성격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제도사 위주의 시사, 행정 기록물 위주의 기록물관리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민중생활사연구단, 서울학 연구소의 생활․문화변천사 편찬 작업에서 사용한 영역구분은 생활사를 포함한 시사 편찬의 영역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록학에서 진행된 도큐멘테이션 전략론, 거시평가론, 영국의 OSPs 등 역시 시사 편찬 영역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차드 콕스가 지역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차원에서 제시한 일반 영역 역시 참고할 만하다. 영국 기록청은 기록을 수집하는 도구로서 OSPs 60여 개를 개발하고 국가와 시장경제, 시민사회 할 것 없이 유관 기록을 통합적으로 수집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들을 종합해 보면 서울 현대사는 일반공공행정, 공공질서 및 안전, 자연과 환경, 도시공간․지역개발, 교통, 산업․중소기업, 과학기술, 교육, 보건․의료, 문화예술, 종교, 여성과 아동, 결혼․성, 마을, 사회조직․커뮤니티, 시장, 가족, 노동, 여가, 의․식․주 등 20가지 영역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 영역을 다시 제도사, 경제사, 생활사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하여 하향 분해하면 구체적인 기록군이 무엇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계할 수 있다. 노동 영역을 예로 들면, 노동관련 법규․제도․정책기록군, 산업체의 노사관리 기록군, 생산직 노동 생활사 기록군, 서비스직 노동 생활사 기록군, 관리직 노동 생활사 기록군, 산업재해 관련 기록군, 노동운동 관련 기록군 등이 설정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서울 현대사 기록물의 범주와 유형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체적 정의를 위해서는 범주와 기록군을 전체적으로 분석, 설정하는 대형 프로젝트 등이 필요하다. 좀 더 나아간다면 이렇게 해서 설정된 기록군들에 대해 영국의 OSP와 같은 수집실행정책을 수립하여 수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생활사를 포함한 포괄적이고 질 높은 기록물을 수집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시대에 걸맞는 시사를 편찬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rovince and Type of the Archives on Modern History of Seoul Kim, Ik-han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modern history of Seoul and defines the province of archives as the historical material. It is not appropriate to analyze the historical material as inductive basis then discuss the province and type of archives because Korean archives are not developed. Because of it, we end up disproportionately, and locally to define the province of the archives.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analyse the contents consists of a priori and then to define the province and type of archives. There may be claimed that history of the city is right to focus on the history of institution, business and architecture. But there is plenty to think about it again from the root to the existing common history when the new subjects such as citizens and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good governance in the municipal operations is highlighted. It is time to consider it positively that we have compiled the history of the city to cover the life of the citizens of Seoul as well as the history of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 and conducted by involving the multiple subjects and network. I think it also referred to as one of the developments in the current situation to compile the history of city as a total history and micro history, a social structural history and new cultural history, an institutional history and life history.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history of city and the management archives that is focused on the administration to discuss the setting the strategic direction and the collecting and using archives in such this aspect. The domain division that was designed by Research Group of the History of People Life and used by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will help us design the province of Seoul including the life history. Archival theory of documentation strategy, macro-appraisal, and OSPs made in England are useful in designing the province for the compile of history of city. The domain that Richard Cox suggested as the documentation strategy of locolity is also worthy of reference. The National Archives is developing 60 OSPs as a tool for collecting archives, trying to collect all archives with integrated to cover government, market economy and society. Comprehensively the modern history of Seoul is composed of the 20 followings;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order and safety. Nature and the environment. Urban space and regional development. Transport, Industry and SME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Health and medical. Arts. Religion. Women and children. Marriage and sex. Village. Social organization and community. Market. Family. Work. Leisure. Necessities of life. And then the above provinces on the back down decomposition considering the aspect of institutional, economic and life history, we can make it set a special archive group. For the defining province of archives for the modern history of city, it is necessary the large scale of the project that analyzes the domain of archival group. It is desirable to do so, if you get a further executed by establishing policies, such as OSP collection of the British record set for the group to proceed with the acquisition. Through this work, we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high quality recording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fe, and equip a basis for compiling a history worthy of the era.

      • KCI등재

        마을 아카이빙 시론

        김익한,Kim, Ik-han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학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과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시론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다음 세 가지 논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일반 기록관리 이론과 마을 아카이빙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차이를 인식해야 기록관리 일반 이론을 응용하여 현실에 맞는 아카이빙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은 마을 만들기, 마을 공동체 복원 운동의 일환으로서 마을 아카이빙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은 주체의 문제에서도 전문 아카비스트의 입장에서보다는 공동체 복원 운동가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동체 운동가로서 동시에 아카비스트의 전문성을 지니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다. 마을 아카이빙을 하려면 마을의 구성과 각각의 구성에 의해 산출되는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마을의 구성을 자연공간, 인문공간, 역사, 공동체 조직, 공동체 문화, 경제활동, 소조직 개별가호, 네트워크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부분에서 생산될 만한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적시하였다. 마을 아카이빙의 주체와 방법에 대해서도 시론적으로 정리를 시도하였다. 마을의 공동생산이나 소비의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마을 역사에 대한 아카이빙, 자연공간, 인문공간 개선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교육, 네트워킹에 대한 아카이빙의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시론은 새로이 아래로부터의 아카이빙 운동에 우리 학계가 관심을 갖도록 주위를 환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try to establish the method on the archiving of a village experimentally. For this study three standpoints were investigated. We discriminate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n general archives management and village archiving. We should grasp that the practice of village archiving is a means to the movement of village community reconstruction. And we clear up the point that village archiving head for the community ownership and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clarified what were the constituent units in a village and what were the archives that were producted by the constituent units in a village. It is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y on a village to identify concretely the objects of village archiving. The main body who lead the village archiving is not archivist only. But he should be a man who serve his community and have the competency to deal with archives professionally simultaneously. The suggestion of village archiving in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Korean archivists should get over the model of elite so that seek after new way of the going down to the archiving fields. village, community, the ordinance for the reconstruct of the beautiful village community, activistic archivist, archiving movement going down to the village fields, archiving by participation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