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병탄(倂呑) 이후 35년 동안의 올바른 시대구분 명칭에 관한 연구

        이일걸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2

        오늘날 우리는 1910년 ‘한국병탄’ 이후 35년 동안의 시대명칭을 학계에서 올바르게 검증하지 않고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하여 왔다. 현재 유행되고 있는 ‘일제강점기’라는 용어에 함축된 의미에 대해서도 비판의식 없이 사용하고 있다, 광복 후 초기부터 ‘민족의 수난기’, ‘국권회복운동시기’, ‘일제시기’등으로 불렀으며, 1980년대 이후 ‘국권침탈기’ 또는 ‘민족의 저항기’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부터는 ‘일제강점기’가 빠르게 유포되었다. 그렇다면 ‘일제강점기’의 용어에는 어떤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 고찰해보자. 첫째, ‘일제강점기’는 비주체적인 용어다. 즉 우리 한국인의 역사 틀 안에서 제3자인 ‘일제’가 한국을 강점했다는 의미이다. 둘째,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여러 개의 식민사관 이론 중 ‘일제강점기’에는 ‘타율성론’이라는 식민사관이 은연중 드려난다. 한국사는 고대시기부터 기자ㆍ위만 등의 외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왜곡시켰다. 1910년 한국병탄후 일제에 의해 한국이 타율적인 지배를 받았음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사관 이론인 ‘임나일본부설’의 연장선상이라는 점이다. 즉, 신공후(神功后)ㆍ대화(大和) 남선침략(南鮮侵略) - 임나일본부 - 일제강점기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즉 20세기 초에는 ‘일제강점기’로 ‘일제’가 한국인을 지배했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넷째, ‘일제강점기’에는 ‘정체성론’이라는 식민사관의 의도가 숨어있다. 즉, 한국을 정체되고 전근대적인 사회로 규정함으로써 일제의 한국침략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라고 부르는 것은 국제법상 무효인 ‘한국병탄조약’을 유효조약으로 둔갑시키려는 의도가 보인다. 1910년 ‘한국병탄조약’은 국가대표에 대한 강박에 의하여 체결되었으며, 또한 조약체결의 형식과 절차상의 하자(瑕疵)로 인해 불법ㆍ무효조약이다. 따라서 한국은 일본에 ‘한국병탄조약’의 무효를 외교절차에 따라 문서로 통보하지 않았다. 더구나 현재 국사편찬위원회가 이 시기의 명칭을 ‘일제강점기’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다. 그 결과 우리는 역사적 정체성의 혼란을 초래하였으며, 일인들은 이 시기를 ‘일본 통치하의 조선’ 또는 ‘식민지 조선’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빠른 시기에 한국병탄조약의 무효를 서면으로 일본에 통고해야 한다. 우리 정부가 일본에 대해 ‘한국병탄조약’의 무효 및 폐기를 통보함으로써 35년 일제의 병탄이 불법행위임이 만천하에 입증되어 진다. ‘한국병탄조약’의 무효 통보로 인해 우리 한국인은 식민사관의 질곡을 벗어나는 근거와 계기를 마련해준다. 그러므로 국제법상 우리 민족의 법통성이 ‘대한제국’ ⟶ ‘대한임시정부’ ⟶ ‘대한민국’으로 계승되어진다. 또한 세칭 문제된 1920년, 1948년의 건국론의 시비문제도 해결된다. 그렇다면 비주체적이고 타율적인 ‘일제강점기’라는 용어를 대신할 가장 합당한 용어는 ‘항일투쟁시기’가 가장 타당하다. 따라서 짧은 35년의 시기를 비주체적이고 식민사관의 타율성론이 내재된 ‘일제강점기’ 용어를 퇴출시키고 주체적인 ‘항일투쟁시기’로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Up until this day, we have not been clearly used the name of the 35-year period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of 1910 as it has not been properly proved by the academia. Even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that we prevalently use, we use it without criticism. Following the Independence, this period was called the ‘National Suffering Period’, ‘Period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Campaign’, ‘Japanese Imperial Period’, ‘Japanese Colonial Era’, and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after 1980s, it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Deprivation of Korean Sovereignty’ or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and after 2000 to present, use of ‘Japanese Occupation’ has rapidly spread. Then, let us think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First,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is a non-autonomous term. That is, it is hardly possible that the name of the period indicating the third country Japan has occupied Korea be present in our national history. It reveals that we were under Japanese rule for a short period of 35 years and that this historical period was not under our control. Although the Japanese occupation was illegal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we do not need to disclose it. Second, there are several theories of the colonial history that Japanese historians of colonialism insist. Among them, a ‘theory of heteronomy’ of our history, which is the colonial history, is implicit in the ‘Japanese Occupation.’ It implies that Koreans were not the main agent, were uncivilized, and were not able to be autonomous during this period and therefore, Japan occupied Korea and Koreans were under the heteronomous rul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the ‘Japanese Occupation’ is an extension of ‘Theory of Imna Prefectural Government.’ That is, it indicates that it was continued from Sin Gong HuㆍDae Hwa Invasion of Korea and Imna Prefectural Government to Japanese Occupation, meaning that there was the Imna Prefectural Government in the ancient South Korea and then Korea was under Japanese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urth,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also implies the "stagnation theory", which defines Korea as a static and premodern society, justify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disguising its mission to modernize Korea. Fifth, there is a strategy of turning the invalid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into the valid one by calling it the ‘Japanese Occupation.’ Not only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f 1910 was coerced into signing by the Japanese representative but also the signing form and process were flawed, and thus made the treaty null and void in terms of the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t should be an abrogated treaty; however, Korea did not declare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f 1910 null and void by letter according to the diplomatic procedures. Moreover, it is surprising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defines this period as the ‘Japanese Occupation.’ Most elder historians have proclaimed that we should get rid of the colonial history, but the term ‘Japanese Occupation’ was formalized at some unknown point. As a consequence, it caused our historical identity crisis and Japanese scholars still define this period as the ‘Joseon under Japanese rule’ or ‘Colonial Joseon.’ Therefore, we should declare invalidity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by letter soon. I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is abrogated, the Korean liberation armies- and independent armies-participated-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for reclaiming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for 35 years will be the legal revolution, but not illegal. Also, it would be revealed that the Japanese rule was certainly the illegal occupation. By declaring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as null and void, the illegality of the 35-year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ould be proved to the whole world. This would also be an opportunity to make free ourselves from the fetters of colonial history. Therefore, our legitimacy would be the Korean Empire –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The Republic of Korea. The so-called problems of Theory of National Foundation whether it was in 1920 or 1948 would also be solved. If so, the most appropriate term to replace the dependent and heteronomous term ‘Japanese Occupation’ would be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Therefore, we should throw out the term ‘Japanese Imperial Period’ in which dependency and theory of heteronomy are implied to describe the short 35-year period and establish the autonomous term ‘Period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 KCI등재

        상장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과 영향

        채휘균(Chae, Hwei-kyu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7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학교 상장이 일제강점기 교육을 강화하는 수단이었다는 점을 밝히는 연구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상장 종류를 조사하고 시기별 상장 종류를 제시하였다. 둘째, 상장의 형식과 구성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밝혔다. 셋째, 상장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을 밝혔다. 연구방법은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 상장을 조사·분류한 후에, 상장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었다. 일제강점기 상장 형태는 대한제국 시기 상장과 유사하였고, 구성은 제목, 수상자 이름, 수상 내용, 연도, 기관, 직인으로 구성되었다. 상장은 테두리 장식이 일반적이었고, 세로쓰기 방식을 택하였다. 대정, 소화 연간 상장 형식은 대한제국 시기 상장 형식과 유사하였다. 상장 서술하는 언어는 대한제국 시기에는 국한문 혼용이었고, 일제강점기에는 한문·일어 혼용이었다. 서술하는 언어는 일제강점기 교육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수상자 이름도 1940년 이전에는 한문으로 기록되었고 1940년 이후에는 일본식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강화된 식민지 교육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상장의 서술은 우등상의 경우 학업 우등, 학술 우량, 성적 우수 등과 동시에 품행 방정, 조행 가량 등과 같이 성적과 품행을 연관지어 표현하였다. 일제강점기 우등상에서 교과와 품행을 연결하고 있었다. 개근상과 정근상은 성실 및 근면과 같은 표현을 통해서 학교 교육에 참여를 장려하고 유도하는 내용이었다. 일제강점기 후기에는 각종 특별상을 수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류에는 품행, 근로, 국방헌금 등과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의 어려운 상황이 상장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상장은 형식과 내용에서 일제강점기 상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장은 교육 환경과 성격에 따라 형식과 내용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일제강점기 상장의 형식과 내용이 해방 이후 학교에서 유사한 형태로 답습되었기 때문에 상장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역사적인 검토와 재해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prize of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means of strengthening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the prize of schools are investigated and the types of the certification of merit by period are suggested. Second, we analyze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prize and reveal its characteristics. Third, the expressions used in the prize contents a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e result is the form and content of the award must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nature of education.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language for describing the award was a mixture of Korean, b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a mixture of Chinese and Japanese. Moreover, since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priz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followed in a similar form in schools after liberation,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ize. Prize is not an absolute point of view, but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onsider various situations.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주민조직의 변이와 존속 과정에 관한 연구

        윤현석(Yoon, Hyun Suk) 도시사학회 2016 도시연구 Vol.15 No.-

        국권이 강탈당한 일제강점기 재조선 일본인의 주민조직은 강제병합 이전부터 개항장과 내륙거점도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재조선 일본인은 일제보다 먼저 식민지에 진출한 기득권을 유지하면서 일본 본토의 주민조직과 유사한 자치권도 가졌다. 일제는 강점 초기 단일 통치체계 속에 재조선 일본인과 조직을 편입시키는 과정에서 기득권과 자치권을 일부 인정하였으며, 이는 피지배계층인 조선인과의 차별로 이어졌다. 식민지라는 여건 속에서 재조선 일본인들의 자치권은 점차 축소되었으며, 조선총독부와 지방단체의 행정보조적인 성격이 점차 짙어졌다. 전시체제에 접어들면서 지방단체의 전시조직이자 말단기관이 되었다. 일본 본토에서는 시가지 행정구역인 정(町) 내에 정총대, 정세화인, 자치회 등 다양한 명칭과 성격의 주민조직이 존재하였다. 또 각 도시마다 주민조직의 구성 시기, 자치 정도, 명칭 등이 달랐다. 1940년에 가서야 제도적으로 정내회로 명칭을 통일하고 국가 체제의 하나가 되었다. 지방도시 광주에서는 초기 재조선 일본인만이 정총대를 맡았으며, 조선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행정구역 리(里)에는 지방단체의 명예직 직원인 구장(區長)을 두었다. 구장은 주로 조선인이 맡았다. 1936년 지방단체인 광주부가 정회를 설치하면서 조선인 정총대도 생겨났다. 광주의 조선인들은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시민대회를 개최하거나 주민조직을 구성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일제의 통제와 감시로 금지 또는 해산되었다. 일제의 패망과 함께 이어진 조선의 미군정은 정회에 식량·연료 배급, 인원 동원 등 일제강점기와 유사한 역할을 맡겼으며, 일본인을 제외하고 조직을 그대로 유지한 정회는 좌·우익 대립, 입법의원 선거 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정치적인 역량을 키워나갔다. 이 과정에서 미군정의 지방단체의 수장과 지방의원의 공선제 실시를 핵심으로 하는 지방제도 개혁은 좌절되었다. 반면 역시 미군정을 거친 일본에서는 전시조직인 정내회가 해산되었고, 지방제도 개혁을 통해 공선제가 도입되는 등 조선과는 상반되었다. 일본에서의 미군정은 7년 여간, 조선에서는 3년간으로 그 기간은 물론, 오랜 기간 식민지로 억눌렸던 조선과 패전국인 일본의 여건 역시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일제강점기 정회는 해방 이후 자치적 요소를 일부 회복하고, 지방단체와 마찰을 겪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후 행정 보조 기능이 더해지고, 이후 말단행정기관으로 변이하였다. 또 일제강점기 전시체제 하에서 정회의 하부조직이었던 통(統)과 반(班)은 현재도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전시조직의 일부는 군사독재를 거치면서 그 필요성이 인정되어 계속 존재하였다. 현재의 관치(官治)의 양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전시조직과 그 뿌리가 닿아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박민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조선어교육정책과 실상을 통하여, 식민 지배 상태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어떤 특색을 갖고 있는가를 살피는 동시에 교재사적인 측면에서 일제강점기 당시의 조선어 교재를 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의 연구사적 의의를 어문 교육 교재사 차원에서 1) 국어교육 차원과 2) 한국어교육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가능성을 공교육의 차원에 한정해 1) 전체 문법 범주 인식의 차원, 2) 개별 문법 범주 기술의 차원, 3) 조선인과 일본인의 조선어 문법 인식 비교-대조 차원으로 탐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시작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가 교재사 차원에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접점이 되는 영역으로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characteristics the Korean education has under the condition of colonial rule, and at the same time to historically consider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aspect of textbook history through the policy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is, the historical research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as divided and presented 1) in the dimens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history and 2)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grammar unit.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restricted to the dimension of public education, 1) in the dimension of whole grammar recognition, 2) in the dimension of describing individual grammar category, and 3) in the dimension of comparison-contrast of Korean language grammar recogn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earners. Beginning with this discussi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argeting Japanese learne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s to be discussed regularly as an area of a contact point for both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textbook history.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문화재

        최은령 ( Choi Eun-r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경상북도 예천(禮泉)은 소백준령의 높은 줄기가 감싸고 낙동강, 내성천이 흐르는 배산임수의 명당에 자리한 고장이다. 자연 그대로의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자연유산, 기록유산, 유적건조물, 무형문화재, 유물 등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예천지역에는 92건 95점(2020.1.1.기준)의 문화재가 국가 및 경북 문화재로 지정되어있으며 이 중 불상과 불화, 탑, 전각 등 사찰의 불교문화재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예천을 대표하는 사찰 용문사의 보물 대장전과 윤장대가 최근 국보로 통합, 승격되면서 예천지역에서는 첫 국보가 지정되었다. 예천에는 신라 이래 조선시대까지 약 75개의 대소 사찰이 창건되었는데, 20세기 초에는 용문사를 비롯해 10여개의 사찰만 남고 모두 폐사되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사찰령에 의해 1902년 16본산에서 1924년 31본산으로 늘어났고 예천지역의 사찰은 문경 김룡사의 말사로 되었다. 현재까지도 경상북도 예천에는 용문사를 비롯하여 여러 사찰에 중요 불교문화재가 소장되어 있지만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경상북도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였다. 과거의 시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사찰 재산대장을 기록했던 시간이고, 일제강점기의 경북지역 사찰 관련기록은 일제강점기 발행된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와 조선총독부관보 기록이다. 먼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시행했던 불교문화재 조사와 관리에 관련된 주요 행정절차와 법령, 고적조사 등을 통해서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 방향을 파악하였다. 일련의 일본이 실시한 불교문화재 정책은 한국을 식민지로 동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한 것이었고, 사찰의 재산 파악에 목적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문건들을 비교하여 예천지역에 잔존했던 장안사, 용문사, 서악사, 한천사, 보문사, 명봉사 6개의 사찰과 재산목록을 확인하고 당시 사찰의 규모, 불교문화재의 소장 상황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전체적으로 본사 이외 말사의 규모나 재정상태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었고, 특히 일본의 전쟁물자 수급을 위한 금속품의 헌납이 전국 사찰에 강행되어 주요 불상 및 불구 등이 이 시기에 사라진 것을 재산목록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현재까지 예천지역에 남아있는 사찰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문화재를 현황을 파악하여, 유실 혹은 도난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문화재의 종합적인 상황을 살펴보았다.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과 사찰문화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3건의 기록을 비교해보면, 『본말재산대장』에서 화엄사가 선암사의 말사로 되어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재산대장은 1911년 사찰령이 공포된 이후 화엄사가 1924년 31번째 본사로 등록되기 전에 작성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현대에 와서 사찰은 변화와 약동을 통해 근대와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되었고 그 사이 사찰의 문화재는 자국인에 의해 또 다른 도난의 피해자가 되었다. 누가 언제 어떻게 사찰문화재가 사라졌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조차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지금도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는 과거 일제강점기의 종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도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또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른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도난된 사찰문화재는 그 중요도는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대부분 문화재로서 지정되지 않은 경우라서, 도난이후 해당 문화재의 평가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기반도 없이 약탈의 대상이 되고 사라져버렸다. 향후 경상북도 예천의 사찰과 불교문화재의 관리와 보존에 관해서 다각적인 모색과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echeon, Gyeongsangbuk-do, is a site located in a famous temple in Baesan-su, which is surrounded by the high stems of Sobaek Ordereong and flows along the Nakdonggang River and Naeseongcheon Stream. Along with its outstanding natural scenery, it has a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natural heritage, documentary heritage, historical buil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relics. The Yecheon area has 92 pieces of cultural assets designated as national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cultural properties, of which Buddhist cultural assets such as Buddhist statues, Buddhist paintings, pagodas and pagoda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The first national treasure was designated in the Yecheon area as the treasure of Yongmun Temple, a temple representing Yecheon, and Yun Jangdae were recently promoted to national treasure. About 75 Daeso temples were built in Yecheon from the Silla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only about 10 temples, including Yongmunsa, were left, and all of them were closed. Japanese colonial era's order of inspection by the General Governor-General of Korea increased from 16 Bon-san in 1902 to 31 Bon-san in 1924, and the temple in Yecheon area became the horse of Kim Ryong-sa Temple in Mungyeong. Until now, Yecheon, Gyeongsangbuk-do has important Buddhist cultural assets in various temples, including Yongmun Templ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give a full view of the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The main building sheds light on the past and present, focusing on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time of the past was whe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corded the property of the temple, and the records related to the templ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written on the documents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Museum and the Chosun Governor-General's Register of Government-General. First, the direc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Buddhist culture policy was understood through major administrative procedures, statutes, and historical surveys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Buddhist cultural assets conduct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Office at Japanese colonial era. A series of Japanese policies on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used as a way to assimilate Korea into a colony, and aimed at identifying the temple's properties. Japanese colonial era documents were compared to the remaining six temples and properties of Jangan Temple, Yongmun Temple, Seoraksa Temple, Hancheon Temple, Bomun Temple and Myeongbongsa Temple, which were located in the Yecheon area, to identify the size of the temple, the situation of the colle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he characteristics. Overall, the siz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horses outside the headquarters were in a very poor situation, and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compare property lists that Japan's dedication of metal products to supply and demand war supplies was pushed to the national inspection and the loss of major Buddhist statues and Buddhas during this time. Following Japanese colonial era,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 temple remaining in the Yecheon area and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looked at the comprehensive situation of lost, stolen. The temple and temple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compare the three records issued by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Joseon at Japanese colonial era to confirm that Hwaham Temple is the horse of Seonamsa Temple in the 'Bonmal Property Register." The property register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Hwaham Temple was registered as its 31st headquarters in 1924, after the inspection decree was promulgated in 1911. Coming to modern times after liberation, temples developed into different forms from modern times through change and pharmacology, and in the meantime, temples' cultural assets have become another victim of theft by their own people.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now, as most people cannot even check out the basic details of who disappeared and when and how the temple's cultural assets disappeared. This problem is no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past, but it should be recognized for its seriousness in that it is ongoing and when and how it will occur. In particular, templ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stolen so far can be valued highly, but are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so after the theft, they become the subject of looting and disappear without the foundation for proper evaluation of the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we expect to provide a variety of search and measures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emple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한민족 출판 연구

        박몽구(Park, Mong-Gu)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일제의 정치적 탄압이 가속화되는 상황하에서 출판은 민족 정신을 일깨움은 물론 민족정서와 독립에의 염원을 담아내는 유일한 매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족 자본을 중심으로 한 일제치하 출판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발전 양상 및 출판의 발전 과정 및 출판 주체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일제하의 출판이 우리 민족정신사에서 갖는 의의는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그동안의 일제하 출판 연구가 국내에 한정되었던 것을 벗어나 중국과 일본, 미국 등 한민족 거주 지역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한국인들은 온갖 어려움을 이기고 출판 활동을 지속하였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국권의 침탈로 디아스포라 처지가 되어 낯선 타국을 떠돌면서도 우리 민족은 말과 글을 잊지 않았고, 그것들을 출판 활동으로써 수렴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출판 현상을 국내와 국외를 가리지 않고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출판 활동은 대부분 민족 의식의 발로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즉 상업적 동기가 아닌 민족 정기의 선양을 위해 전 재산을 쾌척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선대로부터 받은 유산을 쾌척하고, 실제 일본에 들어가 배운 최신 인쇄술을 바탕으로 ‘신문관’과 ‘조선 광문회’를 연 최남선과,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농지를 처분하여 출판 활동에 나선 회동서관의 창립자인 이봉하 등은 그 본보기이다. 둘째, 일제시대는 개화기의 엘리트적 출판문화에서 탈피하여 대중적 서적출판문화를 구현하게 되었다. 일제시대는 정치적인 이유로 대중의 독립의식 고취에 이용될 각종 계몽적.학술적 서적의 출판은 그 활동이 철저히 통제되었다. 반면 회동서관, 한성도서, 영창서관 등 민간 출판인들이 상업적 출판에 성공한 가운데서도 한국인 저자들을 적극 발굴하고 은연중에 민족정신이 구현된 출판물을 앞다투어 내놓는 등 출판정신과 기업가 정신을 양립하는 기초를 쌓았다. 셋째, 중국과 일본, 미국 등 한반도 권역 밖에서 이루어진 한글 출판의 경우 민족 정기를 고양할 목적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국 내 이승만의 출판 활동과, 박은식의 중국 내 저술과 출판 활동은 이를 잘 말해준다. 어떤 의미에서는 일제 강점기에 즈음하여 일제에 항거하여 민족 정신을 고양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출판 활동의 진 수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넷째, 일제 강점기의 한글 출판은 우리말과 문화를 지켜내고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현대 출판으로의 정검다리가 되었다. 일제가 말살을 기도하는 한글에 맞서서 한글의 체계를 세우고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조선어학회’는 한글 출판이 그 모태가 될 수 있었다. 이들 출판물을 통해 한글을 현대화하고 현대 출판으로 갈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완수하였던 것이다. 일제 강점기의 출판은 민족 교육의 중요한 거점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2세 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온 민족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새삼 한국인의 교육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 같은 교육에의 관심은 교과서 출판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출판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중국과 일본, 미국 등지에서 우리 민족의 손으로 펴낸 출판물들이 폭넓게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출판물들이 우리 민족 출판 유산으로 편입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phenomena on Korean people's publishing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this study, we have expanded publishing area of Korean people to Manchuria, Japan and Unite States of America. Through these viewpoint, we want to make a close inquiry what is meaning of people's mental history on that period's publishing. Overcoming several difficult situations, Korean people have been carried on publication operations, not only in native country but also their place of residence on abroad as the diaspora. They don't forget their language and letter, have collected to publishing matters. Through this study, we get several conclusion as the next. First, Korean people’s publishing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s started as manifest people's awareness. Second, publication operations of this period hve been practiced as the general public culture outgrown from elite culture. Third, the publication with Korean language in the abroad as China, Japan, America was accomplished to raise people's spirit and energy. Fourth, the publication of that period has kee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has become stepping stones to go modern publishing. Also we confirmed that period's publishing is a foothold of people's education. We must regard that period's publication newly, and must weave publishing on abroad as China, Japan, America to our hitory of public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시대의 대중음악 검열

        이인호,이진경,곽미정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음악은 순수함을 추구하고 정치, 경제 등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미학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시대의 정권의 지배세력들은 이러한 음악의 기본적인 본질을 무시한 채 이를 정치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시대별 분류를 통해 음악검열이 나타나게 된 당시의 상황과 음악관 련 검열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그 제도적 통제 장치의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시대별 분 류는 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와 제1기인 1910년도에서 1919년까지의 무단통치시기, 제2기인 1919년부터 1931년까지의 문화통치시기, 제3기인 1931년부터 1945년까지의 민족말살통치시기로 분류하였다. 일제강 점기 이전 시기를 살펴보면 통감부의 설치와 함께 항일운동창가와 음악교과서, 창가책, 노래책과 노래 등을 검열하여 금서를 양산하였고, 제1기 무단통치시기부터 제3기 민족말살통치시기까지는 금지된 노래 와 공연행위에 대해 헌병경찰력을 활용한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제재와 함께 조선총독부의 일본 신민화 를 위한 음악교과서 검열, 식민지 지배정책을 보다 강화시키는 음반검열의 시행, 군국가요의 권장 및 보 급, 종교음악의 검열, 황국신민화를 위한 학교의 교가 검열, 미국과 영국음악을 추방하는 적성음반 일소 운동 그리고 악극단과 공연단의 공연 전 실연을 통한 사전검열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대중음악 검열을 통해 대중음악 속에 숨어 있는 정치성과 시대에 관련된 총체적인 관점, 지배이 데올로기가 반영된 당시 지배양식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를 일 제강점기 이전시기, 제1기 무단통치시기, 제2기 문화정치시기, 제3기 민족말살통치시기의 4단계로 나누 어 검열이 나타나게 된 그 당시의 상황과 음악관련 검열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특징들을 면밀히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당시 음악검열에 적용된 법률을 연구자가 모두 수집하고 정리하여 일제강점기 지배이 데올로기가 반영된 음악검열의 개념과 상황, 규모에 대해 알아보고 시대별 전개를 통한 음악검열의 특징 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aesthetic view is that music should pursue purity and be free in politics, economy, etc. However, the ruling forc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era ignored the basic nature of music and began to deal with it poli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situation at which music control emerged through the period classific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usic-related censorship system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stitutional controls. First of all, the classification by period was classified as the period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the period of unauthorized rule from 1910 to 1919, the period of cultural rule from 1919 to 1931, and the period of national extermination from 1931 to 1945. Before Japanese colonial era, anti-Japanese movement songs, music textbooks, singing books, and songs were controll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ced and violent sanctions by military polices on banned songs and performances took place, as well as the Chosun Government-General's control of music textbooks for the colonial policy, the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military songs, the control of religious music, and the censorship of schools songs, campaign to expel American and British music, and pre-screening through performances by musical bands and performer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litical nature of popular music, the overall perspective related to the times, and the nature of the ruling style that reflects the ruling ideology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popular music control policy.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국가 역법과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 -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을 중심으로 -

        안주영(An, Ju Young)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개항 이후 1896년, 서구의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이 도입되며 국가의 시간체계는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서구의 태양력이라는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기에 들어서며 국가경축·의례일은 역서에 공식적으로 표기된 중요한 국가의 시간으로 더욱 부각되었으며, 매년 발행되는 국가 역서의 시간은 도시민의 일상을 새롭게 규정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1911년부터 1936년까지는 『조선민력』이라는 이름으로, 1937년부터 1945년까지는 『약력』이라는 이름으로 해마다 역서를 발행하여 배포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는 국가의 시간에 의한 규제로서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서구 근대 양력의 도입과 더불어 황국신민화 정책과 결합된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로서 식민지 국가의 역법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국가 시간의 질서를 대중화·일상화 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편찬·반포한 일제의 양력 역서에서는 ‘황국신민’을 위한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전면에 가장 강조되어 표기되었다. 일제강점기 전반의 국가 시간을 규정한 『조선민력』은 전통과 근대가 혼재된 달력이자 과도기적인 달력이었고, 태양력과 함께 일요일과 일제의 국가축제일을 전면에 내세운 식민지 국가의 공식적인 달력이었다. 『조선민력』에서는 기존의 태음태양력을 ‘구력(舊曆)’으로 규정 지으면서도 양력과 병기하여 기재함으로써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유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일제의 국가 역법체계는 일제강점기 후반인 1937년에 『조선민력』에서 『약력』으로 전환되며 크게 변동되었다. 『약력』에서 태음태양력의 날짜는 축소·삭제된 반면, 기존의 국가축제일에 더해 새로운 국가기념일들을 대거 추가시켰으며, 일제가 내세운 황국신민화 정책, 국가 의례와 관련된 각종 부록들을 새로 추가시키기에 이르렀다. 조선총독부는 해마다 조금씩 역서의 내용과 구성을 수정해나가며 일제의 황국신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 이데올로기를 역법 체계에 직접적으로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의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근대의 새로운 역법인 태양력의 이중적인 시간 구조는 『조선민력』에서 두 개의 시간체계로서 공존하고 있었으며, 새롭게 등장한 일제의 국가축제일은 새로운 국가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후 새롭게 재편된 역서인 『약력』에서는 일제의 ‘황국신민’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더욱 직접적으로 반영된 태양력의 시간으로 일원화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국가의 표상으로서 일제의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새로운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In 1896 with the port opening, the Gregorian calendar (the Western solar calendar) was introduced, and the national time system came to have a dual time structure: the traditional lunar-solar calendar and the Western solar calendar. In 1897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the national ritual days became more prominent as an important national time officially marked in the almanac. The time of the national almanac published every year has begun to define the daily life of city dwellers agai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almanac every year under the name of “The Joseon People’s Calendar(朝鮮民曆)”(1911~1936) and “The Simple Calendar(略曆)”(1937~1945).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ried to promote the new order of popular and ordinary national time by forming a calendar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as an ideological time system combined with the imperial deification polic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Western calendar. In the Japanese colonial calendar compiled and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for th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were mostly emphasized and marked on the front. 『The Joseon People’s Calendar』, which regulated the national time of the first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transitional calendar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calendars are mixed. It was the official calendar of the colonial state that emphasized the solar calendar, Sundays and the Japanese national festival days.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the existing lunar-solar calendar was defined as ‘the old calendar’. However, it maintained a dual structure of time by marking the old calendar together with the solar calendar. Such a national calendar system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greatly in 1937,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Simple Calendar』, the lunar-solar calendar dates were reduced or deleted. On the other hand, new national anniversaries were ad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ional festival days. Furthermore, various annexes related to colonial policies of subjecting to Japan and national rites were newly add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attempted to directly reflect the national ideology centered on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calendar system by revising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almanac little by little each year. The dual temporal structure of the lunar-sol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became a unified time that more directly reflected the national ideology of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Simple Calendar』. At the center of the ideological time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ere defined as the modern solar calendar, were positioned as nation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학 작품의 도시 빈민가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 김사량의 소설 『토성랑』을 중심으로

        이동민(Dong-mi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1

        본 연구는 김사량의 소설 『토성랑』의 일제강점기 도시빈민가 재현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토성랑』은 일제강점기 평양에 실재했던 도시빈민가인 토성랑을 장소적 배경으로, 일제강점기 도시빈민들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따라서 『토성랑』은 일제강점기 도시빈민가라는 장소와 그 경관을 재현한 문학지리 텍스트로서 문학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문학 텍스트 분석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질적연구 방법론인 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하여, 『토성랑』의 텍스트가 도시빈민가 토성랑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성랑』의 문학지리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3개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토성랑 빈민가는 식민지 조선인이 일제강점기의 부조리한 사회 구조로 인해 도시 빈민으로 몰락하는 장소의 의미를 가진다. 둘째, 토성랑 빈민가는 도시빈민들이 주류 사회로부터 차별받고 배제되는 장소인 동시에, 빈민들 간의 반목과 갈등이 일어나는 장소로도 재현된다. 셋째, 토성랑 빈민가는 일제강점기 도시 빈민들의 불행한 삶과 파국적인 운명을 강요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일제강점기 문학, 그리고 빈민 문학을 중심으로 문학 작품에 대한 문학지리적 접근과 관련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urban squatters during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Saryang Kim’s novel Toseonglang. The novel describes the life of the urban poor who lived in Toseonglang, a shanty town that existed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Toseonglang is possibly a significant literary geographical text representing the location and landscape of urban squatter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representation of the urban squatter in the text of Toseonglang was analyzed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The results revealed three themes to interpret the literary geographical meanings of Toseonglang. First, the Toseonglang squatter symbolizes a place in which the Joseon people degenerated into urban poor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econd, Tosenglang is represented as a pl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urban poor and mutual conflicts between them. Third, the squatter embodies a place that led to the unhappy lives and the collapse of the urban po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terary geographic discussions toward novels, particularly those published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ose on the poor, are meaningful.

      •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안주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0

        전통적으로 단오에 행해지는 의례들은 한국의 근대화과정, 국가의 공휴일 정책의 변화로 인해 대부분 변화되거나 소멸되었다. 특히, 농업의 세시주기에 의존하는 농촌의 농민들과는 달리 다양한 생업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도시민들에게 일상의 세시주기는 국가의 시간정책에 의해 크게 변화될 수밖에 없었다. 전통적으로 단오에는 많은 의례가 행해졌다고 기록되는데, 일제강점기 서울(경성)에서 단오는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세시의례와 놀이가 행해져왔으며, 도시의 지역축제로서 점차 발전되어갔다. 지금은 음력 오월 오일인 단오가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의 위치를 많이 상실했으나, 한국의 4대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는 일제강점기에 중요한 세시풍속으로 자리매김해갔으며, 일제강점기의 각 시기별로 지속과 변화를 겪어왔다. 본고에서는 식민지라는 상황속에서도 고래로부터 이어온 전통적인 세시풍속으로서 단오를 지켜온 서울(경성)인들의 단오날의 풍경을 당시의 신문, 잡지들 중 세시풍속 관련 기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던 『매일신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의 단오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 1925년부터 1933년까지는 단오 지역축제의 절정기로 전국에서 크고 작은 지역축제가 활발히 개최되었다. 먼저 1910년대는 일제의 무단통치기로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기까지 경성의 단오는 남묘와 동묘를 중심으로 그네뛰기와 씨름대회가 개최되었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거나 단오빔을 입고 참배를 하는 등 세시의례가 행해지는 세시명절로서 기능하였다. 1920년대의 문화정치기에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한국어 신문 발행이 허가되면서 조선의 전통 세시명절인 음력 단오절의 각종 행사와 축제들이 매년 보도되었고, 단오 관련 행사는 각종 신문사나 각 지역의 여러 단체들로부터 후원을 받거나 주최가 되어 개최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과 민족말살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음력 단오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가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전쟁의 그림자가 짙게 밴 1940년대의 경성에서 단오는 더 이상 지역축제로서 기능하지 못하였고, 쇠퇴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비록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단오축제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으나 1940년까지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는 음력 단오절을 맞이하여 씨름대회와 그네뛰기대회를 포함한 각종 크고 작은 세시 행사들이 꾸준히 개최되었고, 경성인들에게 음력 단오는 중요한 세시명절이자 지역축제로 인식되어 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rituals traditionally performed at Dano were mostly changed or destroyed in the cours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due to the national holiday policy change. Especially, people in the cities who have various occupations unlike the farming people in the rural area do not place much importance on the times and seasons. To them national holiday policy is more important than the time and season of the nature. It is recorded that many rituals have been performed in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Keijyo (Seoul), Dano was an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various ceremonial rituals and plays were performed. It became gradually developed into a regional festival of the city. Although Dano, the fifth day of May in lunar calendar, lost its position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now, it used to be one of the four big holidays in Korea.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t became the important seasonal customs and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Maeil Shinbo' and 'Dong-A Ilbo' reported scenery of Keijyo (Seoul) at the seasonal customs most frequently among the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This study looked at the scenery of Dano of people in Seoul (Keijyo) who kept Dano as th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in the colonial situation and analyzed Dano in the occupation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sub-periods. First, in the 1910s until 1919 when the March 1 independent movement took place, it was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e rule of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Dano festival was held in the city center centered on Nammyo and Dongmyo. In the festival Swing Play and Ssireum contests were held. People washed hair with water infused with sweet flags and went to worship dressed up with new dresses called Danobim. In the second period of 1920s (Period of Cultural Policies) the issuance of Korean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and 'Chosun Ilbo' was permitted. In these newspapers, various events and festivals of Dano, a traditional festive holiday of Chosun, were reported annually. Events related to Dano were sponsored or hosted by Newspapers and various local organizations. However, after the mid-1930s,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national extermination policies became enforced in full scale, and negative stories about the Dano festival began to increase. In the 1940s when the shadow of the war is dark, Dano was no longer functioning as a seasonal festival, and had to suffer a decline. However, until 1940, Dano had been celebrated in major cities throughout the country holding various ceremonies, including the Ssireum and Swing contest. As a matter of fact, Dano was re cognized as an important seasonal holiday by people in Seoul (Keij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