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최은령 ( Eun Ryung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1658년) 및 중수(1693년) 발원문이 출토되어,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조선시대 17세기 후반경의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후기 17세기 불상과 양식적 공통점을 찾기 어렵고 조성당시 조각승의 수장이었던 희장(熙藏)의 다른 작품과도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도상특징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불상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밝히고 발원문에 기재된 조각승의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불상과 발원문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선암사 불상은 고려후기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조선전기 15세기 불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의 발원문은 원문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산 선암사에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하고 중수하면서 작성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아미타불상은 1658년에 가덕진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盧즙) 노즙(盧즙)을 위시하여 총 89명의 시주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조각승으로 활약했던 희장을 중심으로 6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1693년 중수에서는 총25명의 시주와 조각승 2인이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선암사 불상과 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은 동일한 제작시기의 것이 아니며, 발원문은 지금의 불상이 아닌 1658년에 부산 선암사에 봉안되었던 아미타불상의 복장발원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의 연구는 조선시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작품과 복장에서 출토된 17세기의 발원문을 통해서, 조각사·문헌사·인물사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조각승 희장과 관련해서 현존작품 이외에도 1658년에 부산 선암사 아미타여래상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부산지역의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불상의 계보와 선암사에 봉안된 연유에 관해서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A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of Sunamsa temple has been enshrined as a central buddha of the main building at Sunamsa temple and have been discoverd that it was made in 1658 and reconstructed in 1593,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around the late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votive documents(發願文). On this thesis, I want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 upon it relationship with the statue itself and votive documents and need to confirm the date it was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reflected this work was influenced by the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scent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with its expressions, clothes, wrinkles as well as its brush techniques. Furthermore, these two votive documents was concluded that Amitabha Buddha was constructed at Busan Sunamsa temple. In other words, Amitabha Buddha was made in 1658 with the donation of 89 people along with No Jeop(盧즙), Navy General(水軍僉節制使) of Busan Gadeokjin(加德鎭) and the reconstruction in 1693 was with the donation of 25 people including 2 sclptures. In the conclusion, votive documents was not of current Busan Sunamsa temple and it was originally from Amitabha Buddha which had been placed at Sunamsa temple. The research of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Sunamsa temple and votive documents was to introduce the new styles of buddhist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type of votive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sclptures` names which could be the key note for the study on the sculptures and various areas. In particular, although any works have not been found by Hee Jang(熙藏), the main sclpture of Busan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so far, new data has been discovered which is votive documents of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This figure of Sunamsa temple is the oldest wooden buddhist sculp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nshrined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fterwards.

      • KCI등재

        금어 일섭의 대구에서 행적 연구

        최은령 ( Choi Eun-ry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금용 일섭(金容 日燮)스님은 한국 근현대기 불교미술사에서 크나큰 족적을 남긴 입지적인 인물이다. 일섭은 불상(佛像), 불화(佛畵), 단청(丹靑) 등 불교미술 전반에서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며 제자 양성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일섭은 자신의 기록이자 작업일지인 『연보』를 오랜 기간 작성하여 남겼다. 『연보』는 그의 작품 활동과 생애, 가족 및 교우,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작품의 소재지와 활동사항을 파악하여 일섭의 작품 연구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섭의 『연보』에 기록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대구에서 행적을 연대별로 정리하여, 일섭이 대구에서 행한 불사내용을 파악하였다. 일섭의 대구지역 행적을 통해 당시 불사의 성격, 작품 제작기간 및 제작과정, 화주, 화원의 구성 등 전반적인 불사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금어 일섭(金魚 日燮)은 1938년부터 1950년대 이전까지 김제 부용사를 거점으로 전라도와 제주도, 경기도, 강원도의 여러 불사를 도맡아 작업하였고. 1950년대부터 말년까지 대구 장수사에 거점을 두고 대구와 부산, 경상도 일대의 불사를 적극적으로 주도하였다. 1950년대 이후 대구 중심의 활동은 일섭이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적인 활동을 가능하도록 작업영역을 확장시켰다는 데에서 의미가 크다. 일섭의 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여러 불사 중에는 점집, 무당집, 수도원, 도덕협회(道德協會)의 신상(神像)제작에 참여한 일이 적지 않았고 또한 석고와 시멘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를 불상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것은 근현대기 화승들이 종교성과 창의성의 경계에서 고민했듯이, 화승 일섭이 1950년대 이후 힘들고 피폐해진 사회상황에서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또 다른 고민의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겠다. Monk Keumyong Ilseob is self-made man who left big footprints in Korean modern Buddhist art history. Ilseob made many Buddhist art works including Buddhist statures, Buddhist paintings, an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did not spare effort to train his followers. He left "Chronology", a work journal recording his works. His "Chronology"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n Ilseob as it helps us to understand his works, life, family, friendship, art world, the location and his activities related to his work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from 1950 to 1970s in his “Chronology” were chronologically summarized to identify what he did in Daegu. Through his activities in Daegu, overall processes of Buddhist servic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ituals at that time, period of production, production process, treasurer of the project and composition of painters could be identified. Keumeo Ilseob worked at various Buddhist services in Jeolla Province, Jeju Island,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based in Gimje Buyong Temple from 1938 before the 1950s. From the 1950s to the end of his life, he led Buddhist service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based in Daegu JangsuTemple. Activities after 1950s based in Daegu are meaningful in that he did not limit his activities to a certain region but to expand it to cover the whole country. Among the Buddhist services Ilseob was involved in, there were statues for shaman’s house, monastery and the Moral Association. He utilized new materials such as plaster and cement to make Buddhist statues. Just as many contemporary and early modern monk painters wondered on the boundaries between religion and creativity, Monk Painter Ilseob had same agony. It seems that those works were result of his agony to come closer to the people in 1950s when life was hard and the neighborhood was war-torn.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문화재

        최은령 ( Choi Eun-r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경상북도 예천(禮泉)은 소백준령의 높은 줄기가 감싸고 낙동강, 내성천이 흐르는 배산임수의 명당에 자리한 고장이다. 자연 그대로의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자연유산, 기록유산, 유적건조물, 무형문화재, 유물 등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예천지역에는 92건 95점(2020.1.1.기준)의 문화재가 국가 및 경북 문화재로 지정되어있으며 이 중 불상과 불화, 탑, 전각 등 사찰의 불교문화재가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예천을 대표하는 사찰 용문사의 보물 대장전과 윤장대가 최근 국보로 통합, 승격되면서 예천지역에서는 첫 국보가 지정되었다. 예천에는 신라 이래 조선시대까지 약 75개의 대소 사찰이 창건되었는데, 20세기 초에는 용문사를 비롯해 10여개의 사찰만 남고 모두 폐사되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사찰령에 의해 1902년 16본산에서 1924년 31본산으로 늘어났고 예천지역의 사찰은 문경 김룡사의 말사로 되었다. 현재까지도 경상북도 예천에는 용문사를 비롯하여 여러 사찰에 중요 불교문화재가 소장되어 있지만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경상북도 예천지역 사찰과 불교문화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였다. 과거의 시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사찰 재산대장을 기록했던 시간이고, 일제강점기의 경북지역 사찰 관련기록은 일제강점기 발행된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와 조선총독부관보 기록이다. 먼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시행했던 불교문화재 조사와 관리에 관련된 주요 행정절차와 법령, 고적조사 등을 통해서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 방향을 파악하였다. 일련의 일본이 실시한 불교문화재 정책은 한국을 식민지로 동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한 것이었고, 사찰의 재산 파악에 목적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문건들을 비교하여 예천지역에 잔존했던 장안사, 용문사, 서악사, 한천사, 보문사, 명봉사 6개의 사찰과 재산목록을 확인하고 당시 사찰의 규모, 불교문화재의 소장 상황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전체적으로 본사 이외 말사의 규모나 재정상태는 매우 열악한 상황이었고, 특히 일본의 전쟁물자 수급을 위한 금속품의 헌납이 전국 사찰에 강행되어 주요 불상 및 불구 등이 이 시기에 사라진 것을 재산목록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이어 현재까지 예천지역에 남아있는 사찰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문화재를 현황을 파악하여, 유실 혹은 도난되거나 새롭게 추가된 문화재의 종합적인 상황을 살펴보았다. 경북 예천지역의 사찰과 사찰문화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3건의 기록을 비교해보면, 『본말재산대장』에서 화엄사가 선암사의 말사로 되어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재산대장은 1911년 사찰령이 공포된 이후 화엄사가 1924년 31번째 본사로 등록되기 전에 작성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현대에 와서 사찰은 변화와 약동을 통해 근대와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되었고 그 사이 사찰의 문화재는 자국인에 의해 또 다른 도난의 피해자가 되었다. 누가 언제 어떻게 사찰문화재가 사라졌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조차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지금도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는 과거 일제강점기의 종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도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또 언제 어떻게 발생할지 모른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도난된 사찰문화재는 그 중요도는 높이 평가할 수 있지만 대부분 문화재로서 지정되지 않은 경우라서, 도난이후 해당 문화재의 평가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기반도 없이 약탈의 대상이 되고 사라져버렸다. 향후 경상북도 예천의 사찰과 불교문화재의 관리와 보존에 관해서 다각적인 모색과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echeon, Gyeongsangbuk-do, is a site located in a famous temple in Baesan-su, which is surrounded by the high stems of Sobaek Ordereong and flows along the Nakdonggang River and Naeseongcheon Stream. Along with its outstanding natural scenery, it has a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natural heritage, documentary heritage, historical buil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relics. The Yecheon area has 92 pieces of cultural assets designated as national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cultural properties, of which Buddhist cultural assets such as Buddhist statues, Buddhist paintings, pagodas and pagoda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The first national treasure was designated in the Yecheon area as the treasure of Yongmun Temple, a temple representing Yecheon, and Yun Jangdae were recently promoted to national treasure. About 75 Daeso temples were built in Yecheon from the Silla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only about 10 temples, including Yongmunsa, were left, and all of them were closed. Japanese colonial era's order of inspection by the General Governor-General of Korea increased from 16 Bon-san in 1902 to 31 Bon-san in 1924, and the temple in Yecheon area became the horse of Kim Ryong-sa Temple in Mungyeong. Until now, Yecheon, Gyeongsangbuk-do has important Buddhist cultural assets in various temples, including Yongmun Templ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give a full view of the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The main building sheds light on the past and present, focusing on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time of the past was whe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corded the property of the temple, and the records related to the templ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written on the documents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Museum and the Chosun Governor-General's Register of Government-General. First, the direc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Buddhist culture policy was understood through major administrative procedures, statutes, and historical surveys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Buddhist cultural assets conduct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Office at Japanese colonial era. A series of Japanese policies on Buddhist cultural assets were used as a way to assimilate Korea into a colony, and aimed at identifying the temple's properties. Japanese colonial era documents were compared to the remaining six temples and properties of Jangan Temple, Yongmun Temple, Seoraksa Temple, Hancheon Temple, Bomun Temple and Myeongbongsa Temple, which were located in the Yecheon area, to identify the size of the temple, the situation of the collec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he characteristics. Overall, the siz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horses outside the headquarters were in a very poor situation, and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compare property lists that Japan's dedication of metal products to supply and demand war supplies was pushed to the national inspection and the loss of major Buddhist statues and Buddhas during this time. Following Japanese colonial era,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the temple remaining in the Yecheon area and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looked at the comprehensive situation of lost, stolen. The temple and temple cultural asset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compare the three records issued by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Joseon at Japanese colonial era to confirm that Hwaham Temple is the horse of Seonamsa Temple in the 'Bonmal Property Register." The property register can be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Hwaham Temple was registered as its 31st headquarters in 1924, after the inspection decree was promulgated in 1911. Coming to modern times after liberation, temples developed into different forms from modern times through change and pharmacology, and in the meantime, temples' cultural assets have become another victim of theft by their own people.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now, as most people cannot even check out the basic details of who disappeared and when and how the temple's cultural assets disappeared. This problem is no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past, but it should be recognized for its seriousness in that it is ongoing and when and how it will occur. In particular, templ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stolen so far can be valued highly, but are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so after the theft, they become the subject of looting and disappear without the foundation for proper evaluation of the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we expect to provide a variety of search and measures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temples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