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예비 교사의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 개발 실행연구 : ‘한국어교수법’ 교과목의 개발 및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study proposed a flipped learning-based teaching method for learners who require practical knowledge,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ies of futur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class development study critically analyzed learners' performance pattern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lasses and reflected on the results to refine the class plan and model.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they have focused either on class development or quantitatively reporting class implementation results. This study adopted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o develop a flipped learning-based teaching method that cultivates the teaching abilitie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he final teaching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reflective reflection and expert consultation, with a focus on learners' responses and class interaction patterns. Challenges were encountered during class implementation, and careful planning and strategies were necessary to motivate learners and foster a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utilizing classroom support tools could activate passive learners' participation and that an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was required to accurately assess learners' achievement.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향상을 위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하여 ‘한국어교수법’ 수업을 개발, 실행하고, 반성적 성찰을 통해 재구성된 수업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실천적 지식이 요구되는 교과목개발 및 운영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 개발 연구는 실제 수업을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수행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수업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환류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을 통해 수업 모형이 정교화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수업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집중하거나, 혹은 수업 실행 결과를 정량적으로 보고하는 데 집중하여 왔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어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교수법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2개 학기에걸쳐 2회 실행하고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 반응과 수업 상호작용 양상 등을 중심으로 반성적 성찰과 전문가의 수업컨설팅을 통해 최종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실행 과정에서 계획 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어려움이 발견되었고, 효과적인 수업 개발을 위해 학습자의 동기를 고취시키고 상호협력적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한 세심한 고려와 장치가요구되며, 성실한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수행 과제의 적정화, 학습자의 성취도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텍스트 매개 영역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와 특성 분석

        박민신,김호정,강남욱,신필여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0 No.205

        본 연구는 유럽공통참조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이하 CEFR)의 매개 활동 중에서 ‘텍스트 매개’에 초점을 두고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텍스트 매개의 하위 영역별 특징과 위계화 양상을 살펴 한국어교육 분야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 매개’는 ‘개념 매개’, ‘의사소통 매개’와 함께 CEFR의 매개 활동을 구성하는 대영역이며, 매개의 가장 본래적인 속성을 견지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이에 ‘텍스트 매개’를 구성하는 하위 영역과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매개는 ‘특정 정보 중계하기, 데이터 설명하기, 텍스트 처리하기, 문어 텍스트를 구어/문어로 옮기기, 노트하기,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 표현하기,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분석 및 비평하기’로 나뉘며, 매개 목적, 대상 텍스트, 언어 양식 등에 따라 그 특징을 달리한다. 둘째, ‘텍스트 매개’의 능력기술문은 ①매개 행위, ②매개 텍스트, ③매개 행위 조건의 세 가지 요소로 대별되며, ②매개 텍스트는 다시 ‘텍스트 유형/장르, 구조적 특성, 주제, 언어적 특성’ 등을 나타내는 하위 요소를 내포하며, ③매개 행위 조건은 ‘상황・맥락, 수준, 제약, 리소스 활용’ 등의 세부 조건을 부연한다. 셋째, ‘특정 정보 중계’는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 ‘데이터 설명’은 도표, 차트, 그림, 기타 이미지 등에서 발견되는 정보 매개, ‘텍스트 처리’는 원본 텍스트에 포함된 정보와 논지를 이해하여 압축하고 재구성, ‘텍스트 번역’은 원본 텍스트의 의미, 정보, 논점 번역, ‘노트하기’는 원본 텍스트의 요점을 포착하여 노트, ‘창의적인 텍스트에 대한 반응, 분석 및 비평’은 상상력과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창의적 텍스트에 반응하고 그것을 분석, 비평하는 매개 활동이라는 각각의 속성에 따라 그것을 구성하는 능력기술문의 세부 요소별, 학습자 수준별 위계화 구조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 매개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텍스트 매개 활동의 구성과 적용의 문제를 ‘매개의 개념과 영역의 확장’, ‘텍스트 매개 언어의 다중성’, ‘텍스트 매개 능력의 위계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stituents, attributes, and hierarchical configurations of descriptors related to ‘Mediating a Text’ and explore their implications for the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on activities i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for Language (CEFR). ‘Mediating a Text’ constitutes a pivotal realm within CEFR’s mediation activities, alongside ‘Mediating Concepts’ and ‘Mediating Communication’ holding a significant position due to its preservation of the core attributes of mediation. Consequently, our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insights into the subcategories and constituents that encompass ‘Mediating a Text’: Firstly, ‘Mediating a Text’ is categorized into ‘Relaying Specific Information, Explaining Data, Processing Text, Translating Text, Note-Taking, Expressing Personal Responses to Creative Texts, and Analyzing and Critiquing Creative Tex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mponents vary contingent upon the purpose of mediation, the mediated text, and the modality of language used. Secondly, descriptors of ‘Mediating a Text’ are structured around three core components: ① the act of mediation, ② the mediated text, and ③ the conditions of mediating. ② The mediated text further comprises sub-components representing ‘Text Type/Gen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bject, and Linguistic Attributes,’ while ③ the conditions of mediating encompass specific factors such as ‘Situation and Context, Language Proficiency, Constraints, and Resource Utilization.’ Thirdly, ‘Relaying Specific Information’ entails the extraction and transmission of specified details, ‘Explaining Data’ involves mediating information presented in charts, graphs, images, and other visual formats, ‘Processing Text’ encompasses the summar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information and arguments within the original text, ‘Translating Text’ involves the translation of information, meaning, and nuances, ‘Note-Taking’ serves the purpose of creating notes based on the information within the original text, ‘Expressing a Personal Response to Creative Texts’ and ‘Analyzing and Critiquing Creative Texts’ involve responding to creative texts with imaginative and culturally significant interpretations and conducting critical analysis. Drawing from the distinctive attributes of each subcategory, hierarch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descriptors related to ‘Mediating a Text’ are designed to align with learners’ proficiency level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features of ‘Mediating a Text,’ this study delves into the issues surrounding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Mediating a Text’ concerning the ‘expansion of the mediation concept and domain,’ the ‘multi-modality of mediated text,’ and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descriptors for mediating a text.’

      • KCI등재

        댓글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박민신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2

        This study insists on the necessity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a reflection of the educational reality focused on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It proposes the usefulness of internet comments, critical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it. The shift in perspective of viewing language as a social interaction and the digital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asily produced and shared, requires learners to have an ability to evaluate, synthesize, and speak out their opinions about social issues. Therefore, this paper argues for the necessity of a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it considers whether comments from online newspaper articles with high authenticity and accessibility and access to various opinions related to the original text are appropriate as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develop critical literacy in existing studies, it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it does not present specific methods for reading texts to the learners and only insist on a justifi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critical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proposed by McLaughlin & Allen(2002) and McLaughlin & DeVoogd(2004), the contents of the five step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sisting of 'explain-demonstrate-guidepractice- reflect’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is shown by applying critical literacy strategies to use comments in newspaper articles for analysis. Finally,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critical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designs using commen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five steps.

      • KCI등재

        '-기 때문에’ 문법 과제의 교수학적 분석

        박민신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3 No.-

        본 연구는 목표 문법의 교육 내용과 과제 간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틀의 탐색과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어느 문법에나 적용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내용과 방법론의 연계가 아닌, 목표 문법의 내재화에 최적화된 방법의 연계를 지향한다. 이에 프락시올로지를 분석틀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기 때문에’ 과제의 교수학적 분석을 통해 과제와 기술의 분포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과제 개발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로 문법 과제는 교육 내용의 내재화를 목적으로 문법 항목별 특화된 교육 내용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둘째로 과제별로 요구되는 세부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기술이 내재화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그리고 고르게 주어져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단순히 과제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제 해결을 위해 요구되는 기술까지도 함께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때 과제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교육 경험의 기회와 제한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교재 분석을 통해 실천적 영역에 제한되어 논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후속 연구를 통해 이론적 영역까지 아우르는 교수학적 프락시올로지를 체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제 학습자들이 겪는 학습 곤란도와 교수자, 연구자 등을 포함하는 누스피어의 협의를 포함하는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박민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2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응집성 중심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휘와 문법의 정확성만큼이나 주제와 관련된 적절한 내용이 긴밀하게 조직되어 있는지, 즉 텍스트의 응집성 또한 좋은 글을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형식적 측면만큼이나 내용적 측면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피드백이 이어져야 한다. 이에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쓰기 피드백의 원리로 주체성, 상호작용성, 구체성을 상정하고, 이들 원리를 실현할 수 있는 쓰기 피드백 모형을 구안하였다. 내용의 적절성은 Levinson의 대화 함축 중 I-원리와 Q-원리에 기반하여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고, 내용이 조직성은 주제부와 설명부를 중심으로 내용 전개의 연쇄성을 도식화한 Daneš(1970)의 주제부 전개 유형 분석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구안된 피드백 모형으로 중급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쓰기 텍스트를 분석하여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쓰기 피드백의 실제를 보였다. 이러한 피드백 모형은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의 피드백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for seeking feedback in coherence of writing text by Korean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writing ability, specific and explicit feedback must be provided about the informational aspect as well as the formal aspects. In order to provide feedback on learer’s text, I designed feedback model based on three principles: independence, interactivity and concreteness. The adequacy of the contents are reviewed that consist of proper contents for subject,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or providing unnecessary information. It could be considered based on Levinson’s conversational implicatures. Also, Daneš(1970)’s analysis, which is schematized on the center thema and rhema, of Thematic Progression Patterns is provided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contents are organized closely or not. Applying these two theory, this thesis provided an objective and explicit feedback to writing text by focusing on coherence which is provided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Eventually, this feedback is expected as a method to improve by diagnosis of learner’s writing ability.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향 : 온라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민신,윤여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of the onlin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Korean teachers.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of onlin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is proposed as follows: (1)in terms of educational purposes,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Korean teachers, (2)considering the in-service teacher in terms of the learning agent, the actual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learning subject-directed learning is necessary, and (3)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distance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al media, it is necessary to activate interaction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learning agent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tate of operation of online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https://kcenter.korean.go.kr),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https://www.sejonghakdang.org), Overseas Koreans Foundation(http://study.korean.net) were reviewed focusing on learning agents, types of lectures, and then contents of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online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that have not received relatively much attention despite the need for systematic discussions on re-education of Korean teachers and the need to devise and implement intensive educational contents.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온라인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토대로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고찰하고,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는 교육의 목적 측면에서 한국어 교사의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다각화를, 교육 대상의 측면에서 현직 교사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의 현장화를, 교육 매체의 측면에서 온라인 원격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주체의 참여 확대를 위한 상호작용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국립국어원(https://kcenter.korean.go.kr), 세종학당재단(https://www.sejonghakdang.org), 재외동포재단(http://study.korean.net)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교육 목적, 교육 대상, 교육 매체를 중심으로 고찰한 후, 현재 운영 중인 교육 프로그램의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와 초점화된 교육 내용의 구안 및 실천의 필요성이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의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였던 온라인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초점화하여 교사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귀국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박민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학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 시절 다양한 언어문화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성장한 후 대학생이 되면서 한국으로 귀국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성찰적 글쓰기의 원리를 제안하고, 실행연구를 토대로 글쓰기 경험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특성을 고찰하였다. 내러티브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기반하여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의 원리를 ‘사건 중심성’, ‘해석의 일관성’, ‘상호작용성’으로 설정하고 한학기에 걸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다중언어문화 경험이라는 단편적 사실만으로 자신을 규정하였던학습자들이 환경과 집단적 특성이 아닌 개인의 역사와 경험에 주목하여 개별 자아의 정체성을 형성해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이 아닌 언어문화권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야 했던 유년 시절의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반추가 한국으로 돌아와서 다시 한 번 느끼는 이질감을 극복하는 데 긍정적인 힘으로 작용하며, 이는 더 나아가 나 자신이 아니라 유사한 경험을 하는 부모와 주변인들의 행동과 생각을이해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1, 131-156. A Study on the Reflective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Narrative Identity of College-aged Returnees. In this study, I proposed the principle of reflective writing to a group of learners, who returned to Korea after spending their childhood in an environment where multi-lingual cultures coexist, and conducted action research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experiences on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Bas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narrative identity, the principle of reflective writing for identity formation was set to “event centrality,” “consistency of analysis,” and “interactions” and writing classes were held. Results showed that, through reflective writing, learners, who defined themselves by the fragmentary experiences of a multi-lingual culture, were able to identify themselves by drawing attention to the history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rather than to the environment and collectiv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concrete rebuttal of childhood experiences of learners who lived as outsiders in a lingual culture other than Korea, played a positive role in overcoming the alienation that he/she once again felt when he/she returned to Korea. This affected the formation of flexible thinking to understand the behavior and thoughts of parents and neighbors with experiences that were different from students’ own.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연결어미 ‘-어서’의 다의성 연구

        박민신 한국어의미학회 2016 한국어 의미학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ysemy of the connective ending '-어서(-eoseo)'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corpus-driven study was conducted as the basis of sejong spoken corpus to understand the actual language usage patterns, and consequently ‘-어서(-eoseo)’, which has distinct four types of senses; ‘precedence’, ‘reason’, ‘background’, and ‘method’, and one indistinct sense ‘purpose’ is verified as polysemy.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sense is not distinguished with clear boundary, but has continuous volumetric properties. ‘-eoseo’ has been extended into ‘reason’, ‘background’, and ‘method’ on ‘precedence’. As a result, this paper is understood the metonymy is act as a synchronization mechanism. Semantically, in this process, temporality is weakened gradually in semantically, and the syntactic constraint gradually eased.

      • KCI등재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학적 변환 양상 연구

        박민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언어와 문화 Vol.15 No.1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anthropological theory of didactics(ATD),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praxeology of ‘scholarly knowledge’ and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 designed as ‘knowledge to be taught’ th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s by dividing them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blocks. To that e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focusing on ‘Is the theory of scholarly knowledge transposed into knowledge to be taught without fragility?’ and ‘Are passive expressions learning successful when all given tasks are performed?’ by dividing into aspects of form, meaning and use. The inductive results delivered in specific statements are as follows. ① The knowledge of form is limited to passive which is produced by suffix ‘-i/hi/ri/gi’ and ‘-eojida’, ② the knowledge of meaning is presented in a mixture of typical passive and non-typical passive without distinction, and ③ the knowledge of use is limited to presenting basic uses in som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