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外國人 學習者를 위한 北韓의 獨學用 朝鮮語 敎材 分析 硏究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2015)를 中心으로

        오현아,전영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1

        In this paper, "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 which was published in North Korea's Chosun publications export business in 2015, is analyzed by considering 1) the general Korean textbook dimension and 2) the Korean textbook for self study. Respectively.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textual structure of the textbooks and analyzed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textbooks. In the Korean textbooks for self - study, we conducted item - based analysis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extbook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rough analyzing the above textbooks, we have been able to grasp the nature of the textbooks by approaching the status of Korean textbooks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from the level of general Korean textbooks and Korean textbooks for self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textbook on how the actual learners will be able to use the textbooks and how much communication skills they will be able to use will be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learners who have directly used the textbooks. I hope that the discussion will follow. 오현아․전영근, 2019,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북한의 독학용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 어문연구, 181 : 309~351 이 논문에서는 2015년 북한 조선출판물수출입사에서 간행한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1, 2 를 대상으로 1)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과 2)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을 함께 고려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 교재의 의적 구성 분석과 내적 구성 분석을 진행하였고,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학용 교재 평가 기준을 항목화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교재 분석을 통해 우리는 최근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현황을 일반적 한국어 교재 차원과 독학용 한국어 교재 차원에서 접근하여 교재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제 학습자가 이 교재를 활용하여 어느 정도의 조선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재의 효과성 문제는 이 교재를 직접 사용한 학습자와의 면담을 통해 그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오현아,김지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language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narratives of the learning biographical approach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as a textual analysis technique.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a learning biographical approach to analyzing the language liter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Chapter 3 attemp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life history based on a prior survey, negative interview, and supplementary survey of 10 North Korean defectors attending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while Chapter 4 conducted an analysis of language patterns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three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tudy life stor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apturing the life and learning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eparated by 1) cognitive level and 2) affective level. Second, on a cognitive level, four topic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1) the degree of school education experience in North Korea, (2) the duration of transit to other countries, (3) the status of learning experience in transit countries, and (4) whether or no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experience in South Korea. Third, on a affective level, three topic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were compiled: (1) experience in writing assessment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due to North Korean accents; (2) anxiety about possible social adaptations in South Korea; and (3) whether or not they were accompanied by family members. In Chapter 4, the results of language literacy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language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was presented first by distinguishing between 1) universal language literacy problems that could appear the same to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 language literacy problems according to the special variant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Second, the three-stage structure of introduction, main theory, and conclusion was same thing with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1) lack of general-level language literacy, 2) lack of ability to outline, 2) lack of understanding of self- thought or argument. Third, as for the language literac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al variable of a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 it presented a critical writing culture due to 1) difficulties caused by differences in terminology in inter-Korean textbooks; 2) differences in literary literacy due to differences in literary reading experience;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ocial system. 이 연구에서는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서의 질 적 내용 분석에 기반해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을 위한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의의를 살핀 이후에, 3장에서는 서울 소재 A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탈북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내러티브 인터뷰, 보충 설문을 바탕으로 학습생애사 결과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3장의 탈북 대학생의 학습생애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삶과 학습을 포착하는 개념으로 1) 인지적 차원과 2) 정의적 차원을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둘째, 인지적 차원에서는 (1) 북한에서의 학교 교육 경험 정도, (2) 타국 경유 기간, (3) 경유 국가에서의 학습 경험 여부, (4) 남한에서의 초중고 학교 교육 경험 여부의 4가지 주제어를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셋째, 정의적 차원에서는 (1) 북한 사투리로 인한 남한 대학 내 글쓰기 평가 감점 경험, (2) 남한 사회 적응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 (3) 가족과의 동반 여부라는 3개의 주제어를 도출해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은 우선 1)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문식성 문제와 2)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차원의 언어 문식성 문제로는 1) 개요 짜기 능력이 미비한 경우, 2)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 3) 서론-본론-결론의 3단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를 제시하였다. 셋째,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으로는 1) 남북한 교과 전문 용어 차이로 인한 어려움, 2) 문학 독서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학 소양의 차이, 3) 북한의 사회 체제 특성으로 인한 비판적 성향의 글쓰기 문화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한중 영화 속 말차례 가지기 양상에 대한 비교 언어문화적 고찰

        오현아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6 No.-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중 두 나라 언어에 대한 대조 분석적 연구나 오류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언어 교육의 중요한 영역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면대면 상황에서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에 도움을 주는 담화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비교 언어문화적 관점의 담화분석 연구에 관심을 돌릴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한․중 두 나라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비교 언어문화적 접근의 하나로 한․중 두 나라 영화를 대상으로 말차례 가지기 양상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제 담화를 이용한 분석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나, 자로 수집과 분석의 제한점으로 인하여 실제 담화 형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는 영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인물의 등장과 스토리 전개가 기반이 됨으로써 언어문화적 차이 외에 다른 요인들이 변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국의 <동감, 2000>과 이를 리메이크한 중국의 <정견일선(Sky of Love, 情牽一線, 2003)>을 대상으로 삼았다. 영화 속 말차례 가지기 양상 분석의 결과, 중국 영화 속의 인물은 화자 중심의 직접적인 언어적 표현을 구사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말차례 가지기를 실현하는 반면에, 한국 영화 속의 인물들은 화제를 유지하기나 전환할 때 이를 짐작할 수 있는 담화 표지를 사용함으로써 청자 중심의 간접적인 완곡한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한․중 언어문화의 차이가 말차례 가지기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하나마 살펴보는 작은 시도를 통해, 우리는 한․중 언어문화 차이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두 언어권 화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담화 전략으로 기능하기를 기대한다. Previou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ostly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or error analyses. Such studies are obviously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education. However, we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discourse analysis from a comparative language‐cultural viewpoint that can derive discourse strategies for fostering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in face‐to‐face situations. Recognizing the necessit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turn taking in Korean and Chinese movies as a comparative language‐cultural approach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t may be ideal to analyze real discourses, but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ovies, whose form of discourses is considered similar to that of real discourses. In addition, we chose Korean movie Ditto(동감, 2000) and its remade Chinese movie Sky of Love(情牽一線, 2003),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s and story, so that factors other than language‐cultural differences may not work as variable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atterns of turn taking in the movies, characters in the Chinese movie used speaker centered direct linguistic expressions and implemented turn taking in a way of manifesting the speaker’s position. On the contrary, characters in the Korean movie used hearer‐centered indirect periphrastic expressions with discourse indexes suggesting the maintenance or switch of topics. As presented above,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see how language‐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ffects the pattern of turn taking.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language‐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based on that, to develop effective discourse strategies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akers.

      • KCI등재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김지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20

        Purpose:Th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linguistic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ways to support their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s: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ith 10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private university in Seoul, and collected and analyzed more than two reports of liberal arts and major classes they prepared. It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Ph.D. graduate student who can report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language literacy education as the background of a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nguistic literacy. Results:As a result of language literacy analysis,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ed problems with language literacy due to ‘lack of basic literac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classics, differences in inter-Korean language culture, lack of structured writing education experience,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genre characteristics’. Conclusion:This study promoted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posed specific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for them. 목적:이 연구는 탈북 대학생들의 언어 문식성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 대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대학 교육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서울 소재 A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탈북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이 작성한 교양 및 전공 수업의 보고서를 2편 이상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배경으로서의 북한의 언어 문식성 교육 특성을 보고해 줄 수 있는 박사과정 대학원생 1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언어 문식성 분석 결과, 탈북 대학생들은 ‘기초 문식성 부재, 고전에 대한 이해의 차이, 남북한 언어 문화 차이, 구조화된 글쓰기 교육 경험의 부재, 장르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언어 문식성의 문제를 보였다. 결론:이 연구는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그들에 대한 대학 차원의 구체적인 지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오현아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In the discussion of unification preparation education, this paper started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not only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at the macro level, but also discussion of the related textbook jargon or concept language, microcosmically responding to the core content of teaching by individual subject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prior study on 'specialization terms', and Chapter 3 examines the ne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inter-Korean textbooks compared to unification, and the need for meta-analysi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each subject. And in Chapter 4,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ms specializ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two Koreas, focusing on grammar textbooks in high schools. In Chapter 2, previous studies on "specialized terms" were divided into 1) prior studies of "specialized terms" between the two Koreas on a academic level and 2) prior studies of "special terms" between the two Koreas on an educational level. Chapter 3, Section 1, the necessity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rms specialize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ubjects against unification: 1) Chinese, foreign language-oriented Korean, native North Korean language-oriented terminology, and 3) Korean language-only terms for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s middle-class status in the division situation. Section 2 discussed the need for meta-analysis of the discussion on comparative analysis of terminology in each subject, and emphasized the need to finally prepare the <Comparison Dictionary of North and South Korean specialized terms>. In Chapter 4, compared and analyzed the terms specialized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unification, focusing on the terms of the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이 논문은 통일 대비 교육 논의에서 거시적인 수준의 교육과정 논의와 더불어 미시적인 수준에서 개별 교과별로 교과의 핵심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관련 교과 전문 용어 혹은 개념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4장에서는 고등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1) 학술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 2) 교육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을 1) 한자어, 외래어 중심의 남한 교과 전문 용어와 고유어 중심의 북한의 교과 전문 용어, 2) 의미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과 전문 용어, 3)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위상으로서의 중국 재외 동포 조선어 교과 전문 용어로 구분하여 논의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각 교과별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논의에 대한 메타 분석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남북한 교과별 전문 용어 비교 사전>을 마련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중등 문법 용어를 중심으로 통일 대비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글쓰기 교재 분석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글쓰기1, 2(류학생용)』(2013)을 중심으로

        오현아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18

        South Korea's research on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is accumulating to some extent, bu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writing textbooks published by Kim Il Sung University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s currently not conducte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how writing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and conduct a full-fledged textbook analysis using Writing 1, 2 (for foreign Students) (2013)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id-2010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Writing 1, 2 (for students) (2013)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grammar as a basic knowledge of writing, and an integrated approach to writing and grammar areas from a functional grammar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ocess-oriented writing textbook that expands from "sentence writing" to "paragraph writing" and "writing according to narrative type." In addition, not only everyday writing types but also writing types for academic purposes in specific major fields were presented, suggesting that the purpose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was not only for general purposes but also for academic purposes.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writing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hile boosting academic discussions in this field. .

      • KCI등재

        의미 기능 중심의 ‘관형절+의존 명사’ 구성의 문법 교육 내용 구성 탐색 - 관형절, 명사절, 부사절을 중심으로

        오현아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11

        In this study, paying attention to 'dependence' of 'dependent nouns' and 'dependence' among 'nouns'. Whether to view 'conjunctive clause + dependent noun' as 'noun clause' was investigated. When these ''adjective clause + dependent noun + adverb investigation' are combined, it can be regarded as 'adverb clause' and whether the preceding clause before dependent noun is limited only to adjective clause. We wan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his search is to secure the explanatory power of grammar based on the learner's actual language reality, not the 'language in the museum', and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accumulating grammar knowledge as an object of memorization, the learner pays attention to the actual language phenomenon and utilizes his/her own grammar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grammar ability to explain this. .

      • KCI등재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

        오현아,강효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3

        This paper tries to tackle the possibility of the composition of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janha(yo) and –geodeun(yo). First of all,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with focus on 1) life rather than knowledge grammar, 2) language users’ intentions rather than linguistic forms, and 3) communications among language users rather than linguistic systems. In addition, as sentence ending expressions used frequently in place of –a/eo(yo), –janha(yo) and –geodeun(yo) can be said to be grammatical forms effective in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in that they have various meanings and functions while allowing speakers to reveal their feelings or attitudes toward hearers. Also, based on the fact that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do not exist independentl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dividual subjects or area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janha(yo) and –geodeun(yo)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the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본고에서는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해 ‘-잖아(요)’와 ‘-거든(요)’를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문법 교육에서 인성 교육 내용은 1) 지식 문법 중심이 아닌 생활 문법 중심으로, 2) 언어 형태 중심이 아닌 언어 사용자 의도 중심으로, 3) 언어 체계 중심보다는 언어 사용자 간 소통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특별히 ‘-잖아(요)’와 ‘-거든(요)’는 구어에서 ‘-아/어(요)’를 대신하여 자주 사용되는 문장 종결 표현으로서 화자의 청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 등을 드러내면서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법 교육 내 인성 교육 내용 구성에 효과적인 문법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잖아(요)’와 ‘-거든(요)’에 대한 교육 내용은 인성 교육 내용이 개별 교과 혹은 영역의 교육 내용과 별개의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문법 교육 안에서 인성 교육 내용의 실현태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축성 전자패키징용 강성도 국부변환 polydimethylsiloxane 기판의 탄성계수

        오현아,박동현,한기선,오태성,Oh, Hyun-Ah,Park, Donghyeun,Han, Kee-Sun,Oh, Tae Sung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2 No.4

        In order to apply to stretchable electronics packaging, locally stiffness-variant stretchable substrates consisting of island structure were fabricated by combining two polydimethylsiloxane elastomers of different stiffnesses and their elastic moduli were characterized as a function of the width of the high-stiffness island. The low-stiffness substrate matrix and the embedded high-stiffness island of the stretchable substrate were formed by using Dragon Skin 10 of the elastic modulus of 0.09 MPa and Sylgard 184 of the elastic modulus of 2.15 MPa, respectively. A stretchable substrate was fabricated to be a configuration of 6.5-cm length, 0.4-cm thickness, and 2.5-cm width, in which a high-stiffness Sylgard 184 island, of 4-cm length, 0.2-cm thickness, and 0.5~1.5-cm width, was embedded. The elastic modulus of a stretchable substrate was increased from 0.09 MPa to 0.16 MPa by incorporating the Sylgard 184 island of 0.5-cm width to Dragon Skin 10 substrate matrix. The elastic modulus was further improved to 0.18 MPa and 0.2 MPa with increasing the Sylgard 184 island width to 1.0 cm and 1.5 cm, which were in good agreement with values estimated by combining the Voigt structure of isostrain and the Reuss structure of isostress. 신축성 전자패키징에 응용하기 위해 강성도가 서로 다른 polydimethylsiloxane 탄성고분자인 Sylgard 184와 Dragon Skin 10을 사용하여 섬(island) 구조가 삽입된 강성도 국부변환 신축성 기판을 형성한 후, 강성도 국부변환부의 폭에 따른 기판의 탄성계수를 분석하였다. 기판 기지로는 탄성계수가 0.09 MPa인 Dragon Skin 10을 사용하였으며, 기판 기지 내에 삽입되는 강성도 국부변환부는 탄성계수가 2.15 MPa인 Sylgard 184로 형성하였다. 신축성 기판의 형상은 길이 6.5 cm, 두께 0.4 cm, 폭 2.5 cm이었으며, 중앙부에 길이 4 cm, 두께 0.2 cm, 폭 0.5~1.5 cm인 강성도 국부변환부를 삽입하였다. 폭 0.5 cm의 Sylgard 184를 Dragon Skin 10에 삽입함에 따라 기판의 탄성계수가 0.09 MPa에서 0.16 MPa로 증가하였다. Sylgard 184의 폭을 1.0 cm 및 1.5 cm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기판의 탄성계수가 0.18 MPa와 0.2 MPa로 증가하였으며, Sylgard 184 강성도 국부변환부의 폭에 따른 기판 탄성계수의 변화는 등변형률의 Voigt 구조와 등응력의 Reuss 구조를 조합하여 예측한 값과 잘 일치하였다.

      • KCI등재

        중국 패션시장 공략을 위한 하얼빈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 변화 추이 분석 -2016년~2018년 S/S를 중심으로-

        오현아,배수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Koran fashion companies entering China by examining the fashion style and the trend of color change that satisfy the needs of Balinghou(80 after) and Jiulinghou(90 after) generations who leading the Chinese fashion customer market. To this end, it was researched through the data of the street style that captured for 3 years from 2016 to 2018 in Harbin. Then it was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and sty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eet styles from 2016 to 2018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verall fashion style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tyle by women for last 3 years was the easy casual style. The easy casual and romantic style stay increasing trend while the wearing rate of the classic, feminine, and character casual style tends to show decreasing. In the clothing colors, the women in Harbin preferred black most, and i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achromatic color is steadily high. When it comes to the wearing rate of clothing tone, P and Vp tones showed high, and gener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figure of bright tone was higher. Second, the fashion items with the highest preference tendency from 2016 to 2018 was T-shirts, shorts, straight pants, sneakers, and cross-bag. Generally, it found that it was enjoyed wearing a simple and coolish style suitable for summer and preferred the coordination with the both of activity and functionality by matching items such as sneakers and cross-bag. Third, in the trend of clothing colors, each item colors were not changed, White for top, B color for bottoms, Multi color for one-piece dress, Black for bag, and White for shoes for three years. The preference tendency of white top and B color bottoms is thought to reflect the trend of Harbin women prefer to wear blue jeans along with seasonality of summer. 본 연구에서는 중국 패션 소비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세대의 요구에맞는 패션 스타일과 색채 변화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중국에 진출 중인 한국 패션업체의 디자인 경쟁력을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문헌을 고찰한 후 중국 현지에서 촬영된 2016년부터2018년까지의 3년 간 스트리트 스타일 자료를 연도별, 스타일별로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3년간 스트리트 스타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패션 스타일과 의복색을 분석한 결과 하얼빈 여성들이 지난 3년간 가장 높은 빈도로 선호한패션 스타일은 이지캐주얼이었다. 구체적으로, 이지캐주얼 스타일과 로맨틱 스타일은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클래식 스타일과 페미닌 스타일, 캐릭터캐주얼 스타일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 의복색에 있어서는 3년 간 하얼빈 여성들이 선호하는 의복 색상은Black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무채색의 빈도가 꾸준하게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의복 톤은 P톤과 Vp톤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밝은 톤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높은 선호 경향을 보인 패션 아이템은 티셔츠, 쇼트 팬츠, 스트레이트 팬츠, 스니커즈, 크로스백이었다. 일반적으로 계절에 적합한 시원하고 단순한 아이템들이 활동성과 기능성 위주로 코디네이션 된 경향을 보였다. 셋째, 아이템별 의복색은 3년 동안 톤의 변화 이외에 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의는 주로 White, 하의는 B색상, 원피스는 Multi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가방은 Black, 신발은 White가 3년 동안 가장 높게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상의의 White와 하의 B색상의선호 경향은 여름이라는 계절성과 함께 하얼빈 여성들의 청바지 선호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