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신계수,권승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5

        This study examined what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in the grey job project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and verified the effect the participant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project business effectiveness ultimately by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the source data of the senior job project old participant status survey of the Korea senior manpower development center which was conducted in 2013, and the non-proportional stratification sample extracting method was used which considered the project type, regional size, and cities/provinces. Sejong City was excluded from the survey target and the survey targeted 2,005 persons except for non-response or response-irrelevant persons concerning this study question. The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apprehen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tudy target. Also,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senior job project,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senior job project.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effects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both interest level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job utilization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ffect, and the interest level of the educational contents had a significant level on the physical/social effect, and the job utilization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effect. Second, in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the job satisfaction level was confirmed the job satisfaction level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psychological/physical/social effect. The job satisfaction level was confirmed the job satisfaction level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economic effect. Also, The job satisfaction level was confirmed the job satisfaction level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e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had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Consequently,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with the demand of job participants will have to be developed and the exclusive manpower must be arranged to conduct the education effectively. Also, making participants feel a pride on the job fully will largely contribute to raising the business effectiveness because the job satisfaction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서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참여자 교육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처 궁극적으로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수행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유형, 지역규모, 시도 등을 고려한 비비례층화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에서 세종시는 제외하였으며, 이들 중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항에 무응답 또는 응답 비해당자를 제외시킨 2,0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 심리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와 교육의 직무 활용도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사회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효과에는 교육의 직무 활용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심리적·신체적·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자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참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사업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활만족도가 첫 일자리 직무ㆍ전공 적합성, 직업가치, 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선,송지훈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2

        한국 취업시장의 문은 날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청년들은 성공적인 일자리를 얻기 위해 대학 학 점을 관리하고, 고 스펙을 쌓는 등 취업 준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하지만 취업을 준비하던 기간이 무색할 만큼 입사 직후 이직을 희망하거나 조기 이직을 감행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개인은 끊임없이 자신의 진로와 직업을 탐색해야 하는 현실과 맞물려 이직 률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인들은 단순히 성공적인 취업 방법에 초점을 두기보다 입사 이후 직장의 만족도로 이끌며, 지속적인 경력개발을 위해 개인이 지닌 직업에 대한 가치가 무엇인지 정 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 상 자신과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직업을 탐색하고 선택하여 종사하기 시작 하는 단계인 청년기를 중심으로, 청년기 이후의 삶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상향전이이론, 직업탐색이론, 사회정체성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활 만족도, 첫 일자리 직무 전공 적합성, 직업가치, 현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를 밝혔고,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첫 일자리 직무 전공 적합성과 직업가치는 대학생활만족도와 현 일자리 만 족도의 관계를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 탐색 및 확립 시기에 있는 청년들의 진로발달에 있어 성공적인 사 회진출로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과 기업의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첫 일 자리에서의 직무 경험과 직업가치가 이후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s the job market of Korea get narrower day by day, young people spend a lot of time, effort, and money in preparing for successful employment, such as managing college credits and actively participating outside activities. However, it is often seen that they have intention to quit or turnover immediately after joining the company, as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overshadowed. Also, as the concept of lifelong work disappears, the turnover rate is steadily increasing in line with the reality that individuals must constantly explore their careers. In these situations, it is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know exactly what the value of an one's job is for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which leads to job satisfaction after entering the company,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successful employment way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youth between the ages of 19 and 34, which is the stage of exploring and selecting jobs that are suitable for them during the life cycle. Based on bottom-up spill over theory, job search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we explored not only the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the career development of life after graduation and youth. Using SPSS process Macro, first job-major fit and job value had a dual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nd job satisfaction. A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at serves as a bridge to successful social advancement for young people in the period of exploring and establishing career values, our findings will suggest the challenges of universiti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 experience and job value in the first job.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괜찮은 일자리, 직무만족, 생활만족도 간의 종단적 영향 관계 분석

        오소윤 ( Oh So-yun ),이수용 ( Lee Soo-y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직장 복귀형태에 따른 괜찮은 일자리와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의 차이와 이들 변수 간 구조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자료 및 표본은 산재패널조사 1∼3차년도의 자료를 이용, 총 645명(원직장 414명, 재취업 231명)을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결과에서 원직장 복귀를 한 산재근로자가 재취업 산재근로자에 비해 괜찮은 일자리,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괜찮은 일자리 초기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초기치는 높았으며 괜찮은 일자리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도 빠르게 증가 하였고, 직무만족도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의 초기치가 높았으며, 직무만족도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 역시 빠르게 증가하였다. 통제변수의 영향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괜찮은 일자리 초기치가 낮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괜찮은 일자리 초기치가 높았으며, 재취업을 경우 괜찮은 일자리 초기치가 낮았다. 또한 연령이 많을수록 괜찮은 일자리 점수의 증가가 느렸으나, 재취업의 경우에는 괜찮은 일자리 점수의 증가가 더했으나 이는 재취업의 경우 원직장 복귀에 비해 괜찮은 일자리 초기치가 매우 낮았기 때문이다. 직무만족도 초기치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았으며, 직무만족도의 변화율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만족도의 감소가 덜했다. 또한 여성의 경우 생활만족도의 초기치가 남성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도는 괜찮은 일자리와 생활만족도를 완전매개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율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 job,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 return type of injured workers. Data and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MLGM) for 645 persons (414 original workplace, 231 reemployment workplace) using data from the 1st∼3rd of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who returned to the original workplace from all the results had a better decent job,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workers who were reemployment workplace. Second,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decent jobs, the higher the initial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the number of decent jobs rapidly increased,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d rapidly.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Also rapidly increased. In the effect of control variables, the older age, the lower the initial value of decent job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decent jobs. Also, the older the age, the slower the increase in decent job scores, but in the case of reemployment, the decent job scores increased. However, this is because initial reemployment is much lower than original workplace. In the initial level of job satisfaction,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the change rate of job satisfaction, the older the job, the less the job satisfaction decreased. Also, for women, the initial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at of men. Also, job satisfaction is found to full mediate decent job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licies and support are needed to increase the injured workers return rat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injured workers.

      •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순 ( Soon Min ),주리애 ( Ree Aie Ju ),정현필 ( Hyon Pil Jung ),정영주 ( Young Ju Jung ),김미란 ( Mi Ran Kim ),김윤경 ( Yun G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G시 D복지관에 있는 60세 이상 된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로 노인들의 대조군이 없는 현실적인 문제를 갖고 있어 비교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갖고 있지만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참여시키므로 그들을 돕는데 의미를 두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자아인식의 평균이 참여 전3.31에서 참여 후 3.50으로, 자아가치는 참여 전 평균이 3.04에서 참여 후 3.46으로, 자아존중 정도도 참여 전 평균 3.31에 참여 후 3.48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저소득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낮다는 Shim (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했고, 월 사용 지출액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차이가 있다는 Kim2003)의 연구 결과와 월수입이 많은 사람 즉 경제적으로 나은사람이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Kim (2002)의 연구 결과 및 일자프로그램 참여를 여가활동으로 여겨 이에 참여하는 사람이참여하지 않는 경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한 Kim (2007)연구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우울과 역상관관계가 있는데(Park,1993), 본 연구에서 노인들이 일자리에 참여하므로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노후에노인 대상자들에게 여가활동과 소정의 수익을 통해 용돈이나기초생활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받게 된 것이 자아존중감을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점을 볼 때,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자신들의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참여의 욕구도 포함하고 있어 노인에게 일자리 참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소일거리와 여가선용 차원에서도 노인에게 일자리 참여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은 노후의 경제적인 자립생활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있어 일을 통해 보람도 얻고, 단체 활동을 통한 소속감을 가지고 경제활동도 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일자리 참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생활만족도의 변화에서,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평균 3.04점이었고,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평균 3.24점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는데, 이는 일자리 참여자와 비참여자들을 비교 연구한 Kim (2007)과Seo (200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시니어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고 있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Bang (2005)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노인의 사회적 지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Jang, 2006; Kim,2005; Park & Lee, 2006).노인들이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므로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노인대상자들에게일자리를 통해 심리적, 경제적 여건에 도움이 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생활만족 정도를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노후의시간활용 방법에 대한 2004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되는 것이 소득창출 27.8%, 취미활동16.3%, 소일거리 14.5%, 자원봉상활동 3.1%, 자아계발 활동2.4%로 나타났다(Jung et al, 2005). 그러나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우선 노인시장에 유입되는 신규 노동력의 과잉과 기업의 인사정체, 그리고 노인취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서 기능주의적 사회격리이론은 인간의 노화를 기능주의적으로 이해하려는 사회적 편견인데 노인이 반드시 체계적, 생물학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다는 편견으로 인해 노인인력 활용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Jung, 2007). 또한 본 연구 대상자들에게 연구일자리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는데 노인들에게 일자리 참여 자체가 생활만족과 자아존중감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 유형별로는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떤 형태이든 간의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노후 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며, 노년기의 역할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통해 역할상실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Purpose: The effects of job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Methods: Seventy residents of D welfare center located in G city who were >60 yr-of-ag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ERS research tool (Nugent and Thomas,1993; modified by Koh, 2002) was used to assess self-esteem before and after a job participation program. The Cronbach`s αvalue-based reliability of this tool was 0.923 and 0.920 before and after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respectively. Cronbach`s αvalue-based life satisfaction as measured according to Choi (1986) was 0.932 and 0.933 before and after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respectively. Results: The hypothesis that job participation program increases self esteem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The mean self esteem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job program, 3.31 and 3.48, respectively, represented a significant increase. The hypothesis that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increases life satisfaction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The mean life satisfaction index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3.04 and 3.24, respectively, represents a significant increase. Conclusions: Increased job opportunities and income guarantee for adults, particularly the elderly, can increas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 KCI등재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하경분(Kyoung-Poon Ha),주민경(Min-Kyoung Joo),송선희(Sun-Hee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their living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ir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he project on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expressed a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but the level of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that high.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project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living and life. Second, the senior participants who were more grati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and life. Third,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which was par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step up the expansion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order to boost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job content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as well.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특성이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윤주,김여정,김영제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3 地域發展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특성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2개 시에서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참여 특성이 참여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참여 만족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근로 형태의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보다 사회 봉사활동으로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기존의 근로활동에서 벗어나 취미활동, 자원봉사, 사회적 활동 등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참여를 통해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자아실현, 삶의 의미를 완성해 가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노인 일자리 참여기관별 사업 내용에 따라 참여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 기존 참여 기관들이 지역사회에 적합한 맞춤형 노인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 상황이 좋을수록 참여 만족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r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mong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in two cities in Gyeonggi-do,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by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work-based activities and they utilize it as a hobby volunteer and social activity away from their existion work activities.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use it as a means of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realizing themselves and complet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particip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program contents of each elderly employment participating organization, suggesting that existi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customized elderly employment program suitable for commun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better the economic situat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한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강민지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rajectories in older adult’s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how each type has a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ception. For this purpose, the 5th, 6th, and 7th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s used,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wages satisfaction, employment stability,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ork content satisfac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Demographic variables included sex,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total asset and job characteristics variables include occupational status, industry, occupation, weekly working hours, and regularity of working hours. Job recognition related variables are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hours, education-job match, skill-job match, physical job demands, cognitive job demands, and reasons for continuing work. First, a longitudinal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Growth Mixture Model (GMM) to derive the trajectories in older adult's Job Satisfaction, and four types were derived: Increasing, Decreasing, low-level maintenance, and high-level maintenance. After that, a chi-square test, a T-test, and a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he trajectories in older adult's Job Satisfaction,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type of the trajectorie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 and total population assets, the job characteristics in industry, weekly working hours, and regularity of working hours, and the job perception-related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skill-job match and reason for continuing work. This study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rvention of older adults who continue to work in the labor market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ence of potential classes, and the discussion on jobs of older adults does not only increase employment but also expand interest in long-term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obs and the needs of older adults in jobs affect the type of change in old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increasing sustainable employment of older workers and preparing support measures to enable lifelong career development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the long term. 이 연구는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의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이 인구통계학적 특성, 일자리 특성, 일자리 인식과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5차, 6차, 7차년도 자료를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일자리 만족도는 임금,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업무내용,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 5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 총 자산을 확인하였고, 일자리 특성 변인으로는 종사상 지위, 산업군, 직종, 주당근무일수, 근무시간 규칙성을 포함하였다. 일자리 인식 변인으로는 근무시간 적절성, 교육수준 적합여부, 기술수준 적합여부, 육체적업무 필요도, 인지적 업무 필요도, 근로 지속 이유를 포함하였다. 먼저,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의 변화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을 적용하여 종단분석을 하였고, 증가형, 감소형, 저수준유지형, 고수준유지형 4개의 유형이도출되었다. 이후 도출된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일자리 특성, 일자리 인식의 특성을 확인하고자카이제곱검정,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 유형에 중⋅고령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연령과 인구총 자산에서, 일자리 특성은 산업군, 주당근무시간, 근무시간 규칙성에서, 일자리 인식 관련변인은 기술수준 적합여부, 근로지속이유에서 유의미한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는 잠재계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을 지속하고있는 중⋅고령자가 노동시장에서 유용한 인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입하는데 보다 자세히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고령자의일자리 관련 담론이 단순히 고용률을 증가시키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고령자의 일자리의 질적 개선과 적합일자리 발굴 장기적인 경력개발 프로그램까지 관심을 넓히는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의 어떠한 특성이, 그리고 중⋅고령이 일자리에서 어떠한 요구가 있는지 등이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 변화 유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장기적으로 높임으로써 중⋅고령 근로자의 지속가능 고용을 높이고 평생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지원책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직업계고 졸업자의 진로활동과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 만족도의 매개 효과

        전은정,최윤정 교육비평 2023 교육비평 Vol.- No.51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out whether career activities affect job satisfaction while attending high school, and whether college satisfac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argeting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ho decided to go to college. To this end, by using the 2021 Youth Socio-Economic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data of respondents who attend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had college experience and had a current job wer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college exper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career activities (career·vocational·employment counseling) and job satisfac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some high school career activities did not have any direct effect on colleg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policy systems should be improved and high- quality guidance for students who want to go to college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areer guidance teachers for career design and the need for overall inspection of the operation status of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ere mentioned.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을 결정한 직업계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고교 재학 시 진로활동이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둘 간의 관계에 대학 만족도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제공하는 2021년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학한 고등학교 유형이 직업계고이면서 대학 재학 경험이 있는동시에 현재 일자리를 가진 응답자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직업계고 진로활동과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직업계고 진로활동 중‘진로·직업·취업 상담’ 만족도와 일자리 만족도 간 관계에서 대학 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와 직업」 수업’에 대한 만족은 대학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와 직업」 수업’과 ‘진로 및 직업과관련한 특강, 강의, 설명회’ 참여자 데이터를 통해 대학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도에 긍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진로활동 유형 중 체험활동에 해당하는 ‘진로· 직업체험’, ‘학과·전공체험’, ‘진로·직업 관련 특강, 강의, 설명회 참여’ 등은 일자리 만족도 및 대학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다시 말해, 대학 경험의 만족도가 고교 진로활동(진로·직업·취업 상담)과 일자리 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대학 만족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고교 진로활동의 경우 대학만족도 및 일자리만족도에 어떠한 직접적 영향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라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을 위한 정책적 제도 개선과양질의 진학 지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더불어 진로 설계를 위한 진로 지도교사역할의 중요성과 진로 체험활동의 운영 실태에 대한 전반적 점검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 KCI등재

        벤처중소기업 노동자의 일자리 만족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비교 연구

        임진혁,권혁,박성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4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ork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because the change of industrial environment expressed by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thought to affect various aspects of the job of the work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work satisfaction constru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constitut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n) turnover intention) for 200 workers working in SMEs in Seoul (survey period: October to December 2017)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ork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on turnover intention, but the individual constitutional concepts of work satisfaction had differe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temperament commitment, and n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work satisfactio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re only the labor process factors such as the stability of recruitment, hum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HR & organizational factors, respectively. Work satis- faction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reward, personnel organiza- tion, and labor process factor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ing on non turnover intention were labor process factor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non-transition were labor process factors. [Implication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many concepts that satisfy the workers are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arious ways. Therefore, companies should pursue selective and flexible policies with a policy of raising good jobs or work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situation of the company. For example, companies with low job satisfaction need to be interested in HR & organizational factors and labor process factors. Organizations with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need to check compensation levels, HR & organizational issues, and labor process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ers who have high abandonment rates, such as strengthening the value and value of work that workers can obtain. [연구목적]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표현되는 산업 환경의 변화는 노동자의 일자리에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일자리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고자 했다. 한편 기존 연구가 좋은 일자리 혹은 그 만족도와조직 유효성 요인 간의 개별적인 유의성 위주로 분석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일자리만족도 구성개념이 조직 유효성을 구성하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에 각각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비교․분석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 서울 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200명의 노동자를 대상(설문기간: 2017년 10 월~12월)으로 자신의 일자리 만족도와 조직 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의 관계에 대해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자리 만족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일자리 만족도의 개별 구성개념들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비 이직 의도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자리 만족 요인은 고용의 안정성, 조직 내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인사고과의 공정성을 의미하는 인사조직 요인과업무내용 및 조직에서의 발전 가능성과 같은 노동과정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 만족도 요인은 보상, 인사조직, 노동과정 요인들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동과정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노동자의 일자리를 만족시키는 여러 개념들이 조직 유효성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파악했다는 점이다. 이에 기업에서는 자사가 처한 형편과 상황에 따라 좋은 일자리 혹은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는 정책으로 선별적이며 유동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직무만족도가 낮은 기업에서는 인사조직 요인과 노동과정 요인에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조직몰입도가 낮은 조직에서는 보상 수준, 인사조직 이슈, 노동과정 요인에 대한 점검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구성원 이직률이 높은 조직에서는 노동자들이 업무상 얻을 수 있는 보람과 가치를 강화하는 등의 인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자리 만족도와 이직의사 및 이직-청년층을 중심으로

        성지미 ( Jaimie Sung ),안주엽 ( Joyup Ah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2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고학력화와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대졸 청년층이 선호하는 대기업, 금융부문, 공공부문에서 일자리 창출이 줄어들면서 청년층 고용이 심각한 사회현안으로 등장하였고, 노동시장의 비정규직화와 2008년 세계적 금융위기로 청년층 고용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고학력화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더뎌지고 있는 한편 근로조건 등에 대한 불만족으로 첫 일자리 이직이 늘어나면서 ‘고용률 70% 로드맵’(2013년)이나 ‘청년층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2015년) 등 정책방안들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근본적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대졸자의 학교교육-노동시장 이행과정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한국고용정보원)에 포함된 2010년 대학졸업자중 2011년 임금근로자로 취업하고 있고, 2013년 추적조사에 포함된 10,310명을 대상으로 로짓모형을 적용하여 이직의사 및 이직의 결정요인을, 다항로짓모형을 적용하여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의 결정요인을 밝힌다. 일자리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사와 실제 이직이 줄어들고, 특히 청년층에서 이직준비보다는 현재 일자리에서의 인적자 본투자에 집중함으로써 생애 인적자본의 수준이 높아질 개연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일자리 만족도가 이직의사 및 실제 이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일자리 만족도 또는 일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사나 실제 이직 비중이 현저하게 낮아지고, 이직의사가 있을 때 이직 확률과 자발적 이직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직의사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시간당 임금, 근속기간, 근로시간, 기업 규모, 산업과 직종 등 일자리의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 일자리 만족도는 모든 수준에서 이직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만, 일의 수준도나 일의 기술수준도, 전공일치도는 부정적일 때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미친다. 셋째, 실제 이직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이직의사가 실제 이직할 확률을 현저히 높이며, 일자리 만족도가 낮을수록 이직할 확률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마지막으로 이직을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으로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 이직의사와 일자리 만족도는 비자발적 이직보다는 자발적 이직에 더 강한 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일자리 만족도를 가변수로 고려할 때, 자발적 이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만 비자발적 이직에는 전혀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자의 이직에 따른 기업과 개별 근로자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일자리에서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Youth employment issue started just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t the end of 1997, with overeducation of the rising college entrance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since mid-1990s, since then job opportunities in the large-sized enterprises, the financial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reduce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ince 2008 and the tendency of more nonstandard workers in the Korean labor market made it more difficult for young college graduates to find decent jobs as the first job in their lifetime. Late labor market entrance and more frequent quit of their first jobs of the young, which implies problem of the smooth school-to-work transition, has asked policy measures such as in the ‘Roadmap for Employment Rate of 70%’(2013) and ‘Integrated Policy Measures to tackle Emerging Risk of Low Youth Employment’(2015) but the probability that they work well is not so high. Workers who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re less likely to quit or on-the-job search and more likely to intensively invest on human capital, which would result in higher level of lifetime human capital. Therefore the job satisfaction is one of important determinants in job separation and quit behavior not only in the short-term but from the work-life perspective.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2010GOMS01 and 2010GOMS03),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intention of job separation and actual quit behavior by estimating the logit model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considering voluntary and involuntary quit. The empirical analysis applied to 10,310 college graduates in 2010 reveals that th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reduces the probability of intention of job separation as well as of actual quit. When the wage level, tenure, working hours, the firm size, industry and occupation are controlled for, each of 5 levels of job satisfaction mak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job separation while effect of job match in terms of education level, the skill level, and major are significant only when job match is negative. The intention of job separation raises the probability of actual quit and higher job satisfaction reduces it even when individual characters as well as job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for. Each of 5 levels of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voluntary quit probability while its effect is not significant for involuntary quit prob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