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정책의 계획・실행・평가 분석

        김상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based on system theor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official pub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lan from 2010 to 2018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using system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rationality, transparency, and democratization of budget allo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in addition to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pursued by the government. First, character education policy was promoted as an auxiliary role in other policies in the development period, but it became a core policy task in strengthening period. Second, the task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nged from the development period to the strengthening period, and the concrete tasks were promoted consistently. Third, it is analyzed that budget allo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fficiency, rationality, transparency and democracy. 본 연구의 목적은 체제이론에 근거하여 교육부에서 시행한 인성교육정책의 계획・실행・평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성교육정책의 한계에 따른 개선과제를 제언하는 것이다. 체제이론을 활용하여 인성교육정책의 발전과정에서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공식적으로 발표된 인성교육계획 관련 문서를 중심으로 인성교육정책의 계획과 실행, 그리고 그에 따른 평가를 분석하고, 정부에서 추진한 인성교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인성교육정책의 예산 배정에 대한 효율성・합리성・투명성・민주성을 검토하여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 한계, 개선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변동과정의 특징은 첫째, 인성교육정책이 전개기에서는 다른 정책의 보조적 역할로 추진됐으나, 강화기에서는 핵심정책과제로 부상하였다. 둘째, 인성교육정책의 추진과제가 전개기에서 강화기로 변화하며 구체적으로 발전되어 가며 일관성 있게 추진됐다. 셋째, 인성교육정책의 예산 배정이 효율성・합리성・투명성・민주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인성교육정책의 한계와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인성교육정책은 강화기 이후로 지속성을 갖고 발전되어 왔지만, 계획과 실행 차원에서 상당한 한계를 노출하였다. 첫째, 계획 차원에서는 인성교육정책의 비전에 따른 추진과제가 부합되거나 구체화되지 못했으며, 둘째, 실행 차원에서는 정부가 시도별 우수사례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에 미진했고, 정책이 형평성 있게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실행되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셋째, 인성교육에 있어서 가정교육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그에 대한 계획과 실행, 그리고 예산 배정을 다른 정책 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다. 넷째, 대 국민적 인식제고 및 공감대 확산을 위한 정책 과제가 충분히 홍보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가정교육에 대한 계획과 실행, 그리고 예산 배정을 보다 확대하고 가정에서의 인성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 및 인성교육캠페인과 같은 홍보활동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인성교육정책을 위한 예산 배분이 적절하며 효율적으로 계획 및 집행되었는지, 공익성과 공정성이 고려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교육재정 부문의 후속연구가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인(仁)의 확장에 관한 교육학적 탐구: 주자 인사상의 이론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우버들 한국교육철학학회 2024 교육철학연구 Vol.46 No.1

        본 논문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고, 인의 대상이 특정 지도자에서 일반인으로 확대되는 측면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교육학적 함의를 논구하였다. 즉, 인의 영역과 대상의 확장에 따른 교육학적 탐구가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먼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는 양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초기에 인은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등과 같은 위계의 개체적 덕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과도기를 거쳐 점차 다른 덕목에 우선하는 보편 덕으로 모습을 보이며 주자에 이르러 인은 불교와 도교의 우주본체론을 흡수하여 온전한 덕성으로 확립되었다. 인이 우주자연의 태극의 지위와 대응되는 리일분수(理一分殊)의 양상을 통해, 온전한 인이 개별 덕을 통합하고 근본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이 내재된 대상이 소수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는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자 이전의 인은 높은 계층의 사람에게만 보이는 폐쇄적이고 제약적인 특징을 보였지만, 공맹에 이르러 점차 일반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재되어 있는 본성으로 확립된다. 그리고 주자에 의해 사람의 본성은 곧 하늘의 이치[性卽理]라는 개념을 통해 보편성을 획득하며, 성과 정을 통합하는 마음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의 영역 및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온전성, 내재성을 가지게 된 인의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모든 덕을 포괄하는 인의 온전성으로 인해 교육이 필요하게 됨을 서술하였다. 일반 사람은 혼자서 온전한 인을 실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먼저 깨달은 자인 선각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 또한, 인을 가질 수 있는 대상이 일부에서 모든 사람으로 확대되어, 인이 교육의 영역에 포함되고 마음만 먹으면 인을 발현할 수 있다는 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인 자발성을 가질 때 자신을 위한 공부인 위기지학을 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교육의 대상이 소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고, 교육의 목적이 지도자 양성에서 자기 완성을 위한 것으로 변화됨에 따라 교육 기회의 평등적 의미를 가지게 됨을 논의하였다. A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Ren, the integrity and immanence of Ren were discussed. In the beginning, the integrity of Ren as an exte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amined. Ren(仁) was used to imply only individual virtues before Confucius,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it can be seen that i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omplete virtue that encompassed several individual virtues. Then, we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n(仁). The inherent subject of Ren(仁) was limited to a special leader,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the subject has been universalized to ordinary people with virt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ntegrity of Ren(仁) as seen abov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Ren(仁) alone, the role of teachers as pioneers is necessary. A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mmanence of Ren(仁). It was discussed that when learners have independence, they can do wigijihak(爲己之學), which is self-organiz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growth of integrity and the expansion of immanence of humanity are examined. The target of education was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changed to self-completion. This ha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quality.

      • KCI등재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 프랑스의 역할을 중심으로

        심성은(Sung-Eun Shim) 한국정치정보학회 2021 정치정보연구 Vol.24 No.2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2018년부터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EU도 인도-태평양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일대일로 등 중국의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위협으로 인식하고 이에 맞서기 위해 서구 국가들이 동맹관계 구축을 통해 지역 내 세력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월트의 위협균형이론의 시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중 유럽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프랑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이 간과된 면이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와 EU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분석해 유럽의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이해관계와 그 배경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프랑스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관해 무역 등 경제적 이해관계 외에도 영토 수호, 해양안보 등 지역평화 유지 및 안보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는 독일, 네덜란드가 인도-태평양 전략의 최대 목적으로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2021년 4월에 공개된 EU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인도-태평양 지역 범위와 전략의 목적 면에서 프랑스의 시각을 비중 있게 반영하고 있다. 프랑스가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해 적극적인 정책을 실행하는 목적으로는 해외 영토 수호 및 해양 안보 강화, 낮은 경제성장률과 높은 실업률 등의 경제침체 극복, 프랑스의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군사안보적 영향력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랑스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인도-태평양 국가들의 경제적 역동성에 편승해 경제적 침체상태에서 탈피하는 것, 둘째, 드골 대통령 때부터 시도되어 온 프랑스의 독자 안보 역량 강화 전통의 강화, 셋째, 프랑스의 EU 내 영향력 강화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프랑스가 인도-태평양 전략을 통해 실질적인 지역 내 행위자로 부각되기 위해서는 부족한 군사병력과 안보자산,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경제침체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 프랑스가 주도하는 EU의 인도-태평양 전략 역시 중국에 대한 인식 및 의존도 차이로 인한 EU 회원국들 간의 상이한 입장을 조율해야 한다는 과제도 남아 있다. As Indo-pacific area attracted attention of the world, France, Germany, Netherlands and the EU also adopted since 2018 Indo-pacific strategy. Current strategic changes of these European countries are based on a new perception of China as a common threat and a necessity to fight against these new challenges through the balance of powers in the reg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act that the Indo-pacific strategy of Europe is initiated by France is largely neglected by precedent stud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Indo-pacific strategies of France and the EU and to find out their interests in Indo-pacific area. France has various goals in this strategy: economy, territory protection, maritime security and maintenance of regional peace and security. French approaches are different from German and Dutch ones which largely focused on economic aspects with Indo-pacific region. EU’s Indo-pacific strategy reflects France’s view more that those of other countries. France carries out this policy more actively than other countries because of territory protection, economic recession, and security problems. France’s initiatives in Indo-pacific strategy would bring following impacts: solution to overcome economic recession, reinforcement of strategic autonomy, and intensification of influence of France in the EU. However, these objectives of Indo-pacific strategy of France should overcome other chronical obstacles such as lack of military and economic power, and different opinions of Member States of the EU.

      • KCI등재

        미·중간의 지정학적 해양패권경쟁과 한국의 안보전략

        배학영(Bae, Hack-Yo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인도·태평양전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인도·태평양(해양)을 중심으로 한 지전략(Geostrategy)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미·중경쟁을 주제로 인도 태평양전략을 연구한 논문들은 많은 부분을 미 중의 두 강대국 간의 다양한 분야(정치, 경제, 군사 등)의 국제관계 혹은, 미·중의 국내정치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지전략의 출발은 해당 지역의 중요성, 전략적 가치에서 출발해야 제대로 된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제정치적 수준에서 다루다 보니 인도·태평양 자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간과한 면이 있다. 이 논문은 인도·태평양을 지전략으로 정의하고, 해당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해양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인도·태평양의 중요성을 인구, 지역경제블럭, 해양관할권, 심해 저자원, 원유수송로 등의 해양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미국은 이렇게 중요한 인도·태평양에서 미국과 중국은 충돌할 가능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인도·태평양사령부를 중심으로 3가지 노력선(Prepareness,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구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중국, 또한, 해양실크로드 건설을 위해 인도·태평양을 중심으로 전세계 해상교통로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미·중간의 경쟁이 지전략적인 가치가 높은 인도태평양지역에서 심화되면서 우리에게도 중요한 인도·태평양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인도태평양 지역(특히, 동·남중국해)가 왜 우리에게 중요한지 우리의 산업구조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만일 미중 갈등으로 인해 해상교통로가 마비되면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주변국과 해양경계획정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넓은 해양영토확보를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미 중 갈등,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군사적 활동, 인도·태평양의 우리에게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미·중 경쟁 속에서 우리가 마주할 다양한 양자택일의 해양에서 이슈에 대해 우리 국익이 최대가 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As its name suggests, the Indo-Pacific Strategy is a geostrategy centered on the Indo-Pacific(Ocean). However, many of the scholars that have studie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on the subject of the U.S.-China competition so far deal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omestic politics of the U.S. and China. The start of the geo-strategy must start from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and strategic values to derive a proper strategy, but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itself has been overlooked as it is handled a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evel. This paper defines the Indo-Pacific Strategy as a geostrategy and analyzes the strategic value of the region from the maritime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the Indo-Pacific Ocean was presented from the marine perspective of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blocks, maritime jurisdiction, deep-sea resources, and crude oil transport routes. The United States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lement three lines of effort (Preparance, Partnership,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centered on the Indo-Pacific Command. This Indo-Pacific is also important to us. Due to Koreas industrial structure, it relies heavily on imports of raw materials and exports of final products through the sea. Therefore, the maritime transportation route itself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Indo-Pacific region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 wider marine territory in the absence of a agreement on maritime delimitation line with neighboring countries. Considering the U.S.-China conflict, the U.S. Indo-Pacific strategy and military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China competition to 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Korea can choose various policy options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버전(Inversion)이 미국 조세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류지민(Ryu Jimin) 한국세법학회 2014 조세법연구 Vol.20 No.3

        인버전(inversion)은 미국 유명 다국적 기업들 사이에서 성행하는 합병거래 유형의 하나로,최근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이 미국의 높은 법인세율의 적용을 피하기 위하여 세율이 낮은 국가의 동종 경쟁 회사와 합병, 본사를 옮겨 ‘국적’을 이전하는 국제인수·합병(cross-border M&A)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인버전은 정치·경제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미국 월가 금융회사의 새로운 수입원으로 등장하고있기도 하다. 더 나아가 인버전은 장기적으로 향후 미국 조세정책 형성 관련 개혁 논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버전의 문제점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2014.4.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Pfizer)의 영국의 동종 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의 합병 추진 계획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인버전은 미국의 유명 다국적 기업들이 애국심보다는 조세전략을 통한 이윤 추구라는 실리에 보다 무게를 두고 미국 본사를 외국으로 이전하여 소위 ‘기업 시민권(corporate citizenship)’을 포기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사실 미국 다국적 기업의 인버전 거래는 이미 1990년대부터 조세피난처의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를 이용한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미연방의회는 2004년 이에 대응하여 ‘American Jobs Creation Act of 2004’ 의 일부로 강력한 반인버전 규정인 IRC(Internal Revenue Code)Section 7874를 제정하기에 이른다. 그런데 2014년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인버전 거래와 관련하여 참고할 점은, 이들이 현행법인 미국연방세법 Section 7874의 제재를 받지 않는 유형의 거래라는 사실이다. 즉, 미국 내국법인이 법인세율이 낮은 외국의 동종 업계 기업과의 합병을 통하여 본사를 이전하는 거래 방식은 법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합병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미국 연방세법의 규제를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하여 미국 재무부(Treasury Department)와 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 IRS)은 2014. 9. 22. Notice 2014-52로 인버전과 관련 거래를 강력하게 규제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하면서 향후에도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미국 다국적 기업이 행하는 인버전 거래가 정당하다고 보는 학자들은 미국의 현행 조세 시스템의 문제점을 인버전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 법인세(corporate income tax)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현행 전세계 기준 과세체계(worldwide tax system)를 영토적 과세체계(territorial tax system)로 전환하고 현재의 높은 법인세율(35퍼센트)을 OECD국가들의 평균 법인세율 수준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반대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은 미국 다국적 기업이 실제로 법정 법인세율 전액을 납부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하면서, 이들 기업은 국제적인 영업 경험을 통하여 발전시킨 자신들의 공격적 조세회피 전략을 활용하여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충분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경쟁자들로부터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인버전 방식을 선택했다는 다국적 기업의 변명은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현재 인버전을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논쟁은 미국의 독특한 조세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국가 간 조세 경쟁 등 국제조세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 세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Tax inversion, or corporate inversion, is the relocation of a corporation"s headquarters to a lower-tax nation, or corporate haven, usually while retaining its material operations in its higher-tax country of origin. The term ‘inversion" is most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US corporations. More recently, publicity has focused on corporate inversions conducted by way of merger with companies in lower-tax foreign countries. The issue was first subjected to a great deal of publicity in April 2014 by the proposed merger between Pfizer and AstraZeneca. A new wave of inversions began in the late 1990s. In response to highly publicized inversions, Congress enacted section 7874 as part of the American Jobs Creation Act of 2004. Section 7874 potentially taxes inverted companies and some shareholders upon an expatriation transaction. But there is one type of inversion transaction that the statute has not shut down. It involves a substantive merger between a U.S. company and a foreign company in which the shareholders of the domestic company hold less than 80 percent (or 60 percent) of the shares of the new entity after the transaction. Unlike the single reincorporations of the late 1990s, these merger transactions are real business combinations. Tax inversions have become a public policy issue, as those transactions likely cause substantial tax revenue losses and have an undesirable effect on U.S. economy. American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President Barack Obama and Treasury Secretary Jack Lew, have issued statements calling U.S. multinationals" ‘citizenship renouncement" by tax inversions ‘unpatriotic", and various proposals have been discussed to prevent tax inversions. Finally, in September 22, 2014,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and the Internal Revenue Service issued a notice (IRS Notice 2014-52) that takes targeted action to reduce the tax benefit of corporate tax inversions. The U.S. corporate income tax rate is 35percent, which is much higher than corporate tax rates in most other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last remaining countries to use a worldwide system. According to the supporters of inversion,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key attributes of the U.S. tax system penalizes U.S. multinationals relative to their foreign competitors and has encouraged a wave of inversions. Scholars who criticizes tax inversion contend that most U.S. multinationals don"t pay anywhere near 35 percent, and suggest that companies are so clever with ‘aggressive tax planning" technologies that many of them are a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current system, which make them more competitive than their foreign rivals. As this heated debate on inversion in U.S. involves the U.S. tax system as well as international taxation system, I believe that the inversion issue in U.S. will give us insights into what the good system for international tax competitiveness would be like.

      • KCI등재

        인과 구조 작동 방식이 인과 추론의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박주화,도승이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2

        The success of an individual, a business and even a country depends on the accuracy of judgments and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Reasoners, however, often fail to search for additional pieces of information to make an accurate prediction. Moreover, they tend to neglect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even if it is available. Thu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cognitive process behind the neglect phenomen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that underlies neglect of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a newly emerging normative model, the causal Bayes nets. In Experiment 1, we constructed a situation where the three boundary conditions of the causal Bayes nets were satisfied: the sufficiency of a causal structure, parameters, and the clarity of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did not neglect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when they made a predictive inference. Experiment 2 was identical to Experiment 1, except for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 The causal structure in Experiment 1 was activated by itself while the structure in Experiment 2 was activated only when it was intervened. With the intervention-based causal structure, participants showed neglect of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to make a predictive infer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neglect of a functional form of events in question i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to consider relevant information.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assumptions that the causal Bayes nets make about representations of causal relations may not be consistent with the actual representations of reasoners. Our results suggest that a future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s influences prediction accuracy. 개인과 기업 그리고 국가 정책의 성공은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판단과 예측을 할 때 주어진 정보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탐색하지 않으며, 심지어 주어진 정보조차 무시한다.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보 무시 경향성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고등 인지 과정의 새로운 규범적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인과 베이즈 모형(causal Bayes nets)의 틀에서 정보 무시 현상의 인지적 과정을 연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베이즈 모형이 적용되기 위한 세 가지 경계 조건인 인과 구조와 파라미터의 충분성 및 인과 구조 작동 방식의 명확성을 만족시키는 상황을 구성한 후 인과 추론을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와는 다르게 실험 1에서는 정보 무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는 인과 구조가 작동하는 방식을 변경하였다. 실험 2는 인과 구조가 자발적으로 작동한 실험 1과는 달리 인과 구조가 실험 참여자의 개입에 의해서만 작동하였다. 실험 2에서는 정보 무시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정보 무시 현상이 인과 구조 또는 관련 변인들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인출이 되지 않아서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인과 관계 표상에 대한 인과 베이즈 모형의 가정이 실제 사람들의 표상과 다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과 구조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 주였다.

      • KCI등재

        소비자 관여 이론에 의한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구조에 관한 연구

        유석환 ( Seoukhwan 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인스토어 미디어의 무분별한 노출은 소비자로 하여금 정보의 혼잡성과 미디어 회피 현상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인스토어 미디어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소비자 구매행동의 특성을 고려한 소비자 중심의 효과적인 미디어 배치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토어 미디어의 특성과 소비자 구매 행동 간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소비자가 미디어에 어떻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몰입 하는지를 경험 내용을 체계화시킨 인스토어 미디어의 소비자 경험 구조를 제시하고 한다. (연구방법) 인스토어 미디어의 소비자 경험 구조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의 주요 변수는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소비자 행동에 주요 변수로 작용되는 소비자 관여 이론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의 특성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두 번째, 인스토어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제조사, 판매자, 소비자 측면에서 인스토어 미디어의 범위와 특성을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구매 공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의 다양한 재현방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지표를 구성하고,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해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빈도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의 유형 간 특성의 상관관계를 해석하고 구조를 제시하였다. (결과)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분석결과 소비자 관여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감성적 고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소비가치 측면에서 `감성적 가치` 경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 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모든 감각이 통합된 `다중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다. 두 번째, 감성적 저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감성적 가치`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단일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 번째, 인지적 고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감성적 가치`와 `인지적 정보` 경험이 모두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모든 감각을 동원한 `다중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네 번째, 인지적 저 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소비가치 측면에서 `인지적 정보` 경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측면은 `단일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소비자 관여 유형에 따른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 경험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분석 과정에서 참고 문헌 및 영상 자료에 근거한 모의 검증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다양한 표본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Widespread exposure to in-store media has led to information congestion and media avoidance by consumers. These have, in turn, had led a negative impact on purchasing. The most effective use of in-store media is an arrangement based on consumers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o determine how the consumer experience structure of in-store media that systemizes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of the experience as to how the consumer experiences the physical or psychological immersion in the media. (Method) To study the basic consumer experience with respect to in-store media,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 framework, the study examined past studies on consumer involvement theory, which provides the main variables of consumer behavior and classifi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onsumer behavior in a purchasing environment. Seco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were examined, and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were typified in terms of manufacturers, sellers, and consumers. The study also examined various ways of reproducing media that transmit information in the purchasing environment. Third, to analyze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the study constructed analysis indicators and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The study also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n an expert grou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in-store media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was presented. (Results) The in-store media experienc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according to type of consumer involvement. First, the store of high emotional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emotional value experience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Second, the store of low emotional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high emotional value experiences. Third, the store of high cognitive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both high emotional value and cognitive information experience. Fourth, the store of the low cognitive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cognitive information experience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furthermore, the phys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media reproduction method was proven to be highly single sensory.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in-store media experience according to consumer involvement type and finally presented the structure of consumer experience. (Conclus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mock verification based on references and image data in the case analysis process. Therefore, for more empirical ver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with consideration of consumer demographic variables for various samples.

      • KCI등재

        TACA형 인생태도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윤영진,문호영,이영호,박용민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4 교류분석상담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성인의 인생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TACA형 인생태도 평정척도 개 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평정 척도를 성인 1,656명(남자 484명, 여자 1,172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인 요인분석과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 도를 분석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ACA형 인생태도 평정척도 40문항의 구 인타당도인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인생태도 기본자세 별로 문항이 잘 구성되어 있으며, 둘째,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인생태도 기본자세 별 문항 구성에서 높은 신뢰수준 을 보이고 있어 일관된 인생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임이 밝혀졌다. 셋째, 국내에서 활용 되고 있는 인생태도 평정척도와 본 연구의 인생태도 평정척도 간의 구인타당도 및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ACA형 인생태도 평정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 으로 묶이지만, 다른 인생태도 평정척도는 회전된 성분행렬을 얻을 수 없었다. 문항내적 일관 성 신뢰도에서도 TACA형 높은 신뢰 수준을 보였고, 국내 활용되고 있는 인생태도 평정 척도 의 문항 일관성 신뢰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국 단위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종 검사 후 구인타당도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모든 인생태도 기본자세 별로 높은 요인부하량 을 보이고 있고,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신뢰 수준이 높게 나타나 일관된 각 각의 인생태도 기본자세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 TACA형 인생태도 평정척도가 한국사회 성인의 인생태도를 측정하는 평정척도로 표준화 하는데 적합한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 하수처리장 탈수여액내 인회수를 위한 결정입상화 연구

        김정호,채희왕,이의신,이충영,유진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인과 질소는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고 특히 하수 중의 인 농도가 1 mg/L 이상일 경우 조류의 급증식이 일어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하수처리 공정은 인을 기준치 이하로 제거하기 위해 총인 처리 공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제거된 인은 슬러지와 혼합되어 폐기처분되고 있다. 인은 무한자원이 아닌 유한자원으로 비료, 금속표면처리 세정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인광석 매장량의 한계로 인하여 인을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고, 그 대안으로 축산폐수, 혐기성발효액, 하수처리 시 발생되는 인을 유용한 자원으로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된 인결정은 100㎛ 이하의 미세 결정으로 고액분리 및 탈수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제거 기술 중 화학적 침전법 중 하나인 MAP(Magnesium Ammonium Phosphate) 법을 적용하여 부천시와 공동으로 부천시 소재 공공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탈수여액내의 인을 회수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조건(pH, 약품, 주입량, Seed적용)에 따라 인회수 및 입상화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 연속반응조를 통하여 2mm 이상의 크기로 입상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Jar-test 실험결과 pH 9, 몰비 1~9(Mg2+/PO4-P) 범위에서 PO4-P가 55%~90% 제거되었으며, 생성된 결정화물을 seed로 사용하여 최적 약품투입량 도출결과 pH9, 몰비1 조건에서 6회 재사용시 seed 미적용 대비 PO4-P 제거율이 36% 상승하였다. 도출된 조건을 이용하여 2단 상향류(내경이 1.1cm, 1.8cm) 반응조와 침전조로 구성된 Lab Scale 반응조에서 선속도를 변화시켜 입상화를 유도하였다. 입상화시 PO4-P 제거율은 70%~84%, NH3-N 제거율은 20%~28%로 나타났으며, 내경 1.1cm의 반응조 하부에는 2mm~1.5mm, 내경 1.8cm의 반응조 상부에서는 0.6mm~1.2mm로 입상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미립 결정화물을 연속 순환을 통하여 선속도에 따른 입상화를 확인한 결과, 2mm 이상의 인 결정화물의 생성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탈수 및 건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고순도 입상화로 비료 가치를 향상시켜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인간, 자연, 생명력: 퇴계의 仁을 중심으로

        이정란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4

        인(인간다움)이란 자기를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다. 인간과 자연은 인(仁)이라는 근원적 동일성을 공유하고 있다. 인은 인간과 자연을 소통하게 하는 공감의 원리로 작용하기에 인의 회복은 인간뿐 아니라 자연의 생명력 회복과도 연결된다. 생명의 본성(體)인 인이 구체적으로 작용할 때는 생명에 대한 측은지심(惻隱之心)이라는 도덕 감정(用)으로 발현되는데, 이 인(仁)의 본성이 막히지 않고 잘 발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인의 개념을 운동하는 몸에 적용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욕망은 인의 실현을 방해하기 때문에 수양이 필요하다. 퇴계는 인간다움(仁)을 회복하기 위해 몸의 수양을 강조했다. 그에게 있어 몸의 공부(體得)는 덕(德)과 연결 가능하다. 둘째, 퇴계는 요산요수(樂山樂水), 즉 자연과 함께 수양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자연이 주는 즐거움(樂山樂水)은 인간의 본성뿐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생명력을 근거로 한 인(仁)과 연결된다. 셋째, 운동하는 몸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것은‘극기복례(克己復禮)’의 도덕정신, 정신의 자유를 누리게 해주는‘유희(樂)’의 도덕정신 그리고‘생명외경(生命畏敬)’의 도덕정신이다. Ren (humanity) refers to overcoming the self and returning to courtesy. Human and nature share the original equivalence of benevolence. Since benevolence acts as a principle of empathy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recovery of benevolence is connected to the life force of nature as well as human. When the nature of life, benevolence acts specifically, it is expressed as a moral emotion of natural compassion for life,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nature of this benevolence is well exhibited without being blocked. When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applied to the sporting body, the following meaning can be drawn. First, since desire disturbs the realization of benevolence, discipline is needed. Toegye emphasized the discipline of the body to restore humanity. For him, the learning of the body (An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virtue. Second, Toegye would practice Lèshān Lèshuǐ (A wise man likes mountains and a benevolent person likes water), that is, discipline with nature. The pleasure given by nature (yosan yosu) is connected to benevolence based on the life force found in natural principle as well as human nature. Third, what is obtained through the sporting body includes: the moral spirits of Kejifuli (Exercising self-restraint and conforming to the rules of etiquette and formality),‘play’that allow the enjoyment of the spirit of freedom and‘reverence fo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