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김남호(NamHo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6 인간연구 Vol.0 No.32

        스마트(Smart)와 플레이스(Place)의 심물 동일론(identity theory)의 쇠퇴 이후에 심리철학(Philosophy of Mind) 내에서는 다양한 이론 및 입장들이 등장하였다. 그런 흐름을 타고 데카르트의 후계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실체 이원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데카르트의 실체 이원론(substance dualism)은 인간을 신체와 생각하는 것(thingking thing), 즉 물질적 실체와 정신적 실체(mental substance)의 결합체로 봄으로써, 인간의 정신적 영역의 실재성을 이론적으로 옹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20세기에 급속도로 발전한 신경과학은 영혼이나 정신적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도, 인간의 정신적 능력 및 현상들의 많은 부분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이유로 데카르트의 비물질적 실체가 자연 내에 들어설 자리를 점점 더 좁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데카르트적 이원론(cartesian dualism)은 두 상이한 실체가 어떻게 서로 접촉하며, 인과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득력있는 대답을 제시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윌리엄 해스커(William Hasker)는 데카르트적 이원론이 직면한 이러한 난국을 창발 이론을 통해 타개하고자 한다. 해스커는 물질적 토대 요소로부터 새로운 실재(entity)가 창발되며, 그 새로운 실재는 그것의 물질적 토대 요소들로 환원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인과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본 논문은 해스커의 창발적 이원론(emergent dualism)이 과연 데카르트적 이원론의 난점들을 잘 극복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데카르트적 이원론이든 창발적 이원론이든, 실체 이원론은 해결될 수 없는 ‘인과적 상호작용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거나 아니면, ‘정체성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음이 드러날 것이다. After the decline of the identity theory of Smart and Place, various theories and positions emerged within the Philosophy of Mind. With such tide, the successors of Descartes began to seek a new type of substance dualism. The Cartesian substance dualism regards human as the combination of flesh and thinking thing, or the combination of physical substance and mental substance, to theoretically defend substantiality of mental domain of human. However, the neuroscience, which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20<SUP>th</SUP> century, has indicated that many mental abilities and phenomena are explainable scientifically without introducing spirit or mental substance. Therefore, the Cartesian immaterial substance is losing its footing within the nature. Moreover, the Cartesian dualism may not suggest a convincing answer to how two different substances make contact and affect each other. William Hasker is willing to come up with a solution for such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through the Emergent Dualism. Hasker brought this new idea that a new entity emerges from the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and this new substance may perform a causal power of new type that may not be returned back to a physical foundational element. This thesis is to review whether the Emergent Dualism by Hasker overcomes the adversity of Cartesian dualism. In the paper, the actual dualism, either Cartesian dualism or Emergent dualism, may have to face the problem of causal interaction or the crisis of identity.

      • KCI등재

        이원론 연구: 바울과 예이츠를 중심으로

        황남엽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바울 신학은 영과 육체를 나누는 이원론의 관점을 지니고 있다. 예이츠 역시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구분하는 이원론의 사상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바울의 이원론에 관한 관점은 예이츠의 사상과 다르다. 바울은 영과 육체에 대해서 배 타적 이원론의 입장인데 반해, 예이츠는 상보보완적인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 고 있다. 바울의 이원론은 인간의 윤리성과 도덕성을 제고함으로서 종교적 목적 을 이루는 긍정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를 지닌다. 그러나 그의 이원론은 보다 더 극단화되거나 배타적으로 이원론화 되어 더욱 엄격한 금욕주의를 산출한다. 결국 인간의 생명의 본성을 억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예이츠는 종교 안에 갇힌 배타적 이원론으로부터 파생된 억압적인 금욕의 한계성을 간파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상호 보완적인 이원론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종교로부터 파생된 배타적 이원론의 한계성을 극복한다. 결과적으로 예이츠는 정신과 육체 에 대한 이분법적 이원론에 대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Paul’s theology contains the concept of dualism on the one hand, which divides the spirit from the flesh. Equivalently, Yeats is concerned with dualism related to both the human spirit and the flesh. Paul’s perspective on dualism is different from Yeasts.’ His thought can be expressed as an exclusive dualism between the spirit and the flesh, whereas Yeats’ perspective is based on a complementary dualism. Paul’s dualism clearly has a positive and fundamental value to protect human ethics and morals for religious purposes. However, the dualism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a more extreme and exclusive type of dualism, which consequently produces a more austere asceticism. It results in the repression of the human nature and life as a whole. In contrast, Yeats detects the limitation of oppressive asceticism from an exclusive dualism in religion. His perspective on dualism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n extreme and exclusive dualism, which derives entirely from religion. In short, his dualism suggests a new paradigm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and the flesh.

      • KCI등재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

        이은정(Eun-Jeong Lee)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4 No.-

        이 글은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을 해명한다. 미셀 앙리의 신체철학은 일원론이 아닌 이원론이다. 우리는 미셸 앙리가 자신의 신체철학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데카르트 이원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데카르트 이원론은 분명 잘못되었으며, 이에 비판의 대상이 된다. 데카르트 이원론을 비판한 뒤에, 미셸 앙리는 놀랍게도 데카르트 이원론의 ‘폐기’가 아닌 ‘수용’을 주장한다. 이는 많은 철학자가 데카르트 이원론을 넘어서고자 했던 것과 매우 다른 시도와 주장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데카르트 이원론이 야기한 ‘아포리아’를 잘 안다. 전혀 다른 두 실체로 설정된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데카르트 이원론의 참된 수용은 이 문제를 해결했을 때만 가능할 것 같다. 미셸 앙리는 과연 많은 철학자가 해결할 수 없다고 선언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를까? 그렇지 않다면, 이러한 문제를 낳은 이원론에 그 첫 번째 잘못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이원론을 철회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이에 미셸 앙리의 첫번째 대답은 상호작용의 문제는 “거짓-문제”이며, 따라서 폐기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고, 두 번째 대답은 그러한 상호작용의 문제가 놓이는 철학적 지평으로서 이원론은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때 수용은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수용을 말한다. 이 글은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이 어떤 의미에서 이원론이며, 왜 이원론이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과 이해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미셸 앙리가 상호작용의 문제를 어떻게 논파하는지에 초점을 두겠다. 이원론의 수용은 미셸 앙리에게 오면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이 있다는 주장의 수용을 또한 말한다. 어째서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일까? 이어서 볼 글은 이를 이해하는 데 또한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philosophy of the body in Michel Henry. Henry’s philosophy of the body is not a monism but a dualism. We may think that in the foundation of his philosophy of body, Michel Henry succeeds to Cartesian dualism critically. Cartesian dualism certainly has flaws and in turn, it becomes the subject of criticism in Michel Henry. After having criticized it, Michel Henry says, to our surprise, not rejection but its decisive acceptance. This is a very different attempt and affirmation from the ways in which many other philosophers have tried to overcome Cartesian dualism. We know aporia arisen by Cartesian dualism. How can we explain the interaction of the body and the soul which are considered as two quite different substances? The true acceptance of Cartesian dualism would be possible only when we resolve this problem. Will Michel Henry come to solve this problem considered “insoluble” by many philosophers? If not, it would be that the dualism that spawned such a problem is wrong in the first place and should be rejected. To this question, the first response from Michel Henry is that the problem of interaction is a “false problem” and it must simply be rejected. And the second answer is that this dualism as a philosophical horizon on which such a problem is placed must be accepted. However, it is not an unconditional acceptance but a critical acceptanc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and understand what is meant by “dualism” in Henry’s philosophy of body and what it should be as duality. And it will mainly discuss the issue on how Michel Henry comes to refute the problem of interaction as a false problem, which will be essential for the actu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Henry’s dualism. In Henry’s philosophy, the approval of dualism means that the acceptance of the assertion that there is not a body but two bodies. Why would there be two bodies and not one? This article will help us to understand it.

      • KCI등재

        이원론과 일원론: 서구의 이원론과 주자학의 이원론 비교

        진형준 ( Hyung Joon Chin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5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1

        Il faudrait dire que le neoconfucianisme resulte en effet de la grande conception synthetisante, initiee par Zhu Xi et relayee par ses disciples, laquelle englobe le confucianisme, le bouddhisme et le taoisme. Il est pourtant regrettable que la carte topographique du confucianisme coreen ne soit pas encore achevee malgre 500 ans d``histoire. Ce n``est que recemment que quelques tentatives ont ete essayees afin d``en esquisser le brouillon C``est en voulant apporter un coup de main a ce travail que nous commeneons notre article par une synthese sur les points de vue, de l``unicisme et du dualisme, concernant la doctrine du " Li " et du " Qi " du neoconfucianisme. Notre discours est aussi base sur la presupposition que l``unicisme et le dualisme ne sont pas derives de la philosophie occidentale, mais qu``ils sont les cadres epistemologiques sur le monde meme. Il se dit souvent que le monde occidental est base sur la tradition epistemologique du dualisme et notre monde sur celle de l``unicisme. Le malentendu de ce genre tient a l``incomprehension de ces courants de pensee. Faute de la comprehension appropriee, il arrive que meme les termes du dualisme s``emploient pour la pensee de l``unicisme et vice-versa. Il en est ainsi surtout quand on applique ces termes au confucianisme de Joseon. Le manicheisme persique est considere generalement comme un cas typique de la religion du dualisme, car dans sa doctrine s``accentue extremement le conflit dualiste entre le bien et le mal, et que le bien le conclut finalement en remportant la guerre. On entendrait ici par le dualisme que deux termes opposes n``impliquent aucune interrelation ouvrant une possibilite de leurunification ou de leur mise en ensemble, a force de leur deni reciproque et de leur incompatibilite totale. En cas de zervanisme qui partage la meme origine avec le manicheisme, se disparait ce caractere du dualisme : Ahura-Mazda, le bien divin, et Ahriman, le mal, s``unifient dans la divinite supreme, Zervan. Le caractere primordial de l``unicisme est la coexistence ou l``unification des entites contradictoires. L``unicisme n``est pas le paradigme philosophique dans lequel l``unite pratique du monde ou son unicite est tellement accentuee que la diversite du monde phenomenal se reduit en une seule entite ou une seule categorie ultime. Il faudrait donc dire que l``unicite pratique du monde est accentuee et que la diversite phenomenale s``inclut dans cette unicite. Quand la diversite phenomenale se reduit en une entite ou une categorie, comme le cas du manicheisme le montre, nous n``aboutissons pas a l``unicisme, mais au dogmatisme, version renforcee du dualisme. Dans la vision du monde de l``unicisme, ce n``est pas les differences entre les contradictoires et les heterogenes, mais leur coincidentia oppositopum qui est pris en compte. Il existe plusieurs definitions du confucianisme coreen : l``unicisme entre Li et Qi, le dualisme entre Li et Qi, l``unicisme du Li, l``unicisme du Qi, etc. Il est pourtant necessaire de faire attention a l``emploi des termes. Dans un cas, on emploie unicisme pour designer le dogmatisme, version extreme du dualisme, tandis que dans l``autre cas la pensee de l``unicisme est consideree comme du dualisme. Il pourrait y avoir plusieurs points de vue selon le polemiste, mais il est pourtant juste de considerer le grand cadre englobant le confucianisme coreen comme de l``unicisme. Quand il est mis en relief "Li et Qi ne se melange pas 理氣不相雜", le caractere de l``unicisme arriverait a se fragiliser. Lorsque l``on fait attention a "Li et Qi ne se separe pas 理氣不相離", le meme caractere arriverait, au contraire, a s``enforcer. Il n``existe pourtant aucun cas ou l``on tombe dans le dogmatisme qui exclut totalement l``un d``entre Li et Qi. Il n``y a donc pas de theories du Li pure ou du Qi pure dans le confucianisme coreen. Il ne peut pas y avoir de dualisme tel que cela puisque le dualisme est simple: on n``a qu``a insister sur l``un d``entre les deux elements contradictoires, en excluant l``autre. Le dogmatisme est le plus simple du monde.Le confucianisme coreen introduit le concept complexe et difficile qui est a la fois “理氣不相雜” et “理氣不相離”. Il ne renonce pas a la pensee difficile de l’unicisme. C’est ainsi qu’il n’arrive pas facilement a la conclusion. Que le confucianisme coreen ne s’ecarte pas du cadre epistemologique de l’unicisme, il signifie qu’il refuse la simplicite du dualisme et aucune logique reductrice et simple. S’il est difficile de trouver les idees du dualisme en confucianisme de Joseon, il ne veut pas dire que ses idees s’enferment dans le cadre de l’unicisme, mais plutot qu’elles ne choisissent pas aisement la simplicite du dualisme, d’ou la diversite et la subtilite epistemologiques des idees coreennes.

      • KCI등재

        형이상학적 이원론 아래에서의 당위와 존재의 문제와 현대 한국 법학의 과제

        김철(Chull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8 현상과 인식 Vol.32 No.3

        이 글의 동기는 한국 법학이 당연히 여겨 왔던 어떤 전제를 재검토하는 데 있다. 한국 법학의 기반이 되고 있는 교과서 법학에서 규범과 사실, 당위와 존재의 엄격 이원론에 입각해서 규범과 당위 법칙을 사실과 존재 법칙에서 완전 분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이원론의 근거가 되고 있는 신칸트학파의 방법이원론을 거시 사상사에서 다시 조명하기 위해 제1부에서 형이상학적 이원론과 자연법의 역사를 다룬다. 제2부에서는 l부에서 논한 형이상학적 이원론의 맥락 아래서 신칸트학파의 방법이원론의 계보와 대분류, 한국에서의 영향을 다룬다. 제3부에서는 법의 존재론적 근거로서 사물의 본성론과 조리를 다루고 마지막으로 사회학적법학과 법현실주의를 법의 존재론적 추구로 예시한다. Methodendualismus(method-dualism) of Neo-Kantischen Schule(Neo-Kantian school) has influenced heavily upon the formation of Korean jurisprudence since 1920's. The strict seperation between Sollen(should) and Sein(being) and between norm and fact has lead Korean modern jurisprudence to have weak connection with other disciplines(humanity, social sciences and science). This essay deals with (1) metaphysical dualism and natural law theory as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Neo-Kantischen Schule (2) Natur der Sache(Nature of Thing & Matters) theory and civil law jurisprudence as it's institutionalized form (3) another endeavor to seek a possible ontological foundation of law-sociological jurisprudence and legal realism.

      • KCI등재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의 실천이성의 이원론 극복 논증에 관한 연구

        정호상 한국윤리학회 2024 倫理硏究 Vol.144 No.1

        시지윅은 타산의 원칙에 기초한 이기주의와 보편적 박애의 원칙에 기초한 공리주의 방법이 서로 상충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이성이 상충하는 행위를 합당하게 명령할 수 있다는 실천이성의 이원론을 제기한다. 그는 두 방법이 충돌한다면, 둘 중 하나는 수정되거나 거부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논증들을 검토하지만, 만족스러운 답을 얻지 못한다. 그러나 이원론의 수용은 보편화 가능성에기반한 도덕 체계를 훼손하면서 비합리적 충동에 의한 행위를 모두 허용할 수 있다. 그렇기에 실천이성의 이원론은 어떻게든 극복되어야 한다.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는 진화론을 활용해 이원론 극복 논증을 전개한다. 이들은 ‘꾸러미로서의 이성’을 통해 인간이 진화적 압력과 구분되는 도덕적 진리를 인식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진화적 폭로를 활용해 보편적 박애는 진화적 폭로에서 제외되지만 타산은 폭로에 노출됨을 논증함으로써 합리성 측면에서 이원론이 극복 가능함을 주장한다. 그러나 보편적박애 또한 진화적 폭로에 노출된다는 반론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타산과 보편적 박애의 조화 방안을 다루는 추가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Sidgwick argues that ego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prudence and utilitarian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versal benevolence may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raises the dualism of practical reason that reason can reasonably command conflicting conduct. He examines arguments to overcome dualism on the premise that if the two methods conflict, one of them must be modified or rejected, but does not get a satisfactory answer. However, the acceptance of dualism would undermine morality based on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bility and permit conduct driven by irrational pulses. Therefore, the dualism of practical reason must be overcome somehow. Lazari-Radek and Peter Singer use evolutionary theory to develop an argument for overcoming dualism. They argue that through ‘reason as a package’, humans can recognize moral truths distinct from evolutionary forces, and they use evolutionary debunking to show that principle of universal benevolence is exempt from debunking, while principle of prudence is exposed to debunking. So they argue that dualism of practical reason can be overcome in terms of rationality. However, there are objections that universal benevolence is also exposed to evolutionary debunking. Above all, additional discussions are required to address ways to harmonize prudence and universal benevolence.

      • KCI등재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교회와 세속의 이원론에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판 : 플라톤의 이원론의영향을 중심으로

        신경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The notion of “Idea” provided a function to make all forms of the earth in Plato. Plato’s Idea means superiority over invisible beings can be found in his “soul theory,” which divides two categories such as immortality and mortality. The former is a natural principle to move physical body, while the latter is a human dimension of it. He argues that the immortality part has a ability more than reason, whereas the mortality has an impact on emotion or desire sphere. He also insists that material thing is bad, and spiritual one is good. Such a dualism affects onto St. Augustinus to believe two worlds respectively. To him, unlike the material world, non-material world was a interim space where is common ground to perceive God and invisible things alike. Boethius stands also on the line of same argument. Plato’s theory with reasonable ground in its legitimacy has contributed in making a great trend of thought, and it also serve as a meaningful apparatus to explain that the heaven is an ultimate reality and the earth is its derived reality accordingly, that is, the visible world of creation seems to be a realm of the evil; whereas the invisible “Idea”does the Supreme spiritual area with full of God’s grace and perfect morality. Dualistic comparison between form and material gave a wrong clue to distinguish body and soul and/or church and secular world as well. Such a dualism make a crossroad in which soul and church upgraded to sacred space, whereas body and world downgraded into negative and lower realm. Upon this wrong application, immoral criterion of ethics became rampant not only in mundane life but in the church as well. 플라톤에게 있어 실재는 가시적인 현상계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상위에 놓여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존재는 형이상학적인 가치에서 비롯되었고, 그가 제시한이데아는 모든 만물에 형상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였다. 플라톤에게서 이데아, 곧보이지 않는 존재에 대한 우월성은 영혼론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그는 영혼을가사적(可死的)인 것과 불사의 부분으로 나누는데 가사적인 것은 신체를 움직이게 하는 자연적 원리로, 불사의 부분은 인간에게 고유한 차원으로 설명한다. 플라톤은 영혼의 능력들에 관해 설명하면서 불사의 부분은 이성의 능력을 가지고 있고, 가사의 부분은 감정과 욕망을 담당한다고 설명하면서, 물질은 악하고 영은선하다는 이원론을 펼친다. 이원론은 후에 아우구스티누스에게도 영향을 미치게되는데, 그는 물질세계와 완전히 분리된 비물질 세계에 대한 개념을 상정하면서인간이 신과 비물질적인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 정신적 감각을 소유하고 있다고주장한다. 보에티우스의 유명론 논쟁도 결국 이러한 이원론 논의의 연장선상에서있는 것이다. 이처럼 플라톤의 이론은 나름대로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양상으로 인해 인류의 사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기독교로 이어지면서물질적인 것은 악한 것이고 영적인 것은 선한 것이라는 근거 없는 믿음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기독교 전통에서 하늘은 선한 궁극적인 실체이고, 땅은 부수적으로 파생된 실체로 설명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 있다. 또한 가시적인 창조 세계는 악의 영역으로 보는 반면에 불가시적인 이데아의 세계, 즉 기독교인들이 생각하는 영적 영역은 하나님의 은총과 도덕이 충만한 영역으로 여겨졌다. 형상과질료에 대한 이원론적 대조는 결국 영혼과 육체에까지 잘못된 이해를 갖도록 유도했던 것이다. 플라톤의 이원론적 아이디어를 통해 기독교는 영혼과 육체, 교회와 세상을 둘로 나누는 성속이원론을 발전시켰다. 성속이원론은 영혼과 교회는거룩하고 깨끗한 것으로 격상시키고 육체와 세상은 원래 부정적인 것으로 격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세상의 영역뿐만 아니라 교회의 영역에서도 비윤리적인 양상을 심화시켰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에서의 심신문제 : 심신이원론과 물리주의를 넘어서

        유재봉(Jae-Bong Yoo)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1

        이 논문은 교육이 인간을 기른다고 할 때, 어떤 식으로든지 반드시 해명되어야 할 것이 인간의 심신 문제라는 전제 하에, 인간의 심신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인간의 심신관계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해 주고 있는 데카르트의 심신(실체)이원론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다음으로 이러한 심신(실체)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현대 심리철학의 대표적인 입장, 특히 물리주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마지막으로 심신에 관한 (실체)이원론과 물리주의 양자에 대한 대안적 입장의 가능성과 그것이 교육에 주는 함의를 제시한다.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이나 육체의 실체만을 수용하는 물리주의는 인간의 심신 관계를 제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은 영혼 혹은 마음의 존재방식을 육체의 존재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마음의 상태를 두뇌의 상태, 즉 중추신경계의 물리적·화학적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마음의 상태를 두뇌의 상태와 동일시하는 물리주의의 주장은 외양과 실재, 징후(symptoms)와 준거(criteria)를 혼동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교육에서의 심신문제는 프락시스의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교육에서 심신문제에 대한 논의는 좋은 삶을 실지로 영위하는 실천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또한 교육의 실천을 통하여 심신의 문제가 보다 더 분명해지고 구체화될 수 있다. 이 점에서 형이상학적 심신론과 교육(실천)은 상호의존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what human nature is, because education is conceptually connected to the educated person. The mind-body problem is a crucial issue in which education should be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ind-body problem in education. To this end, I critically review Descartes’s mind-body dualism and physicalism which is a representative theory in the philosophy of mind, and I suggest an alternative view of both dualism and physicalism in an educational context. Descartes’s dualism does not explain the detailed relation between mind and body, whereas physicalism which reduces mind to physical body merely shows symptoms of mind, instead of criteria of mind. The mind-body problem in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praxis rather than in the metaphysical context. because the problems of mind-body can be clearer and more specified in the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쉘링 철학의 관계에 대하여

        진숙 ( Jin Soo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융(Carl Gustav Jung) 이론 형성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이원론을 극복하는데 있어서의 방법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고대 플라톤의 idea사상에서부터 르네상스와 낭만주의, 칸트에 이르기까지 융 이론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데카르트(Rene Descartes)이후 이원론의 핵심인 사유와 존재, 관찰자와 관찰대상 그리고 의식과 무의식 등의 분열은 인간소외로 연결되었으며 이러한 분열에 대한 화해로서 철학적 작업은 칸트, 피히테, 헤겔 등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원론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셸링의 철학과 융의 심리학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원론의 극복에 대해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융은 낭만주의 경향에 있어서 신화, 종교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사물의 다각적이고 신비적인 부분에 영향을 받아 이는 그의 개인 무의식(자아/ 그림자), 집단적 무의식(아니마, 아니무스/ 자기), 원형이론으로 나타나게 된다, 자연으로 나타나는 절대자에 관한 셸링의 자연철학은 신비적이고 관념론적인 형태로 체계화 되었고 정신과 자연을 동일자로 파악한다. 셸링과 융, 이 둘의 유사성은 세계와 인간의 정신을 바라보는 관점으로서, 셸링의 전체성은 융의 대극의 합일로, 역설성은 모순으로서의 자기로 설명 되어진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이원론 극복에 대한 대안으로 개별적인 대립항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라는 셸링의 동일성의 철학과 정신의 대극적 요소들의 결합이라는 대극의 합일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원론에서 유발된 인간소외에 대한 문제는 현대까지 이어지는 현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융은 `개성화` 즉 개인의 전체정신을 알아가는 과정인 `자기의 실현`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개성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정신안의 대극성을 경험하는 것이다. 이로써 무의식의 자율적인 보상작용에 자신을 맡기면서 상징을 통해서 드러나는 정신의 본질을 이해해가는 끊임없는 여정으로서의 개인적 삶을 치유해가는 과정으로 귀결되어진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Carl Gustav Jung who was the founder of Analytic Psychology. For this goal I am dealing with the process which forms Jung`s theory and reviewed various thoughts from Plato`s Ideal to the Romanticism and Kant`s philosophy. Since Rene Descartes the dualism, such as opposition between thought and being, observer and object of observatio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urned into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So many philosophers tried to unite this schism as Kant, Fichte and Hegel did. But I proposed the comparison between Schelling and Jung as a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problems of dualism. Jung was influenced from Romanticism and focused on mythology and religion which composed mysterious and multi-dimension aspects of things. As a result he created the theory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Animus/Anima) and Archetype. The natural philosophy of Shelling which held Absolute Being as Nature was covered with the forms of mysticism and idealism and considered soul as nature. So Shelling and Jung have a similar viewpoint for the world and human soul. Shelling`s totality is compatible with Jung`s unification of opposites and former`s paradox is related with latter`s self of contradiction. From these premises I can draw conclusion that Schelling`s philosophy of Identity and Unification of opposites is proposed as a alternative solution for solving dualism as it contributed to Jung`s psychology.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which resulted from the dualism continued to exist in the modern times and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is regarded as a process of self-re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