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어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음성 AI 미용체험 서비스가 음성 AI 수용 기대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빈,박정은,박은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음성 AI 미용체험 서비스가 음성 AI 서비스 수용 기대와 음성 AI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30대 헤어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자, 연령은 20대, 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 현 직장 근무 기간은 1년에서 2년 미만, 월 급여는 150-200만 원 미만, 근무시간은 8시간 이하, 유일은 주 2회, 직원 수는 10명 이상,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음성 AI 서비스 상담 항목은 두피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타당성 및 신뢰도는 음성 AI 미용체험 서비스가 관심도, 유용성, 신뢰성, 용이성의 네 개의 요인, 음성 AI 서비스 수용 기대가 성과기대, 사용기대의 두 개의 요인, 음성 AI 사용 의도가 사용의도의 하나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음성 AI 서비스 수용 기대와 음성 AI 사용의도는 음성 AI 미용체험 서비스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미용산업에서는 음성 AI 미용체험 서비스의 프로그램 개발을 계획하고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oi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eauty experience services on the acceptance expectations of voice AI services and the intention to use voice AI.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hairdressing professionals in their 20s and 30s and analyzed them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2.0.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female gender, age in the 20s, college education (enrolled/graduated), work experience of <2 years, monthly salary under 1.5–2 million KRW, working hours of ≤8, working days of 2 per week, and >10 employees in the workplace. Scalp management was the most preferred voice AI service consultation topic.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revealed interest, usefulness, reliability, and ease of use as factors for voice AI beauty experience services;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usage expectations as factors for the acceptance expectations of voice AI services; and usage intention as a factor for the intention to use voice AI services. Acceptance expectations of voice AI services and the intention to use voice AI demonstra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voice AI beauty experience servic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beauty industry should plan and implement the development of voice AI beauty experience service programs.

      • KCI등재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비교 평가

        김유빈 ( Youbin Kim ),남양희 ( Yanghee Nam ),강민정 ( Minjung Ka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뉴노멀 시대, 중위고령층의 경우 인지적, 심리적 특성으로 인해, 무인결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비대면 주문방식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사용성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양방향으로 상호작용하여 작동을 이끄는 음성인식 기술을 키오스크에 접목하여 고령친화적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AI 무인결제시스템을 통한 고령친화 접근의 유용성에 대해 고찰하고, 기존 패스트푸드점의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와 AI 음성인식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관찰평가를 통해 사용의 효율성과 사용의 효과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의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AI 음성인식 모드가 일반 모드에 비해 사용 소요시간이 짧았고, 오류 횟수도 적게 나타났으며 실수 극복 소요시간도 빨랐다. 사용의 효과성 측면에서 AI음성인식 모드가 인지성, 이해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최초성공률은 일반 모드에 비해 2배 이상의 낮았다. 사용의 만족도 측면에서는 발음 인식의 오류, 목소리 크기로 인한 오류, 메뉴명을 외워야하는 부담감 등으로 인해 AI 음성인식 키오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좌절감을 주었고, 휴대폰 사용방식과 기존 키오스크 사용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인해 친숙성도 낮게 나타났다. 반면 AI 음성인식 모드가 AI 캐릭터의 단계별 가이드, 부연 설명, 친근한 화법 등으로 인해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결론 고령층 사용자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AI 음성인식 서비스에 대해 접근함으로써 향후 AI 키오스크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AI 음성인식 서비스를 접목한 키오스크 상용화를 위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는 고령층의 키오스크 사용성 및 접근성 향상할 수 있는 범용적인 AI 키오스크 개발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Nowadays, elderly faced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payment system using kiosks due to their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adopted a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leads interactive communication into the kiosk and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I based speech recognition as an elderly-friendly solution. Methods We produced two prototypes which are typical interface of existing kiosks and new typed interface of AI based speech recognition kiosk. Through user observation for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kiosks, we fou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iciency of use and the effectiveness of use. Also, we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us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nd discussed future improvements of the AI based speech recognition kiosk. Results In terms of efficiency of use, the AI mode took less time to use than the typical mode, had fewer errors, and took longer to overcome mistake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use, the AI mode showed hig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but the initial success rate was lower than the general mode. In terms of user satisfaction, AI mode gave high frustration due to errors of pronunciation recognition and the volume of voice. Familiarity was low because of the burden of memorizing menus. On the other hand, the AI mode showed high favorability due to the AI character's step-by-step guide, and friendly explanation. ˛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future AI based speech recognition and suggested improvements th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kiosk for the elderly. The comparative results will be applicabl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research.

      • KCI등재

        박물관 AI 음성 대화의 중국 이용자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 진시황제릉(秦始皇帝陵) 박물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

        장춘양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CAC(Cognition-Affect-Conation) 프레임을 기반으로 중국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 이용자가 사용하는 다단계 체험 모델을 구축하고 중국 이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박물관AI 음성 대화 기술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미래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의 개발 및 최적화를 위한 이론적 근거와 실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본 연구는 CAC 프레임을 기반으로 의인성 인지, 관계성 인지, 오락성 인지, 서비스 품질 인지, 비용인지, 이용자 감정, 이용자의 사용 의도 등의 측면에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한다. 정량적 데이터 분석방법을 통해 중국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의 중국 이용자 사용 의도 생성 동기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관계성 인지, 오락성 인지, 서비스 품질 인지는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에 대한 중국 이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긍정적인 감정은 박물관 AI 음성 대화 기술에 대한중국 이용자의 사용 의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의인성 인지와 비용 인지가 높으면은 박물관 AI 음성대화 기술에 대한 중국 이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이 발생하여 이용자의 사용 의도를 높이는 데 부정적인연향이 있음을 도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multi-stage experience model for Chinese museum AI voice dialogue technology users based on the CAC framework,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use of museum AI voice dialogue. The research results have shown that high perceived related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can enhance users' positive emotions towards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and positive emotions can enhance users' willingness to use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On the contrary, higher perceived anthropomorphism and perceived cost can generate negative emotions among users towards museum AI voice conversation technology, which is not conducive to enhancing user willingness to use it.

      • KCI등재

        Effects of Smartphone Product Attributes and User Characteristics on Technostress and Use Preference of AI-based Voice Recognition Service

        향정(Xiang Cheng),강성민(Sungmin Kang)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2 전자무역연구 Vol.20 No.1

        연구목적: 스마트 기술에 있어 AI 음성인식 서비스는 사람의 눈과 손이 필요없이 사용가능하며 이동 혹은 작업 중 상시 입력 및 조작 가능하다. 이렇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AI 음성인식 서비스가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생기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완화나 해소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테크노스트레스와 AI 음성인식 서비스 사용선호도 간의 관련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스마트폰 관련 테크노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가치를 제시하고 연구의 목적 및 방법도 같이 논의한다. 제2장은 주요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진행하고 가설을 제시한다. 제3장은 선행연구 고찰 및 가설을 기반으로 연구의 모델을 설정하고 연구방법론을 설명한다. 제4장은 제안한 연구모델의 적합성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분석을 실시한다. 제5장은 연구의 결론 부분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스마트폰과 관련된 테크노스트레스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스마트폰 제품적 특성에 분류된 기술적 한계, 급변성, 사용자설명서 수준 및 사용자 특성에 분류된 프라이버시 염려는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폰 제품적 특성의 복잡성, 사용자 특성의 혁신성과 모바일 활용능력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자 특성의 요인들보다 스마트폰 제품적 특성의 요인들이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더 많이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AI 음성인식 서비스 사용선호도의 선행변수로 설정된 혁신성과 테크노스트레스는 모두 AI 음성인식 서비스 사용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관점에서 테크노스트레스를 고찰하였는데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테크노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의 인식에 기반한 테크노스트레스 유발요인의 파악 및 해결 방안의 제시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Purpose: In smart technology, AI-based voice recognition service (AI-based VRS) can be used without the need for human eyes and hands, and can be input and manipulated all the time during movement or work. To understand how the AI-based voice recognition service, which has so many advantages, can help mitigate or eliminate the technostress caused by the use of a smartphon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the preference for using AI-based VRS. Composition/Logic: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and value of research on smartphone-related technostress, and summarizes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together. Then, Chapter 2 conducts a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 on major topics and suggests research hypotheses. Chapter 3 establishes a model of the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scusses the research methodology. Chapter 4 conducts a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suitability and research hypotheses of the proposed research model. Finally, Chapter 5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olutions to technostress related to smartphones a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Findings: Technical limitations were classified into smartphones’ product attributes, sudden changes, user manual level, and privacy concerns classified into user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stress.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 attributes of the smartphone, the innovativeness of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the ability to use mobil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echnostres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actors of smartphone product attributes are more related to the technostress of Chinese smartphone users than factors of us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oth innovation and technostress, which were set as a leading variable in the AI-based VTS use prefer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preference of AI-based VR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examines technostr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martphones that people use the most.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technostress and suggesting solutions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echnostress generated by the smartphones.

      • KCI등재

        AI 스피커 사용 중 간투사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이유진 ( Lee¸ Yoo-jin ),윤재영 ( Yun¸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자연어 처리 기술의 발달로 AI 스피커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확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인식 기술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연스러운 대화가 안 되는 등 일상 사용 환경에서의 불편을 경험한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대화의 음성인식이 어려운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음…”, “어…” 등의 간투사와 같은 비정형 발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AI 스피커 사용 환경에서 간투사 사용 시 AI 스피커의 반응 대기 시간 조절(1초, 2초, 3초, 4초, 5초, 6초, 7초)과 대기 방법(피드백 없음, 빛 피드백, 빛과 음성 피드백)이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 사용자가 가장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길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음성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오즈의 마법사(Wizard of Oz)방식으로 총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는 반응 대기 시간 조절에 따른 세 가지 조절변인을 모두 경험한 후 각각에 대하여 사용성 평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 대기 시간 조절은 모든 사용자 경험 요인(선호도, 유용성, 사용성, 신뢰도, 오류 타당성)에서 개선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빛, 빛과 음성 피드백의 제공은 신뢰도의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반응 대기 시간 조절과 빛, 빛과 음성 피드백의 제공이 AI 스피커 사용 환경에서 간투사 사용 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AI 스피커 설계 시 사용자의 간투사 사용이 발생시키는 오류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AI 스피커에 있어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고객 만족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AI speakers,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is still lacking and cannot communicate naturally with the users and also causing inconveniences in everyday environmen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recognizing voice in natural conversation is because of unstructured spontaneous speech, such as "Um..." and "Uh...".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user experience between response latency (1 second, 2 second, 3 second, 4 second, 5 second, 6 second, 7 second) and waiting method(no feedback, light feedback, light and voice feedback) of AI speakers when user using interjections. To that end, 50 participants were evaluated by Wizard of Oz, and interviewed after experiencing all three moderator variables based on response latenc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sponse latency adjustment was effective in all user experience factors. And the light and voice feedback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abili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roper response latency control, light and voice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interjection while using AI speaker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which will suggest strategies for the errors that occurred by the user using interjections and it is hoped tha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basic and core customer satisfaction in AI speaker.

      • KCI등재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서비스의 한ㆍ중 담화 연구

        김순옥 ( Kim Soon-ok ),손녕요 ( Sun Ning-ya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1 No.-

        본고는 AI 음성 인식기와 인간의 대화에서 드러나는 담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담화의 구조를 탐색하여, 이에 나타나는 한국과 중국의 언어ㆍ문화적 특징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한ㆍ중 양국의 AI 음성 인식기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AI와 나눌 담화의 주제를 정보 담화로 설정, 세부 질문을 작성한 후 대화를 나누었다. AI 음성 인식기는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웹에서 정보를 찾아 대답하기, 찾은 정보를 이용하여 AI 스스로 판단내리기, 응용프로그램이나 위젯 기능을 활용하여 답변하기 등의 형태로 발화하였다. AI는 인간과 정보 담화를 나눌 때 세 가지 반응을 나타냈는데, 첫째 ‘즉시인식’의 경우 긍정, 부정의 응답을, 둘째 ‘지연인식’ 경우 응답 지연이나 응답 회피의 반응을, 끝으로 ‘오류인식’의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AI의 반응에 사용자는 응답을 ‘수용’하거나 ‘다시 묻기’, ‘대화 이동’, ‘요청 수정’의 반응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인간과 AI의 정보 담화에 대한 ‘최소 대화’를 구조화하였다. 끝으로 한ㆍ중 양국의 AI 정보 담화를 비교 분석하여 두 나라의 언어ㆍ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s and AI-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interact during dialog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 aim of identifying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orea versus China. Surveys targeting users of AI-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from both countries were carried out, via which topics for human-AI information dialog were selected and specific inquiries were generated, followed by the actual dialog. Upon the user’s request,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would search the web for the correct information, self-assess its content and deliver the output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or a widget. Three types of reaction were identified in AIs when participating in information dialog with humans: 1)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s, classified as ‘immediate recognition’; 2) Delayed or evasive responses, classified as ‘delayed recognition’; and 3) responses that fall under ‘recognition error’. According to the AI’s response, the user would display acceptance, reiterate the question, shift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or modify their requests. Based on these patterns of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izes the ‘minimal dialogue’ in human-AI information dialog. Finally, comparative analysis of human-AI information dialog involving users from Korea and Chin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each country.

      • KCI등재

        인공지능 음성 스피커의 의인화 특성 지각 정도가 지속적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통합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AI(Artificial Intelligence) 음성 스피커는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으며 AI 기술 기반 제품 관련 초기 시장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과 인지된 즐거움 및 혁신 저항 요인을 통합한 통합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AI 음성 스피커 지속적 이용 의향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AI 음성 스피커만의 차별화된 요소로서 3가지 인지된 의인화된 특성들(인지된 이성적지지, 인지된 친밀성, 인지된 인지적 개방성) 요인들이 어떻게 AI 음성 스피커 지속적 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20-30대 AI 음성 스피커 이용 경험자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및 혁신 저항 모두 지속적 이용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이성적지지, 인지된 친밀성, 인지된 인지적 개방성 3가지 인지된 의인화된 특성들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지니는 다양한 함의들도 같이 논의된다. AI voice speak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 early market and development for AI-based goods and service with growing attention from many peopl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based on the integrated adoption model, which combined two factors of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with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ree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i.e.,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have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The data was collected by an online-survey and were responses of thos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nd have experienced in using AI voice speaker. They were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In addition, all of 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and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as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The implications of found results in this research was also discussed.

      • KCI등재

        화자식별 기반의 AI 음성인식 서비스에 대한 사이버 위협 분석

        홍천호 ( Chunho Hong ),조영호 ( Youngho Ch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6

        음성인식(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은 사람의 말소리를 음성 신호로 분석하고, 문자열로 자동 변화하여 이해하는 기술이다. 초기 음성인식 기술은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는 것을 시작으로 두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을 인식하는 수준까지 진화하였다. 실시간 음성 대화에 있어 높은 인식률은 자연스러운 정보전달의 편리성을 극대화하여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반면에, 음성인식 기술의 활발한 적용에 따라 관련된 사이버 공격과 위협에 대한 우려 역시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자동화자 식별(ASV: Automatic Speaker Verification) 기법의 고안과 정확성 향상 등 기술 발전 자체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생활에 적용되고 있는 음성인식 서비스의 자동화자 식별 기술에 대한 사이버 공격 및 위협에 관한 분석연구는 다양하고 깊이 있게 수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자 식별 기술을 갖춘 AI 음성인식 서비스를 대상으로 음성 주파수와 음성속도를 조작하여 음성인증을 우회하는 사이버 공격 모델을 제안하고, 상용 스마트폰의 자동화자 식별 체계를 대상으로 실제 실험을 통해 사이버 위협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관련 사이버 위협의 심각성을 알리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관심을 높이고자 한다. 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is a technology that analyzes human speech sound into speech signals and then automatically converts them into character strings that can be understandable by huma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has evolved from the basic level of recognizing a single word to the advanced level of recognizing sentences consisting of multiple words. In real-time voice conversation, the high recognition rate improves the convenience of natural information delivery and expands the scope of voice-based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with the active application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concerns about related cyber attacks and threats are also increasing.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researches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itself, such as the design of the Automatic Speaker Verification(ASV) technique and improvement of accurac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re are not many analysis studies of attacks and threats in depth and variety. In this study, we propose a cyber attack model that bypasses voice authentication by simply manipulating voice frequency and voice speed for AI voice recognition service equipped with automated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analyze cyber threats by conducting extensive experiments on the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of commercial smartphones. Through this, we intend to inform the seriousness of the related cyber threats and raise interests in research on effective countermeasures.

      • KCI등재

        “Hey Alexa, Would You Create a Color Palette?” UX/UI Designers’ Perspectives on Using Natural Language to Interact with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Renato Antonio Bertao,Jaewoo Joo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AI (인공지능)는 알렉사와 같은 지능형 가상 비서 (IVA)을 통해서 이미 우리의 삶에 침투했으며 디자인 작업에도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활용하여 개발될 지능형 디자인 비서에 (intelligent design assistant) 대해서, 디자이너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브라질의 UX/UI 디자이너들에게 지능형 가상 비서와 AI 디자인 도구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추가로 알렉사와 (Alexa) 어도비 센세이를 (Adobe Sensei) 결합하여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인 알렉사 센세이를 (Alexa Sensei) 가상의 시나리오로 만든 뒤, 이에 관한 설문도 함께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브라질 디자이너들은 AI와 협업할 기회는 제한되어 있었으나 AI가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는 AI 설계 시스템과 창의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연어를 통한 의사소통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바라보았지만, 이미 지능형 가상 비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들은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에 대한 거부감이 낮다는 점도 함께 밝혀졌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inserted into people’s lives through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s (IVA), like Alexa. Moreover, intelligent systems have expanded to design studios. This research delves into designers’ perspectives on developing AI-based practices and examines the challenges of adopting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We surveyed UX/UI professionals in Brazil to understand how they use IVAs and AI design tools. We also explored a scenario featuring the use of Alexa Sensei, a hypothetical voice-controlled AI-based design assistant mixing Alexa and Adobe Sensei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indicate respondents have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work with AI, but they expect intelligent syste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Further, majority of the respondents predicted that they would be able to collaborate creatively with AI design systems. Although designers anticipated challenges in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those who already adopted IVAs were less resistant to the idea of working with Alexa Sensei as an AI design assistant.

      • KCI등재

        감성적 만족이 AI 스피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 간의 비교 연구

        최은정(Choi, Eun Jung),장동길(Zhang, dongji)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2

        스마트 홈, 커넥티드 카, 스마트 웨어러블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서비스들에 음성 AI 기술의 접목이 왕성히 이루어지고 있다. AI 스피커는 대표적인 음성인식서비스 플랫폼으로서 높은 관심에 비해 그간 AI 스피커의 초기 수용에 관한 연구들로 집중되어 왔으며 지속사용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AI 스피커의 지속사용모델을 개발하고 AI 스피커의 지속사용모델이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AI 스피커 실이용자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여 총 523부(한국 255부, 중국 268부)를 수집하였고 AMOS를 활용한 SEM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AI 스피커 대한 지각된 용이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용성이 높았고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높을수록 감성적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AI 스피커 대한 감성적 만족이 높을수록 지속사용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가설과 달리, AI 스피커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I 스피커에 대한 감성적 만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문화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한국과 중국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AI 스피커 맥락에서 기술수용모델의 중요 요인인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과 감성적 만족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감성적 만족을 보고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지속사용모델 내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이는 AI 스피커와 같은 혁신 서비스들의 지속사용 맥락에서 글로벌 공통적으로 유사한 사용자의 지속사용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Voice AI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various smart devices and services such as smart homes, connected cars, and smart wearables. Despite high interest on AI speaker, most of the studies about AI speaker are on initial acceptance and academic research on continuous use is still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I speaker sustained use model and to verify whether the AI speaker sustained use model differs between countries. A total of 523 copi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targeting actual users of AI speakers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AI speaker,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and usefulness, the hig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AI speaker,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Lastly,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ffect of emotional satisfaction with AI speakers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n the context of AI spea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was investigated. Second, emotional satisfaction was report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rd, the results in whic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he sustained use model are interpreted as having similar user responses in common glob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