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수학 흥미: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임혜성 ( Im Hae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유아의 수학 흥미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5세 유아의 부모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 흥미가 높았으나,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정 지향형 vs 성취 지향형 상호작용)은 유아의 수학적 흥미를 예측하지 못했다. 둘째, 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예: 간단한 덧셈하기, 숫자 이름 익히기 등)에 직접 효과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부모들은 유아와 수학적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였고, 이러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유아의 수학 흥미를 완전 매개하였다. 논의에서는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how preschool-parent contact is associated with children’s math interest mediated by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A total of 204 parents of children aged 4-5 years completed a parental survey.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i.e., learning simple sums, and naming written numbers) predicated children’s math interest, but the qualit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interest.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system that supports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이연선,류수민,김현령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is study focused on how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and organized the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alysis introduced by Novak and Gowin (1983, 1984),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ies,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of teachers’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Fifty pre-service teachers and 35 in-service teachers drew conceptual maps of parent education for 1.5 hours. First, both the in-service teacher group and pre-service teacher group regarded ‘content of parent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form of knowledge in parent education. In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parenting skill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development are included. However,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upper category of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had more practical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ut family, children, parents, and parent education as coursework in the upper category of parent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put plan, process, implementation, object, necessity and effect of parent education in the upper categor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more practical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needed to be included in teacher education. Second, in the analysis of concept mapping,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indicates that how densely teachers organized their understanding of parent education. Both groups did not have high points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The density of knowledge on parent education ranged from 0.33 to 4.59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 group and from 1.33 to 3.65 in the in-service teacher group.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might not have strong hierarchical and organized knowledge and concept of parent education. Finally, this result shows us the ‘parent education’ knowledg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e recommended that in the course of parent education, more practice of parent education including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parent education might be included. 본 연구는 개념도 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부모교육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개념은 어떠한지, 개념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예비유아교사 50명과 유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 범주화, 내용별 빈도 및 백분율, 상위개념 특성과 밀도, 하나의 상위개념에 연결된 종속개념의 단계 등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아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두 집단 모두 부모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이 내용적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예비유아교사는 이론 지식, 유아교사는 기관에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지식이라는 상위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9권의 부모교육 저서에 나타나는 부모교육 내용요소에 근거하여 분석한 두 집단의 상위개념에서 예비유아교사는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필요성, 기관에서의 부모교육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는 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부모교육의 내용 및 필요성,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순으로 나타나 서로 다르게 개념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는 상위개념 중 ‘가정’에 관한 개념을 가장 많이 갖고 있었고 ‘부모교육의 실제’에 대한 개념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유아교사는 상위개념이 비교적 골고루 형성되어 있었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밀도는 0.33에서 4.58이었고 유아교사는 1.33에서 3.63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부모교육에 대한 지식이 다소 단편적이면서 분리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부모교육의 방향에 대한 재설정과 기관에서의 의미있는 부모교육 운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희망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교사 변인 및 유아 사회성의 매개효과

        허소영,김수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 and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leadership, personal variables (sociability), parental variables (leadership, playfulness, parental intelligence) and teacher variables (teacher-young children’s interaction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ariables (leadership, playfulness, parental intelligence) and teacher variables (teacher-young children’s interac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92 young children (197 male, 195 female) and their parents, 4-5 year olds attending kindergarten in the D city, K district from 1th to 31th, December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us. First, all six variables, young children’s leadership, personal variables (sociability), parental variables (leadership, playfulness, parental intelligence) and teacher variables (teacher-young children’s interactions), have some degrees of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Second, young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sociability), parental variables (leadership, playfulness, parental intelligence) and teacher variables (teacher-young children’s interactions) had direct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sociability), parental variables (leadership, playfulness, parental intelligence), teacher variables (teacher-young children’s interactions) and young children’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변인 및 교사 변인이 유아 개인변인인 사회성을 매개하여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와 K지역의 사립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20여 곳에 재원중인 만 4세, 만 5세 남아와 여아로 총 392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 및 교사들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리더십, 부모 놀이성, 부모 역할지능, 교사-유아 관계, 유아 사회성과 유아 리더십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 리더십, 부모 놀이성, 부모역할지능, 교사-유아 관계, 유아 사회성은 유아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 리더십, 부모 놀이성, 부모역할지능,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 사회성을 매개하여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쳤다.

      •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인식 비교

        신창숙,서유경,안성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인 수용언어·표현언어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하여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으며, 언어재활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관찰 평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100그룹)가 배포되었으며, 272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총 258부(86그룹)를 분석하였다. 장애유아의 수용·표현언어능력에 대한 현재수준 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영태 등(2003)이 개발한 표준화 검사「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Scale:PRES)」에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하위영역은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 및 구문론, 화용론의 3개의 하위척도로 총 90문항으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총 18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가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에 대한 인식은 기대수준이 현재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현재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과 음운 및 구문론에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화용론에서 부모집단과 교사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 언어재활사 집단에서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현재수준의 화용론은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현재수준에 대한 부모, 유아교사, 언어재활사 집단 간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기대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부모집단과 교사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와 언어재활사 집단에서 장애유아의 수용 언어 기대수준을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기대수준에 대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 간의 인식 비교한 결과 교사와 부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모집단과 언어재활사집단에서 장애유아의 표현 언어 기대수준을 부모가 언어재활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인지개념 및 의미론, 음운론 및 구문론, 화용론에서도 같은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장애유형에 따라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애유형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장애유형에 따라 가지는 언어능력의 특성으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하여 현재수준을 파악하고 기대수준을 가진다면 언어발달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에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의 기대수준에서는 세 집단에서 부모와 언어재활사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인식 비교를 하는 데 있어 편견이나 기술의 부족에 의해 다르게 인식을 수 있다. 하지만 장애유아가 속해 있는 여러 환경에서 보여지는 언어능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세 집단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가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바르게 이해하다면 유아의 특별한 행동에 적절하게 개입을 할 수 있으며, 풍부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고 자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발달에 대한 적절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과 함께 유아의 언어능력 발달에 대한 기대는 그 능력에 대한 가치의 부여, 선호도를 반영하고 발달을 자극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 교사, 언어재 활사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언어능력의 발달에 대하여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함께 연계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하여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해를 높일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의 연계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부모, 교사, 언어재활사간의 인식 차를 줄이기 위해 장애유아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가지고 세 집단이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세영,조윤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first solution to challenging behaviors. The child's behavioral checklist for parents(K-CBCL, 1.5-5), the child's behavior evaluation scale for the teachers(C-TRF) were used to rate th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the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a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except the physical symptom subcategory.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thdrawal subcategory only in the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oo. Thir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ubcategory in the ex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also rated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recogniz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for intervening appropriately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less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2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와 담당교사 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과 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C-TRF) 도구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전체 문제행동 인식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화의 신체증상을 제외하고 전 하위 영역에서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내재화된 문제행동 인식에서는 위축에서 부모와 교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외현화 문제행동 인식 차이에서 주의 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합한 조기 중재를 위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되었다.

      • 부모의 칭찬 화행과 유아의 생활적응

        이영훈 ( Young Hun Lee ),유경애 ( Kyung Yea Yuh ),김덕순 ( Duk Soon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8 영유아교육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부모의 칭찬 화행 유형을 분류하고, 유아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부모의 칭찬 화행 유형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유아의 생활적응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유치원의 총 157명의 유아와 부모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의 칭찬 화행의 유형은 크게 기술적 칭찬, 건설적 칭찬, 파괴적 칭찬, 나-전달적 칭찬으로 나눌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특성(성별, 연령별)에 따라 부모의 칭찬 화행 유형의 효과가 달리 나타났다. 즉, 남아들은 부모의 건설적 칭찬과 파괴적 칭찬이 유아의 생활적응을 설명해 주는 변인이었으나, 여아들은 부모의 칭찬화행 유형 어떠한 것도 유아의 생활적응을 설명하는 변인이 못되었다. 그리고 유아의 연령이 적은 경우(3,4세)는 부모의 파괴적 칭찬이 유아의 생활적응을 더 잘 설명하였으며, 연령이 많은 경우(5세)는 부모의 건설적 칭찬이 유아의 생활적응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칭찬 화행의 유형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유아의 특성에 따라 부모가 칭찬을 달리해야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특성에 따라 부모가 칭찬 화행을 어떻게 달리해야 효과적일지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parents` praise speech type and to find out how individual type of praise speech affects differently their children`s life adaptation. One-hundred fifty seven children and parents were sampled from 3 different kindergartens. The final results are follows: 1) Four types of praise speech were found. 2)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children`s sex and age. In boys, their life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parents` constructive and destructive praise. Girls` life adaptation failed to be explained by any praise type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life adaptation of younger children(3 to 4 year olds)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destructive praise of their parents. Constructive praise was more effective for five-year old children. Sever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부모의 수학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의 관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임혜성,최진경,이민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in predicting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61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completed a survey. The finding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s’ expectation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e.g., counting objects, measurement for length and weight, etc.) predicted children’s mathematic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fo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ge. However, parents’ mathematics attitudes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addition,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ediated their expectations of children’s math skills and children’s actual mathematic achievement, but did not mediate par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and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ways to support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parents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수학에 대한 태도, 부모의 수학적상호작용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3세부터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검사 및 부모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월령을 통제한 후에도,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예: 주변 사물의 수 세기, 물건의 무게나 길이 재기 등)은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였으며,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였으나,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김정원(Kim, Jung Won),이주영(Lee, Joo Young),김경본(Kim, Kyung B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 37명과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37명 등 총 7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67.6%, 유아교사 73%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었고, 부모들은 교육기관, 이웃과 친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교육기관이나 매스컴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81.1%, 유아교사의 100%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모두 민족, 인종, 성 등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공동체 속에서 서로 존중하고 협동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부모 스스로가 그릇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부모의 협조가 필요하므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각 나라에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고 서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유아교사는 장애인과 보통사람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부족, 교육 자료의 부족을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preschool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37 parents and 37 teachers in An-san city and Hwa-sung city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more than 2/3 of research sample have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neighbors and friends, and mass communications. Second, 4/5 parents and all teachers who h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eel nee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ents thought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the essential skills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eachers to let children know everybody has equal right in this society. Third,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teach children about human equality regardless of ethnicity, race, sex, etc and everybody has to respect each other and cooperate in this society. Fourth, parents recognized that home-school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them to overcome their own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teachers to let parents participate to their children's classrooms. Fifth, parents thought the fact that various people live together in this society harmoniously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ntent and teachers thought especially about disabled people. Sixth, parents a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ss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ack of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유형이 부모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유아교사 자질 인식의 매개효과

        정계숙,강인설,박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awareness of teacher qualific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al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argeting 388 parents of children aged 3, 4, and 5, who atte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182 attending kindergartens, 206 attending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parental awareness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qualifications’ and ‘awareness sca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for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Sobel test was conducted.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parental perception of qualific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ies are above normal levels,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perceived teacher qualifications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igher than parents of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parental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hird,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parental percep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community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par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teacher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본 연구는 자녀가 재원하는 유아교육기관 유형과 부모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의 관계에서 교사자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182명, 어린이집 206명)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 세 자녀를 둔 부모 3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자료로서 부모의 유아교사자질 인식 및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이며,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유아의부모가 유치원에 재원하는 유아의 부모보다 유아교사자질 인식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더높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유형과 부모의 유아교사자질 인식 및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부모의 유아교사자질 인식은 유아교육기관 유형과 부모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공동체의중요한 주체인 부모의 교사자질과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공동체적 특성에 대한 인식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사자질 증진의 중요성과 교사교육에 대한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부모효능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박현희 ( Park Hyun Hee ),이경화 ( Lee Kyung-hw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부모가 지닌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부모 효능감의 개념과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는 타당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의 부모 400명이다. 검사도구 개발 절차를 살펴보면 첫째, 1, 2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부모효능감의 개념, 구성요인 도출 및 예비문항 개발을 하였다. 둘째, 수집된 테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로 유아부모효능감이란 유아기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합한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자녀와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부모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지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 도구는 세 가지(유아부모의 자아 효능감, 양육행동 효능감, 사회적 역할수행 효능감) 영역과 여덟 개의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문항내적 일관성과 신뢰도를 분석하여 본 검사도구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넷째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의 측정모형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부모들의 부모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세 영역과 여덟 개 측정변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st that can measur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Second, is th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valid and reliable? The 400 young children’s parents with various job in Seoul and Kyungi-Do were participated for a main survey. Then two rounds of panel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ontent validity about the deduced concept and construct and initial items. As the result of thepanel survey, three domains and eight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wa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parents' ability to effectively deal with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by performing appropriate parental rol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Seco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test consisted of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he three domains were divided into self-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perso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were analyzed to confirm that the test tool is acceptable.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testing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which consists of 26 questions, which are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o measure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in a reliable and reasonabl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