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udy on two genera, Yasumatsua Togashi and Aproceros Malaise (Hymenoptera: Argidae: Sterictiphorinae), from South Kore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최진경,이수빈,Meicai Wei,이종욱 한국곤충학회 2015 Entomological Research Vol.45 No.6

        Yasumatsusa Togashi, 1970 and Aproceros Malaise, 1931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A new species, Yasumatsua koreana Lee & Lee sp. nov., and newly recorded species, Aproceros pallidicornis (Mocsáry, 1909), are described. Photographs of the new species and a key to genera of Korean Sterictiphorinae are provided.

      • KCI등재

        우리시대와 코메니우스의 판하모니아(Panharmonia) 사상

        최진경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9

        Will Comenius' ideas still work in our time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yper-connected society, and Post-Human era?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ctuality of Comenius’ thought. Since the 17th century, the reason-centered thinking by Descartes has sepa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between humans and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God and have deepened conflicts. On the other hand, the values(communication, convergence, cooperation, connection, sharing, empathy, openness, etc.) required by a new era 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yper-connected society, and post-human era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the ‘separated world’ through the ideas of the Panharmonia of Comenius and fi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to greet the ‘connected world’. For this purpose the study dealt with first Descartes’ and Comenius’ philosophical position on world understanding. Then, It dealt with the system of Panhamonia, so-called the triplicity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three elements are combined in harmony. Through this, the Comenius’ thought of Panharmonia demonstrates the actu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menius’ thought by showing how much we can sympathize with the values demanded by our time and promote Christian values. 제4차 산업혁명, 초연결사회, 포스트휴먼 시대라 불리는 우리시대에 코메니우스의 사상이 여전히 유효할까?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 사상의 시사성(時事性)에 대한 연구이다. 근세이후 데카르트의 이성중심적인 사고로 인해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분리되고 상호 단절의 문제와 갈등이 심화되어가는 반면에, 제4차 산업혁명, 초연결사회, 포스트휴먼 시대라 불리는 새 시대가 요구하는 가치들(소통, 융합, 협력, 연결, 공유, 공감능력, 개방 등)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판하모니아 사상을 통해 ‘분리된 세계’의 갈등을 극복하고, ‘연결된 세계’를 맞이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세계이해에 대한 데카르트와 코메니우스의 철학적 입장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삼위성(ternaria)이라는 코메니우스의 삼위일체적 판하모니아(Panharmonia) 사고체계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우리시대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기독교의 핵심가치인 믿음-사랑-소망의 삼위성에 초점 맞추어야 함을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코메니우스의 판하모니아적인 사고가 우리시대가 요구하는 가치들과 얼마나 공감대를 이루며 기독교적인 가치들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 밝힘으로써 코메니우스 사상의 시사성(時事性)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A review of Chorinaeus Holmgren (Hymenoptera, Ichneumonidae, Metopiinae) from South Korea with description of one new species

        최진경,강규원,서경인,이종욱 국립중앙과학관 2017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0 No.1

        Chorinaeus mandibulatus Choi and Lee, sp. nov.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from South Korean fauna. The genus Chorinaeus of South Korea is reviewed and four species of Chorinaeus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Descriptions with photographs of a new species as well as diagnoses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 KCI등재

        New Records of the Genus Exochus (Hymenoptera: Ichneumonidae: Metopiinae) from Korea, China and Mongolia

        최진경,이수빈,이종욱 한국동물분류학회 2014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0 No.3

        We report two new records of Korean fauna of genus Exochus, as well as two newly recorded species fromChina and Mongolia each. Specifically Exochus suborbitalis Schmiedeknecht, 1924 and Exochus thomsoniSchmiedeknecht, 1924 from Korea, Exochus kusigematii Tolkanitz, 2007 and Exochus suborbitalisSchmiedeknecht, 1924 from Mongolia and Exochus semilividus Vollenhoven, 1875 and Exochus thomsoniSchmiedeknecht, 1924 from China are reviewed. The genus Exochus have been reported 19 species fromChina and 21 species from Mongolia. Diagnosis of the four unrecorded species, host information, distributionsand illustrations of external characters are provided.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genus Aperileptus Förster, 1871 (Hymenoptera, Ichneumonidae, Orthocentrinae) from South Korea

        최진경,Jong-Wook Lee 국립중앙과학관 2020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3 No.1

        The three newly recognized species of the genus Aperileptus are recorded in this article: Aperileptusinfuscatus Förster, 1871, Aperileptus obscurus Humala, 2007, and Aperileptus vanus Förster, 1871. Adescriptive key to the South Korean Aperileptus and photographs of each species are provided.

      • KCI등재

        Discovery of Two Unrecorded Species of Zaglyptus (Hymenoptera: Ichneumonidae: Pimplinae) from South Korea

        최진경,이종욱 한국동물분류학회 2019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5 No.1

        Two species, Zaglyptus multicolor (Gravenhorst) and Zaglyptus semirufus Momoi, are newly recognized from South Korea. Zaglyptus iwatai (Uchida) has only been reported from South Korea to date. Diagnoses of two unrecorded species,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a key to species of this genus are provided.

      • 살구나무 돌발해충 잎벌류의 분류학적 연구

        최진경,정종철,이종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살구나무와 매실나무에 발생한 돌발해충의 애벌레를 채집, 실험실 내에서의 사육을 통해 돌발해충의 종 규명과이들에 기생하는 천적곤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분류군인 돌발해충은 식식성곤충인 잎벌류로 2016년 충북보은과 청주, 경북 상주 등의 지역에서 발생, 살구와 매실나무의 잎을 갉아 먹어 생육과 과실의 결실에 큰 피해를주었다. 사람과 물품 등의 이동 증가로 인하여 해충이 새로운 지역으로 분산되어 적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있어 해충의 종 구명 및 확산방지를 위한 천적곤충 탐색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해충과 천적곤충의종 규명을 통해 한국에 처음 기록되는 잎벌류를 보고하고자 하며, 잎벌류의 기재, 잎벌류의 발생시기별 생태사진및 천적곤충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Review of the Genus Pimpla (Hymenoptera: Ichneumonidae: Pimplinae) from Korea

        최진경,송근명,서경인,이종욱 한국동물분류학회 2016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2 No.3

        We reviewed Korean species of the genus Pimpla and confirmed 12 species. In this genus, 36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the Eastern Palaearctic region, eight species were from Korea. Also, we report four species, Pimpla albociliata Kasparyan, 1974, Pimpla femorella Kasparyan, 1974, Pimpla kaszabi (Momoi, 1973) and Pimpla melanacrias Perkins, 1941, which were newly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mong them, Pimpla nipponica Uchida, 1928 is recorded from United States and the Nearctic region for the first time. A key to Korean species of the genus Pimpla, diagnoses and illustrations of adult external structures are provided.

      • KCI등재

        Checklist of South Korean Metopiinae Förster, 1869 (Hymenoptera, Ichneumonidae) with new South Korean species and a note on Seticornuta koreana

        최진경,이종욱 국립중앙과학관 2017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10 No.1

        The subfamily Metopiinae (Hymenoptera: Ichneumonidae) was represented in South Korea as 96 speciesbelonging to 13 genera. In this study, six additional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Triclistus are recorded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A checklist of South Korean Metopiinae and a note on Seticornutakoreana are provided.

      • KCI등재

        15세기 관료 문인의 ‘한양’ 이미지 -「한도십영(漢都十詠)」 및 그 차운시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경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2 No.-

        Handosipyeong(漢都十詠) is a literary piece written by Seo Geojeong(徐居正, 1420- 1488), which contains ten pleasures enjoyed at several places in Hanyang. The memory of the community was embodied through the piece and its rhyme-borrowing poems written by Lee Seungso(李承召)ㆍKang Heuimaeng(姜希孟)ㆍSeong Im(成任)ㆍSeong Hyeon(成俔)ㆍWolsandaegun Lee Jeong(月山大君 李婷)ㆍBulimgun Lee Shik(富林君 李湜). This article defined the original piece of Handosipyeong and its rhyme- borrowing poems as the Handosipyeong pieces and rearranged the subtitles of the ten selections by the internal principles. The ten selections were divided into two parts—landscape and play. The former indicates the city’s spatial image—the inner and outer city, while the latter describes the action of recreations—the entertainments at Han River in relation to the seasonal change. As a result, it is derived that the authors, with Seo—who was prime-aged in his fifty’s—as a representative, created the pieces to perceive Han River as their base and living foundation as well as to honor themselves who make a living and enjoyment there. The memory of the community was promoted by their effort to exchange rhyme-borrowing poems or to record them on screens. The various images of Han River depicted in the play part, especially the image of an excursion to serve Chinese envoy—which was a trend in the 15th century—embraces distinct features of this era. The scenic spot of Hanyang depicted in the poems is the landscape of humanities that covers the physical space itself and the joy derived from it. It also functions as a significant source to investigate how the 15th-century bureaucratic literati had captured the area of Seoul. 「漢都十詠」은 徐居正(1420∼1488)이 한양의 여러 장소에서 누릴 수 있는 열 가지 즐거움에 대해 노래한 것으로, 그의 창작 후 李承召ㆍ姜希孟ㆍ成任ㆍ成俔ㆍ月山大君 李婷ㆍ富林君 李湜 등 6인의 次韻詩를 통해 ‘한양의 명승’에 대한 공동체의 기억을 구현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한도십영」의 원운 및 차운시를 모두 포괄하여 「한도십영」 연작시로 명명하고, 작품을 구성하는 내적 원리에 따라 10경의 소표제를 재배치해 보았다. 이에 따라 10경은 도성의 공간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풍경부와 도성에서의 놀이 행위를 서술하는 놀이부로 대별할 수 있었는데, 풍경부는 도성의 안과 밖, 놀이부는 사계에 따른 한강에서의 유흥을 서술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도십영」은 50대의 장년이 된 서거정을 위시한 창작자들이 자신들의 터전이자 생활공간이었던 한강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생활하고 유락하는 자신들의 모습을 기념하기 위해 서술한 작품이며, 차운시를 주고받고 이를 병풍 등에 기록하는 행위를 통해 공동체의 기억을 조성하고 있었다. 특히 놀이부에 드러난 한강의 다양한 이미지는, 중국 사신 접빈으로 한강유람이 하나의 문화적 유행으로 자리 잡은 15세기 명승에 대한 기억이 구현된 사례로 이 시대의 특징적인 면모를 담지하고 있었다. 이렇게 조성된 한양의 명승은 배경이 되는 공간과 그 속에서 활동하는 사람의 흥취까지 포괄하는 인문 경관으로 15세기 관료문인이 가진 서울에 대한 장소적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기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