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안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인터넷 안전교육 실태

        김승옥,이정수,이경옥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인터넷 안전교육 실태와 인터넷 안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의 올바른 인터넷 사용 및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아들의 인터넷 사용에 따른 역기능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넷 및 게임의 과다사용, 부적절한 언어사용의 문제, 무계획적 사용 및 부적절한 인터넷 사용자세 등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었다.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이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터넷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인터넷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는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인터넷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연수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터넷 안전교육에 대한 구체적 방법과 내용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었다. 실제 교사연수에 참여한 경험 또한 매우 저조하여 교사연수기회의 확대가 요구되었다. 더불어 유아 대상 인터넷 안전교육은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에 의존하기보다 가정과 연계하여 유아교사와 부모가 함께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유아안전교육 관련 예비유아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제안

        배지희,정효진,이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safety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suggestions for pre-service training.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2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that their learning experiences differed based on the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used in safety education courses. The teachers felt that safety education courses that included actual cases of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helped them increase knowledge and skills in safety. Most of the teachers, however, mention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ed to be improved.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offer an independent safety education course that deals with concrete examples of safety issues. Second, the safety education course should help increas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integrate safety education into the context of children's daily lives. Third, the teachers suggested that pre-service training sh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to cope with safety issues through repetition and direct experience. Lastly, the teachers mentioned that evaluation in safety education courses should be extended to assess pre-service teachers' safety skills and knowledge.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유아안전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들이 안전교육과 관련해서 어떠한 교육을 받았고,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제안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이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수강한 안전교육 교과목의 개설 형태, 교육내용, 교수방법에 따라 경험이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안전교육 교과목이 아닌 다른 교과목에서 안전교육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배운 경우와 독립된 안전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경우, 이론과 지식 중심의 내용을 주로 배운 경우와 교육현장에서의 실제 사례들에 대해서 배운 경우, 강의중심교육을 받은 경우와 체험중심교육을 받은 경우에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도가 다르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안전교육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독립된 안전교육 교과목이 제공되어야 하며, 안전 민감성을 길러주기 위한 현장 밀착형 교육, 안전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한 체험과 반복 중심의 체득교육, 그리고 교과목 평가 방식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유아 안전교육 연구동향 분석

        양진희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To do this, the network text analysis through UNINET 6 was conducted for 235 articles published in KCI journals and domestic dissertations from 1995 through 2019.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es in the RISS database offer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tha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five educational discourses were ‘safe’ followed by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 and ‘young children’ in consecutive order. Second, as a result from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 for saf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five core keywords, ‘safe’,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rogram’ each had a high degree centrality. And the core connective keywords were ‘safe education program’, ‘the safe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perception of parent and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were mainly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ather than at home. So, in the futur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contents and method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ut also more actively in connection with home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안전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의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235편을 분석대상으로 UNINET 6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 네트워크에서‘안전’이 핵심 주제어로 빈도수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교육’,‘유아교육기관’,‘유아교사’, 그리고‘유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10위 내의 주제어는‘안전’,‘교육’,‘유아교육기관’,‘유아교사’ 그리고‘프로그램’이 대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키워드는‘안전교육 프로그램’,‘유아교육기관의 안전’,‘유아교사와 부모의 인식’등 이었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 안전교육 관련 연구들은 가정보다는 주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유아안전교육은 내용 및 방법적 측면과 가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함을 함축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김수향 ( Kim Soo-hy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안전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114명과 예비유아교사 114명으로 총 228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4일부터 6월26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은 총 16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 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3개로 소방안전, 자연재해안전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미디어안전, 질병안전, 도구사용안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6개로 그 중에서 교통안전, 소방안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약물오용남용예방안전, 환경오염안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유아교사는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소방안전 순으로, 예비유아교사는 소방안전,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순으로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수준은 유아교사평균 1.40, 예비유아교사는 평균 1.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개념수준의 분포는 1.00.3.36사이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의 개념에 대한 각 범주에 대한 개념형성은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집단 내 유아안전교육의 개념 수준의 차이는 유아교사는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 강의를 이수한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안전 전문성에 요구에 부합하는 교사들의 개인차를 반영한 교육과 제도마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level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whic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using a concept ma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4 in-service teachers and 114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4 to June 26, 2015. The results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16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in-service teachers chose fire and natural disaster safety the most. However, media, disease, and tool safety were not chosen.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s`` all super ordinate concepts were chosen. Traffic and fire safety were chosen the most.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drug misu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as chosen with low frequency.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in the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followed by fire safety was important.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fire safety followed by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was important. Third, the average of the concept level for the in-service teachers`` 1.40, and 1.43. for pre-service teachers. The average for both groups was nearly the same. All the subjects were within the range of 1.00.3.36 for the level of the concept. This value means that the teachers had a lack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urth, in the case of the in-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was caused by the teachers`` academic ability and career.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safety education courses for young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develop safet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한민경,김수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the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for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522 teachers at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from the 19 citie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Using related bibliographies and previous studies as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ratio of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 for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was relatively high(70.9%),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oute and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still limited and need to be improved. Second, concerning the important criteria of safety education content of natural disasters, the teachers perceive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by their age', and 'the type of natural disaster which were generated most frequently' as the appropriate. Second, as for same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multi-media materials’ and ‘connections between homes and local commun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Third, with regard to teachers’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career and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 그리고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유아교사 자연재해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지역에 위치한 19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5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에서 유아교사는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내용 선정 시 ‘영유아의 연령별 발달 수준’. ‘발생빈도가 높은 재해유형(29.9%)’, 그리고 적합한 자연재해 안전교육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와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선택하였다. 유아교사의 경력 및 재직 교육기관유형에 따라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실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유아교사들은 자연재해 안전교육은 ‘안전지식형성’차원에서 ‘자연재해 예방’의 교육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며, ‘안전기술형성’차원에서 ‘자연재해 대비’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유아교사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연수경험 비율이 다소 높은 수치였으나(70.9%), 연수경로, 연수 횟수, 연수내용 등에서 한정된 학부과정에서의 교육 및 일회성 연수 등의 제한점, 자연재해에 중점을 둔 안전교육 연수의 부족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신현정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은유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유아 안전교육 수업을 수강한 75명의 예비 유아교사이다. 연구자료는 연구 대상에게 안전교육에 대한 개방형 설문인 ‘유아 안전교육은 이다. 왜냐하면 때문이다’를 제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서 나타난 101개의 은유 표현은 은유 분석 4단계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범주화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형별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 안전교육은 유아의 생존과 건강을 지켜주는 안전교육, 유아기에 필요한 안전교육, 위험과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교육, 유아의 일상에서 지속해야 하는 안전교육 등의 4개로 유형화하였다. 유형별 내용 범주를 살펴보면, 유아의 생존과 건강을 지켜주는 안전교육에는 안전을 위한 필수요소와 건강 지킴이에 해당되는 은유 표현을 포함하였고, 유아기에 필요한 안전교육에는 안전 습관이 형성되는 시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방향 안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 등의 은유로 표현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위험과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교육에는 위험으로부터의 탈출, 안전사고 대비 장치, 위험에 스스로 대처하는 힘에 해당되는 은유 표현으로 구성하였고, 마지막으로 유아의 일상에서 지속해야 하는 안전교육에는 생활 밀착, 끊임없는 반복, 경험 중심, 실천 중심 교육 등을 포함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 안전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유아 안전교육의 역할과 교육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유아 안전교육 교과목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김수미(Soo-Mi Kim)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0 사회융합연구 Vol.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T지역 D대학의 1, 2, 3학년 예비유아교사 200명이며,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통해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16문항과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요구 7문항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아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서 유아안전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에서는 유아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로 조사되었다.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것에서는 안전기능 터득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안전교육 목적에서는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 습득으로 인식되었다. 유아안전교육의 내용에서 유아안전교육 실시 시 가장 고려할 점으로 유아 개개인의 특성으로 인식되었으며, 유아안전교육 내용 중 최우선적 교육항목에서는 교통안전으로 인식되었다. 앞으로 더 요구되는 유아안전교육 내용으로는 질병 및 전염에 대한 안전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의 요구에서는 유아안전교육 교과의 확대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문적인 안전교육 교과에 대한 요구도 매우 필요한 것으로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seek ways to revitalize th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D University in the T area, and the research tool was surveyed as 16 questions on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and 7 questions on demand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was very necessary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recognized as acquiring the ability to protect oneself from safety accidents. Second, in the demand for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mand for expansion of the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subject was very high. The demand for professional safety education subjects was also very necessar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안전환경 관리 정도 및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의 차이

        박미영 ( Mi Young Park ),조희숙 ( Hea Soog J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정도, 유아교사들이 안전환경을 관리하는 정도와 안전교육을 실천하는 정도를 알아보며, 안전환경 관리 정도와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라 안전사고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창원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담임교사 1명씩에게 질문지를 통하여 최종 121부의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특히 연구문제 4, 5번의 경우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정도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이 안전환경을 관리하는 정도는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이 안전교육을 실천하는 정도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안전환경 관리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률을 검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안전환경 관리 정도가 높은 집단이 안전환경 관리 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안전사고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률을 검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안전교육 실천 정도가 높은 집단이 안전교육 실천 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안전사고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ain how often safety accidents happe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how often preschool teachers maintain a safe environment, how often teachers provide safety education, and how much safe environment maintenance and safety education make a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in 75 preschools and 75 daycare centers located in Pusan and Chang-won areas.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them and only the completed 121 out of 150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nd t-test were undertaken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were relatively lower in early childhood settings. Second, teachers maintenance of a Safe environment were relatively good. Third, preschool teachers overall did not provide safety education very often. Fourth, when teachers` maintenance of safe environments were examined to see how much they affec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eachers who maintained safe environments more often had fewer accidents than teachers who did less often. Fifth, when the provisions of safety education were examined to find out whether it affects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eachers who provided safety education more often had fewer safety accidents than teachers who did less often.

      • KCI등재

        아동복지현장에서의 안전교육 효과성 연구

        신지현 ( Ji Hyun Sh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유아의 안전지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2)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3) 안전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 유아의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고 안전지식에 관한 도구로는 보건복지부에서 발간된 영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중 바깥놀이 시 일어날 수 있는 비 안전 행동목록과 곽은복(2000)의 논문을 참고로 유아교사 3인의 자문을 받아 놀이기구 사용 시 일어날 수 있는 12문항의 비안전행동 목록을 작성하였다.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를 통하여 유아의 안전지식, 안전문제 해결능력,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결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유아의 안전지식의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 사고능력을 증진시키고, 여러 가지 안전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유아의 안전하지 못한 행동빈도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다 In this study, infant safety education program established following problem to verify the effect applying development. 1) Some change does e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bring in infant`s safety knowledge? 2) Some change does e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bring in infant`s safety problem solution ability? 3) Some change does e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al programs bring on infant`s conduct? I did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after each with program enforcement move to search enforcement effec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and paper of rain safety action list and Gwakeunbok(2000) that Bakkatnol among Yeongyoua safety education program tool about safety knowledge publishes from the Ministry of Health-Welfare can get up at time made growable 12 checklists` rain safety action list when use game receiving infant teacher 3 humanity and justices inquiry for reference. Can conclude exert effect that is positive to infant`s safety know-how, safety problem solution ability, safety action through safety education program enforcement. Regarding this study, is as following if describe relevant conclusion concretely. First, Boda, that through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in infant`s promotion of safety knowledge effect be. Second, I can know that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encourages infant`s safety problem solution accident ability, and improved solution ability about various safety discord circumstance. Third, there was effect though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lowers unsafe action frequency of infant.

      • KCI등재

        시청각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놀이중심 안전교육 컨설팅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변화:《피노키오》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최윤정(Choi, Yun Jung),채영숙(Chae, Yeong Suk),이주원(Lee, Ju W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부합하여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시의 안전유치원 교사 9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피노키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컨설팅 과정에서 수집된 교사 면담 전사본, 자유 질문지, 컨설팅 자료, 회의 동영상 녹화 및 녹음 전사본, 현장 노트, 일일교육실행서, 교사 저널, 회의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피노키오 영상 장면에서 다양한 유아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안전교육 내용 이해를 위해 도전하였다. 둘째, 교사는 유아 놀이 환경 지원 및 관찰, 피노키오 이야기와 유아놀이의 연결 지원, 유아 놀이에서 안전교육 분석과 같은 다양한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교수 ‧ 학습 방법을 반복 실천하였다. 셋째, 교사는 피노키오 이야기를 다른 반 유아 및 교사들과 공유하고 실천하면서 일상에서의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의 의미를 만들어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부합하는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인식 개선 및 컨설팅 지원 방법에 관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며, 유아 ‧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 변화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as to improv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implementing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this end, 9 teachers in Anjun Kindergarten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interview transcripts, open-ended questionnaires, consulting materials, transcripts of recorded video conferences, field notes, daily educational practices, teacher journals, and meeting minutes collected from consulting on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using the “Pinocchio” anim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the teachers analyzed various child safety education contents from the scenes in the Pinocchio video and challenged themselve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repeatedly practic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such as support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environments, supporting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he story of Pinocchio and children’s play, and analyzing safety education reflected in children’s play. Third, the teachers created the meaning of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in daily life as they shared and practiced the story of Pinocchio with children and teachers in other classes. This study can serve as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erceptions for implementing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and ways to support consulting in accordanc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mplies the needs for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and efforts to implement child and play centered safe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