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 문화의 상징적 위계에 대한 조사: 한국 사회의 고급문화는 무엇인가?

        최샛별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4

        The lack of studies on the symbolical hierarchy of culture in Korean society-studies that are indispensable to the studies of cultural capital in Korean society-led to this study which aimed at identifying high culture and examining how the cultural hierarchy is constructed within Korean society. For this, the study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e year 2011 from 2,000 adult male and female residents throughout Korea. In specific, questions were used that asked how classy the respondents felt about each item listed under the categories of cultural activities, music genres, television programs, dance genres and sports games and that asked to select the most favorite item of all. To each question, the study applied fundamental analysis and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dentified high culture from both the perceptional and the practical point of views. Then, by putting together the findings from these two analyses, the high culture of South Korean society were identified as follows: attending classics/opera shows, attending musical shows,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watching cultural programs on television, attending ballet, doing horse riding and playing golf.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by drawing on Bourdieu's theory, the study simultaneously considered the perceptional and practical aspects of high 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that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vided a guide to the future discussions on omnivore and cultural capital studie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연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사회 문화의 상징적 위계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 사회의 고급문화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포함한 문화적 위계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문화자본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그 중 문화활동, 음악장르, TV프로그램, 무용장르, 스포츠종목 각 영역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고급스러움 정도를 묻는 문항과, 가장 선호하는 항목 한 가지를 고르는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각각의 문항에 대해 기초분석과 중다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여, 인지적 측면에서의 고급문화와 실천적 측면에서의 고급문화를 살펴보고, 이 두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 사회의 고급문화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클래식/오페라 공연 관람, 뮤지컬 관람, 클래식 음악, 교양 TV프로그램, 발레, 승마, 그리고 골프가 인지적, 그리고 실천적 측면에서 한국 사회의 고급문화로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르디외 이론에 입각해 고급문화의 인지와 실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통해 옴니보어 논의를 비롯한 향후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연구를 심화시킬 수 있는 지침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내부지향 조직문화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협업3Cs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안재선(Ahn, Jae Sun),김문중(Kim, Moon Jung)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공조직의 혁신을 강화하기 위한 협업방안을 모색하고자 경기도 내 45 개 보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내부지향 문화를 중심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협업(3Cs: 소통, 협력, 조정)과의 관계성과 상사신뢰가 LMX와 협업3Cs의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위계문화요인은 협업(3Cs)과 LMX에 대하여 모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계적 질서가 중시되던 과거의 공조직의 문화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집단문화에서는 협업(3Cs)과 LMX에서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위계중심의 공조직문화가 변화되었다는 결과에 대한 반증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LMX의 매개효과와 상사 신뢰의 조절효과 역시 내부지향문화인 위계문화와 집단문화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보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 문화는 위계문화보다는 집단문화에 가까우며, 위계문화는 업무의 효율성 또는 효과성에 있어 무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소라는 전문화된 공조직이 갖는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계층적 구조중 심의 공조직에 대한 전반적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어지며, 향후 공조직 협업을 강화하려면 위계적, 계층적 문화가 아닌 집단적 문화가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현대조직의 핵심요인인 리더 십과 관련하여 LMX와 상사신뢰는 조직운영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조직효율성을 향상하려면 상사와 부하 간에 교환과정이 중요하며, 상사에 대한 신뢰강 화는 조직의 목표달성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가져올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ublic officials working in 45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Collaborative 3C; Communication, Cooperation, Coordination, focused on Inter-organizational Culture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As a result,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n LMX trust and collaborative(3Cs) to trust in supervisors. Whereas group had given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on(3Cs) and LMX, Hierarchical culture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collaboration (3Cs) and LMX. Mediating effects of LMX and Moderating role of trust in supervisors has also been demonstrated that it can be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organizational culture of hierarchy culture and group culture. Therefore, officials culture working in the health center was found to be close to the group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hierarchy. It can be seen that the hierarchical culture is insignificant impact on the efficiency or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With regard to leadership, it is revalidated that trust in supervisors is essential factor to lead organization. Thus, leading organization member based on trus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s goal.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윤원수 ( Yun Won Su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地方行政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조직문화는 경쟁가치모형의 관계지향적문화, 혁신지향적문화, 과업지향적문화, 위계적지향문화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요 요인을 통해 고객지향성과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첫째,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특성의 경우 혁신지향적문화에서 유의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특성의 경우에서는 유의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 특성의 경우 과업지향적문화, 위계지향적문화에서 유의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기간 특성의 경우 과업지향적문화, 위계지향적문화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의 조직문화 요인 중 위계지향문화는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멘토 및 의사소통 강화, 창의성 개발 지원, 균형적 조직운용, 리더의 조정자 역할 강화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in the subjects with public servants in Jeju Province. The selected organization cultures we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novation-oriented cultur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in the competitive value model.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 orientation was reviewed with the selected item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novation-oriented culture by sexe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y the ages upon the verification of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organization cultu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by titles and service years. Second, upo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culture and customer orientation, hierarchy-oriented culture did not influence the customer orientation among the factors of organization culture in the public servants of Jeju Province. Strengthening mentorship and communication, support of creativity development, balanced organization operation, and strengthening leader’s role of mediator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통해서 본 문화교육의 위계화 방안 연구

        모홍월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way to hierarchize cultural education by le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attempted to classify the culture and divide it into categories and then hierarchize it. Also, it was considered that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should be the standard for hierarchization for cultural education by level. In this paper, material, mental, modern and traditional were identified as four elements that make up the culture, and the culture was divided into ①material and modern culture,②material and traditional culture, ③ mental and modern culture, ④ mental and traditional culture by the interaction of these four elements. Also, based on the foreign learners' averag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their understanding of idioms, Chinese learners accepted Korean culture in the order of 1.material and modern culture → 2.mental and modern culture → 3.material and traditional culture → 4.mental and traditional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aimed at foreign learners. Therefore, the standard of hierarchization for cultural education by level should also be the standard of foreign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he order of difficulty for Chinese learne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should be the order of difficulty for hierarchizing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문화교육을 위한 위계화의 방안을 찾아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었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화를 분류하여 범주를 나눈 다음 이것을 위계화하는 과정을 거치려 했다. 그리고 한국문화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도가 수준별 문화교육을 위한 위계화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물질적, 정신적, 현대적, 전통적인 것을 문화를 구성하는 4요소로 파악하고, 이들 4요소의 상호관계에 의해 문화를 ①물질적이며 현대적인 것, ②물질적이며 전통적인 것, ③정신적이며 현대적인 것, ④정신적이며 전통적인 것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한국문화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균 이해도와 관용표현 구사 능력에 따른 이해도를 통해서 보면,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문화를 1. 물질적이며 현대적인 문화 → 2. 정신적이며 현대적인 문화 → 3. 물질적이며 전통적인 문화 → 4. 정신적이며 전통적인 문화의 난이도 순서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준별 문화교육을 위한 위계화의 기준도 한국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해도가 기준이 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난이도의 순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을 위계화하기 위한 난이도의 순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진출 한국 제조기업의 조직경쟁력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최석규 ( Choi Seok Gyu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중국 진출 한국 제조 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경쟁력에 미치는 관계에서 위계적 조직문화와 변화지향적 조직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조직문화와 조직경쟁력과의 관계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위계적 조직문화는 조직경쟁력인 인적자원역량 수준과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의 경우 인적자원 역량수준과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조직문화와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에 따른 조직경쟁력에 관한 회귀분석해본 결과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의 중국진출 한국제조 기업은 인적자원역량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종사자 규모에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위계적 조직문화와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에 따른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가설검증결과 위계적 조직문화와 인적자원 경쟁력 수준 및 내부프로세스 역량수준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변화지향적 조직문화와 조직 경쟁력에 대한 가설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계점은 데이터(HCCP)가 7차년도(2017)년도에 조사되어 최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조직경쟁력을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학문적이고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 중국에 진출한 업종 전반에 대해 실질적인 현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 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설득력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ing China.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drew meaningful implications. First,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human resource competency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which ar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ase of companies with showed a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entering China with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human resource competency and showed a high influence on the Scale of employees.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and the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ir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ere was no effect o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human resource competitiveness level, and internal process competency level, and the hypotheses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HCCP) was investigated in the 7th year (2017), an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that have recently entered China, meaningful results were derived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hat relatively convincing research will be made if a comparative analysis can be made through practical field surveys and analysis of the overall industries that have entered China in the future.

      • KCI등재

        직무환경별 특화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직문화 및 환경 분석 연구: 의료-보건 계열 현장의 상황과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김은정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4

        This research began with a recognition of the questionable effectiveness of current sex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onducted uniformly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need for developing tailored sex education material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rose from this awareness. To develop specific sex education material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proceeded with the premise that analyz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ituation of the target field is essential before the actual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Under this premise, the research focused on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seeking insights from related sexual violence programs. After paying attention to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the study identified issues where organizational culture, work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in this field might lead to delays in addressing cases of sexual violence compared to other fields. Based on these identified issues, a survey and expert Delphi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characteristics in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particularly regarding sexual harassment/sexual violence matters. The analysis revealed five central concept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strong hierarchical structure,’ ‘patriarchal culture/normalization of bias,’ ‘excessive work stress,’ ‘special nature of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and ‘elite consciousness as professionals.’ Building upon these five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the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hould take place. Firstly, regarding the ‘strong hierarchical structure,’ the study suggested methods such as presenting cases or encouraging role-playing to make participants aware of and reflect on this issue. Participants in such programs are expected to reflect on the problems within the organization’s strong hierarchical structur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Secondly, the issue of ‘patriarchal culture and normalization of bias’ within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was addressed.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of normalized bias/patriarchal culture in sex education programs for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als to prevent them from unknowingly engaging in patriarchal behavior. Thirdly, the study discussed issues related to ‘excessive work stress.’ While it may not be possible to fundamentally change this situation through sex education programs, providing information actively used by medical and health practitioners for stress relief is crucial. This can help prevent unintentional sexual harassment/sexual violence due to stress.Fourthly, due to the specific nature of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there is a significant potential for secondary harm.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prevention measures and contingency plans related to this aspect should be included in sexual violence programs. Finally,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als as experts can lead to a positive perception and active implementation of sex education programs. The study proposed these insights based on the five identified issue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medical and health field. It is believed that a more specific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ed on this basis,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exual harassment/sexual violence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conducted uniformly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본 연구는 이수 대상의 특징에 주목하지 않은 채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수 대상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구체적인 성교육 자료를 맞춤형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한편, 이수대상의 특징과 요구에 맞춘 구체적인 성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교육 자료 그 자체 개발 이전에 대상 계열의 조직문화와 상황을 분석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전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의료-보건 계열에 주목하여 연구를 하고, 관련 성폭력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의료보건 계열에 주목한 이후는 그 조직의 특성, 문화, 업무진행의 상황 등이 여타 다른직종이나 분야에 비교해 볼 때, 성폭력 관련 피해 사례가 다수 일어나는 반면, 그 피해에 대한 후속 조치가 다른 계열에 비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 제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기반으로 하여 의료 보건 계열의 조직 문화와 업무 특징, 그리고 성희롱/성폭력 관련 사항들을 설문조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조사 분석 결과 의료-보건 계열현장에서의 조직문화는 다음의 다섯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되었다. 이는’의료-보건 계열의 강력한 위계 구조’, ‘가부장적 문화/편견의 일상화’,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 ‘의료 보건 계열의 진로 특수성’,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엘리트 의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다섯 가지의 조직문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어떤 방향에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첫째, ‘강력한 위계구조’에 대해서는 교육 이수자들이 이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사례를 제시한다거나 상황극 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교육 이수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조직내의 위계구조와 그로 인한 문제를 스스로 고찰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조직 내 위계구조에 대한 인식과 고찰은 위계 구조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폭력 행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의료-보건 계열의 가부장적 문화와 편견의 일상화 문제이다. 연구 결과, 의료-보건 계열 간 위계구조는 각 계열의 남녀 비율과 연관되어 더 강력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료진의 다수는 남성, 보건-간호 계열의 경우는 여성이 다수로 의료진의 권위가 남성의 권력과 결합하여 성폭력 행위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가해자들이 일상화된 가부장제 문화에 길들여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를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연구 결과 드러났다. 따라서 향후 의료 보건계열 대상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일상화된 편견/가부장제 문화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여 학습 이수자들이 적어도 의식하지 못한 채 실수/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셋째는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와 관련한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상황을 성교육 프로그램에서 근본적으로 바꿀 수는 없다. 대신, 스트레스 해소와 관련하여 의료보건 종사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성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로 인해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성희롱/성폭력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 KCI등재

        공공조직의 인적 다양성과 조직문화: 산림청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재완(Lee, Jaewan),은종환(Eun, Jonghwan) 서울행정학회 202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인적 다양성과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산림청 직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구성원들을 직급, 성별, 연령(세대), 소속기관 등으로 구분하여 인적 다양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먼저 혁신지향문화에 대해서는 인적 구성의 다양성 중 연령의 경우 30대가 20대에 비해 혁신지향문화를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 위계지향문화에 대해서는 연령의 경우 40대와 50대 연령층에서 20대보다 낮게 나타났고, 근무연수의 경우 그 기간이 길어질수록 위계지향문화를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지향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위계지향문화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형식주의가 혁신지향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레드테입의 경우 위계지향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앞으로의 조직문화 인식의 개선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의 강화와 형식주의 및 레드테입의 타파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다양성 관리라는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활용하여 구성들 간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포용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 못지 않게 리더십 및 레드테입 등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human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using data from the “Public Organization Red Tape Perception Survey” targeting members within the Korea Forest Service. In particular, we attemp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human diversity by dividing members by rank, gender, age (generation), and affiliated organiza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among the diversity of human composition, people in their 30s had a stronger perception of innovation-oriented culture than people in their 20s in terms of age. Regarding the following hierarchy-oriented culture, age was lower in those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ose in their 20s, and in terms of years of work, the longer the period,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hierarchy-oriented culture. Meanwhile, 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oriented culture, it had a negative effect on hierarchy-oriented culture. Additionally, formalis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while red ta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strengthen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breaking down formalism and red tape are important in improving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management, this means that changes in leadership and red tape should be accompanied by efforts to utilize communication channels to induce understanding and tolerance of diversity among members.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에 관한 인식차이 연구

        김종길,Kim, Jong-G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5

        해양경찰조직을 지배하는 각종의 조직문화들은 이를 인식하는 해양경찰관이 조직구성원으로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나아가 해양경찰활동의 역할과 치안활동을 결정지을 수가 있다. 이에 해양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전반적인 주류를 형성하는 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고,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향유하고 공감하는 조직의 하위문화가 나타날 수가 있다. 이러한 해양경찰조직문화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가 있는바 일반적인 조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집단문화(Group Culture), 위계문화(Hierarchy Culture), 발전문화(Development Culture), 합리문화(Rational Culture)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해양경찰관들의 일반적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서 20대 연령층의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급에 따라 위계문화와 발전문화, 합리문화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에 있어서는 경장 계급,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의 경우 경감 계급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직경로별 조직문화의 인식차이 분석결과 집단문화에서만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특별채용으로 입직한 해양경찰공무원의 집단문화 경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Maritime polic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various acting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Also, marine policing and security activiti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build. The overall culture of maritime police who share the organization sub-culture may take place. Maritim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 variety of types of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tional cultur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Maritime police aware of the general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of the age group of 20 was the highest recognition in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Second,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of the rank of captain was the highest recognition in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ir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recruitment analysis show the difference in cultural groups showed, in particular, the special recruitment group of police officers, and maritime police culture can be seen tend to appear low.

      • KCI등재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조직문화,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를 매개로

        이은정,서영욱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

        기업 내 회의는 문제해결이나 성과 창출, 현황 공유와 아이디어 발굴 등을 위해 주, 일, 월 단위로 정기또는 비정기적이며 수시로 진행된다. 이러한 회의에 참석하는 직장인들의 회의 만족도는 높지 않다. 효율적이지못한 회의 진행, 상호 소통이 되지 않는 회의, 결과 없는 회의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회의문화를 개선하기위해 퍼실리테이터가 회의를 진행하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업 내에서회의나 워크숍에서 퍼실리테이터(회의촉진자, 의사소통자)의 역할이 조직문화(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가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조직문화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의 퍼실리테이터가진행하는 퍼실리테이션 과정에 3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수집된 299건을Smart PLS 3.0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첫째, 퍼실리테이터의 회의촉진자 역할이 관계지향문화에만 정(+)의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퍼실리테이터가 회의 진행시 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역할의 영역을 다르게 할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의사소통자 역할은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공감과 경청, 개방적인 질문과 피드백, 인정과 칭찬을 통해 참여를촉진하는 의사소통자 역할은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관계지향문화는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관계지향문화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적자원개발을 통해혁신행동의 실행을 권장 할 수 있을 것이다. 매개효과의 검증결과는 퍼실리테이터의 회의촉진자 역할이공식적인 규칙과 능률을 중요시 하는 위계적문화를 매개로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퍼실리테이터의의사소통자 역할은 새로운 도전과 성과를 중요시 하는 혁신지향문화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주었다. 본 연구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조직문화,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회의문화 개선을 위해 퍼실리테이터가 진행하는 퍼실리테이션 문화의 확산, 경영 방향에 맞는 조직문화 형성과구성원의 혁신행동 증진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