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전공 여고생의 월경현상 및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도정님(Jung Nim Do)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여고생을 대상으로 월경현상(초경 시작 시기, 월경주기, 월경량, 월경기간), 월경 전 후의 신체적, 정신적 증상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무용전공별 월경곤란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여 규명하고자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로, 한국무용 88명, 발레 78명, 현대무용 34명을 대상으로 피험자 모두에게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Moos, 1977)기초로 재작성한 19문항 설문지(김효정 등, 2002)중 15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무용 전공 고등학생들의 전공하는 무용과 무용경력에 따라 월경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x²(Chi-square)검증과 교차분석,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특정 무용전공이 월경현상의 변화나 월경곤란증의 감소한다고 해석하기는 무리가 따르므로 무용전공별 월경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심리적인 측면 뿐 아니라 월경곤란증에 관여하는 호르몬 분비들을 포함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regarding the time period of their first menstruation, menstrual cycle, amount, period, and their physical, mental conditions before and after menstru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ch issues on the menstrual distress experienced in each field of dance majo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88 Korean dance majors, 78 ballet majors, and 34 comtemporary dance majors enrolled in dance departments at art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region, with their consent. The subjects answered to 15 questionnaires from re-formulated 19 questionnaires in the MDQ(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oos, 1977) format, and the compil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As for the analysis method, I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menstrual symptoms depending on each field of major and the career of the dance major students, I conducted x²(Chi-square) tests, cros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specific fields of dance major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any considerable effect on the changes of menstruation or the degree of menstrual distress. Therefore, I believe tha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menstruation and each field of dance major,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research not only regarding the mental aspects but also including the hormone secretion that influence the menstrual distress.

      • KCI등재후보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관련요인

        장형주,정현강,고영훈,한창수,조숙행,Chang, Hyung-Joo,Jeong, Hyun-Ghang,Ko, Young-Hoon,Han, Chang-Su,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3 정신신체의학 Vol.21 No.1

        연구목적 여고생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월경 관련 요인이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방 법 서울시내에 위치한 5개 여자고등학교 학생 1,688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증상, 우울, 불안 척도 및 사회인구학적, 월경 관련 문항이 포함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Premenstrual Symptom Screening Tool(PSST)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3군으로 분류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결 과 Moderate to Severe PMS와 PMDD의 빈도는 각각 20.1%와 6.4%였다. 월경전 증상 중 과민성(78.8%), 피로감(76.4%), 감정기복(69.8%)의 빈도가 높았으며, 학업 수행(67.1%)영역에서 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졌다. 우울, 불안 수준을 보정한 분석에서 생리통[odd ratio(OR)=3.68, 95% confidence interval(CI) 2.45-5.55], 월경전 증후군의 가족력(OR=1.91, 95% CI 1.35-2.71) 및 경구 피임약 복용 경험(OR=1.85, 95% CI 1.16-2.94)이 있을 경우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비교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우울, 불안 증상이 없는 대상군에서는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OR=15.60, 95% CI 3.61-67.42)가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여고생에서 월경전 불쾌장애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의 월경전 증후군의 빈도가 25%가 넘을 정도로 상당히 높고 이로 인한 기능의 장애 역시 심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월경 관련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우울, 불안 증상의 공존이환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syndrome(PMS)/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PMDD) in high school students, and determine the correlates of PMS/PMDD in association with comorbid depression and anxiety. Methods : A total of 1688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5 high schools in Seoul, Korea.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scales to measure premenstrual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sociodemographic and reproductive variable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by using the Premenstrual Symptom Screening Tool(PSST)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MS/PMD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es of PMS/PMDD. Results : The frequency of moderate to severe PMS and PMDD was 20.1% and 6.4%, respectively. Irritability(78.8%), fatigue(76.4%), and emotional sensitivity(69.8%) were common premenstrual symptoms, and functional impairment in academic performance(67.1%) was dominant. Dysmenorrhea[odd ratio(OR)=3.68, 95% confidence interval(CI) 2.45-5.55], family history of PMS(OR=1.91, 95% CI 1.35-2.71), and use of oral contraceptive (OR=1.85, 95% CI 1.16-2.94)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PMS/PMDD after adjustment for depression and anxiety. Negative attitude to menses(OR=15.60, 95% CI 3.61-67.42)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PMS/PMDD, particularly in subjects without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s : PMS was common, as the frequency of PMS more than moderate severity including PMDD exceeded 25%, and disrupted daily functioning in adolescents. PMS is associated with various sociodemographic and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these associations are affected by comorbid depression and anxiety.

      • 월경전기증후군을 보이는 젊은 여성에서의 Minor Stress에 대한 취약성

        소기윤,조숙행,김정웅,이현수,고승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월경전기증후군의 원인은 생화학적 또는 내분비학적 모델 및 심리사회적 모델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도 일치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중 심리 사회적 요소의 하나인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젊은 여성에서 월경주기와 일상생활 스트레스(minor stressor)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월경전기증후군에서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여대생 46명을 대상으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대한 DSM-Ⅳ진단기준을 근거로 하여 15개의 문 항으로 구성된 수정매일평가서(modified Daily Rating Form:DRF)와 5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일상 생활 스트레스 평가척도(Daily Stress Inventory:DSI)를 1회의 월경주기 동안 전향적으로 매일 평 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DRF 항목 중 월경전기동안의 평균점수가 최소한 한 항목에서 3점 이상이 되 고 그 변화정도가 월경후기에 비해 30%이상 높은 경우를 월경전기증후군(PMS, N=20)으로 정의하 였고 나머지를 대조군(N=26)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각 군의 월경주기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사건과 영향 및 영향/사건비율점수를 비교하였다. 통계방법은 t-test, chi-square 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였으며, simple;repeated contrast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결 과: 전체집단에서의 사건점수와 영향점수는 월경전기와 월경기 모두 월경후기에 비해 의미 있는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영향/사건 비율 점수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구 체적인 요인들을 보면, 대인관계와 인지 스트레스 영향점수에서 월경후기에 비하여 월경전기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PMS군에서는 영향점수에서 월경후기에 비하여 월경전기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 여주었으나, 사건점수와 영향/사건비율점수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는 사건점수와 영향점수에서 모두 월경전기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PMS군과 대조군간의 비교에서 PMS군은 사건점수와 영향점수 모두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향/사건비 율점수에서 의미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젊은 여성들은 월경주기에 따라 월경후기에 비해, 월경전기와 월경기에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 이 경험하며 그 영향도 더 많이 받는다. PMS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는 PMS군이 대조군에 비해 일 상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지는 않지만, 월경전기에는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 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Although numerous etiological models of premenstrual syndrome(PMS) such as the biochemical, hormonal, psychosocial models have been proposed, there is no consistent conclusion. Especially, in psychosocial model, state-dependen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tressor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phases was suggested for P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cycle and daily minor stressors in young women, and vulnerability to minor stressors in young women with PMS. Methods:46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modified daily rating form(DRF) of premenstrual symptoms which based on DSM-IV criteria for PMDD, and daily stress inventory(DSI) during at least one menstrual cycle. If the mean score of at least one DRF item during premenstrual phase were more than 3 on 6 point scale and 30% increase in symptom severity during premenstrual phase compared with during postmenstrual phase, they were referred as PMS group(N=20), and the others as non-PMS group(N=26). The event, impact, and impact/event ratio scores of DSI were compared in two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 ANOVA. And post hoc simple;repeated contrast test were performed when indicated by significant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In all subjects,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Among the DSI categories, the impact scores of interpersonal problem and cognitive stressor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In PM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menstrual and postmenstrual phase in the impact score but not in the event score, and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enstrual phase than postmenstrual phase. In non- PMS group, the event and the impact scores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ostmenstrual ph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event ratio scores in both groups. Between the PMS and non-PMS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event ratio scores in premenstrual phase, but not in the event score and the impact scores at any phase. Conclusion:Young women may experience more daily minor stressors and may be impacted more severely in premenstrual and menstrual phases than in postmenstrual phase. In premenstrual phase, the young women with PMS are likely to have more vulnerability to daily minor stressors than controls. Further studies using larger sample size with varied age are required.

      •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김회경,조숙행,신동균,Kim, Hoe-Kyoung,Joe, Sook-Haeng,Sin, Dong-K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menstrual changes and stress perception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PMC^+$)(n=32) and those without premenstrual changes($PMC^-$)(n=62) by using prospective method. Method : The women who were older than 30 years of age and healthy were asked to complete a daily rating form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one menstrual cycle to assess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across the menstrual cycle. They also completed 5-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stress. Percent changes method was used to assess changes between follicular phase and luteal phase. Result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factors(age, education, marriage, employment) and risk factors(onset ages of menarche, regularities of premenstrual changes, duration of menstruation, cycle length, amount of menstruation, dysmenorrhea)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luteal phase stress score between women with($1.92\pm0.63$) and without premenstrual changes($1.51\pm0.42$)(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mean follicular phase stress score between two groups($PMC^+$ : $1.67\pm0.43$, $PMC^-$ : $1.33\pm0.39$). 3) We divided women having premenstrual changes into two groups, higher stress group(stress score > 1.75(median)) and the lower stress group(stress score <1.75(median)). The higher stress group reported more luteal psychological symptoms than did the lower stress group(df=1, F=13.362, p<0.001). However, the groups did not differ in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 In women with premenstrual changes, luteal stress score was higher than follicular stress score and this result suggested tha the perception of stress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symptoms but not physical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emenstrual change is associated with the stress level, and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stress which is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 in the treamtment of prementrual syndrome.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관한 연구

        김형옥 ( Hyeong Ok Kim ),임세원 ( Se Won Lim ),우희연 ( Hee Yeon Woo ),김계현 ( Kye Hy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월경 질환 중 월경전증후군과 월경통의 양상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시내에 소재하는 임의로 표집된 2개 여고 여학생 (17~18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월경양상 및 월경전증후군, 월경통에 대해 조사한 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과 월경통의 유병률은 각각 206명 (63.0%), 256명 (78.3%)이었다. 월경전증후군과 월경통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00). 정상적인 생리기간을 갖는 군에서 월경전증후군은 더 심했으며 (P=0.034), 가족력과도 연관성이 있었다 (P=0.012). 월경통의 경우 초경시작 후 2년 이상 경과된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P=0.003), 정상적인 생리기간을 갖는 군에서 월경통은 더 심했으며 (P=0.017), 가족력과도 연관성이 있었다 (P=0.000). 비만도와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월경전증후군에서는 우울감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P=0.020), 월경통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월경전증후군과 월경통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월경전증후군은 정상적인 월경기간, 가족력, 우울감과 연관이 있었다. 월경통의 경우 초경 후 2년 이상 경과된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정상적인 월경기간 및 가족력과도 연관성이 있었으나 우울감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Objective: To analyze menstrual problems, as well as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PMS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on Korean female teenagers. Methods: We analyzed menstrual problems, PMS, and dysmenorrhea based on the survey answered by 400 high school girls (17~18 years old) from randomly chosen schools in Seoul. Final respondents to a questionnaire were 327 students. Results: The prevalence of PMS was reported by 63.0 % (206 people), and dysmenorrhea by 78.3 % (256 people). PMS was strongly linked to dysmenorrhea (P=0.000). The severity of PMS was correlated with normality of menstrual duration (P=0.034) and familial history (P=0.012). In the case of dysmenorrhea, the presence of dysmenorrhea was significantly high among the group with two years after menarche (P=0.003). Also the seve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ormality of menstrual duration (P=0.017) and familial history (P=0.000). PMS and dysmenorrhea have no correlation with body mass index. Although PMS had a correlation with depression (P=0.020), it was not related to dysmenorrhea. Conclusion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MS and dysmenorrhea. For PMS, it had a correlation with menstrual duration, familial history and depression. Dysmenorrhea was highly frequent among the group with two years after menarche. Though it was correlated with normal menstrual duration and familial history, it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depression.

      •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월경전기 증상변화의 양상

        최소현,감상범,조숙행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0 생물치료정신의학 Vol.6 No.1

        연구목적 :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월경전기의 증상변화 여부와 그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시행하였다. 방법 : DSM-lV 진단기준에 부합되며 규칙적인 월경주기와 월경기간을 보인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연구가 시행되었다. 매일평가서(Daily Rating Form)는 대상자들이 매일 작성 하였고 BPRS는 각 월경기(월경전기, 월경기, 월경후기)에 한차례씩 평가되었다. 연구기간동안 매일평가서를 올바르고 완전하게 작성한 24명에 대한 자료분석이 시행되었다. 결과 : 전체대상군의 총BPRS 평균정수는 세 월경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월경전기가 가장 높고 월경후기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증상군별로 볼 때 정신병적 증상군에 대한 전체대상군의 BPRS 평균점수가 각 월경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불안-우울군과 위축-지연군에 대해서는 각 월경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매일평가서 상에서 30% 변화기준을 적용하여 월경전기에 악화되었다고 판정되는 항목들 중 우울한 기분, 불안초조와 예민, 적개심과 공격성, 활동성지연등의 정서와 행동증상 항목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복통, 유방통, 두통의 신체증상 항목도 월경전기에 악화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국 월경전기에 BPRS 상에서 정신병적 증상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매일평가서와 BPRS 모두에서 이 시기에 정서 및 행동증상의 변화는 두드러졌다. 결론 : 본 연구의 소견들은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월경전기 증상의 악화가 정신병적 증상 그 자체의악화라기 보다는 정서적, 행동적, 신체적 증상들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증상군이 이 시기에 중첩되는 것에 기인할 수도 있음을 시사해 준다.

      • 정서장애 환자의 월경전기변화 특성

        고영훈,조숙행,서광윤,Ko, Young-Hoon,Joe, Sook-Haeng,Suh, Kwang-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월경전기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 양상, 가족력, 높은 정서장애의 유병율은 이 질환의 정서장애와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며 한편, 월경주기에 따른 정서장애 임상경과의 변화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정서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전기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비교하고 일상 및 직업 생활에의 영향 및 환자군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정서장애 환자 80명과 정상 대조군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변화는 DSM-IV 월경전기불쾌기분장애의 진단기준 A를 세분화한 4점 척도의 16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평가 형식의 설문지를 통해 후향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의 항목 중 한가지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변화를 경험하는 월경전기변화군이 정서 장애 환자군은 32.6%. 대조군은 50%로 환자군에서 대상이 적었다. 2)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나, 환자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신체적인 변화인 유방 통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이나 행동 변화인 피로감과 무기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3) 대조군은 기분이나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가 많을수록 일상이나 사회 생활에 심한 장애를 경험하는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이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이나 사회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4) 환자군에서 월경전기변화군은 월경전기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월경통을 보고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그 심각도는 월경전기변화의 빈도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정서 장애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신체적 변화보다 기분 행동 변화가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기존 질환의 월경전기악화 또는 기존 질환과 동반되는 월경전기증후군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환자군에서는 월경전기변화 특히 기분 또는 행동 변화의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정서장애 환자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리라 본다. Objectives : A large of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affective disorder, in particular, depression.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may experience menstrual cycle-associated changes in the severity of their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between control group and affective patient group, and to assess possible risk factors for premenstrual changes in patients. Methods : Eighty normal controls and eighty outpatients given maintenance therapy with fixed dose for at least more than four week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menstrual history, obstetric-gynecological history, and functional impairment. In addition,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16 items based on DSM-IV criteria A for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rated on the following scale : 0(no change), 1(mild), 2(moderate), 3(severe). Moderate or severe change in each item was considered as premenstrual change and the subjects who reported more than one premenstrual change were defined as premenstrual change group.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ercentage of premenstrual change group was 32.6% in patient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2) Frequently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were as follows in control group : breast tenderness; anger ; affective liability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In patients, the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frequently reported. The changes were as follows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change in appetite; affective liability ; sense of difficulty in concentrating : hypersomnia or insomnia. 3) In the premenstrual change group, the patients with only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with only physical changes or both changes. 4) The severity of functional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mood or behavioral changes in patients.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remenstrual changes and patients without them except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An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as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premenstrual change. Conclusion :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moderate-to-severe premenstrual changes, experiencing mood or behavioral changes larger than those experiencing physical changes during premenstrual period. It is possible that some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premenstrual mood or behavioral changes, suffer from coexisting premenstrual syndrome with affective disorder or premenstrual exacerbation of affective disorder. Since the more premenstrual changes, the severer functional impairment, the patients reporting mood or behavioral disturbance in premenstrual period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appropriate therapeutic stategies might be considered.

      • 일병원 간호사군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과 직업적 기능의 저하

        박영환,정범석,김창윤,이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가임기 여성에서 비교적 흔한 문제인 월경전기 증후군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는 그 유병율에 비해 관심도가 낮다. 그 이유로는 장애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나 이 장애가 유발하는 기능저하의 정도가 크지 않음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기 증후군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수행능력을 알아보아 이 장애가 직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일 병원 간호사 1,30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DRSP(the Dailv Record Severity of Problem)척도를 사용하여 월경전기 증상을 측정하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저자들이 본 연구에 알맞게 개발한 도구를 통해 업무능력을 측정하였고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자아존중감 척도, 사회재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탈진감,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사건을 측정하였다. 간호사들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치료추구행태도 조사하였다. 결 과 : 응답자 1078명중 626명(58%)를 분석하였다. 유병율은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4.6%(N=29)였으며 월경전기 증후군은 78.3%(N=490)이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 그리고 증상이 없는 집단 각각이 겪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건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p=0.221). 업무수행능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에서 월경전기 증후군과 무증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기능저하가 있었다(p<0.001). 탈진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 증후군 집단은 증상이 없는 집단에 비해 정서적 탈진이 두드러졌으며(p<0.001) 성취욕구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않았다(p=0.124). 간호사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추구행태는 주로 비약 물요법과 비처방 약물에 의존하는 양상이었으며,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에서 의사의 처방을 받았다고 보고한 사람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간호사집단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은 일반인구에서의 유병율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이 있는 간호사 집단은 증상이 없는 집단에 비해 업무능력이 저하되며 정서적 탈진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간호사 집단은 일반인구와 같이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Despite the high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se problems until now. Two of the possible reasons for this inattention seem to be the lack of awareness of women as a whole about these disorders and the tolerability of the functional impairments caused by th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a nurse group an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function of nurses with these problems. Methods : The cross sectional retrospective data was obtained from 1301 nurses who were employed in a hospital. Premenstrual symptoms were measured with DRSP(the Daily Record Severity of Problems). A new scale developed by authors was use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function. To measure burnout intensity, self-esteem and strength of stressful events,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Self-Esteem Scale and Social Readjustment Rating Questionnaire were used. Nurses' attempts made for managing premenstrual symptoms were also surveyed. Results : Among 1,078 responders 626(58%)cases were analyzed.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4.6%(N=29).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was 78.3%(N=490). comparing occupational function between the groups,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group had more impairments than the premenstrual syndrome group and no symptom group(p<0.001). Emotional burnout was prominent in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group(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s of ambition(p=0.124). To manage their premenstrual symptoms, nurses preferred to nonpharmacologic treat-ments or nonprescription drugs. None of the nurse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reported doctor's prescriptions. Conclusion :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in a nurse group is comparable to that in general population.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group has more impairments in occupational function than the premenstrual syndrome group and no symptom group. Nurses have inadequate managements about their premenstrual symptoms as general population do.

      • KCI등재

        아시아 여성들의 월경 관리 사례 연구

        노지은(Roh, Jieun)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2

        월경은 생물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육체적 경험일 뿐 아니라 한 사회의 젠더체계가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 지식의 체계, 문화적 해석에 영향을 받는 몸 경험이다. 월경은 한편으로 생물학적 섹스로서 여성의 생리적 현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몸’에 대한 개인적 위생 관리의 문제로 치부되면서, 다른 한편 월경 혐오와 월경 수치심은 사회적 젠더로서 여성의 정체성과 행위를 구성하는 사회 문화적 믿음과 실천과 결부되어 있다. 본 연구는 집단면접을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살고 있는 여성들의 월경 경험의 맥락으로서 월경 문화의 차이와 공통성을 살펴본다. 월경 관리의 핵심인 생리대의 사용이 단지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이 아니라 월경하지 않는 몸으로 보이기 위한 월경 패싱 전략의 기술이며 월경하는 몸을 둘러싼 젠더화된 사회문화적 실천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Menstruation is not only a physical experience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a bodily experience that is influenced by social relations, the system of knowledge, and cultural interpretation in which a gender system operates. While menstruation is regarded as a problem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uncontrollable leaking body’ as a biological phenomenon of women, menstrual taboo and menstrual shame are gendered social practices that constitute women’s identity and behavior associated with cultural norms on menstr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gendered socio-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menstruation, menstrual body and management focusing on the choices of Asian women to use the menstrual product in the context of the menstrual culture in their society. The data in this study are based on group interviews of 17 women, in their 20s and 40s, from Asian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Ewha Global Empowerment Program(EGEP) held in 2014-2016 a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 서울 지역 여자대학교 집단에서 월경전기 증후군 및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

        정범석,이철,이지현,서민경,한오수,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가임기 여성의 75%가 하나 이상의 월경전기 증상을 경험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3∼8%에 이르지만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월경전기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및 월경전 불쾌기분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PMDD)에 대한 역학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자들은 한국에서의 유병율, 증상의 양태 및 삶에 미치는 정도 등의 역학 조사를 통해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임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르 시행하였다. 방 법 : 6개의 서울 소재 4년제 여자대학교에서 무작위 군집표본 추출로 선택된 4개 학교의1∼3학년 학생 중 무작위 군집표본추출을 통해 선택된 1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SM-IV진단기준을 근거로 저자들이 제작한 6점 척도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난포기에 비해 황체기에 75%이상 악화된 경우 증상이 있다고 판정할 경우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증상은 있으나 진단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으로 나누어 증상 양태, 식습관 변화, 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부적절한 자료 198명(13.9%), 주요 신체 혹은 정신질환을 앓은 경우 등 선정 배제 기준에 속하는 경우 348명(24.5%)을 제외한 873명이 최종 분석되었다. 873명 중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은 5.0%이었으며, 월경전기 증후군의 유병율은 83.3%이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의 경우 신체증상(54.6%)이었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경우 '지속적으로 짜증난다'(95.5%)이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88.6%에서 증상 때문에 한 달에 1∼2회 이상 일이나 공부에 지장이 초래되었다. 결 론 : 한국 여자대학생 집단이 경험하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과 증상 양상은 외국과 비슷하다. 아울러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은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에 비해 기분 증상이 더 흔하고 심하는 점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는 월경전기 증후권과 구별되는 하나의 질환 상태임을 시사한다. Objects : More than 75% of women have been reported to experience premenstrual symptoms and three to eight percent of them suffer from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PMDD). But little is known about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PMS) and PMDD and PMS in Korean women who sttended universities at the time of survey. Methods : One thousand four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with cluster sampling methods among four women's university in Seoul. We measured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using six-point rating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criteria for PMDD in DSM-IV. Premenstrual worsening of symptoms was defined as increase in symptom scores of more than 75% from follicular to luteal phase score. And also, we compared characteristic symptoms, eating behaviors, and functional impairments between PMS and PMDD. Results : After excluding inadequate data according to our exclusion criteria, 873 of 1419 subjects(61.5%) were included in the 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PMS and PMDD. Each prevalence rate of PMS and PMDD was found to be 83.3% and 5.0% on the basis of 75% change method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physical symptoms such as headache or breast tenderness(56.4%) in PMS and 'felt irritable'(9.5%) in PMDD. Of the 44 subjects with PMDD, 39(88.6%)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the impairment in work or school at least once per month because of premenstrual symptoms.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prevalence and symptoms of PMDD in Korean university women are similar to those in western culture. The finding that mood symptoms were more frequent and severe in PMDD than in PMS implies that the former may be a disordered condi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physiologic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