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考古資料)로 살펴 본 원(元)과 탐라(耽羅)

        김경주 ( Kim Gyeong-ju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1273년 삼별초 평정후 제주에는 원나라 군사가 주둔하고 官人과 牧人 등이 대거 이주하면서 다양한 元式文化가 도입되기 시작한다. 먼저 법화사는 1269년 중창을 시작하여 원왕실의 도움으로 1279년 완공되었다. 원왕실의 적극적인 중창 개입은 남송과 일본 정벌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종교적 기원처이자 願刹의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법화사에는 매우 이국적인 특수건물지가 세워졌는데 정교하게 가공된 석재와 원나라 형식의 기와를 얹어 조성하였다. 이 건물은 원나라 왕실 건축 기술자들이 제주에 입도하여 축조한 元式 건축물에 해당하며 元順帝의 피난궁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특수건물지에 사용된 龍鳳文 막새는 원의 瓦匠에 의해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을 상징하는 유일한 문양이기 때문이다. 제주 서남부 지역은 원과의 물류수송을 위한 포구가 위치하고 있고 원왕실의 수요가 많았던 香樟木의 최대 군락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게다가 이곳은 원나라 이주민과 원왕실 후손들의 유배지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강정 대궐터와 주변지역이 바로 그들의 생활 터전이었으며 인접한 하원동 왕자묘는 伯伯太子 일행의 분묘일 가능성이 높다. 법화사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 지역은 원나라가 동아시아의 영토확장을 위한 군수산업기지와 물류생산지로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원나라 이주민들의 據點聚落이 형성되었고 원순제의 피난궁전이 축조되기도 한다. 원이 멸망한 후에도 왕실 후손들의 유배와 이주민들이 유입됨에 따라 考古學的 원식문화가 지속적으로 잔존하게 된다. After the Sambyeolcho Rebellion was suppressed by the Goryeo and Mongol Yuan dynasty in 1273, Mongolian style was introduced to Jeju as Yuan cavalry started to be stationed in Jeju and massive number of Mongolian officials and stock breeders came to the island. Goryeo began rebuilding Fahua(法華) Temple in 1269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1279 with a help of the Yuan Palace. Yuan benefited from its intervention in the rebuilding. The temple was a religious place to successfully conquer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Japan. There is a very unusual structure decorated with delicate stones and Mongolian roof tiles in Fahua Temple. Mongolian architects came to the island and they built the structure in Mongolian architectural style. It is assumed that it was used as a place of refuge of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The roof tiles made by Mongolian tile makers have patterns of dragon and phoenix and they were the symbols of royal palaces. There was a port used to ship logistics between Jeju and Yua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island. The largest colony of camphor trees that were in great demand from Yuan palaces grow near the port. The area was also known as a place of exile for Mongolian immigrants and descendants of Yuan royal families. Therefore, the palace site in Gangjeong(江汀) and neighboring areas could be their homes and the royal tombs in Heyuan(河源)-dong could be the prince Bai bai(伯伯太子), a son of the prince Weishun(威順王) and his followers.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where Fahua Temple is centrally located was a place to transport and manufacture war supplies for Yuan`s territorial expansion wars. Mongolian immigrants settled down and the palace for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was built in the area. After Yuan dynasty collapsed, descendants of the dynasty were exiled and Mongolian immigrants came to the island, archaeological Mongol culture had remained in Jeju for a long time.

      • KCI등재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Hwa Shin Ryo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3

        본 논문은 선천성 장애아의 ‘원치 않은 삶’ 소송에 관한 연구이다. 원치 않은 삶 소송은 원고(장애아)가 (의사를 상대로) 선천성 장애를 갖고 태어날 가능성을 부모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자신이 장애를 갖고 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소송이다. 이 소송의 특징은 원고가 장애를 갖고 출생한 것이 인공임신중절로 출생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손해라고 주장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치 않은 아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정의를 살펴보고, 손해 및 손해액 평가의 문제를 인간 존엄과 가치의 침해 여부와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관련 국내 판례와 프랑스의 페르쉐(Perruche) 사건과 같은 외국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의사의 과실이 존재하는 한 원치 않은 삶 소송을 인정하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산전 진단의 목적과 장애아의 인간 존엄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때 손해배상책임의 대상이 되는 손해는 부모의 낙태결정권의 침해로 인하여 장애를 동반한 출생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 "Wrongful Life" torts. In a suit for ‘wrongful life’, the plaintiff(usually an infant) brings an action(usually against a physician) claiming that some negligent action has caused the plaintiff's life, say by not informing the parents of the likely prospect that their child would be born with severe defects. The most perplexing feature of this is that the plaintiff is claiming that he would have been better off if he had never been born. A number of arguments have appeared which purport to show that ‘wrongful life’ claims should not be allowed, either because it is senseless to claim that one would be better off if one had not existed or that it is impossible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someone has been damaged by being brought into existence. This paper investigated various cases in which ‘Unwanted child' can be born, and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lawsuits for ‘wrongful life’, reviewing the issues about the damage and its evaluation in terms of human dignity and values violation.

      • KCI등재

        慶州 出土 高麗時代 “院”銘 기와의 檢討

        柳煥星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원(院)은 주요 교통로상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행려(行旅)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우마(牛馬)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원은 고려시대 불교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인적·물적 교류를 관장하는 장소로서 주목되는 곳이다. 사실 『高麗史』,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그밖에 다른 문헌에서 원은 일부 언급되어 있고, 당대의 명문기와 등 실제자료에서도 원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경주에서 출토된 “院”명 기와는 다연원(茶淵院), 미륵원(彌勒院), 대로원(大櫓院) 등 모두 3종류이며 5곳에서 출토되었다. 본고는 경주에서 출토된 3종류의 “院”명 기와에 대한 현황을 명문의 속성(명문의 시문형태, 방곽유무, 명문내용)과 기와의 속성(기와두께, 타날판의 길이, 타날방향, 타날문양)을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징과 편년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종류의 “院”명 기와를 명문의 속성, 기와의 속성, 비교유물 등을 통하여 “茶淵院”명 기와(10세기 말~11세기 말), “彌勒院”명 기와(11세기~13세기), “大櫓院”명 기와(1291) 순으로 편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이 3종류의 “院”명 기와는 10세기 말에서 13세기 말까지의 고려시대 기와인 것이다. 이러한 기와의 출토지와 편년으로 볼 때, 조선시대 원의 위치가 표기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내용과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다연원의 경우,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언급이 없고, 미륵원의 경우 그 위치가 불분명하였다. 그리고 대로원의 경우, 명문기와의 출토량, 김생과 창림사와의 연관성, 창림사지의 입지와 경관을 통하여, 대로원이 조선시대에는 오릉의 숭덕전일 가능성이 높지만, 고려시대에는 창림사지 주변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3곳의 원에 대하여 나름의 의의를 부여하였다. 다연원의 경우 조선 초기 원이 정비되면서 어떠한 변화로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미륵원의 경우 원 내에 기와가마를 번조했을 만큼의 경제력이 있었다는 점, 대로원의 경우 『高麗史』와 『東都歷世諸子記』의 내용, 명문의 관직 명칭과 내용으로 볼 때, 국가가 관여했을 만큼 경주지역 내 명망있는 원이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大櫓院”명 기와에 확인되는 이계제는 성종 6년(1475)에 편찬된 『東都歷世諸子記』에 언급되어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3종류의 “院”명 기와의 내용을 통하여 경주지역 내 원의 조와(造瓦) 시스템에 대한 변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3종류이긴 하지만, 흩어져 있는 경주지역 내 고려시대 “院”명 기와를 통하여 원의 존재여부 및 위치, 더 나아가 원의 조성주체와 기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윤은숙(Yoon, Eun-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원의 북상 이후 요동을 두고 대립했던 원과 명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위해 고려의 협력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고려가 명과 국교를 개시하자, 원은 톡토부카를 고려왕에 옹립함으로서 고려를 압박해 정요위 공격에 동참시키려 했다. 결국 우왕 책봉을 통해 고려와의 구질서를 회복시키고 원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성립시켰으나, 고려는 정요위 공격에 동참하라는 원의 요구를 수용하지는 않은 채 명과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했다. 따라서 고려는 원과 명 모두에 사신을 파견하는 양면외교를 지속함으로서 동아시아에서는 고려ㆍ원ㆍ명이 일정정도 삼각균형이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듯 고려와 원의 잦은 왕래는 명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여ㆍ원 연합군이 요동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를 입수한 명은 서둘러 丁彦 등의 고려인 358명을 고려로 귀환시키면서 고려를 회유하기 시작했다. 고려도 아유시라다라 카안 사망으로 급격히 원이 쇠퇴하고, 원, 나가추와 고려를 각각 고립시키려는 명의 정책이 큰 성과를 거두자 貢馬 5,000마리를 명에 보내 적극적인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등의 유연한 대외정책을 실행했다. 그러나 1387년 5월에 나가추의 투항과 다음해 4월에 원의 소멸로 14세기말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다원적 관계에서 일원적 관계로 변모함에 따라 초강대국이 된 명은 고려에 대한 유화책을 철회하고 강경책으로 돌변했다. 명은 원 소멸 전에는 강경책과 회유책을 반복했지만 원이 실재하는 상황에서 주로 對고려정책은 회유책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나가추의 투항과 원의 멸망은 명의 對고려정책를 강경책으로 급속히 변모시켰고, 이것은 고려 멸망까지 지속되었다. 명은 고려에서 파견된 사신들을 구금하거나 입경을 거부했으며, 나아가 고려에 철령위 설치를 통보하는 등의 강도 높은 강경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명의 강경책은 최영의 요동정벌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고려가 멸망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y examining not only Töqtö Büqa's enthronement of king of Koryo Kingdom before fall of Yuan Empire but also Ming's policy toward Koryo Kingdom after fall of Yuan to find out dynamic relations of East Asia that made change from pluralistic order to unitary order. Yuan Dynasty appointed ToqtoBuqa to be king of Koryo Kingdom to recover previous order between Koryo and Ming and to let Koryo join attack against Jeongyowi(定遼衛). On the other hand,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dispatched envoy to Ming to keep a certain relations and to keep triangular balance in East Asia. Allied forces of both Koryo and Yuan was likely to attack Ming's military base in Liaodung so that Ming gave up previous hard-line policy and started to follow appeasement policy toward Koryo.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as suspicious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hen Yuan Empire lost power rapidly because of not only consecutive death of both Koke Temur and Ayuširidara but also Ming's isolation policy blocking connection among Yuan, Nagachü and Koryo. Koryo positively accepted Ming's imposing of tribute in the name of enthronement of King Uwang. In 1384, Koryo sent as many as 5,000 horses to Ming that was much larger than previous number, and recovered relations with Ming disconnected to take active actions against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Before fall of Yuan, Ming repeated both hard-line policy and appeasement policy and actually often followed appeasement policy. Ming's policy toward Koryo made change to be hard-line policy at Nagachü's surrender and Yuan's fall that lasted until fall of Koryo. Ming detained Koryo's envoy or rejected entering into capital city and notified opening of Cheolryeongwi(鐵嶺衛) in Koryo to follow hard-line policy. Ming's hard-line policy triggered Choi Yeong's conquest of Liaodung to let Koryo fall.

      • KCI등재

        원교이광사(圓嶠李匡師)의 서예미학(書藝美學)과 "원교체(圓嶠體)"의 상관성연구(相關性硏究) -전,예서(篆,隸書)를 중심으로-

        문정자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본고는 원교의 서결(書訣)을 중심으로 그의 서예미학(書藝美學)을 분석하고, 서예미학과 ‘원교체(圓嶠體)’와의 상관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원교의 서예미학은 ‘전·예서(篆·隸書) 서학관(書學觀)’과 ‘고질미(古質美)의 심미의식(審美意識)’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다양한 용필법이 더해져 ‘원교체(圓嶠體)’가 형성되었다. ‘원교체’는 엄정한 기상, 긴밀한 법도, 험경한 필획, 건장하고 빼어난 기세, 노숙한 필치 등이 그 바탕을 이루고, 또한 생동감, 예스러움, 질박함 등의 심미적 특성을 내포한다. 원교는 전통서론에 뿌리를 두고 철저한 법고(法古)를 실천했지만 주체적인 심미적 지향과 다양한 형식적 변화를 조화시킴으로써 창신(創新)을 성취하였고 그 결과 ‘원교체’라는 통변(通變)의 실체를 창출하였다. 그는 이론과 실제를 접목시킨 서가로 자리매김하며, 나아가 당대(當代)의 ‘고법부재(古法不在) 및 유미(柔媚)한 조형(造形)’의 폐단을 개혁하여 정법으로 되돌리는데 기여함으로써 한국서예사에서 확고한 위상(位相)을 차지한다. 本文是以圓橋的書藝理論書訣爲中心,分析他的書藝美學及考察書藝美學和圓橋體之間相關性的硏究.圓橋的書藝美學是“篆·隷書學書觀”和“古質美的審美意識”爲特征。在此添加多樣的用筆法形成了圓橋體。圓橋體以嚴正的氣象、緊密的法度、險勁的筆畵、健壯而秀麗的氣勢、老熟的筆致等爲基礎,而且包含了生動感、古色古香、質樸等審美的特性。圓橋以傳統書論爲基礎,實踐了徹底的法古。幷諧調了主體性審美的志向和多樣的形式上變化,而獲取創新。其結果創出了所謂“圓橋體”的“通變”實體。他成爲把理論和實際相結合的書家,進而改革當代的古法不在及軟媚造型的弊端,幷轉爲正法上有顯著貢獻。因此在韓國書藝史上占據堅定的位相。

      • KCI등재

        원의 『제국신복전기(諸國臣服傳記)』와 고려의 역사 편찬

        김성환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1

        원 간섭기의 당대사 편찬은 이 시기 역사학의 특성 중의 하나로 규정되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로 편찬된 역사서가 온존하게 전해지지 않아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원의 역사 편찬 동향을 살펴보고, 그 토대에서 고려의 역사 편찬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고자 했다. 그 범위는 1278년 11월의 본국누조사적(本國累朝事跡)과 당대사(當代史) 편찬으로 한정하고자 했다. 이것은 원의 대일통을 역사 편찬을 통해 확인하고자 편찬했던 『제국신복전기(諸國臣服傳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원의 요구로 이루어졌던 역사 편찬은 증수와 개찬이 반복되었고, 그런 가운데 고려에서도 정체성과 국익을 위해 자국의 입장을 적극 개진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국누조사적 편찬의 첫 번째 결과는 정가신의 『천추금경록』이었다. 이를 대상으로 두 차례 정도의 개찬이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결과가 오양우의 『국사(금경록)』였다고 추측된다. 1291년 정월에는 원의 쿠빌라이와 국사원 편찬책임자, 고려의 세자와 편찬책임자가 모인 대담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는 민지의 『세대편년절요』로 개찬되었다. 또 원과의 역사 논쟁을 위해 충선왕은 고려역대실록 185책을 반출하여 근거로 활용하기도 했고, 원의 『고려지』 편찬에 이용되기도 했을 것이다. 당대사 편찬의 요구는 원부의 『고금록』으로 마무리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고려가 원에 귀부한 날짜에 대해서 양측의 이견이 있었고, 그 시각은 원을 중심으로 정리되면서도 고려의 입장 역시 적극 개진되었을 것이다. 원에서 고종의 시호가 내려오기 1년 전인 1309년부터 『고종실록』을 『충헌왕실록』으로 개찬한 것도 이와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다. 충렬왕과 충선왕 때 편찬된 『천추금경록』·『국사(금경록)』와 『세대편년절요』, 『고금록』은 1278년 11월 원 중서성에서 요구된 본국누조사적과 당대사 편찬과 관련이 있다고 추론된다. 편찬과정에서 원은 적극 개입하여 그들의 입장에서 개찬하기를 요구했고, 그 결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런 가운데 고려에서도 정체성과 국익을 위해 적극적인 역사 논쟁을 전개했다. 입성책동의 저지, 주구유 살해 원인에 대한 개찬 등은 그 대표적인 사례였다. The compilation of the contemporary history of late 13th century to early 14th century was an attempt to standardiz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is historical period into one work in Goryeo Dynasty. As a consequence of this, however, the published historical record could not be preserved and transmitted in its original form, and there are limits to understanding its contents and nature. In view of this problem, this essay will examine the trend of the Yuan Dynasty’s compilation of historical works. Using this as a basis for comparison, it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Goryeo Dynasty’s historical publications, while limiting its sphere to the November 1278 compilations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Period(本國累朝事跡)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These are related to the “Zhuguo-chenfu-chuanji(『諸國臣服傳記』)”, a historical work compiled in order to underscore the Yuan Dynasty’s great unification. One can confirm that the historical compilation of this work—created in response to Yuan Dynasty demands —went through a second extension and editing process for national benefit, actively stating the country’s viewpoint within the Goryeo Dynasty as well. The first result of the compilation of the Bonguk-nujo-sajeok(History of the Goryeo Period) was Jeong Gashin’s Cheonchu-gumgyeong-rok (『千秋金鏡錄』). In January of 1291, using this as the object of discussion, Kublai, the ruler of the Yuan Dynasty, together with the chief editor of the royal academy of history(『國史院』), met with the crown prince of the Goryeo Dynasty and his chief editor; as a result of the meeting, this work was once again re-edited into Min Ji’s Sedae-pyeonnyeon-jeolyo(『世代編年節要』). Also,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King Chungsonwang in regard to the Yuan academic faction’s side of the historical debate. The History of the Goryeo Period — stemming in its turn from “Zhuguo-chenfu-chuanji”—led to the works Cheonchu-gumgyeong-rok and Sedae-pyeonnyeon-jeolyo being published in this continuation of the records. During this process, the Goryeo Dynasty’s Annals was brought to the Yuan Dynasty, where it served as the basis for another historical debate, eventually being used in the compilation of the Yuan Dynasty’s Gaolizhi(『高麗志』). Due to the demand for the publication of a contemporary history, Won Bu’s Gogum-rok(『古今錄』) was completed, but the date of the Goryeo Dynasty’s return to the Yuan Dynasty fold was in dispute between the two kingdoms; thus, while the focus of the work is mainly on the Yuan Dynasty, the viewpoint of the Goryeo Dynasty was actively expressed as well. Related to this, starting in 1309, one year before Gojong’s posthumous epiphet, the Gojong-silrok was re-edited into the Chungheonwang-silrok. One can find a connection between the requests for the compilation of Cheonchu-gumgyeong-rok, Sedae-pyeonnyeon-jeolyo, and Gogum-rok during the reigns of King Chungryeolwang and King Chungsonwang and those for the November 1278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Period and a contemporary history within the Yuan territory of Zhongshu Official. The Yuan Dynasty authorities actively inserted themselves into the compilation process and demanded that the works be re-edited to reflect their own viewpoint, following up these demands by attempting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rewrites. With this, an active royal debate was unfolding in the Goryeo Dynasty regarding the publication of what was in its best interest. Examples of this can be found in the re-editing of sections dealing with the obstruction of the provincial incident as well as the murder of Mongolian diplomat.

      • KCI등재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圓의 의미 고찰

        박태봉(朴泰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원불교의 교명(敎名)에 있는 ‘원(圓)’ 의미를 동·서양 사상을 통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전에는 ‘원불교’라 교명(敎名)을 정하면서 ‘원(圓)’의 의미를 분명히 밝혔지만 원의 진리는 드러낼 수도 말로도 표현하기 어려워 인류 정신문화사에서 동·서양에 걸쳐 사용되고 나타난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들을 비교해보는 것도 원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필요한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경전의 ‘원(圓)’에 중심을 두고 원의 진리가 우주만유의 본원으로서 우주만유를 통해 무시광겁에 은현 자재해 왔으며, 이러한 우주만유에 작용하는 진공묘유의 조화정신인 순환불궁, 원만구족 등 원의 특성을 넓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양사상과 철학의 근거인 역의 원리를 중심으로 원의 의미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역의 이치야 말로 우주만물의 생성 변화하는 원리이고 이는 원의 속성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역에서는 ‘천도(天道)를 원(圓)’이라 하여 이를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 천지의 큰 덕인 생(生)을 영원히 반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운동을 통해 종(終)하는 데서 다시 시(始)하여 순환하여야 가능하다고 했다. 천지의 운행이 순환운동의 원운동이어야 순환불궁(循環不窮)할 수 있으며 천체에서도 지구를 포함하여 일월성신들이 모두 원의 모양을 띠고 있는 것이다. 서양사상에서의 원의 의미 또한 동양 사상에서 나타난 원의 의미와 유사점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통학문은 아니지만 서양 비학(秘學)에서 원의 함의는 동양사상과 일치하였고, 심리학 분야에 있어서는 동·서양 사상이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서양 사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원의 상징과 쓰임은 원불교경전에서 언급한 대로 우주만유의 본원이자 인간의 본성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생명의 생성 변화하는 작용면에서도 머무름이 없이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생명을 완성시키는 ‘순환론적 생명관’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늘이 만물을 낳는 지공무사한 큰 덕이야말로 바로 일원대도의 본체이며, 이 큰 덕을 영원히 작동하는 원만구족한 원의 진리가 천지대도의 정법임을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원(圓)’의 함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원상(圓相)의 원만한 대도를 닮아가고 원상에 합치되는 생활을 하자는 것이 바로 원불교의 신앙이자 수행이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Won-Buddhism"s Circle" through Eastern and Western thought. While defining the teaching of the "Won-Buddhism" is clear, but it has been poorly supported research widely. The truth of ‘Circle’ can not be expressed or expressed in words,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as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history of human spiritual culture from east to west.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Circle" by looking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of the East and the West, focusing on the "Circle" of Won-Buddhism an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hang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o do this, we intend to clar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rcle based on the "book of Change". This is because it is the changing principle of crea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the book of Change, It is made clear that The principle of Heaven is called ‘circle’. In order to repeat birth, which is the great virtue of heaven, forever, it is necessary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le movement again. In other words, the circle emphasizes that the movement is imminent.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heaven and earth are carried out in circular motion, and all the structures of all things are circle, and the forms of the planets including the earth are in the circular form. The symbol and the use of the "circle" in the East and Western thought mean the origin of life and human nature in the essence side, and furthermore, it means the "cyclical life view" in the operation side. In conclusion, the great virtue of heaven that gives birth to all things is the very essence of the truth of the Circle fullness, which operates the great virtue for eternity, can be seen from the implication of "circle". I hope that academic research that broadens understanding of thi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후보

        慶州 出土 高麗時代 “院”銘 기와의 檢討

        유환성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원(院)은 주요 교통로상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행려(行旅)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우마(牛馬)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원은 고려시대 불교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인적·물적 교류를 관장하는 장소로서 주목되는 곳이다. 사실 『高麗史』,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그밖에 다른 문헌에서 원은 일부 언급되어 있고, 당대의 명문기와 등 실제자료에서도 원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경주에서 출토된 “院”명 기와는 다연원(茶淵院), 미륵원(彌勒院), 대로원(大櫓院) 등 모두 3종류이며 5곳에서 출토되었다. 본고는 경주에서 출토된 3종류의 “院”명 기와에 대한 현황을 명문의 속성(명문의 시문형태, 방곽유무, 명문내용)과 기와의 속성(기와두께, 타날판의 길이, 타날방향, 타날문양)을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징과 편년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종류의 “院”명 기와를 명문의 속성, 기와의 속성, 비교유물 등을 통하여 “茶淵院”명 기와(10세기 말~11세기 말), “彌勒院”명 기와(11세기~13세기), “大櫓院”명 기와(1291) 순으로 편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이 3종류의 “院”명 기와는 10세기 말에서 13세기 말까지의 고려시대 기와인 것이다. 이러한 기와의 출토지와 편년으로 볼 때, 조선시대 원의 위치가 표기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내용과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다연원의 경우,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언급이 없고, 미륵원의 경우 그 위치가 불분명하였다. 그리고 대로원의 경우, 명문기와의 출토량, 김생과 창림사와의 연관성, 창림사지의 입지와 경관을 통하여, 대로원이 조선시대에는 오릉의 숭덕전일 가능성이 높지만, 고려시대에는 창림사지 주변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3곳의 원에 대하여 나름의 의의를 부여하였다. 다연원의 경우 조선 초기 원이 정비되면서 어떠한 변화로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미륵원의 경우 원 내에 기와가마를 번조했을 만큼의 경제력이 있었다는 점, 대로원의 경우 『高麗史』와 『東都歷世諸子記』의 내용, 명문의 관직 명칭과 내용으로 볼 때, 국가가 관여했을 만큼 경주지역 내 명망있는 원이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大櫓院”명 기와에 확인되는 이계제는 성종 6년(1475)에 편찬된 『東都歷世諸子記』에 언급되어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3종류의 “院”명 기와의 내용을 통하여 경주지역 내 원의 조와(造瓦) 시스템에 대한 변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3종류이긴 하지만, 흩어져 있는 경주지역 내 고려시대 “院”명 기와를 통하여 원의 존재여부 및 위치, 더 나아가 원의 조성주체와 기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조선시대 원등(圓凳) 연구

        홍선아(Hong, Sun-ah)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본 논문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원등에 대해 통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등의 시대별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북위(北魏), 북제(北齊)의 반가사유상의 좌구에서 영향을 받은 가운데가 잘록하게 들어간 장고형태의 요고등(腰鼓凳)이 6세기 중반 경의 반가사유상의 좌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 사용된 원등은 불교회화에서 가장 많이 보이며 일반회화나 공예품의 문양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원등은 중국 명식가구(明式家具)의 영향을 받아 사대부의 문방이나 정원에 놓여져 사용되었는데, 나무로 만든 칠기제 원등의 모습을 일반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원등은 중국 고대와 중세의 원등과 마찬가지로 불교사원에서 승려나 수행자의 선정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조선시대의 원등은 당시의 지배계층에서 주로 사용됨으로써 앉는 사람의 권위를 상징하였다.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a round stool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e Chosun perio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 waist drum stool contracted in the middle, influenced by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of the Northern Wei and the Northern Qi appears as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in the 6th century. The round stool used during the Koryo period appears the most in the Buddhist paintings and also appears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patterns of craftwork. Influenced by the Ming style furniture, the round stool of the Chosun period was used by placing it in a study or a garden, and a lacquered round stool made of wood can be seen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period is supposed to be used for the meditation of Buddhist monks or ascetics at a Buddhist temple, like that of Chinese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and Chosun periods symbolizes the authority of the person who sits on it, mainly used by the ruling class.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