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경주 출토 통일신라시대 인각와의 검토

        유환성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1 고고학지 Vol.17 No.-

        인각와는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의 고지(故地)에서 출토되고 있다. 그 수량은 백제지역이 많지만 통일신라시대 경주 지역에서도 자료가 꾸준하게 축적되고 있다. 물론 앞으로 자료가 점점 증가하겠지만 지금까지 경주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인각와는 대략 5종류 14점이다. 이러한 인각와의 현황을 명문의 속성(도장형태. 명문시문형태, 방곽유무, 명문내용)과 기와의 속성(기와의 종류, 타날판길이, 타날방향, 타날문양)을 기준으로 살펴보고, 비교유물을 통해서 인각와의 편년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한(漢)」·「한지(漢只)」, 「정도(井桃)」·「정잔(井拃)」명 인각와를 7세기 후반으로, 기호명 인각와를 7세기 후반 이후로부터 10세기 전반으로, 「창림(昌林)」·「창림사(昌林寺)」, 「남궁(南宮)」·「지인(之印)」명 인각와를 9세기에서부터 10세기 전반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편년 설정을 통하여 통일신라시대 인각와의 속성 가운데 명문의 형태 기와의 종류, 타날판 길이, 타날 문양 등 4가지 정도가 시간이 흐를수록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각와 성격의 경우 첫째, 「한(漢)」·「한지(漢只)」명 인각와는 부명이 표기된 제작처로 판단하였고, 7세기 후반의 안압지와 그 주변 유적의 궁궐과 관청 축조에 사용한 기와로 보았다. 둘째, 「정도(井桃)」·「정잔(井拃)」명 인각와는 도교의 벽사적 의미와 관련해서, 건물의 안전과 벽사적인 의미로 새겼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 인각와의 출토지를 통하여 북천 이북의 동천동 일대까지 7세기 후반에 왕경과 관련한 기와건물지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왕동 556번지 출토의 기호명 인각와에 새겨진 원문 내 삼각점문이 다양한 문양의 인장와전이 출토하는 사천왕사지, 전(傳)인용사지에서 확인됨에 따라 기와 제작자 혹은 공급자의 구분을 위한 기호명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창림(昌林)」·「창림사(昌林寺)」명 인각와는 출토지와 고려 초 경주지역 사찰명 평기와의 출토양상을 통해 시기에 따른 주체는 다르지만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 관청 주도 아래, 복수 공급하였던 인각와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남궁(南宮)」·「지인(之印)」명 인각와는 출토지를 통하여 안압지, 월성 등 궁궐과 관련한 유적에서 사용했을 수도 있지만, 인증인 혹은 검증인의 용도로서 다른 곳으로 공급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인각와의 기능 및 용도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문헌 기록을 통하여 통일신라시대 주요 궁궐, 관청, 일부사찰 등에 인각와가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함께 인각와에서 확인되는 명문의 속성과 기와의 속성을 통하여 인각와가 백제의 영향을 다소 받은 부분도 있겠지만, 통일신라시대에 신라가 자체적으로 생산하였을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have been unearthed from sites dating back to the Goguryeo, Baekje and Unified Silla kingdoms. Those found in the former Baekje territory outnumber those found in the other areas, but the number of those found in Gyeongju (Silla) has increased to 14 items in 5 kin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criptions (i.e., seal shape, type of phrase inscribed, existence of square frame, content of inscription, etc.) and the attributes of the roof tiles (types of roof tiles, length of pattern stamping board, direction and pattern of paddling). Based on these features, attempts to establish the chronological date of production were made. As a result of our analysis of the tiles, it was established that those inscribed with Chinsese characters such as 漢(Han), 漢只(Hanji), 井桃(Jeongdo) and 井拃(Jeongjan) were produced in the late 7th century; that those inscribed with signs were produced between the late 7th century and the early 10th century; and that those inscribed with Chinese characters suchas 昌林(Changnim), 昌林寺(Changnimsa), 南宮(Namgung), 之印(Jiin) were produced between the 9th century and the early 10th century. Based on these chronological sequences, it was observed that four features, namely the shape of the inscriptions, the types of roof tiles, the length of the paddling board, and the pattern of the paddling, changed over time. As regards tiles inscribed with characters meaning Han, Hanji, and so on, which are supposedly the names of the production sites, they are judged to be roof tile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napji Pond, nearby royal palaces, and office buildings in the late 7th century; whereas for tiles inscribed with characters meaning Jeongdo, Jeongjan, etc., it is thought that the inscriptions were likely to contain a Taoist meaning related to exorcism. This paper also confirmed via analysis of the roof tiles that there were buildings with roof tiles associated with Wanggyeong(王京), the plan of the capital city as far as Dongcheon-dong, north of the Bukcheon Stream. Patterns consisting of triangle points inscribed on roof tiles unearthed from #556, Inwang-dong, Gyeongju were also found at the site of Sacheonwangsa Temple (also supposedly Inyongsa Temple), where tiles and roof tiles with diverse patterns of inscriptions were also found. Thus, this paper assumes that these signs identify the producers or suppliers of the roof tiles. As regards roof tiles inscribed with characters such as Changnim, Changnimsa Temple, and the like,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y were supplied by a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ased on the site where they were unearthed, the names of temples in Gyeongju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i.e., right after the collapse of Silla), and the status of the plain roof tiles unearthed. Finally,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such as Namgung and Jiin pointed to the possibility that they might have been supplied from elsewhere through the site where they were unearthed, although it is also possible that they were used in a building related to the royal palace, such as Anapji or Wolseong. This paper concludes that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were used in a limited way in royal palaces,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ased on their functions and usage and on what is recorded in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is paper also raises the possibility that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might have been produced by a fac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lthough they were influenced in some way or another by those made in Baekje, judging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 tiles and their inscriptions.

      • KCI등재후보

        慶州 出土 高麗時代 “院”銘 기와의 檢討

        유환성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4

        원(院)은 주요 교통로상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행려(行旅)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우마(牛馬)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원은 고려시대 불교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인적·물적 교류를 관장하는 장소로서 주목되는 곳이다. 사실 『高麗史』, 『新增東國輿地勝覽』과 그밖에 다른 문헌에서 원은 일부 언급되어 있고, 당대의 명문기와 등 실제자료에서도 원이 확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경주에서 출토된 “院”명 기와는 다연원(茶淵院), 미륵원(彌勒院), 대로원(大櫓院) 등 모두 3종류이며 5곳에서 출토되었다. 본고는 경주에서 출토된 3종류의 “院”명 기와에 대한 현황을 명문의 속성(명문의 시문형태, 방곽유무, 명문내용)과 기와의 속성(기와두께, 타날판의 길이, 타날방향, 타날문양)을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징과 편년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종류의 “院”명 기와를 명문의 속성, 기와의 속성, 비교유물 등을 통하여 “茶淵院”명 기와(10세기 말~11세기 말), “彌勒院”명 기와(11세기~13세기), “大櫓院”명 기와(1291) 순으로 편년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이 3종류의 “院”명 기와는 10세기 말에서 13세기 말까지의 고려시대 기와인 것이다. 이러한 기와의 출토지와 편년으로 볼 때, 조선시대 원의 위치가 표기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내용과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다연원의 경우,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언급이 없고, 미륵원의 경우 그 위치가 불분명하였다. 그리고 대로원의 경우, 명문기와의 출토량, 김생과 창림사와의 연관성, 창림사지의 입지와 경관을 통하여, 대로원이 조선시대에는 오릉의 숭덕전일 가능성이 높지만, 고려시대에는 창림사지 주변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것을 토대로 3곳의 원에 대하여 나름의 의의를 부여하였다. 다연원의 경우 조선 초기 원이 정비되면서 어떠한 변화로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미륵원의 경우 원 내에 기와가마를 번조했을 만큼의 경제력이 있었다는 점, 대로원의 경우 『高麗史』와 『東都歷世諸子記』의 내용, 명문의 관직 명칭과 내용으로 볼 때, 국가가 관여했을 만큼 경주지역 내 명망있는 원이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大櫓院”명 기와에 확인되는 이계제는 성종 6년(1475)에 편찬된 『東都歷世諸子記』에 언급되어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3종류의 “院”명 기와의 내용을 통하여 경주지역 내 원의 조와(造瓦) 시스템에 대한 변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3종류이긴 하지만, 흩어져 있는 경주지역 내 고려시대 “院”명 기와를 통하여 원의 존재여부 및 위치, 더 나아가 원의 조성주체와 기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SCOPUSKCI등재

        Cu-C$u_2$O의 공정반응에 의한 구리와 알루미나의 직접접합

        유환성,이임열,Yu, Hwan-Seong,Lee, Im-Yeol 한국재료학회 1992 한국재료학회지 Vol.2 No.4

        본 연구에서는 $Cu-Cu_2$O의 공정반응에 의한 구리와 알루미나의 직접접합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1.5{\times}10^{-1}$torr, $1015^{\circ}C$에서 산화시킨 후 $10_{-3}$torr, 107$5^{\circ}C$에서 접합시킨 시편의 접합력과 계면특성을 인장시험, SEM, EDS 및 XR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3분 산화시켜 접합하면 우수한 접합강도를 보이며 산화시간이 이보다 짧거나 길면 결합력은 저하하였다. 과단은 알루미나 공정조직 계면에서 발생하였으며 파단후 $Al_2O_3$표면에는 Cu쪽에서 빠져나간 $Cu_2$O nodule의 존재하였는 바 접합력은 $Cu_2$O-A$l_2O_3$계면보다는 $Cu-Cu_2$O계면에 좌우됨을 보여주고 있다. 접합력은 접합시간에 따라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CuA$l_2O_4$및 $CuAlO_2$의 반응생성물이 접합중 형성되었다. The direct bonding of Cu to $Al_2O_3$, employing the $Cu-Cu_2$O eutectic skin melt, is investigated. The bonding force and interface structure of samples prepared by oxidation at $1015^{\circ}C$ in $1.5{\times}10^{-1}$torr followed by bonding at 107$5^{\circ}C$ under $10_{-3}$ torr vacuum have been studied using peeling test, SEM, EDS and X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optimal strength is obtained for 3 minutes of oxidation while the adhesion force is decreased with oxidation shorter or longer than 3 minutes. The rupture occured at alumina-eutectic interface. Fractured surface of $Al_2O_3$covered with $Cu_2$O nodules pulled out of the Cu indicates that bonding strength is governed by $Cu-Cu_2$O interface and not by $Cu_2$O-A$l_2O_3$interface. The bonding force is slightly increased with bonding time and the reaction phases of CuA$l_2O_4$and $CuAlO_2$are formed at interface during the bonding.

      • KCI등재

        慶州 출토 羅末麗初 寺刹銘 평기와의 변천과정

        유환성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19

        Roof-tiles Fragment with Inscription provides information that no literature or excavation provide. In case of the Roof-tiles Fragment with Inscription that are found in Gyeong-ju, they are various and it’s possible to visualize it’s chronological order. Especially in Gyeong-ju, many temples were built from the Three State era to the Koryo Era. So there are many temple-named roof-tiles. There are 27 types and 31 pieces of temple-named roof tiles, excavated in Gyeong-ju, of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era to the begging of the Koryo era. Based on the Shape of the temple named roof-tiles, it’s possible to divide them in 4 types. The type 1 beat the outsider area with the beating plate and stamped. There are 2 of them. The type II is the one that shows 2 lines Inscription in the a square. There are 10 of them. The type II is the one, which 1 lined Inscription was marked with Lower writing inside of a long square and there are 5 of them. The type IV is the one with only Inscription without square and there are 14 of them, the most numerous one. That's how the chronological order was made, in accordance to the 4 types of temple-named roof-tiles and the roof-tiles' chronological era set by the ancestors and related legacies. With that information, the type I was from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the type II from the beginning of the 10th Century to the 11th Century; the type III from the end of the 10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and the type IC from the end of the 10thCentury to the 13th Century. Regarding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4 types, 2 major points are distinguished. The type I is from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era and the II, III and IV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yo Era. Based on that 2 points, the type I stamped the Inscription, so it was called 1 stepped and it’s from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era. The type II・Ⅲ・Ⅳ are all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yo Era and it’s divided in 2 stepped, for those who has square around the Inscription and those who has 3 steps are those which has no square around Inscrip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each step’s Inscription (Inscription’s marking, it's property and contents) and the standards of the roof-tile maturing (length of beating plate, beating pattern, shape and cross section shape of male-roof-tile)it's possible to see that the temple-named roof-tiles are slighting changing. Tho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change of the supplying method, from the Unified Silla era’s government office based supplement to temple based supplement in the Koryo Era. 명문기와는 문헌기록이나 문화재 조사에서 알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경주에서 출토되는 명문기와의 경우 그 종류가 다양하고 편년을 알 수 있는 절대자료도 있다. 특히 경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수많은 사찰들이 건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사찰명 명문기와도 다수 출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경주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말기에서 고려초기의 사찰명 명문기와 가운데 평기와는 27종 31점이다. 이러한 사찰명 평기와를 명문의 특징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Ⅰ유형은 타날판으로 凸面에 타날 후 도장으로 찍은 것이며, 모두 2점이다. Ⅱ유형은 정방형 방곽 내에 2행의 명문이 나타나는 것이며, 모두 10점이다. Ⅲ유형은 세장방형의 방곽 안에서 1행의 명문이 종서로 표기된 것이며, 모두 5점이다. Ⅳ유형은 방곽 없이 명문만 있는 형태의 것이며,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는 14점이다. 이렇게 4개의 유형별로 분류한 사찰명 평기와를 선학들의 기와편년 속성방법, 관련유물을 참고로 편년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Ⅰ유형은 9세기 중엽에서 10세기 초, Ⅱ유형은 10세기 초에서 11세기 초, Ⅲ유형은 10세기 말에서 11세기 말, Ⅳ유형은 10세기 말에서 13세기 초로 설정할 수 있었다. 4개의 유형에 대한 편년을 살펴볼 때 크게 2개의 시점이 확인된다. Ⅰ유형은 통일신라시대 말이고, Ⅱ・Ⅲ・Ⅳ유형은 고려시대 초이다. 이 2개의 시점을 기준으로Ⅰ유형은 명문 새김방법이 도장으로 찍은 것을 근거로 1단계로 설정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 말이다. Ⅱ・Ⅲ・Ⅳ유형은 모두 고려시대 초기에 해당되며, 명문 주위에 방곽의 유무에 따라 단계를 나눌 수 있다. 명문 주위에 방곽이 있는 Ⅱ・Ⅲ유형을 2단계로 하고, 명문주위에 방곽이 없는 Ⅳ유형을 3단계로 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명문으로 본 기준(명문의 새김방법, 명문의 구조, 명문의 내용)과 기와속성에서 본 기준(타날판 길이, 타날문양, 수키와의 형태 및 단면형태)을 통해 사찰명 평기와의 제작 속성이 단계별로 천천히 변화하는 양상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상의 요인은 통일신라시대 관청중심의 기와공급체제가 고려시대부터 사찰중심의 기와공급체제로 변화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KCI등재

        7~12세기 경산지역 출토 기와의 전개양상과 그 의미

        유환성 ( Yoo Hwan-sung )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1 No.-

        Roof tiles were mainly used for buildings of authority related to the state or temple. In the case of the Gyeongsan area, the importance of building sites from where roof tiles were excavated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compared to ancient tombs in Imdang-dong, Joyeong-dong, and Bujeok-ri.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Gyeongsan area and understand the area's spatial specificity and historical meaning over time. First, the 14 sites, where roof tiles were excavated, as reported through excavation and present condition investigations in the Gyeongsan area,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roof kilns, building sites, and temples. For the analysis, 74 pieces, including antefixes, plain tiles, and inscribed tiles,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ile were analyzed.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properties and associated artifacts that become the basis for the chronological identification of roof tiles and the results of archaeomagnetic dating and radiocarbon dating of roof kilns were applied to chronologically organize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Gyeongsan area by century from the 7th century in the Three States period to the 12th century in the Goryeo period. As a result, in the history of roof tile research, the antefixes excavated from the Gyeongsan were influenced by the patterns of the royal capital region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However, there were also local tiles with strong originality from later periods. It is presumed that a hidden aspect of “transformation” is attributed to the method or habits preferred by each of the multiple tile-making technology groups. In the case of inscribed tiles, thos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not been confirmed. In contrast, it was confirmed that tiles with inscriptions indicating place names from the Goryeo period in the 11th century are starting to be found. Based on the circumstanc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iles excavated in the Gyeongsan area can be stated in three points. First, the tiles found in many excavated sites revealed cases where tiles were supplied from many production areas to many consumption areas during the Goryeo Dynasty. Second, it was emphasiz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cavated location and the name or location of the temple c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iles with inscriptions were excavated in the Gyeongsan area. For example, the building site inside 160-1, Jungsan-dong, in the 11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highly likely to be a private Buddhist shrine of an influential local person. In addition, Daegoksa Temple was identified as a temple operated in Heungjeon-ri, Namsan-myeon, Gyeongsan-si, from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 inscription on tiles, stone pagoda, and documents. However, the inscribed tiles indicating the name of Sinsusa Temple still need further examination in determining the temple's location. Third, in the Unified Silla Era,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is area was the center of Jangsan-gun through the excavation of Roof tiles in the areas of Siji-dong, Jungsan-dong, Okgok-dong, and Daepyeong-d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