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분석

        김용명(Yong-Myeong Kim),강문구(Mun-Koo Kang),이근옥(Keun-Ok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과 시도 교육청 수준의 운영 계획안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가이드라인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국가 수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과 시도 교육청의 운영 계획안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 틀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분석 틀에 따라 두 운영 계획안에서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그대로 따르는 획일성을 보였지만, 일부 교육청의 교육적 상황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새로이 창안하거나 신설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명료한 기준과 절차 및 방법을 제시하고, 각 시도 교육청에서 이 기준과 절차 및 방법 중에서 선택과 조합을 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모듈형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식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ontrast and analyz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presented in the operation plan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level and to provide a guideline and an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lan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implemented since the last year.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most of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ve a tendency of uniformity to follow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of the national level, whereas they have a tendency of diversity to create their ow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meeting their educational situations, contexts and need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dula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which comprise clear standards, procedures, and methods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will be able to select and combine these standards, procedures, and methods from the modules.

      • KCI우수등재

        태권도원 상징지구 운영전략 및 활용방안

        박상현 ( Park Sang-hyun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 태권도인들의 성지인 태권도원의 상징지구 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중점방향과 활용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상징지구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진단을 실시, 이를 기반으로 운영전략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현황 및 분석에서는 상징지구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조성 개요 및 경과 그리고 공간 구성과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기부금 모금 부족으로 조성이 지연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진단 및 논의에서는 현황 및 분석, 대내외 고려요소 등을 검토한 결과, 상징지구 관련 주요 역할 및 시설구성 변화에 대한 대응과 관계단체 및 관계자와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운영프로그램 도출이 시급하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운영전략 및 활용방안에서는 전략 체계도를 수립하여 전반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여기서 도출된 운영전략 및 중점방향에 따라 활용 가능한 운영프로그램과 프로그램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전략 체계도에서는 ‘태권도 전통 보존’, ‘태권도 가치 확산’, ‘태권도 위상 제고’라는 세 가지의 운영전략과 ‘새로운 태권도 전통과 문화를 창조하여 전 세계 확산’이라는 운영 중점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활용방안에서는 세 가지의 운영전략별로 적합한 13개의 운영프로그램을 도출, 관련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the main direction and utilization pla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pirit-zone of Taekwondowon, a sacred space for the persons who concerned Taekwondo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he overall status of the Spirit-zone of Taekwondowon was examined and the diagnosis was conducted and the operation strategy and utilization plan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status and analysis looked at the overall status of the Spirit-zone of Taekwondowon and looked at the composition and concept of the space, and found that the creation was delayed due to lack of fund raising. The diagnosis and discussion reviewed the status and analysi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resulted in the need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key roles and facilities related to the Spirit-zone of Taekwondowon, an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officials, and the urgent need to derive operational programs. The operation strategy and utilization plan established a strategic system diagram to set the overall direction and presented the operational programs and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al strategies and focus directions derived from it. First, the strategic system diagram drew three operational strategies: ‘Taekwondo traditional preservation’, ‘the spread of Taekwondo value’, and ‘elevation of Taekwondo status’ and ‘creating a new Taekwondo tradition and culture and spreading around the world’. Thus, the utilization plan derived 13 oper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each of the three operational strategies and presented related operational plans.

      • KCI등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사업화 운영방안

        김영준(Kim Youngjun),강경숙(Kang Kyung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조망하는 차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구축해야 할 사업화 운영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의한 연구 내용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먼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대학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사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할 거버넌스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의 각 내부 관계자가 주축이 된 중앙위원회의 신설과 각종 업무 기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이 협업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있어 사전적이고 종합적 차원에서 생성해야 할 연계적 거버넌스 역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대학을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으로 조망하고 대학이 유관기관(예: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전공과 등)에 비해 원스톱 체제 대상기관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반을 주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국가 단위 및 대학 개별 단위의 교과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대학이 현행의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 종사인력을 연수하고, 이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예: 장애인 평생교육사(가칭))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 measure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commercialization in a region in various types to revitalize a university- 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meet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operation plan of specialist-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data was collected and specialists’ meeting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hree types. First, as for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proposed that a university and a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enter an agreement, and functional elements and accompanying conditions were also suggested to carry out this agreement. Second, in the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argued that a university must create a textbook for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connected education or actually run the lifelong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various forms, along with accompanying procedures. Moreover, in the ‘operation plan of specialist 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the study proposed a plan to provide professional capability training in several types for specialists working in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disabled, with accompanying conditions.

      • KCI등재후보

        효 문화진흥원 설치를 위한 소론 - 효 문화진흥원 설치의 필요성과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

        오장근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9

        본고는 지난 2007년 7월 2일 국회를 통과한『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08년 8월 4일 시행)에 기초하여, 그 설치가 요구되는 『효 문화진흥원(Korean Hyo Culture Contents Agency : 이하 KHCCA)의 구성 체계 및 운영 방안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논의를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본고는 먼저 오늘날 사회 문제로 손꼽히는 고령화 문제, 가족 문제 그리고 시대 윤리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우리의 효 문화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효 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효 문화진흥원 설치의 필요성을 되짚어보고, 이어서 효 문화진흥원의 올바른 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명시하였다. 특히, 효 문화진흥원의 운영과 정책을 다루는 제3장에서는 효 문화진흥원의 역할을 분명히 밝히는 데 초점을 두면서, 효 문화진흥원이 한국 사회 내에서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효 문화진흥원 설치를 통한 산출물’이라는 제목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크게 6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각 분야가 고유의 산출물을 배출하는 동시에 자기 완결적 선순환을 이룰 때 그 효과가 가장 클 수 있음을 주장한다. 본고는 또한 효 문화진흥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는 앞 장의 효 문화진흥원의 운영 방향과 계하는데, 본고는 이 운영 방안을 3가지의 하위 분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각자의 성격에 맞게 운영되며 연계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운영안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효 문화진흥원 운영조직화 사업의 중장기 목표와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그 운영의 실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This paper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Law on Hyo11): Law on encouraging and supporting Hyo』that ha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in July 2nd 2007. It provides a road map for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of KHCCA: Korean Hyo Culture Contents Agency』. The issues regarding the matter are stated in three chapters. First, the paper deals with controversial issues on aging society, family problems and ethics. Then, it suggests our 'Hyo culture' as a solution to the issues. Through this it points out the necessity to establish KHCCA, and demonstrate a general direction for its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larifying the role of KHCCA, and presents the expected results of KHCCA if it is properly performed its role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title of 'Products of establishing KHCCA'. This could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thesis stresses that the best results will come out provided that each categories produce the best output on their own as well as working together as a whole to form a positive and complete cycle of synergy. Second, the paper provides a specific plan to administer KHCCA. This part is related to the general direction for its administration stated in the previous chapter. Here, it has classified the plan to three phases, and proposes that we execute the plan in steps and the three phases run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Lastly, the paper sets a long-term objective and a road map for systemizing KHCCA to confirm that the plan works most effectively.

      • 임진강 유역 황포돛배 효율적 운영방안

        김흥식,심숙연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4

        기존의 경기북부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는 임진각 관광지, 판문점, 제3땅굴, 오두산 통일전망대 등 한국전쟁으로 인한 분단, 반목, 냉전 등 Black Tourism 위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관광패키지 상품이 대부분이었다. 기존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시키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화해, 협력, 평화, 생태 및 체험 등 새롭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White Tourism 성격의 관광패키지 상품개발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황포돛배의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기존의 DMZ일원의 대표적인 관광이미지인 안보관광지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 관광테마의 발굴로 문화ㆍ예술ㆍ생태ㆍ관광자원을 네트워크함으로서 새로운 테마의 관광패키지 상품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임진강을 평화ㆍ생태 관광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향후 추진되어야 할 선결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임진강 황포돛배와 지역 관광자원과의 연계하였을 경우의 지역경제적 파급효과가 무엇인지를 3가지 시나리오에 의해 분석하였다. 즉 시나리오별 이용객수 추정과 임진강 황포돛배 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 투자비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이용객의 관광소비지출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2개의 경로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임진강 황포돛배의 총 투자비 149억원의 투자로 인해 수도권 지역에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가 약 228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116억원, 세수유발효과 약 13억원, 수입유발효과 15억원, 고용유발효과 1,811명인 것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또한 임진강 황포돛배를 이용한 이용객의 입장료 수입을 통하여 관광지출액을 추정하였고, 추정된 관광지출액 약 38억원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가 약 65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54억원, 세수유발효과 5억원, 수입유발효과 8억원, 고용유발효과 162명인 것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문화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경기북부의 경우 임진강 황포돛배의 운영으로 경제적 부를 창출하는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경기북부지역의 국제화와 지역의 생태ㆍ역사문화 탐방목적지로서의 국제적 브랜드 이미지를 고양하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파주시 및 수도권 지역주민의 다양한 여가공간 및 삶의 질 향상될 것이고, 또한 지역공동체의 정체성 함양과 글로벌 수준(Global Standard)의 생태, 역사문화 및 레저 향유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의 성격이기 때문에, 향후 과제로는 임진강 황포돛배 운영에 대한 기본조사 및 실시설계, 황포돛배 운영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의 수립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사업성 확보의 핵심적인 사안인 어업권 보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의 사례처럼 보상하는 방안 황포돛배의 수익과 연동하여 보상하는 방안(입장수입의 10~30%등), 예를 들면 계절적으로 황포돛배의 운항횟수를 조절하는 절충적인 방안 및 대상지의 어부들의 일자리 창출을 통하여 보상하는 방안 등 닥각적인 측면에서 어업권 보상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임재택,김은주,이소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서 숲유치원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숲유치원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중 각 기관을 대표하는 원장이나 교사가 각 1부씩 작성한 162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실태에 있어서는 숲유치원을 준비 중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많았으며, 숲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1년 미만’, ‘주 1회’가 가장 많았다. 안전문제에 있어서는 대체로 안전하다고 나타났다. 운영방안에 있어서는 모든 유아교육기관이 적합한 연령은 ‘만 3세부터’로, 적합한 형태는 ‘숲유치원 활동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활동을 연계한 생활형 숲유치원’을 제시하였다. 일일 활동시간은 ‘2시간 내지 3시간’으로, 적합한 교사로는 ‘숲 관련 연수를 받은 유치원교사 및 보육교사’이었다. 연수의 내용은 숲유치원을 운영하는 기관은 ‘숲유치원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운영하지 않는 유아교육기관은 ‘안전교육과 응급처지’를 요구했으며, 운영시 고려할 사항은 ‘편하게 갈 수 있는 접근성’과 ‘위험요소나 유해요소와 관련된 안정성’이 가장 많았다.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에 바라는 점은 ‘숲해설가의 지원’, ‘안전’, 그리고 ‘숲과 숲유치원의 홍보’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management in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needs of principal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ir managemen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o took training courses at the Forest Kindergarten Associati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162 answer sheets from 162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man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getting ready to run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institutions run forest kindergartens for less than a year and once per week. The Safety Problem is mostly safe in the forest. In terms of management, every institution considered it advisable for preschoolers to start experiencing a forest kindergarten at the Western age of 3. As to the appropriate form of a forest kindergarten, every respondent replied that a combination of forest kindergarten activities and regular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ctivities would be appropriate, which could be called a forest kindergarten linked to daily routine life. Concerning appropriate hours of daily activities and teachers in charge, they pointed out two or three hours of activities per day and kindergarten teachers or daycare teachers who completed all the related training courses. As for the content of training, the institutions that run forest kindergartens wanted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a forest kindergarten and its necessity, and those that didn't run forest kindergartens asked for safety education and first-aid education. As a result of asking what should be noted in operating a forest kindergarten, the largest group called for good accessibility and safety. Finally, they expected Forest Service and local governments to provide personnels who could explain about forest, to help guarantee the safety of preschoolers and to publicize forest and forest kindergartens.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지효,손호기,김상범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 농촌관광마을 운영자 실태조사를통해서 운영자의 역량강화 및 운영방안은 물론, 체계적인 관리와 정책제안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농촌관광마을 운영 관계자 72개소의 운영자 및 대표를 대상으로 전자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정부·지자체의농촌관광관련 정책과 제도 및 지원(예산, 교육 관련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마을 운영 부문에서 농촌관광개발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에 대해 ‘농촌관광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농외소득을 추구’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관광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운영자가가장 주력하는 분야로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경관’이었다. 그리고 운영자의 향후농촌관광사업 및 마을 운영 의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운영상의 비용 및 수익창출의 경제적 문제, 정부지원의 정책 미흡(일회성 개발), 운영자 및 인적자원(노동력)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관광산업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에 유용한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을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management staff and manage the operation through rural tourism village operator actual situation survey which is important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but also to utilize it as a basi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ural tourism and policy proposal Therefo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mail survey of 72 operators and representatives of rural tourism vill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licies and systems and support (budget, education, etc.) related to rural tourism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seeking out-of-farm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 rural tourism villages, the operators were the most focused areas of 'experience program operation' and 'rural landscape'. And despite the operator's future rural tourism and village management willingness, the economic problems of cost and revenue on town management, inadequate government support policy(one time development), leader (representative) And the lack of human resources(labor force).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ill be urg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hope to further develop the rural tourism industry and use it as a basic material for improvement of policies and institutions useful for revitalizing rural tourism management which can make it sustainable.

      • KCI등재

        제주지역의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진은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4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actual management of 21 small libraries in the Jeju region and search for their vitalization plans based on it with a survey among practitione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overall real conditions of small libraries in their management and work situations covering their service hours, program management, volunteer activities, facility expansion, exchanges with common public libraries, work-related education, job priorities, promotional activities, and service for vitalization. Based on findings, the study proposed to induce local residents' interest in small libraries, expand reading culture program, secure professionalism of management manpower, recruit more management manpower, expand budgets for the management of a small library, establish a set of criteria for the expenses of management manpower, build a support center for small libraries. 본 연구는 제주지역 내 21개관의 작은도서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의 운영시간, 프로그램 운영, 자원봉사자의 활동, 시설확충, 작은도서관 및 일반 공공도서관과의 교류, 업무관련교육, 업무 우선순위, 홍보활동,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등 작은도서관의 운영 및 근무상황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작은도서관에 대한 관심 유도, 독서문화프로그램 확대운영, 운영인력의 전문성 확보, 운영인력 충원, 예산 확대 및 운영인력의 인건비 기준마련, 작은도서관지원센터 설립 등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남산골 한옥마을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 연구

        남현우(Nam, Hyun W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산골 한옥마을 비전 수립 및 전략을 구축하고, 서울시 관광객 유치 및 확대를 위한 사업 추진 운영 및 고도화된 통합시스템을 운영할 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서울시의 전통문화 클러스트 구축 전략을 바탕으로 한옥마을의 비전 수립과 방향성을 수립하였다. 둘째, 운영공간의 극대화 및 체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야외를 활용한 전통 민속공간 활성화를 위한 관광객 참여수요 증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한국 전통공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전통 공예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울시에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 서비스 시스템 전략을 수립하였다. 서울시 관광객 유치 및 진흥을 위한 사업 추진 운영과 고도화된 서비스를 위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한옥의 스토리 콘텐츠 구축 전략을 수립하였다. 한옥의 콘텐츠 개발 및 통합홍보광고를 위한 홍보 운영의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산골 한옥마을의 운영 활성화를 위한 융합적 접근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따라서 남산골 한옥마을의 공간, 프로그램, 서비스에 방향성 확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서울시 한옥마을의 기반연구이고 토대연구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plans for formulating a future vision of the Namsangol Hanok Village based on the devising relevant strategies, and to propose some alternatives for running projects and sophisticated integrated systems designed to promote and expand tourism in Seoul. This study involves the following strategies: First, it establishes the vision and direction of the Hanok Villages in Seoul based on the city’s strategy for implementing traditional cultural clusters. Second, it develops strategies to maximize and systemize the open-extended space, while analyzing the challenges concerning the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demand for tourist participation and proposing some options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folk space. In addition, it also sheds light on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craft museums currently in operation and proposes relevant solution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artifacts. Third, it maps out the strategies for service systems targeting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visiting Seoul. As for the projects and sophisticated services operated to attract tourists to Seoul and promote tourism,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programs in operation and suggests some alternatives. Fourth, it develops strategies to construct the story contents of the Korean-style Hanok, analyzes the challenges stemming from the Hanok-based content development and PR, and proposes some options for the content development and IMC. The study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converged approaches toward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Namsangol Hanok Village. Hence, the present findings are conducive to defining the direction of the space, programs and services relevant to the Village, and noteworthy as the foundation and reference data for further studies on the Hanok Village in Seoul.

      • KCI등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조용개,김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tended integrat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based on service-learning operation that links the course and the community centered on the case of service-learning activity conducted for 3 years in S university. We suggested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Types are service-learning was operated in the form of credit-linked type and service time-linked type, and these activities and operation process was presented. The model of service-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preparatory and planning stag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age. And this is an extend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that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service-learning as a regular course or a program.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nd used stages when it wants to operate service-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 goal of un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and course. In addition,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were proposed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3년간 실시한 서비스러닝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목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서비스러닝 운영을 기반으로 확장된 통합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러닝의 유형은 학점연계형과 봉사시수연계형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른 활동 및 운영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러닝 운영의 모델은 준비 및 계획 단계, 실행 및 관리 단계, 평가 및 개선 단계별로 제시되었으며, 본 단계별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은 서비스러닝을 정규교과목으로 개발, 운영하거나 주관 부서에서 프로그램으로 개발, 운영하고자 할 때 통합, 적용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목표, 학과 및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러닝을 운영하고자 할 때 단계별로 적용,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서비스러닝 운영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실질적인 문제점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