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비신호 교차로의 중차량 용량 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이용재,김석근 대한교통학회 2001 大韓交通學會誌 Vol.19 No.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rive an adjustment factor for the presence of heavy vehicles when estimating capacity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or at modern roundabouts). According to the 1997 and 2000 Highway Capacity Manual (HCM), potential capacity in such cases is estimated by simply adjusting base critical gap and base follow-up time. However, the procedure suggested in the HCM may lead to some errors in the adjustment, hence resulting in poor evaluation and design for the intersections, because it determines the value of adjusting factors by only the number of lanes on main streets regardless of the types of heavy vehicles. This paper shows a simple formula for making the adjustment. This formula is much like the HCM formula used for heavy vehicles in estimating highway capacity by the adoption of passenger car units (PCU).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approaches seen in the HCM, the PCU value of this case is explicitly expressed by the flow rate in the major streams and the gap difference in critical gaps chosen by passenger cars and particular heavy vehicles. Computational results of the adjustment factor are graphically illustrated. 본 연구는 중차량이 혼재하고 있는 비신호 교차로(혹은 로타리형 교차로)에서 용량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중차량에 대한 용량 보정계수의 도출에 관한 것이다. 1997년과 2000년도 미국도로용량편람(Highway Capacity Manual)의 비신호 교차로의 용량분석방법에 의하면 이 경우 기초 임계간격(Base Critical Cap)과 기초 추종시간(Base Follow-up Time)에 각각 보정을 하여 실제 임계간격과 실제 추종시간을 산출한 뒤에 이를 이용하여 잠재용량(Potential Capacity)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된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중차량에 대한 용량보정이 매우 임의적으로 처리될 뿐만 아니라 그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실제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분석 및 설계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신호 교차로에 대하여 미국도로용량편람에서 채택하고 있는 접근방법을 개선하여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용량을 보정할 수 있는 간단한 보정계수의 산정 공식을 제공하여 이 분야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차량 용량 보정식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미국도로용량편람의 제시된 공식과는 달리 일반 고속도로의 용량분석시에 사용되는 중차량 보정식과 유사한 형태의 것으로 유도가 되며 이 보정식의 도출과정에서 새로운 개념의 승용차 환산계수(PCU)의 산정식이 소개된다.

      • 자전거도로 용량 산정방법 연구

        조황영(CHO, Hwang Young),이영인(LEE, Young Ihn)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이 연구는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신호교차로에서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연 속류 구간에서는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산정하고 있지 않다. 자전거도로의 효율적인 설치와 운영을 위해서는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산정해야할 필요가 있다. 자전거는 인체를 동력원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도로의 여건의 영향을 자동차보다 많이 받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로여건을 고려하여 자전거도로의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통행속도에 따라 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통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자전거도로 용량 산정을 위한 보정계수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자전거도로의 경 사도를 고려하여 경사도에 따른 주행속도를 반영하는 경사도 보정계수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보행자와 자전거가 혼재되어 도로 를 공유하는 경우 자전거도로 상의 보행자가 자전거도로의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보행자 보정계수를 제시하였다. 이때, 자전 거-자전거와 자전거-보행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지체를 보정계수로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전거도로 폭에 따른 보정계수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적절한 값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전거도로의 여건 중 경사도, 보행자 혼입률, 자전거 교통량, 도로 폭이 용량에 영향을 미치며, 이 연구는 자전거도로 차선 수 결정 및 서비스수준 산정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용량분석과 기하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김석근,이용재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는 아직 소개된 바가 없는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용량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용량 모형식의 도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회전교차로의 용량 관련식들은 경험식 모형과 이론식 모형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용량 모형식은 2000년 미국 도로용량편람(HCM)에서 제시하고 있는 간격수락이론에 의한 이론식 용량 모형식의 기본구조는 그대로 수용하지만, 모형식의 유도과정에서 가정된 비현실적인 요소인 차량/운전자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의 일관성과 동질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등한 용량 보정계수들과 교차로의 기하구조 특히 경사도에 대한 보정계수를 각각 도출하여 기본 모형식에 활용하도록 하는 확장된 용량 모형식이다. 또한 교차로의 운영분석과 설계 때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회전교차로의 설계요소에 대한 용량변화를 도표로 작성하여 실무에 참조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capacity formula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roundabouts, which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There are two main model approaches that estimate the capacity at modern roundabouts throughout the world, namely, empirical statistical models and theoretical models. The formula in this paper adopts the basic structure of the 2000 HCM model, a notable theoretical model initially developed by gap acceptance theory. However, the formula proffered in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equivalent adjustment factors for consistency and homogeneity assumptions made in the original formula. In addition, another adjustment factor for approach grades at roundabouts is also introduced. Thus, the HCM formula is gradually enhanced with the adjustment factors developed in this paper, Some of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also graphically illustrated for the benefit of practitioners.

      • KCI등재

        우리나라 전력시장의 용량요금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욱,김광인,조성봉,최우진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에너지경제연구 Vol.14 No.3

        우리나라 전력시장의 현행 기준용량가격은 2001년 전력시장이 출범할 때에 결정한 가격과 사실상 차이가 없으나, 발전회사는 그동안 이에 대하여 크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이는 2001년 이후 전력도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서, 발전회사들이 용량요금의 부족분을 변동비의 차익으로부터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 기저발전기의 시장진입, 천연가스 도입가격의 하락 등으로 인해서 SMP가 하락하고 있어 이로 인하여 발전회사의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결과적으로 발전회사의 주요한 수익원인 용량요금에 대하여 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행 우리나라 전력시장 용량요금 현실화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나아가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과형 용량요금 적용방안, 지역별 용량가격계수 및 시간대별 용량가격계수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Although Capacity payments in the Korean electricity market was not changed from 2001, power generation plants didn’t raise issues on these capacity payments. This is because power plants could recover their fixed costs shortage from the energy payments system. However, this is not applied anymore, because system marginal price is expected to decrease sharply due to baseline plants entry, decrease in natural gas price, etc. Therefore, there are many debates on the adequacy of the capacity payments in our electricity market system. In this paper, we discuss, first, on the optimal capacity payments level in the current electricity market. In addition, we suggest various capacity payments plans including performance capacity factors, regional capacity factors, time capacity factors. Lastly, we explore capacity payments system within legal framework to address possible future changes in these mechanisms.

      • 지열원 멀티열펌프 시스템의 용량가변 특성 연구

        조찬용(Cho, Chanyong),오명석(Oh, Myung Suk),최종민(Choi, Jong M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에너지 절약적 차원에서 한 대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접속되는 개별공조형 멀티 열펌프에 관한 연구 및 개발과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수의 실내기를 갖고 가변속 압축기를 채용한 지열원 물대공기 멀티열펌프시스템을 학교 현장에 설치하여 제조사의 운전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일일 냉난방 실증 성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2008년 9월 30일의 냉방부하가 낮은 일자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부하 변동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가변으로 실내기 냉방용량은 정격용량 대비 17.1%에서 111.3%의 범위에서 변이되었으나, 열펌프 유닛의 일일 최대 COP는 6.2를 나타냈으며, 일일 평균 열펌프 유닛 COP는 4.5로 열펌프 유닛 인증 기준 이상의 성능을 나타냈다. 2008년 11월 10일 대비 2008년 12월 15일에는 시스템 가동 중의 평균 외기온도가 9.6?C 감소하였으나, 각 재실공간의 용도별 부분 부하특성으로 11월 10일 보다 난방 부하량이 작게 나타났다. 하지만, 12월 15일에는 부하량이 매우 작아서 11월 10일보다 잦은 압축기 가변에 따른 손실로 일일 평균 COP가 낮게 나타났다. 2009년 1월 12일에는 정격 용량대비 94%의 부하율로 11월 10일과 12월 15일 대비 4배 이상의 부하량으로 압축기 용량 가변율이 작아서 난방용량과 COP 변화율이 작게 나타났다. 2009년 1월 12일에는 지중순환수의 실외열교환기 유입온도가 2008년 12월 15일보다 감소하고, 시스템의 난방용량 증가로 상대적으로 응축기와 증발기 크기가 감소한 효과로 히트펌프 유닛 COP가 감소하였으나, 본 지열원 열펌프 제조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본 지열원 시스템과 동일한 압축기 등을 채용한 동일 용량의 공기열원 열펌프의 1월 12일 외기온도 -10?C에서의 열펌프 유닛 COP 대비 70%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본 지열원 히트펌프의 2008년 11월 10일의 일일 평균 히트펌프 유닛 COP는 외기온도가 낮고 일일 부하량이 크게 나타난 1월 12일의 일일 평균 히트펌프 유닛 COP 대비 37% 높게 나타났으나, 지중순환펌프의 정속운전으로 시스템 요구 지중순환수 유량 증가에 따른 성능 향상보다 소비전력 증가 영향이 커서 1월 12일의 시스템 COP 보다 33.3% 작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채용한 지열원 멀티 히트펌프 유닛을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의 히트펌프 유닛으로 사용할 경우 시스템 최적화를 통한 시스템 COP 향상과 연간에너지 절감을 이루기 위해서는 히트펌프의 용량 변화 시에 지중순환펌프의 순환 유량 최적화를 위한 효율적 운전 제어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도시고속도로에 있어서 차두시간의 분석에 의한 승용차환산계수 산정

        윤항묵(Hang-Mook Yoo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1

        교통의 흐름에 있어서의 트럭 및 콘테이너 차량 등 대형차량의 혼입은 차체의 크기에 기인한 넓은 공간의 점유 및 승용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차량운행 능력 풍의 특성 때문에 도로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도로의 교통용량산정 시 이러한 대형차량의 혼입에 의한 용량의 감소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의 승용차 환산계수의 개념은 1965년 도로용량편람에서 처음으로 도입 되었으며, 이후 구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배열 형태에 따른 차두시간의 분석을 통해 환산계수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분석 을 위한 교통자료의 수집은 통행차량 차종 의 대부분이 승용차와 대형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관측이 용이한 부산시 도시고속도로의 평지구간에서 첨두시간과 비 첨두시간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환산계수 산정방법은 차두시간의 분석을 통한 미시적 접근방법인바, 동방법의 정확성 및 효율적 검증을 위해서는 거시적 접근 방법에 의한 산정방법과의 비교분석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addressed the problem of describing how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ear and large' vehicle differ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survey data A formulation that estimates passenger car equivalents used in this paper is derived by microscopic headway metho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ocus on the effect of vehicle type on intervehicular spacings and the modeling techniqu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etailed.

      •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비용 원가산정 지원 시스템개발 표준화기반 마련에 관한 연구

        서효정,김영신,최우석,양경아,전병선,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전국 지방 자치 단체는 2011년 7월부터 폐기물 관리법 제14조 제8항에 의거하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을 대행할 경우 원가산정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하여야한다. 그러나 현행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수집・운반 원가를 산출할 경우 막대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청소 행정 효율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수집・운반 원가산정 업무의 효율성 증대와 더불어 객관성 논란에 대한 불식을 위해 절차적으로 투명하고 깨끗한 원가산정 검증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폐기물 종류별 수집・운반 체계를 흐름도를 통해 분석하고, 수집・운반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도출하였으며, 현행 수집・운반 원가산정 과정을 정형화된 소프트웨어 개발시에 필요한 원가산정 방법 표준화 기반 마련을 위해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차량의 수요 대비해서 실제 투입 되고 있는 차량의 용량을 산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종량제봉투폐기물, 음식물류폐기물, 재활용가능자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각의 폐기물 별로 흐름체계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활폐기물 수집・운반비용 원가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영향인자는 인구밀도, 공동주택 비율, 거점수거 비율, 종사자 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영향인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델도시를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지역 선정 방법으로는 전국 지자체를 인구밀도 기준으로 고밀도지역부터 저밀도지역까지 4그룹으로 세분화하여 각 그룹별로 평균 인구밀도와 유사한 도시를 표준으로 설정하여 현장조사 지역을 선정하였고, 각 그룹마다 3개 지역씩 총 12개 지역의 수집・운반 대행업체의 차량을 GPS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되어진 자료를 토대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차량의 수요 대비해서 실제 투입 되고 있는 차량의 용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표준필요차량용량공급계수’ 라 칭하였다. 각 대행업체의 차량별로 산정된 평균값을 이용하여 계산되어진 폐기물의 종류별 표준필요차량용량공급계수는 종량제봉투폐기물 1.85, 음식물류 폐기물 1.38, 재활용가능자원 4.51이다. 또한, 과거 문헌자료 분석 및 추가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비용의 톤당 원가가 산출되는 계산식을 도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철도 운행효율성 향상을 위한 노선용량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김봉준(Kim, Bong-Jun),김시곤(Kim, Si-go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1

        지나친 도시화로 인한 차량증가로 도시교통 문제가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이로 인해 효과적인 도로계획과 설계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도로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도로를 건설할 때 도로의 교통량 산정에 필요한 기준과 방법을 도로용량편람으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 노선에는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체계적인 교통량 산정기준이나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철도에도 노선용량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명확한 철도 노선용량의 산정기준과 방법을 제시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철도의 주요 선구별 노선용량을 산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선용량 산정방법을 적용하면, 기존의 철도 노선 및 새롭게 확대되는 신규 노선의 용량에 대한 적정한 투자와 설계가 계획단계에서부터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철도 운행효율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ver-urbanization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raffic problems. This makes the need for effective road planning and design more important than ever. I have been able to learn how to build a new road, and how to use it.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good road planning, there are no systematic standards or methods for calculating traffic volume on railroad rout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s, the concept of line capacity is introduced to railroads, and a clear standard and method for calculating railroad line capacit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the line capacity of main railway lines for domestic railways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line capacity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apacity of existing railway lines and newly expanded routes can be calculated. It is expected that our findings will be able to provide systematic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yield a more effective investment and design planning stage; the findings will also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railroad operation.

      • KCI우수등재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오영태,김기형 대한교통학회 2001 大韓交通學會誌 Vol.19 No.2

        본 연구는 다양한 좌회전 곡선반경을 갖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의 분석을 통하여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한국 도로 용량편람에서는 곡선반경이 약 20m 이상인 곳에서는 좌회전 전용차로에 대하여 직진과 같은 포화교통류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좌회전 보정계수는 없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KHCM은 간선도로 위주로 조사 분석되어 곡선반경이 20m 이하인 교차로가 제외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좌회전 전용차로 1개를 갖고 곡선반경이 20m 이하인 교차로 포함하여 다양한 곡선반경 가진 교차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화교통류율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분산분석의 후속단계인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방법중 던컨검정(Duncan's Tes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는 도로용량편람에서 교차로 분석시 교차로 곡선반경을 반영한 정확한 포화교통류율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좌회전 곡선반경 20m 미만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S는 직진포화교통류율 보다 낮게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직진환산계수화 시키면 좌회전 곡선반경에 따라서 1.05에서 1.14사이다.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hrough car equivalent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left turn radiu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The saturation flow rate for left-turn movement in 92' KHCM(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is the same as that for through movement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here the left turn radius is over 20m. This study uses Duncan 'Test's Test in order to find out the saturated position for queued vehicle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t found that the saturated flow rate of left-turn movement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s less than that of through movement where the left-turn radius is less than 20m. It found that the through car equivalents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left-turn radius(8m-20m) are between 1.05 and 1.14.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