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법제의 개선 방향 - 경쟁 및 공정거래 법제를 중심으로 -

        홍대식 한국상사법학회 2023 商事法硏究 Vol.41 No.4

        Against the background of policy discussions and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new regulations accompanying the industrial role and social influence of online platforms, this paper discusses the point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legal system improvement discussio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order to discusses domestic measures to deal with this in the online platform environment focusing on competition and fair trade legisl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online platforms and their development process, and examines the corresponding trends in online platform regulations in the EU,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 emphasize that impacts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rket and economic and legal conditions of each country. In addi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legal systems, I will organize the points to be noted for improving the Korean online platform legal system, and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domestic online platform legal system by dividing it into the competition laws and the fair trade laws. First, with regard to the competition law system, I present an alternative to the competition law enforcement method, which is to improve the analysis framework and remedy measures on the premise of applying the existing law system. Regarding competition law violations that occur in the field of online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mplementary and harmonious application of competition protection standards, centering on revised consumer welfare standards which are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reflects non-price related performance factor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platform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remedies that presuppose behavioral measures but do not undermine the advantages of online platforms. Next, with regard to fair trade and transactions fairness law systems, the priority of self-regulation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enforcement of the provisions of unfair trade practices and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in the form of a special law for transactions fairness. Unfair trade practices regulations can be applied even to acts for which the effect of restricting competition is not recognized or is unclear, and if applied without fully considering the minimum standard of the relevance of trade order or ripple effect, it will harm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the online platform fiel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lf-regulatory model suitable for the fair trade field, rather than hastily introducing a special law for transactions fairness which is more restrictive than the unfair trade practices provisions into the online platform fiel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ition and business models in the online platform field, the method of principle-based regulation in which business operators establish and adjust the form of codes of conduct on their own under certain principles and standards presented by the government regarding the regulation of conduct in the field of fair trade is reasonable and effective. 이 논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산업적 역할과 사회적 영향력 증대에 따른 정책 논의와 새로운 규제 도입 논의를 배경으로 경쟁 및 공정거래 법제를 중심으로 온라인 플랫폼 환경에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법제 개선 논의를 위해 생각해야 할 점과 개선 방향을 논의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및 그 발전 과정을 개관하고 이에 대응하는 EU, 미국과 우리나라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 움직임을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 및 발전에 따라 경쟁 및 공정거래 법제에 미치는 영향은 각국의 시장 및 경제 여건과 법제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국내외 법제의 차이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한국에서의 온라인 플랫폼 법제 개선을 위하여 유의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고 국내 온라인 플랫폼 법제의 개선 방향을 경쟁 법제와 공정거래 법제로 나누어 제시한다. 먼저 경쟁 법제에 관해서는 기존 법제의 적용을 전제로 분석 틀 및 구제 수단을 개선하는 것을 경쟁법 집행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온라인 플랫폼 분야에서 발생하는 경쟁법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가격 관련 성과 요소를 반영한 분석 틀에 기초하여 수정된 소비자 후생 기준을 위주로 하여 경쟁 보호 기준을 보완적으로 조화롭게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태적 조치를 전제로 하되 온라인 플랫폼의 장점을 해치지 않는 구제 수단의 설계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공정거래 및 거래공정화 법제에 관해서는 자율규제의 우선을 불공정거래행위 규정의 집행과 거래공정화특별법 형태의 규제 도입에 의한 집행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불공정거래행위 규정은 경쟁제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거나 불분명한 행위에도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기준인 거래질서와의 관련성이나 파급효과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적용할 경우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해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불공정거래행위 규정보다 규제 강도가 더 강한 거래공정화특별법을 온라인 플랫폼 분야에 섣불리 도입하기보다는 공정거래 분야에 적합한 자율규제 모델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온라인 플랫폼 분야에서의 경쟁과 사업모델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공정거래 분야의 행위규제에 관하여 정부가 제시한 일정한 원칙과 기준하에 사업자가 행동규약 형태를 스스로 정립, 조정해나가는 원칙 기반 규제의 방식이 합리적이고 효과적이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경쟁규제와 전문규제

        김태오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1

        Online platform services are deeply established in our lives. Now, we can continue our daily lives anytime, anywhere, wherever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Most of the services and functions that were implemented offline have become platformisation. Online platforms have dramatically saved users' time and money, and increased convenience. The dependence on online platforms is intensifying. However, most services can be provided by one operator or its affiliates. This market power of online platforms in certain service areas is not only a problem, but also the market power can be easily spread to other markets. The problem of alienation from the essential services(services of general interest) of provided on online platforms is more serious. Today, online platforms are the premise for the fulfillment of basic need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society. If essential services are not accessible, it also hinders normal economic and social life. As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online platforms expand, discussions on reasonable regulatory systems to respond to them are also demanding. This is because existing competition law has faced limitations due to market definition of the online platform market, disagreement on whether to retain market power, and, if so, acceptance of whether to leverage platform's market power into other markets. Nevertheless, Germany, the EU, and Korea have still responded to online platforms through the existing framework of competition law or reforms of competition law. Starting with the EU P2B regulation, Germany's 10th revision of the Act against Restraints of Competition (GWB), and the EU's Digital Market Act (DMA) and Digital Services Act (DSA) are changing into a mixed regulatory system. They are the way of sector-specific regulation like as the imposition of ex ante and definitive obligations on online platforms. Furthermore, if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are provided as an online platform or the online platform itself is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the state must ensure as a constitutional mandate to create a regulatory system(sector-specific regulations) in which such infrastructure services can be properly provided. Taking the above factors into account, it is desirable to resolve the issues of market dominance of online platforms, restrictions on competition due to their abuse, and exploitation and abuse of users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tition law. On the other hand, it is reasonable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online platforms related to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with sector-specific regulations. However, not all online platforms can be classified as the infrastructure related the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online platforms. Therefore, a harmonious division of roles between competition law and sector-specific regulations should be made. However, at least search engines, SNS that influence for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or some online video services (OTT) require sector-specific regulations. In addition, online platforms that has turned the traditional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should also recognize their function as infrastructure.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언제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일상을 이어갈 수 있다. 대부분 오프라인에서 구현되었던 서비스와 기능들이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온라인 플랫폼은 획기적으로 이용자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주고 편리함을 높여주었다. 갈수록 온라인플랫폼에 대한 의존도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 특정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들은 하나의 사업자나 그 계열 사업자에 의해제공될 수 있다. 어떠한 온라인 플랫폼이 특정 영역에서 시장지배력을 갖는다면, 그 자체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시장지배력은 다른 시장으로 쉽게 전이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필수적인 서비스(생존배려 서비스)로부터 소외되어 발생하는 문제는 더 심각할 수 있다. 오늘날 온라인 플랫폼은 디지털 사회에서 기본적 수요의 충족과 사회적 참여의 전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수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다면, 정상적인 사회경제적 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이처럼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확대되고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인 규제체계의 논의도 한창이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시장획정, 시장지배력 보유 여부에 대한 견해의 불일치, 시장지배력 전이 효과 인정의 인색함등으로 기존 경쟁규제는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독일, EU, 그리고 우리나라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여전히 기존 경쟁규제의 틀이나 경쟁규제의 변형을 통해 대응해왔다. 그러나 EU P2B 규칙을 시작으로 독일의경쟁제한법(GWB) 제10차 개정, EU의 디지털시장규칙(DMA)과 디지털서비스규칙(DSA)은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전문규제 방식의 사전적·확정적 의무 부과 등 혼합형 규제체계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생존배려 서비스가 온라인 플랫폼으로 제공되거나, 온라인 플랫폼 그 자체가 생존배려 서비스로 취급될 수 있다. 이때 국가는 이러한 인프라 서비스가 적절히 제공될수 있는 규제체계를 만들 헌법상 임무를 부담하게 된다. 이에 따른 규제체계로는 전문규제체계가 적합하다. 이상의 고려요소를 종합하면, 온라인 플랫폼의 시장지배력, 그 남용으로 인한 경쟁제한성과 이용자에 대한 착취남용 문제는 경쟁규제의 틀에서 풀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본다. 이에 반해, 생존배려 기능과 관련되는 온라인 플랫폼의 문제는 전문규제로 대응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모든 온라인 플랫폼이 생존배려 인프라로 분류될 수는 없다. 온라인 플랫폼의 유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경쟁규제와 전문규제의 조화로운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최소한검색엔진이나,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SNS 또는 일부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는전문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전통적인 생존배려 서비스를 플랫폼화 한 온라인 플랫폼도기간 인프라로서의 기능을 인정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의 현황과 쟁점

        이승민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경제규제와 법 Vol.15 No.1

        Online platforms are growing rapidly, such growth spurred by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At an early stage, such platforms were expected to increase competition and benefit consumers due to their low marginal costs and low entry barriers, compared to traditional businesses. However, there has since been a substantial change of view as online platform businesses are increasingly growing into global big tech giants that monopolize the market and wiel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ational economy as well as having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s such, as with other jurisdiction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f regulating large online platform operators in Korea. Korean regulatory agencies and legislators have proposed various bills currently pending at the National Assembly to enhanc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online intermediation services and to protect online platform users. As a sector-specific regulation,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a partial amendment to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imposing certain obligations on app-market service providers such as Google and Apple. On a broader level, an amendment to Korea’s business combination rules was passed to more scrutinize merger filings. In addition,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the competition authority in Korea, has proposed a guideline to restrict abusive behaviors of online platform service providers, which is controversial. Such discussions in Korea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ongoing discussions on online platform regulations in the EU and U.S. However, foreign examples should be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specific jurisdiction and it is important to sufficiently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oreign legislations and comprehensively compare and analyze foreign markets before drawing implications to the domestic market.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current and pending EU regulations may result in targeting U.S. big tech giants and actually bring competitive benefits to European companies given that there are not may European online platform businesses with global presence. whereas in Korea, it would be important to find a balance between innovation and regulation as many domestic online platform businesses have been showing successful growth, some even expanding their business globally. That said, it appears that the recent bill proposals regulating online intermediation services generally lack such comprehensive review and, as a result, are not sufficiently supported with empirical market analysis. Such empirical analysis is a key step in introducing economic regulations and forms grounds for justification of a certain regulation.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online platforms and their innovative aspects in contemporary market economy, it is imperative that such online platform regulations be introduced on a step-by-step approach and on an as-need basis, based on such empirical market studies. Policy-makers should also consider flexible forms of regulations, as opposed to general regulations that are unilaterally applicable to online platform businesses, to better accommodate new services and business models. Lastly, to avoid duplicate regulations, the scope of new regulations must be limited to the areas that are not covered by existing legislation. Such duplicity often occurs due to the inefficiency between agencies – mainly, the competition authority and sector-specific regulatory agencies, and may be avoided by a clear delineation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mandating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agencies. 디지털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플랫폼의 디지털화와 온라인화도 급격한 발전을 맞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 초기에는 물리적 플랫폼에 비해 낮은 구축비용을 통해 플랫폼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경쟁이 촉진되며, 낮은 한계비용으로 인하여 소비자후생이 증진되는 등 경쟁친화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이후 글로벌 대형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과 이들의 독점이 경제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ㆍ정치적 측면에서까지 문제로 대두되면서 온라인 플랫폼과 이를 운영하는 빅테크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상당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를 비롯한 전세계적으로 대형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한 견제 필요성이 보편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거래 공정화 또는 이용자 보호를 명분으로 온라인 중개거래에 관한 다양한 법안들이 국회에 계류 중이며, 이 법안들을 위주로 온라인 플랫폼 규제에 관한 논의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전문규제 차원에서 앱 마켓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이 통과되었고, 일반경쟁규제 차원에서는 기업결합 심사를 강화하는 법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아울러 온라인 플랫폼의 단독행위를 제한할 수 있는 심사지침이 논의되고 있다. 국내의 규제 논의는 현재 유럽연합과 미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에 관한 논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해외의 사례는 해당 국가 및 시장의 맥락을 정확히 이해한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하며 국내 시장상황과의 면밀한 비교ㆍ분석 없이 무분별하게 규제를 도입하려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특히, 유럽연합에서 도입되거나 도입 예정 중인 법안들은 역내에 유력한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드물고, 경쟁법 집행도 회원국과 유럽연합 사이에 다층적으로 복잡한 측면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법안의 주요 수범자가 미국의 대형 기술기업에 한정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임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온라인 플랫폼의 세계시장 진출이 늘어나고 있고 국내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와 육성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현재 발의된 온라인 플랫폼 중개거래에 관한 법안들은 대체로 실태조사와 실증분석을 통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결여되어 있으며, 그로 인하여 규제 방식과 내용에 대해서도 실증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규제에서 규제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온라인 플랫폼이 시장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 그리고 그 신기술ㆍ신산업적 측면과 혁신성을 고려할 때 위와 같은 실증적 태도를 바탕으로 규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자율규제에서부터 시작하는 단계적ㆍ맞춤형 규제를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규제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국내에는 이미 다양하고 강력한 규제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내의 기존 제도로 충분한 규율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까지 굳이 새로운 입법을 하거나 규제 체계를 대폭 개편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새로운 입법은 기존의 규범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에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규제기관들이 경쟁적으로 규제를 도입하면서 중복규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히 ...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의 ʻ특정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ʼ을 소재로 -

        권용수 한국상사법학회 2021 商事法硏究 Vol.40 No.2

        With the COVID-19 outbreak, people's consumption behavior has changed significantly, including a surge in online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50s and 60s. In line with this situation, online platforms are becoming very important in terms of innovation and social benefits. However, since the online platform market has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 effects and low-cost markets, there is a concern that certain online platforms monopolize the market and cause considerable harm. In fact, it is pointed out that online platforms do not remain intermediaries such as transactions, but design, operate, and manage markets in which many platform-using businesses or consumers participate in based on market dominance. Against this backdrop, discussions on online platform regulation have been actively taking place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lso made active moves by recognizing the need for regulation of the online platform market and proposing a bill on "Online Platform Fairness Act" in January 2021.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that proposed a desirable online platform regulation method. When regulating online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reasing the benefits of platform users or consumers by securing fair and transparent transaction order, and not hindering innovation so that Korea can gain an advantage in the online platform economy.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looked at discipline targets and regulation methods of online platform brokerage operators.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5060세대의 온라인 소비가 급증하는 등 국민의 소비 행태에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온라인 플랫폼은 혁신과 사회적 편익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존재로 거듭나고 있다. 다만,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네트워크 효과나 저비용 시장 등의 특성이 내재해 있는 관계로, 특정 온라인 플랫폼이 시장을 독점하고 적지 않은 폐해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 실제 온라인 플랫폼이 거래 등의 중개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다수의 플랫폼 이용사업자나 소비자가 참여하는 시장 자체를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설계·운영·관리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상을 배경으로 최근 온라인 플랫폼 규제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규제 필요성을 인식하고, 2021년 1월 ʻ온라인 플랫폼 중개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안ʼ을 발의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바람직한 온라인 플랫폼 규제 방안 제시를 상정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플랫폼 규제 시에는 공정·투명한 거래 질서를 확보함으로써 플랫폼 이용사업자나 소비자의 편익을 높이는 것과 우리나라가 온라인 플랫폼 경제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① 규율대상, ② 온라인 플랫폼 중개사업자 규제 방식 등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① 법률안이 ʻ중개서비스에 따른ʼ 총매출액 등을 기준으로 규율대상을 한정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중개서비스의 범위를 넓게 상정한 데다가 총매출액 등의 기준을 낮게 설정해 혁신을 저해하지 않겠다는 이념과 다소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 공정·투명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면서도 혁신은 저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면, 규율대상을 넓게 상정하기보다 공정·투명한 거래 질서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자로 한정시킬 필요가 있다. ② 예측하기 어려운 온라인 플랫폼 시장을 규제하는 방안으로는 기본적으로 자율규제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관련해 법률안이 (i) 중개거래계약서 교부 의무나 (ii)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규정을 둔 것에는 아쉬움이 있다. (i)은 불특정 다수와 계약을 체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의 특성이나 효율성에 비추어, (ii)는 혁신을 저해하지 않겠다는 이념 또는 공정거래법 제23조와의 관계에 비추어 그 당위성에 의문이 있는 만큼, 원점에서의 재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와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법적 고찰: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 법제 분석을 중심으로

        장은정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4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사회 전 분야에서 비대면·디지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영세 판매업자들의 온라인유통에 대한 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카카오, 네이버, 쿠팡, 기타 배달앱 등의 플랫폼 기업들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주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의 독점적 지위로 인한 불공정 행위 및 독과점 폐해에 대한 불만의 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닌 전 세계 공통적인 현상으로서 각국은 최근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 문제를 법제도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 19 사태 이후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진 반면에 그러한 기업에 의한 독과점을 문제시하고 시정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세계 각국에서 확산된 해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또한 온라인 플랫폼 회사의 불공정거래 행위가 논란이 되자 정부는 디지털 공정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2021년 1월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은 소상공인 보호라는 입장과 플랫폼 규제라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 아직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 확대에 맞춰 플랫폼 사업자와 소상공인 간 상생 방안을 서둘러 마련하지 못한다면,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에 의해 소상공인들은 경쟁에서 밀려나게 될 뿐만 아니라 향후 플랫폼 사업자들의 권한남용과 불공정 거래를 막을 수 없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에 관한 법체계 정비 등의 입법적 조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온라인 플랫폼 업계의 독점 및 불공정경쟁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조치를 잇달아 발표하였고 관련 법제 또한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있다.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국들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앞으로도 온라인 플랫폼 규제방향에 대해 여러 찬반 논의가 있겠지만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시장의 공정거래 보호의 노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소상공인 보호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우리보다 한 발 앞서 온라인 플랫폼 육성에서 규제로 전환한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에 관한 법제의 주요 내용과 쟁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반경쟁적 우려에 대한 규범적 대응 현황 및 쟁점 ― 공정위의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안)을 중심으로 ―

        박준영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硏究 Vol.32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Review Guidelines on Abuse of Dominance and Unfair Trade Practice by Online Platform Businesses”, the first guideline of Korean Competition Law –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 which is focused on the online platform issues. The Guideline is specialized for the anti-competitive and unfair practices of Online Platform Undertakings, and has three important meanings which is as follows; first, the guideline reflects the direction of competition policy of Korean Competition Authority; second, it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nforcement practice of KFTC on Online Platform problems; third, the substantive part of the guideline was formed through the internal and external academic argument and actual cases and shows how the unique legal principles of Korean Competition Law will be developed in the Online Platform area. Nonetheless, this paper will also raise some issues which is as follows; first, the legal character or the legally binding of the guideline has to be revealed; second, the legal definition of Online Platform territory, such as Online Platform Service, Online Platform User Undertakings, which the guideline suggest, should be review on the point of consistency with other Online Platform Norms; third, the way to define the relevant market, the market dominance and injustice needs more specific analysis; fourth, the guideline suggests four typical anti-competitive conduct of Online Platforms, but it should be more concretized and reshaped. 공정거래위원회가 2022년 1월 6일 발표한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안)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 첫째, 우리나라 경쟁당국인 공정위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경쟁침해 내지 제한 가능성에 관한 기본적인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서 향후 위원회의 경쟁정책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둘째, 온라인 플랫폼 분야의 특화된 심사지침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정위가 파악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산업의 특성, 온라인 플랫폼 분야에서 문제삼고자 하는 행위 유형 등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이므로 공정거래 규제실무에 미치는 영향력이 결코 작지 않다. 마지막 셋째, 본 심사지침(안)은 우리나라 시장경제의 기본법인 공정거래법을 온라인 플랫폼 문제에 적용하는 해석론을 제시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의 경쟁법적 쟁점에 관한 종래 학계의 논의 및 외국의 집행사례를 고려하면서도 우리나라 법체계에 맞는 법리를 형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학술적으로도 그 의미가 상당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안)의 경쟁법적 의의를 밝히고 향후 보완을 통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온라인 플랫폼 심사지침(안)의 법적 성격과 특징을 살피면서 동 심사지침(안)의 의의에 대해 나름의 평가를 내린 후, 심사지침(안)의 경쟁법적 쟁점을 네 가지로 심층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으로 삼는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심사지침(안)의 운영방향 및 온라인 플랫폼 경쟁정책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통해 논의를 마무리하도록 한다.

      • KCI등재

        음악교육플랫폼의 구성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융합구조

        김수용(Soo Yong, Kim),권병웅(Byung Woong,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ll online platforms, including music education platforms, is closely related to marketing communications based on the structure and interactivity of a platform’s user convenience compon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latform components of representative music-related education platform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oyak.com and Udemy,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components and structur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LMS), which have been commercialized already in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a direction was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platforms. Further,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existing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model of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was presented. Finally,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music education platform and the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structure model was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build music education platforms and the strategies of online communication by integrating usercentered platform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refl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online music education platform. 음악교육플랫폼을 비롯한 모든 온라인 플랫폼의 성공적인 운영은 플랫폼의 이용자 편의성을 갖춘 구성요소의 구조와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음악관련 교육플랫폼인 도약닷컴과 Udemy의 플랫폼 구성요소들과 이미 대학에서 상용화 되어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구성요소와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음악교육플랫폼의 융합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제시된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의 개념과 구조를 분석하여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구조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육플랫폼과 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구조모델을 통합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는 온라인 음악교육플랫폼의 구성요소의 관계가 반영된 이용자 중심의 플랫폼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합하여 음악교육플랫폼의 구축 운영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와 이용자 간 상생협력 촉진 방안

        임영균(Young Kyun Lim),정수정(Soojung Jung) 한국유통학회 2021 流通硏究 Vol.27 No.1

        디지털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경제로의 급속한 전환은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시장지배력 강화는 과도한 수수료 부과 등의 여러 불공정거래행위를 낳고 있으며 소위 플랫폼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이종사업으로의 영역확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시장지배적 지위남용과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국내는 물론 유럽과 미국 등 여러국가에서도 나오고 있으며 정부 주도의 강력한 규제가 검토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안과 「상생협력법」 개정안은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 규제는 급변하는 시장상황을 그때그때 신속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규제의 전제조건인 명확한 시장획정과 불공정거래행위의 사실관계나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이 거래의 효율성이나 소비자후생의 제고에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하기 어렵다. 설령 강력한 법적 규제가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 이용자 간 거래의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하더라도 이것이 이들 간의 갈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해결하고 상생협력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가는 의문이다. 상생협력의 본질은 다양성과 조화의 추구다.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 생태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여 각자의 역량을 개발하고 상호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갈등의 현실을 극복하고 혁신동력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법적 규제에 순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플랫폼 기업 스스로 자율규제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해 자기지배 혹은 자율규제의 적극 도입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이용자와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에서 신의성실의 원칙에 입각해 거래의 형평성과 공정성을 꾀하는 한편, 갈등이 발생하면 협력에 의해 건설적인 해결을 모색하고, 갈등 해결의 유효한 방안으로 자율분쟁조정제도를 신속히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나아가 단순히 이용자나 보완자와의 상생협력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발굴하고 실천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The disrup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rapid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economy caused by Corona Pandemic are accelerating the growth of online platforms. However, the market dominance of online platform companies leads to various unfair trade practices such as excessive fees, and the expansion into diverse business areas to build a platform ecosystem is considered to threaten the survival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mall business owners. There are voices calling for regulating the abuse of market dominance and unfair trade practices of online platform companies in Korea as well a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strong government-led regulations are under consideration. The enactment of the Online Platform Fairness Act and the revision of the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Act, which are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reflect this trend. However, government regulations have a problem that they cannot quickly reflect the rapidly changing market conditions. Not only is it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market, which is a prerequisite for regulation, and to verify the facts and effects of unfair trade practices, but it is also difficult to ignore the fact that online platform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ransaction efficiency and consumer welfare. Even if strong legal regulations can ensure fairness in transactions between online platform companies and their user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is can resolve conflicts in a desirable direction and promote the collaboration among conflicting parties. The intrinsic nature of collaboration is the pursuit of diversity and harmony. A healthy and sustainable business ecosystem can be achieved by both large companies and SMEs collaborating to develop their own capabilities and build mutual trust.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he self-governance or self-regulation for online platform companies.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platform compan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seek equity and fairness in their relations with users and quickly introduce in-house dispute mediation programs for resolving conflicts. Furthermore, beyond the collaboration with users or complementors, it is believed that platform companies should develop and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interests of society at large. More specificall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Deutsch’s theory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essence of collaborative (win-win) cooperation lies in harmony or balance between heterogeneous economic actor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in a conflict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cooperative-con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rather than competitive-destructive conflict resolu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ek harmony betwee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that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ursu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nd fair competition or restrained competition can have positive results. Second, following Gorwa (2019)’s suggestion, this study also sees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self-governance, external governance, and co-governance as a good form of platform governance. In particular, as government authorities are strongly considering legal regulations, platforms are expected to strengthen self-regulat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ranging from investigating user complaints to creating ethical frameworks, seek user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s, and so on. Third, if a platform company wants to practice self-regulation, it must be made in the direction of complying w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s in general transaction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closely related to the duty of cooperation, the doctrine of non-degradation from grant, and the principle of unconscionability. The core concepts that make up t

      • KCI등재

        플랫폼법의 입법논의에 관한 고찰

        정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경희법학 Vol.59 No.2

        오늘날 온라인플랫폼거래가활성화됨에따라 온라인플랫폼상공정성을해치는사업자의불법행위를 규제하고 소비자의 실효적 보호를 위한 가칭 온라인플랫폼법의 신규입법 논의가 활발하다. 이는 종래의 온라인상거래가 온라인플랫폼 거래로 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20여 년 전 제정된 전자상거래법이 그대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플랫폼법은 지난정부에서가칭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이라는 명칭으로법안이발의되었으나이번정부는 이른바 ‘온라인플랫폼 경쟁촉진법’으로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소관부처인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플랫폼 지배적사업자’의 사전지정을 통해 거대사업자를 집중규제하는 이른바 ‘사전지정제’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지배적사업자의부당행위를금지하려는것에대하여관련업계는현행공정거래법만으로도플랫폼사업자의 규율이 충분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반면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하려는 자율규제안이미흡하므로 보다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유력한 만큼, 실제 입법에 이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거대 플랫폼사업자 규제를 위해 구글, 네이버 등 사업자를 지배적사업자로 사전지정하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입법방향은 제시되었지만 법안의 구체적 내용이 아직 공개되지 않은상황이다. 대체로 플랫폼사업자의 불공정행위 규제와 소비자보호 및 플랫폼 지배적사업자지정 등에 관한 내용이 핵심내용이 될 것인바, 이러한 온라인플랫폼법 입법을 통해 플랫폼시장에서의불법행위에빠르게대응하고그럼으로써사전예방효과가커질것으로기대된다. 이러한 입법시도는 얼마전 21대 국회 회기종료로 입법안이 폐기되었지만 22대 국회에서도입법노력은계속될것으로전망되므로온라인플랫폼시장에서의소상공인과소비자의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스타트업 등 플랫폼사업자들의 시장진입 및 활동이 활성화되어 플랫폼산업의 혁신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전히 플랫폼 지배적사업자의 사전지정을 놓고 업계가 반발하고 있지만, 보다 충실한 검토가 행해지고 플랫폼업계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게 된다면 입법은 곧 완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as online platform transactions become activ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new legislation, tentatively known as the Online Platform Act, to regulate illegal activities of business operators that undermine fairness on online platforms and provide effective protection for consumers. This is because, even though traditional online commerce has become widespread as an online platform transaction, the E-Commerce Act, which was enacted and implemented 20 years ago, is still applied. In enacting the Online Platform Competition Promotion Act,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trying to introduce a pre-designation system that intensively regulates large operators through pre-designation of ‘dominant online platform operators’, which is receiving backlash from the platform industry.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ban unfair practices such as preferential treatment and multi-homing restrictions by dominant operators by introducing this pre-designation system in the new Online Platform Act. The Fair Trade Commission’s legislative direction to pre-designate platform operators such as Google and Naver as dominant operators in order to regulate large platform operators has been disclosed, bu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bill have not yet been disclosed. In general, the key contents will be the regulation of unfair practices by platform operators, consumer protection, and designation of platform dominant operators. Through this legislation on the Online Platform Act, we will quickly respond to illegal acts in the platform market, thereby increasing the preventive effect. In addition, this will alleviate the economic burden on small business owners and consumers in the platform market, while revitalizing the market entry and activities of platform operators such as startups, which will lead to innovation and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in the platform industry. In any case, although the industry is protesting against the pre-designation of the platform dominant operator, we hope that a more thorough review will be conducted and the legislation will be complet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platform industry as much as possible.

      • KCI우수등재

        온라인 플랫폼 자율규제에 관한 시론(試論)

        박창규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Self-regulation means that members of the market become the subject of regulation and they voluntarily regulate themselves. Self-regulation can be classified into pure self-regulation, the government led self-regulation, private led self-regulation. Also, Self-regulation is based on the expertise on the area of regulation and the efficiency of regulation. Korea has recognized the need of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and has actively regulated online platforms but there are some concerns about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in Korea. First, the regulation in Korea is ex ante regulation. Second, there are the possibility of the regulatory overlap. Third, the Korean governments pay too much attention to the “gab-eul” relationship. Fourth, the understanding and the execution experience of online platforms are not sufficient. Fifth, the regulation in Korea is the unilateral command-control regulation that the governments lead (“the government led command-control regulation”). The online platform markets hav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dynamic technical development, changes in the various business models, and market innovation. Therefore, the 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requires the expertise on the technology and market and it should be efficient in order not to hamper the dynamics and innovation. Self-regulation is a regulatory type suitable for online platform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self-regulation is desirable in terms of expertise of the subject of the regulation. Second, self-regulation is efficient as it can respond flexibly to the various changes in the market. Third, the government led command-control regulation is premature as the online platform markets will continue to develop. Self-regulation can make it possible to achieve the goal of establishing an online ecosystem where the collaborative cooperation between online platforms and the business users in online platforms, the maintenance of competition between online platforms, and the improvement of consumer welfare are feasible while maintaining the features of online platforms. The desirable direction of self-regulation in online platform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self-regulation should be the business entity with proven expertise. Second, all online platform operators should participate in self-regulation, and self-regulatory organization (“SRO”)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Third, there should be no conflict of interest. Fourth, academia, citizens, and the media should actively monitor and evaluate the self-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Fifth, online platform operator should disclose its own information transparently. Sixth, online platform operators should try to settle the disputes quickly and fairly. Seventh,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should monitor the market and conduct market investigation on a regular basis. Eighth, if self-regulation is successful it is necessary that KFTC provides the incentives to online platform operators. Ninth, KFTC should support the sustainable growth of online platforms. Tenth, the governments and SRO shoul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elf-regulation of online platforms in other countries, and support online platforms in Korea so that online platforms in Korea should not suffer from any competitive disadvantages due to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self-regulation is effective alternative that makes online platform ecosystem grow sustainably. 자율규제는 시장의 구성원이 규제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자신을 규제하는 것이다. 자율규제는 순수한 자율규제, 정부 주도의 자율규제, 민간 주도의 자율규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문성과 규제의 효율성을 기초로 한다. 우리나라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규제를 추진해왔는데 다음과 같은 우려가 있다. 첫째, 사전규제 방식이다. 둘째, 중복규제의 가능성이 있다. 셋째, 거래상 지위 남용인 갑을 관계에 지나치게 주목한다. 넷째,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이해와 집행 경험이 충분하지 않다. 다섯 번째,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명령-통제 방식의 규제이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역동적인 기술발전, 다양한 사업 모델의 변화, 시장의 혁신 등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 규제는 기술과 시장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며 역동성과 혁신이 저해되지 않도록 효율적이어야 한다. 자율규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온라인 플랫폼에 적합한 규제방식이다. 첫째, 자율규제는 규제 주체의 전문성 면에서 긍정적이다. 둘째, 시장의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셋째, 온라인 플랫폼은 계속해서 발전할 시장이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명령-통제 방식의 규제는 시기상조이다. 자율규제는 온라인 플랫폼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온라인 플랫폼과 입점업체의 상생, 온라인 플랫폼간 경쟁의 유지, 소비자 후생의 증진이 가능한 온라인 생태계의 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온라인 플랫폼 자율규제의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 주체는 전문성이 입증된 사업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모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자율규제에 참여하고, 독립된 자율규제기구가 설립되어 활동해야 한다. 셋째, 이해충돌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넷째, 학계, 시민, 언론 등이 온라인 플랫폼의 자율규제를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는 자신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여섯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는 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해야 한다. 일곱째,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정기적 시장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여덟째, 자율규제가 성공적일 경우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아홉째,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 플랫폼의 지속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열번째, 정부와 자율규제기구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의 자율규제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온라인 플랫폼이 자율규제로 인해 경쟁상의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자율규제는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의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대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